무궁화 5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궁화 5호는 프랑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제작한 통신 위성으로, 군사 통신 서비스와 국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2006년 8월 22일 제니트 3SL 로켓에 의해 발사되었으며, 상업용 Ku 밴드 트랜스폰더와 군사용 Ka 밴드 및 SHF 밴드를 포함한 총 36개의 중계기를 탑재하고 있다. 무궁화 3호와 달리 Ka 밴드 12개 채널이 군용으로 공표되었으며, 6,000km까지 교신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지 궤도의 통신 위성 - 갤럭시 11
- 정지 궤도의 통신 위성 - 천리안 (위성)
대한민국의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의 기상, 해양 관측과 통신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유로스타 3000S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2010년 6월에 발사, 통신, 해양, 기상 관측 임무를 수행하며 한국의 우주 기술 자립에 기여했다. - 2006년 우주 개발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2006년 우주 개발 - STEREO
STEREO는 태양 활동을 3차원으로 관측하기 위해 두 개의 탐사선을 지구 궤도 앞뒤에 배치한 NASA의 미션으로, 한 탐사선과의 통신은 두절되었지만 다른 한 탐사선은 현재도 임무를 수행 중이다. - 2006년 발사한 우주선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2006년 발사한 우주선 - STS-116
STS-116은 2006년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으로 국제우주정거장 조립 임무를 수행하며 P5 트러스 세그먼트 전달 및 설치, ISS 전력 시스템 업그레이드, 원정 14 승무원 교체, SPHERES 실험용 테스트 베드 운반 등의 목표를 가졌다.
무궁화 5호 | |
---|---|
ANASIS-I / 무궁화 5호 정보 | |
위성 정보 | |
발사 정보 | |
궤도 정보 | |
프로그램 정보 |
2. 한국의 군용 통신 위성 개발
무궁화 3호는 군용 통신에 사용되는 Ka 밴드 3개 채널을 탑재했지만, 공식적으로 군용 통신 위성으로 발표된 적은 없다. 그러나 후속 위성인 무궁화 5호에서는 Ka 밴드 12개 채널이 군용 목적으로 사용된다고 공표되었다.
이전 무궁화 1호, 무궁화 2호, 무궁화 3호 위성들과는 달리 프랑스의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제작을 담당하였다. 2006년 8월 22일, 씨 런치사의 제니트 3SL 로켓으로 발사되어 정지 천이 궤도에 진입한 후 목표 정지 궤도에 안착하였다.
무궁화 5호는 무궁화 3호보다 송신 출력이 2배 향상되었으며, 교신 가능 거리는 한국을 기준으로 약 6000km에 달한다. 이는 서쪽으로는 하와이 (약 7000km)에는 약간 못 미치고, 동쪽으로는 인도의 동쪽 해안인 벵골만까지 포함한다. 남쪽으로는 호주 북부 해안까지 도달하지만, 소말리아 해적 소탕 임무를 수행하는 청해부대의 주요 작전 지역인 UAE나 소말리아까지는 통신이 미치지 못한다.
무궁화 5호의 Ka 밴드 중계기 12기는 총 536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5], 이는 미군이 사용하는 WGS 위성의 2.4 Gbps에 비해 약 5배 느린 수준이다. 한편, 한국은 천리안 위성을 통해 최초로 국산 Ka 밴드 통신 중계기를 개발하여 탑재한 바 있다.
3. 제작 및 발사
3. 1. 프랑스와의 협력
무궁화 1호, 무궁화 2호, 무궁화 3호는 미국 록히드 마틴이 제작하였으나, 무궁화 5호는 프랑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제작을 담당하였다. 이 위성은 알카텔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설계하고 제작하였으며, 스페이스버스 4000C1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위성의 무게는 4448kg이며, 발생 전력은 8.6kW에 달한다. 상업용 Ku 밴드 트랜스폰더와 군사용 Ka 밴드 및 SHF 밴드를 포함하여 총 36개의 트랜스폰더를 탑재하고 있다.
2006년 8월 22일, 씨 런치사의 제니트 3SL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발사 후 정지 천이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였으며, 초기 운용 단계를 거쳐 정지 궤도상의 동경 113도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 위성은 군사 통신 서비스 및 국내 디지털 방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예상 운용 수명은 15년 이상이다.
3. 2. 발사 과정
2006년 8월 22일, 씨 런치사의 제니트 3SL 로켓에 의해 발사되었다. 발사 후 정지 천이 궤도에 먼저 진입했으며, 초기 운용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정지 궤도 상의 동경 113도로 이동하여 자리를 잡았다.
4. 제원
항목 | 내용 |
---|---|
구분 | 통신위성[6] |
제작사 |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
기반 플랫폼 | 스페이스버스 4000C1 위성 버스 |
무게 | 4448kg (4톤 이상) |
발생 전력 | 8.6kW |
탑재체 | 총 36개 트랜스폰더 * 상업용 Ku 밴드: 24개 * 군사용 Ka 밴드·SHF 밴드: 12개 |
운용 궤도 | 정지궤도 (GEO) / 동경 113도 (36000km 고도) |
설계 수명 | 15년 이상 |
개발비 | 비공개 |
발사체 | 씨런치 제니트 3SL |
발사일 | 2006년 8월 22일 |
발사장소 | 태평양 공해 (서경 154도, 북위 0도 적도) 씨런치사 발사선 오딧세이호 |
주요 서비스 | 군사 통신, 국내 디지털 방송 |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구 알카텔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설계 및 제작을 담당했으며, 스페이스버스 4000C1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한다. 위성의 총 무게는 4448kg이고, 발생 전력은 8.6kW 수준이다. 탑재체로는 상업용 Ku 밴드 트랜스폰더 24기와 군사용 Ka 밴드 및 SHF 밴드 트랜스폰더 12기를 포함하여 총 36개의 중계기를 장착하고 있다.
2006년 8월 22일, 씨런치사의 제니트 3SL 로켓을 이용하여 태평양 공해상의 발사선 오딧세이호에서 발사되었다. 발사 후 정지 천이 궤도에 진입하였고, 이후 최종 운용 궤도인 정지궤도 동경 113도로 이동하여 임무를 수행한다.
주요 임무는 군사 통신 서비스와 국내 디지털 방송 중계이며, 설계 수명은 15년 이상으로 계획되었다.
5. 운용 현황 및 의의
프랑스의 알카텔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스페이스버스 4000C1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위성은 상업용 Ku 밴드 트랜스폰더와 군사용 Ka 밴드 및 SHF 밴드 트랜스폰더를 탑재하고 있다.
2006년 8월 22일, 씨 런치사의 제니트 3SL 로켓을 통해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 발사 후 정지 천이 궤도에 진입했으며, 초기 운용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정지 궤도 상의 동경 113도에 위치하여 운용되고 있다.
무궁화 5호는 군사 통신 서비스와 국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임무로 하며, 설계된 운용 수명은 15년 이상이다.
5. 1. 군사 통신 서비스
무궁화 3호에도 군용 통신에 사용되는 Ka 밴드 3개 채널이 탑재되었으나, 공식적으로 군용 위성으로 발표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무궁화 5호는 Ka 밴드 12개 채널을 군사용으로 공표하며 본격적인 군사 통신 위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무궁화 5호는 무궁화 3호보다 2배 향상된 송신 출력을 가지며, 한국을 중심으로 약 6000km 거리까지 교신이 가능하다. 이는 동쪽으로는 벵골만, 남쪽으로는 호주 북부 해안까지 포함하는 넓은 범위이다. 다만, 서쪽으로는 하와이에 약간 못 미치며, 소말리아 해적 소탕 임무를 수행하는 청해부대의 주요 작전 지역인 UAE나 소말리아는 통신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탑재된 군사용 Ka 밴드 중계기 12기의 총 전송 용량은 536Mbps이다[5]. 이는 미군의 주력 군사 통신 위성인 WGS 위성의 2.4 Gbps에 비하면 약 5분의 1 수준이지만, 한국군의 독자적인 통신 능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무궁화 5호는 군사용 Ka 밴드 외에도 SHF 밴드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약 15년 이상 운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5. 2. 국내 디지털 방송 서비스
무궁화 5호는 군사 통신 서비스와 함께 국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성에 탑재된 상업용 Ku 밴드 트랜스폰더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위성의 주요 임무 중 하나이다.5. 3. 한국 위성 통신 기술 발전에 대한 기여
무궁화 3호에도 군용 통신 위성에서 사용하는 Ka 밴드 3개 채널이 탑재되었으나, 공식적으로 군용으로 발표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무궁화 5호에서는 Ka 밴드 12개 채널을 군용으로 공표하며 한국의 군 위성 통신 능력을 공식적으로 확보하고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이전 위성보다 군 통신 역량이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무궁화 5호는 무궁화 3호보다 송신 출력이 2배 향상되었으며, 교신 가능 거리는 한국을 중심으로 반경 6000km에 달한다. 동쪽으로는 인도의 동쪽 해안인 벵골만까지 통신이 가능하지만, 소말리아 해적 소탕 임무를 수행하는 청해부대의 주요 작전 지역인 UAE나 소말리아까지는 미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남쪽으로는 호주 북부 해안까지 도달한다.
탑재된 군용 Ka 밴드 중계기 12기의 총 전송 용량은 536Mbps로[5], 이는 당시 미군이 사용하던 WGS 위성의 2.4 Gbps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무궁화 5호 운용 경험은 이후 천리안 위성에서 최초의 국산 Ka 밴드 통신 중계기를 개발하고 탑재하는 기술적 발판 마련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무궁화 5호는 프랑스의 알카텔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스페이스버스 4000C1 위성 버스를 기반으로 설계·제작했으며, 무게는 4448kg, 발생 전력은 8.6kW이다. 상업용 Ku 밴드와 군사용 Ka 밴드·SHF 밴드 트랜스폰더를 총 36개 탑재하여 군사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국내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에도 활용되었다. 2006년 8월 22일 씨 런치사의 제니트 3SL 로켓으로 발사되어 정지 궤도 동경 113도에서 운용되었으며, 설계 수명은 15년 이상이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Sat 5
https://nssdc.gsfc.n[...]
NSSDCA
[2]
서적
The Politics of Spac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
[3]
뉴스
무궁화 5호 바다위에서 쏜다
https://news.naver.c[...]
2006-02-20
[4]
뉴스
한반도 상공 정지위성 관측 성공
https://news.naver.c[...]
2007-02-25
[5]
저널
디지털전장 구현을 위한 정보화 전문인력 육성방안
http://www.kid.re.kr[...]
2014-09-27
[6]
뉴스
아리랑2호 관측용…무궁화5호 통신용
https://archive.toda[...]
2006-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