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당파국민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당파국민연합은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참여를 목표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출신 무소속 정치인들이 주축이 되어 창당준비위원회를 설립했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당명을 변경했다. 무당파국민연합은 1996년 3월 창당대회를 열고 한병채를 대표위원으로 선출했으며,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후보 56명과 비례대표 후보 6명을 공천했지만, 지역구에서 전원 낙선하고 정당 득표율 0.9%를 기록하여 원내 진입에 실패했다. 결국 유효 득표율 미달로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해산된 정당 - 일본사회당
    일본사회당은 1945년 창당되어 전후 일본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내부 분열,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 차이, 의장 암살 사건, 정권 획득 실패, 당내 갈등 심화 등으로 쇠퇴하여 2022년 해체된 사회주의 정당이다.
  • 무당파국민연합 - 김중권
    김중권은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경제 정책 결정을 지원하며 주요 국정 운영에 참여했다.
  • 무당파국민연합 - 김현욱 (정치인)
    김현욱은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빈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제11, 12, 13, 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한국민족발전연구원 이사장 등을 지내며 정의구현사제단 비난 등으로 논란이 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1996년 설립된 정당 - 노동당 (미국)
    노동당(미국)은 1996년 여러 노동조합의 연합으로 설립되었으나, 2000년대 이후 쇠퇴하여 2007년 전국적 활동을 중단했고,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지부는 사우스캐롤라이나 노동자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여 독자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 1996년 설립된 정당 - 사회민주당 (일본)
    사회민주당 (일본)은 1996년 일본사회당에서 개칭된 정당으로,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며 헌법 9조 수호, 사회복지 확대, 평화주의, 탈핵 등을 정책으로 삼고 있으며, 현재는 후쿠시마 미즈호가 당수이다.
무당파국민연합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무당파국민연합
로고
약칭무당파연합
창당1996년 3월 15일
해산1996년 4월 13일 (정당 등록 취소)
이전 명칭해당 사항 없음
중앙 당사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49길 7 (서초동 1712-5, 오성빌딩 6층)
이념중도주의
정치 스펙트럼포괄정당
상징색파랑
주요 인물
대표한병채
총재해당 사항 없음
원내대표해당 사항 없음
기타 정보
선행 조직해당 사항 없음
통합 정당해당 사항 없음
국제 연합해당 사항 없음
의회 의석수해당 사항 없음
의석1 제목해당 사항 없음
의석1 수해당 사항 없음
의석1 정수해당 사항 없음
교섭 단체해당 사항 없음
웹사이트해당 사항 없음

2. 역사

1996년 3월 14일 무당파국민연합은 서울 수운회관에서 창당대회를 열고 한병채를 대표위원으로 선출했다.[8]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당파국민연합은 지역구 후보 56명(서울 15명, 부산 4명, 대구 8명, 인천 4명, 광주 1명, 대전 1명, 경기 6명, 강원 1명, 충북 3명, 충남 2명, 전북 2명, 경북 6명, 경남 3명), 전국구(비례대표) 후보 6명(1번 윤영오, 2번 김옥선, 3번 김상명, 4번 진원규, 5번 김헌기, 6번 안재식)을 공천했다. 하지만 지역구 투표에서 후보자 전원이 낙선했으며 총 득표 수 177,050표, 정당 득표율 0.9%를 기록하여 전국구 후보자 전원이 낙선하면서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 결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1996년 4월 13일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효 득표율 2%를 기록하지 못한 무당파국민연합의 정당 등록을 취소했다.[9][10]

2. 1. 창당 배경

1996년 1월 26일, 한병채, 김중권, 정동윤, 이치호, 김종기대구광역시경상북도 출신 무소속 정치인들이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기 위해 '민주무소속연합' 창당준비위원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기존 정당들이 특정 정치인 중심으로 운영되어 권위주의적이고 부패한 정치를 초래했다고 비판하며, 중앙당과 당수가 없는 정당을 표방했다.[3]

민주무소속연합 창당준비위원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창당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996년 1월 31일에 "'무소속'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면 무소속 후보자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국민들에게 혼란을 준다"며 당명 사용을 불허했다.[4] 이에 따라 민주무소속연합은 1996년 2월 5일에 당명을 '''무당파국민연합'''으로 변경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새 당명을 승인했다.[5]

1996년 2월 13일, 한병채 창당준비위원장과 김옥선, 김동주, 신하철을 비롯한 발기인 79명은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무당파국민연합 창당을 선언하고,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참여를 밝혔다. 이들은 무당파국민연합이 당리·당략, 지역 패권주의, 개인의 독단과 전횡을 청산하기 위해 순수한 무소속 정치인이 모인 정당임을 표방했다.[6][7]

2. 2. 당명 변경 과정

1996년 1월 26일 한병채, 김중권, 정동윤, 이치호, 김종기대구광역시경상북도 출신 무소속 정치인들이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기 위해 가칭 '민주무소속연합' 창당준비위원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기존 정당들이 특정 정치인 중심으로 운영되어 권위주의, 부패한 정치로 이어졌다고 비판하며 민주무소속연합이 중앙당과 당수가 없는 정당임을 표방했다.[3]

민주무소속연합 창당준비위원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창당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996년 1월 31일 "'무소속'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면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보자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국민들에게 혼란을 준다. 따라서 '민주무소속연합'이라는 당명은 선거 질서나 정치 질서에 중대한 위험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허용할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4] 이에 따라 민주무소속연합은 1996년 2월 5일 당명을 '''무당파국민연합'''으로 변경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새 당명을 승인했다.[5]

2. 3. 창당 및 총선 참여

1996년 1월 26일 한병채, 김중권, 정동윤, 이치호, 김종기대구광역시경상북도 출신 무소속 정치인들이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기 위해 가칭 '민주무소속연합' 창당준비위원회를 설립했다. 이들은 기존 정당들이 특정 정치인 중심으로 운영되어 권위주의적이고 부패한 정치로 이어졌다고 비판하며, 민주무소속연합이 중앙당과 당수가 없는 정당임을 표방했다.[3]

민주무소속연합 창당준비위원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창당 신청서를 제출했으나, 1996년 1월 3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무소속'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면 무소속으로 출마한 후보자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국민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4] 이에 따라 민주무소속연합은 1996년 2월 5일 당명을 '''무당파국민연합'''으로 변경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도 새 당명을 승인했다.[5]

1996년 2월 13일 한병채 창당준비위원회 위원장과 김옥선, 김동주, 신하철 등 발기인 79명은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무당파국민연합 창당을 선언하며, 1996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무당파국민연합이 특정 정당의 당리·당략, 지역 패권주의, 개인의 독단과 전횡을 청산하기 위한 순수한 무소속 정치인들의 모임임을 강조했다.[6][7] 1996년 3월 14일 무당파국민연합은 서울 수운회관에서 창당대회를 개최하고 한병채를 대표위원으로 선출했다.[8]

무당파국민연합은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후보 56명, 전국구(비례대표) 후보 6명을 공천했으나, 지역구 후보 전원이 낙선하고 총 득표 수 177,050표, 정당 득표율 0.9%를 기록하여 전국구 후보도 모두 낙선하면서 원내 진입에 실패했다. 결국 1996년 4월 1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효 득표율 2%를 넘지 못한 무당파국민연합의 정당 등록을 취소했다.[9][10]

2. 4. 해산

무당파국민연합은 1996년 4월 11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후보 56명, 전국구(비례대표) 후보 6명을 공천했으나, 지역구 및 전국구 후보 모두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9] 지역구 투표에서는 후보자 전원이 낙선했으며, 총 득표 수 177,050표, 정당 득표율 0.9%를 기록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996년 4월 13일에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효 득표율 2%를 넘지 못한 무당파국민연합의 정당 등록을 취소했다.[9][10]

3. 주요 선거 결과

무당파국민연합은 1996년 제15대 총선에 참여했지만,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의석을 얻지 못했다.[1]

3. 1. 국회의원 선거

연도선거명지역구비례대표
1996년15대 총선0 / 2530 / 46


참조

[1] 간행물 중앙당 등록 공고(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고 제1996-99호) http://theme.archive[...] 대한민국 총무처 2020-09-27
[2] 간행물 중앙당 등록 취소 공고(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고 제1996-127호) http://theme.archive[...] 대한민국 총무처 2020-09-27
[3] 뉴스 대구-경북지역 출마예정자 23명「민주무소속연합」정당발기 신청 https://newslibrary.[...] 2019-09-14
[4] 뉴스 選管委(선관위) "「무소속」용어 黨名(당명)으로 사용못한다" https://newslibrary.[...] 2019-09-14
[5] 뉴스 선관위「무소속연합」黨名(당명)허용 https://newslibrary.[...] 2019-09-14
[6] 뉴스 「無黨派(무당파) 국민연합」창당 선언 https://newslibrary.[...] 2019-09-14
[7] 뉴스 群小(군소)정당"우리도 뜁니다" https://newslibrary.[...] 2019-09-14
[8] 뉴스 「무소속정당」실험 「무당파 국민연합」출범 https://newslibrary.[...] 2019-09-14
[9] 뉴스 중앙선관위 유효표의2% 못얻은 4개정당 등록 취소 https://newslibrary.[...] 2019-09-14
[10] 웹인용 홈 > 선거 바로알기 > 대한민국선거사 > 정당사 연표 http://museum.nec.go[...]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0-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