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는 1996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총 299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선거는 1994년 제정된 공직선거법에 따라 소선거구비례대표병립제를 통해 치러졌으며, 투표율은 63.9%를 기록했다. 선거 배경으로는 1995년 지방선거 참패와 전직 대통령 구속으로 인한 김영삼 대통령의 위기, 김대중의 정계 복귀와 신당 창당, 김종필의 자유민주연합 창당 등 정치 지형 변화가 있었다. 주요 정당으로는 김영삼 대통령의 신한국당, 김대중의 새정치국민회의, 김종필의 자유민주연합, 그리고 통합민주당이 참여했다. 선거 결과 신한국당이 원내 1당을 차지했으나 과반수에는 미치지 못했고, 지역주의 정치 구도가 심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2. 선거 배경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참패와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 구속으로 위기에 몰린 김영삼 대통령은 당명을 신한국당으로 바꾸고, 정치 신인들을 영입하며 변화를 모색했다.[1] 김대중은 정계 복귀 후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며 야권 재편을 주도했고, 김종필은 신한국당과 결별 후 자유민주연합을 창당하여 "3김" 구도를 재현했다.[1]

한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3김 정치 청산'과 정치 개혁을 요구하며 적극적으로 선거에 참여했으나,[1] 통합민주당은 군소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1]

3. 선거 제도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는 1994년 3월 16일에 제정된 「공직선거 및 부정선거방지법」(일명 「통합선거법」)에 따라 실시되었다. 의원 임기는 4년이며, 소선거구비례대표병립제를 채택하여 총 299석의 의원을 선출했다. 지역구는 소선거구제로 253석을, 전국구는 비례대표제로 46석을 선출했다.[2]

이전 총선까지 전국구 의석은 지역구 의석 비율에 따라 배분되었으나, 이번 선거부터는 지역구 득표율에 따라 배분되도록 개정되었다. 전국구 의석은 지역구에서 5석 이상을 획득하거나, 지역구 총 득표율이 3%를 초과하는 정당에게 헤어식 최대 잉여 법으로 배분되었다.[2]

총 선거인 수는 31,488,294명이었으며, 이 중 20,122,799명이 투표하여 63.9%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14대 총선의 투표율 71.9%보다 낮은 수치이다. 지역별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투표율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투표율61.0%60.5%60.9%60.1%64.5%63.0%61.5%69.3%68.3%68.7%68.3%69.8%71.7%66.0%71.1%



지역구 후보자는 총 1,389명이었으며, 주요 정당별 후보자 수는 다음과 같다.

주요 정당 후보자 수
정당후보자 수
신한국당253
새정치국민회의230
통합민주당224
자유민주연합219
무소속393


4. 주요 정당 및 후보

김영삼 대통령의 여당인 신한국당은 5공 색채를 벗고 인재 영입을 통해 총선에 임했다.[1] 김대중 총재가 창당한 제1야당 새정치국민회의는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했다.[1] 김종필 총재가 이끄는 자유민주연합충청도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1] 3김 정치 청산을 내걸었던 통합민주당은 군소 정당으로 전락했다.[1]

정당대표이념총선 의석 수총선 전 의석 수지위
style="background:" |신한국당김영삼보수주의여당
style="background:" |새정치국민회의조순형자유주의존재하지 않음야당
style="background:" |통합민주당박일
장을병
자유주의야당
rowspan="2" style="background:" |자유민주연합김종필보수주의rowspan="2" |rowspan="2"

[1]

5. 선거 결과

1996년 4월 11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득표의석
득표수%지역구전국구합계
신한국당6,783,73034.5212118139
새정치국민회의4,971,96125.30661379
자유민주연합3,178,47416.1741950
통합민주당2,207,69511.239615
무당파국민연합177,0500.90000
대한민주당3,1140.02000
21세기한독당1,6930.01000
친민당5710.00000
무소속2,328,78511.8516016
합계19,653,07310025346299



전국구 의석은 총 46석으로,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배분되었다.

주요 정당 지역별 득표율
colspan="2" |신한국민자민민주
전체34.525.316.211.2
수도권서울특별시36.535.211.313.5
인천광역시38.229.514.511.0
경기도33.227.418.613.9
충청도대전광역시21.411.449.812.6
충청북도31.58.939.48.9
충청남도28.96.151.27.9
호남 (전라도)광주광역시7.586.20.82.0
전라북도23.463.70.55.8
전라남도17.771.00.81.3
강원도37.36.723.614.5
영남 (경상도)대구광역시38.21.435.84.0
부산광역시55.86.45.518.8
경상북도34.91.620.66.9
경상남도46.54.24.714.7
제주특별자치도37.229.41.22.0


5. 1. 총괄

金泳三, 김영삼중국어 대통령에 반대했던 사람들과 정치 신인들까지 끌어모아 인재 영입을 하여 15대 총선에서 원내 1당 지위는 지켰지만 과반수에 미달하는 139석을 차지했다.[3] 특히 민주당계 지지가 강한 서울에서 27석을 차지해 집권 여당이 사상 처음으로 서울에서 승리했다. 김영삼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 부산·경남(PK)에서 압승했고 부산광역시, 제주도에서 모든 의석을 석권하고 전북 군산시 을에서 1석을 당선시켜 지역주의 완화에 성공했으나, 보수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대구광역시에서 자유민주연합무소속 후보에게 일격을 당하고 충청도 지역에서 대참패를 당했다. 이후 무소속, 통합민주당, 자유민주연합 의원을 대거 영입해 원내 과반수를 확보했다.

새정치국민회의는 민주당계의 정신적 지주이자 차기 대선주자 金大中, 김대중중국어이 정계에 복귀하면서 호남계, 동교동계 인사들이 민주당에서 대거 탈당하여 창당과 동시에 입당했다. 1여다야 구도 속에서 79석을 차지했다.[3] 하지만 기대했던 서울 지역에서 표가 분산되면서 중진 의원들 상당수가 낙선했고, 수도권에서 부진했으며 충청도, 영남, 강원도, 제주도에서 1석도 차지하지 못하는 굴욕을 겪었다. 개헌 저지선인 100석 이상 확보에 실패했고, 김대중 총재도 비례대표제로 출마했지만 국회 입성에 실패했다. 그나마 민주당계의 심장부이자 텃밭인 호남 지역에서 1곳을 제외하고 모두 석권한 것이 위안이었다.

자유민주연합충청도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反YS 非민주 정서가 강하던 대구에서 8석을 차지하며 신한국당을 압도하였다.[3] 또한 강원도, 경기도, 경북 지역에서도 선전하였다. 이로써 자민련은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성공했으며, 제15대 국회는 3당 구도로 개원했다.

통합민주당은 동교동계, 호남계 인사들이 새정치국민회의로 대거 탈당하면서 표가 분산되어 15석을 차지,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했다.[3] 이후 신한국당 측의 의원 빼가기로 더욱 위축됐으며, 결국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신한국당과 합당했다. 당시 신한국당과 합당에 반대한 의원들은 새정치국민회의로 넘어가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여당 생활을 했다.

정당득표수득표율(%)지역구전국구합계증감
신한국당6,783,73034.5212118139
새정치국민회의4,971,96125.30661379
자유민주연합3,178,47416.1741950
통합민주당2,207,69511.239615
무당파국민연합177,0500.90000±0
대한민주당3,1140.02000±0
21세기한독당1,6930.01000±0
친민당5710.00000±0
무소속2,328,78511.8516-16
합계19,653,07310025346299±0
유효표19,653,07397.67colspan=4 |
기권표/무효표469,7262.33colspan=4 |
합계20,122,799100colspan=4 |
선거인수/투표율31,488,29463.91colspan=4 |



이 선거에서는 지역구에서 21명, 전국구에서 22명, 총 43명의 여성 후보자가 출마하였다.[5] 선거 결과, 8년 만에 지역구에서 2명(새정치국민회의 1명, 무소속 1명)이 당선되었고(88년과 92년에는 전국구에서만 당선), 전국구에서는 7명이 당선되었다.[4] 총선거 후 실시된 1998년 보궐선거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인 박근혜가 당선되어 지역구 출신 여성 의원은 3명이 되었다.

정당합계지역구전국구
지역구 및
전국구별 여성 당선자 수[4]
신한국당303
새정치국민회의413
통합민주당101
무소속11
합계927


5. 2. 정당별 당선자 수

정당득표의석
득표수%지역구전국구합계
신한국당6,783,73034.5212118139
새정치국민회의4,971,96125.30661379
자유민주연합3,178,47416.1741950
통합민주당2,207,69511.239615
무당파국민연합177,0500.90000
대한민주당3,1140.02000
21세기한독당1,6930.01000
친민당5710.00000
무소속2,328,78511.8516016
합계19,653,07310025346299



15대 총선에서 집권 여당 신한국당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 구속이라는 악재에도 불구하고, 당명 변경과 정치 신인 영입으로 원내 1당(139석)을 유지했다. 특히 서울특별시에서 27석을 차지하며 사상 처음으로 서울에서 승리했고, 부산광역시제주특별자치도에서 모든 의석을 석권했다. 그러나 대구광역시와 충청 지역에서는 자유민주연합과 무소속 후보에게 밀렸다. 이후 무소속 및 타 정당 의원들을 영입하여 원내 과반수를 확보했다.

김대중이 정계에 복귀하며 창당한 새정치국민회의는 79석을 얻는 데 그쳤다. 서울특별시에서 표 분산으로 중진 의원들이 낙선하고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강원·제주 지역에서 부진했다. 김대중 총재도 국회 입성에 실패했지만, 호남 지역에서는 압승을 거두었다.

자유민주연합은 충청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고, 대구광역시에서 8석을 차지하며 선전,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성공하며 3당 구도를 형성했다.

통합민주당은 15석으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했고, 이후 신한국당에 흡수 합당되었다. 합당에 반대한 의원들은 새정치국민회의로 넘어가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여당이 되었다.

전국구 의석은 총 46석으로,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배분되었다.

5. 3. 지역별 지역구 의원 수

지역총 의석 수획득 의석 수
신한국당새정치국민회의자유민주연합민주당무소속
서울특별시472718011
부산광역시21210000
대구광역시1320803
인천광역시1192000
광주광역시606000
대전광역시700700
경기도381810532
강원도1390220
충청북도820501
충청남도13101200
전라북도14113000
전라남도17017000
경상북도19110215
경상남도23170024
제주특별자치도330000
총계2531216641916


5. 4. 투표율

1996년 4월 11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국 투표율은 63.9%로, 총 선거인 수 31,488,294명 중 20,122,799명이 투표하였다. 이는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의 투표율 71.9%보다 낮은 수치이다.[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투표율
지역투표율
서울61.0%
부산60.5%
대구60.9%
인천60.1%
광주64.5%
대전63.0%
경기61.5%
강원69.3%
충북68.3%
충남68.7%
전북68.3%
전남69.8%
경북71.7%
경남66.0%
제주71.1%


6. 각 정당 상황

각 정당 상황
정당내용
신한국당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참패,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 구속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원내 1당을 유지했다. 민주당계 지지세가 강한 서울에서 승리하고, 부산, 제주에서 전석을 석권하는 등 지역주의 완화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대구, 충청에서 자유민주연합에 밀려 과반 확보에는 실패했다.[1]
새정치국민회의김대중 총재의 정계 복귀와 함께 창당되었으나, 수도권, 충청, 영남, 강원, 제주에서 부진하며 79석 확보에 그쳤다. 호남 지역에서는 압승을 거두었다.[1]
자유민주연합충청 지역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대구, 강원, 경기, 경북에서도 선전하여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했다.[1]
통합민주당호남계, 동교동계 인사들의 새정치국민회의 대거 이탈로 15석 확보에 그쳐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했다. 이후 신한국당과 합당했다.[1]


7. 선거 이후

15대 총선 이후, 신한국당은 무소속, 통합민주당, 자민련 의원들을 영입하여 원내 과반수를 확보하였다.[1] 1997년 대선을 앞두고 신한국당과 통합민주당이 합당하여 한나라당이 창당되었다.[1]

이 선거를 통해 지역주의 정치 구도가 더욱 심화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 여성 당선자는 총 9명(지역구 2명, 전국구 7명)으로, 8년 만에 지역구에서 여성 의원이 배출되었다.[1]

15대 총선 이후 재보궐 선거를 통해 의석을 얻은 의원은 다음과 같다.

년도날짜당선자소속 정당결원자결원 사유
199710.28김찬진신한국당이만섭신한국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11.26이찬진신한국당이회창대선 출마
12.26김정숙신한국당정재철의원직 상실
송현섭새정치국민회의권노갑의원직 상실
19983.6강종희자유민주연합한호선강원도지사 선거 출마
4.14조익현신한국당이홍구한나라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5.19안재홍신한국당이찬진사직
11.17이형배통합민주당조중연사망
19993.3이훈평새정치국민회의김한길청와대 정책수석 임명
3.31송업교자유민주연합정상천해양수산부 장관 임명
5.25김태랑새정치국민회의천용택국가정보원 원장 임명
20002.7주량자자유민주연합지대섭자유민주연합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2.15박상복자유민주연합송업교자유민주연합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2.22황승민신한국당김철한나라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3.8박창달신한국당윤원중한나라당 탈당으로 의원직 상실


8. 당선자


8. 1. 지역구 당선자


8. 2. 전국구 당선자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001
[2] 서적 各国の選挙-変遷と現状 木鐸社
[3] 서적 現代韓国と女性 新幹社
[4] 간행물 東亜日報 東亜日報 1996-04
[5] 서적 大韓民國選擧史 第6輯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