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학적 비상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학적 비상식은 언어와 논리의 형식적 요소들이 의미를 부정하는 요소들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문학 장르이다. 구전 전통과 지식인들의 지적 유희에서 기원했으며, 영국에서 발전하여 에드워드 리어, 루이스 캐럴 등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20세기 이후에는 T.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 등의 작품에서도 나타났으며, 사무엘 베케트, 외젠 이오네스코의 부조리 연극에도 영향을 미쳤다. 넌센스 문학은 판타지, 수수께끼, 초현실주의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이성과 논리에 기반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밥 딜런, 토킹 헤즈 등 음악 분야와 글렌 벡스터의 만화 등 다양한 매체에서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제별 문학 - 풍자
    풍자는 개인이나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표현 방식으로, 유머와 달리 웃음을 동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회 비판적인 목적을 가지고, 정치, 종교, 사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문학, 예술, 공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주제별 문학 - 정치물
    정치물은 정치적 상황이나 인물, 사회 현상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문학 작품으로, 정치 소설, 희극, 사회 문제 소설 등 다양한 하위 장르를 통해 권력, 불평등, 이념 갈등 등의 문제를 다루며 비판적 사고와 사회 개혁에 대한 고민을 제시합니다.
  • 해학 - 파블리오
    파블리오는 12~13세기 프랑스에서 유행하고 14세기 영국에서 인기를 얻은 8음절 위주의 짧은 운문 이야기로, 코믹하고 풍자적인 내용으로 불륜, 탐욕스러운 성직자, 어리석은 농민 등을 소재로 하며 후대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 해학 - 기지
    기지는 지적 능력의 한 형태로, 재치 있는 말과 행동을 의미하며, 독창성, 풍자, 빠른 반격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문학적 표현과 사회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학적 비상식
개요
유형문학 장르
특징비합리성
부조리
언어유희
모순
풍자
해체
관련 개념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부조리극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
정의
설명유의미함과 무의미함을 결합하여 언어 사용의 일반적인 규칙과 논리를 무시하고 파괴하려는 문학
특징
설명의미와 형식의 파괴
논리적 연결의 해체
언어유희와 말장난의 활용
기괴하고 부조리한 상황 설정
사회 비판 및 풍자
역사
기원낭만주의 시대의 반항 정신과 모더니즘 시대의 실험 정신에서 비롯됨
발전다다이즘, 초현실주의, 부조리극 등의 예술 사조에 영향을 받으며 발전
현대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음
주요 작가
작가루이스 캐럴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에드워드 리어
크리스티안 모르겐슈테른
제임스 조이스
사무엘 베케트
외젠 이오네스코
커트 보니것
존 바스
조지프 헬러
토마스 핀천
주요 작품
작품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럴)
고도를 기다리며 (사무엘 베케트)
코뿔소 (외젠 이오네스코)
제22조 (조지프 헬러)
한국 문학
특징구보 박태원의 도시 소설
김승옥의 감수성 문체
작가이인성
최수철
김경욱
한강
윤성희
참고 문헌
도서김동률, "소설의 기원과 '발견': 한국 근대소설의 자기-발견과 창조적 오용의 문제"
박진우,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새로운 상상력의 지평을 열다"
류보선, "김승옥 다시 읽기"
이인성, "문학의 아토피"
최수철, "얼음정원"
관련 문서
관련항목문학
장르 문학
아방가르드
키치

2. 역사

넌센스 문학은 민요, 동요, 민담 등 구전 전통과 궁정 시인, 학자 등 지식인들의 지적 유희라는 두 가지 흐름에서 기원한다.[65][66] 이 두 흐름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오늘날의 넌센스 문학을 형성했다.[67]

어떤 남자가 "쉿, 조용해! 덤불 속에 새끼 새가 있어!"라고 말하자, 모두가 "그것은 작은가?"라고 물었다. 그는 "절대 아니야! 덤불의 네 배나 크거든!"이라고 대답했다. (『넌센스의 그림책』에서)


19세기 이후, 넌센스 문학은 영국에서 고전적인 형태로 발전했다.[68] 에드워드 리어는 《넌센스의 그림책》을 통해, 루이스 캐럴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거울 나라의 앨리스》를 통해 넌센스 문학을 대중화하고 세계적인 현상으로 만들었다.[69]

20세기 이후에도 T. S. 엘리엇, 제임스 조이스, 사무엘 베케트, 외젠 이오네스코 등 많은 작가들이 넌센스 문학의 요소를 작품에 활용했다.[70][71][72][73] 일본의 이노우에 히사시, 쓰쓰이 야스타카 등도 넌센스 문학 작가로 활동했다.[74]

2. 1. 구전 전통

비상식 문학의 오래된 기원은 민요, 동요, 민담, 민중극, 말장난 등 구전으로 전해지는 이야기에 있다.[65] 오늘날에도 학교 노래로 널리 불리는 마더 구스 노래 등이 그 예이다. 구전 전통은 내용을 쉽게 기억하게 하거나, 패러디, 풍자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35]

2. 2. 지식인 전통

비상식 문학의 기원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민요, 동요, 민담, 민중극, 말장난 등 구전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고,[65] 다른 하나는 궁정 시인이나 학자와 같은 지식인들이 창작한 지적인 작품들이다.[66]

구전 전통의 비상식 문학은 기억을 돕거나 패러디, 풍자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오늘날 학교 노래로 널리 불리는 마더 구스 노래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지식인 전통의 비상식 문학은 고전 문학 패러디, 종교적 골계시, 정치 풍자시 등에서 나타난다. 이들은 세련된 넌센스 형식을 만들어내는 데 기여했다.[66]

오늘날의 비상식 문학은 이 두 흐름이 합쳐져 성립된 것이다.[67]

2. 3. 근대 넌센스 문학의 발전



넌센스 문학의 고전은 영국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68] 마더 그스의 동요집과 마찬가지로, 에드워드 리어는 《넌센스의 그림책》(1846년) 등 다수의 리머릭 시를 통해 넌센스 문학을 대중화했다. 루이스 캐럴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865년)와 《거울 나라의 앨리스》(1871년) 등의 작품으로 이러한 흐름을 이어받아 넌센스 문학을 세계적인 현상으로 만들었다. 특히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등장하는 《재버워키》는 넌센스 문학의 정수로 꼽힌다.[69]

2. 4. 20세기 이후의 넌센스 문학

20세기 이후의 문학에서도, 예를 들면 T. S. 엘리엇의 시[70]제임스 조이스의 소설[71]에도 비상식 문학의 요소가 인정되고, 사무엘 베케트[72]외젠 이오네스코[73]의 부조리 연극은 비상식의 현대적인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이노우에 히사시,[74] 쓰쓰이 야스타카 등이 비상식 문학의 작가이다.

2. 5. 한국의 넌센스 문학

일본에서는 이노우에 히사시[74], 쓰쓰이 야스타카 등이 넌센스 문학 작가로 활동했다. 한국 문학에서 넌센스 문학은 주류 장르는 아니었지만, 최근 들어 다양한 작가들이 넌센스 요소를 활용한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넌센스 유머가 인기를 끌면서, 넌센스 문학에 대한 관심도 점차 높아지는 추세다.

3. 이론

넌센스(Non-sense)는 센스(Sense, 지각, 의미, 분별 등)의 부정형이며, 언어 상에서의 넌센스는 '의미가 없는 것', '바보스러운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창의적인 넌센스 문학은 지적인 엄밀성과 방법을 필요로 한다.[75] 따라서 단순한 엉터리 문장이나 알 수 없는 문장이 반드시 넌센스 문학이 되는 것은 아니다.

넌센스 문학은 일반적으로 의미, 문법, 발음, 문맥 등에서 이해 가능한 형태를 유지하면서도,[76] 부조리한 요소를 통해 넌센스를 창조한다. 낯선 단어가 사용되더라도 문법적으로 품사를 추정할 수 있거나,[77] 문맥적으로 의미를 짐작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78]

3. 1. 넌센스 문학의 기법

넌센스 문학은 다양한 기법을 통해 넌센스를 만들어낸다. 넌센스 문학에서 사용되는 기법들은 다음과 같다.[79][80][8][9]

넌센스 문학 기법



어떤 텍스트가 문학적 넌센스 장르에 속하려면, 그 작품의 구조에 넌센스 기법들이 풍부하게 짜여 있어야 한다. 텍스트가 가끔씩만 넌센스 장치를 사용한다면, 문학적 넌센스로 분류될 수 없지만, 작품의 특정 부분에는 넌센스적인 효과가 있을 수 있다.[10] 예를 들어, 로렌스 스턴의 ''트리스트람 샌디''는 빈 페이지를 포함하여 부정확성이라는 넌센스 장치를 사용하지만, 이것은 그 외에는 의미가 통하는 소설에서 하나의 넌센스 장치일 뿐이다.[11] 반면에 플랜 오브라이언의 ''세 번째 경찰''에서는 넌센스의 많은 장치들이 전체적으로 나타나므로, 넌센스 소설로 간주될 수 있다.[12]

3. 2. 넌센스 문학의 조건

작품이 넌센스 문학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넌센스적 표현이 작품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단순히 넌센스적 표현을 나열하는 것만으로는 넌센스 문학으로 간주되지 않는다.[81]

3. 3. 넌센스 문학의 효과

넌센스 문학이 사람에게 감명을 주는 것은, 인간이 항상 무엇에 대해서도, 경우에 따라서는 그것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까지 의미를 요구하는 생물이기 때문이다.[82] 문학적 넌센스에서는 의미를 만드는 언어와 논리의 특정한 형식적 요소들이 의미를 부정하는 요소들과 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형식적 요소에는 의미론, 구문론, 음운론, 문맥, 표현, 형식적인 어휘 등이 포함된다.[7] 이 장르는 의미와 의미의 부재라는 이러한 균형을 만들어내는 다양한 기법이나 장치들을 통해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잘못된 인과 관계, 포트먼토, 신조어, 역전과 반전, 부정확성(횡설수설 포함), 동시성, 그림/텍스트의 부조화, 임의성, 무한 반복, 부정 또는 반영, 그리고 오용 등이 있다.[8] 넌센스 동어 반복, 중복, 그리고 불합리한 정확성 또한 넌센스 장르에서 사용되어 왔다.[9]

4. 유사 장르

넌센스 문학은 판타지, 수수께끼, 초현실주의 등과 유사해 보이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판타지는 기묘한 생물, 이상한 세계관, 마법 등을 사용하지만, 이것들은 작품 내에서 논리적으로 설명된다. 반면 넌센스는 논리적인 설명을 벗어나거나, 논리가 있더라도 이해하기 어렵다. 수수께끼는 답을 찾는 과정이 중요해 보이지만, 넌센스 수수께끼는 답이 없는 경우가 많다. 초현실주의는 우연성을 중시하고 이성에서 벗어나려 하지만, 넌센스는 이성에 의해 통제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4. 1. 판타지

《재버워키》에서. 서사시의 패러디이지만, 그 도구 정리는 판타지와 비슷하다.


판타지는 기묘한 생물, 이상한 세계관, 마법, 사람의 말을 하는 동물 등 초자연적인 요소를 사용하지만, 이것들은 작품 내에서 논리적으로 설명되기에 비상식적인 것이 아니다. 판타지에는 비상식에는 없는 일관성과 통일성이 존재한다.[83] 판타지 세계에서는 현실에 있을 수 없는 것이 등장해도 모든 것이 논리에 따르지만, 비상식의 세계에서는 논리의 법칙이 무시되며 우리의 이해를 넘은 불가해한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 암시될 뿐이다.[84]

마법은 판타지와 비상식을 구분하는 전형적인 예시이다. 판타지 작품에서 마술은 이상한 현상을 작품 내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채택된다. 반면 비상식 문학에서는 마법이 나타나는 것 자체가 드물고,[85] 나타나더라도 불가해한 사건에 설명을 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비상식적인 색채를 더하기 위해 사용된다.

4. 2. 수수께끼

수수께끼는 답을 찾는 과정이 중요해 보이지만, 넌센스 수수께끼는 답이 없는 경우가 많다.[86]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모자 장수가 낸 "왜 갈까마귀는 책상과 닮았지?"라는 수수께끼가 대표적인 예시이다.[87] 앨리스가 답을 모르겠다고 하자, 모자 장수 자신도 답을 모른다고 말한다.[87] 즉, 애초에 답이 없는 넌센스 수수께끼였던 것이다.[87]

4. 3. 초현실주의

초현실주의와 넌센스는 경우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기도 하지만, 초현실주의가 우연성을 이성으로부터 해방시켜 일상 경험의 전복을 추구하는 예술인 데 반해, 넌센스는 어디까지나 이성에 의해 철저하게 통제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61]

5. 작가

넌센스 문학은 여러 나라의 작가들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장르이다. 다음은 문학 분야에서 활동하는 넌센스 작가 및 시인의 예시이다.

작가국적주요 저서
에드워드 리어영국《넌센스 시집》(1846), 《넌센스의 노래와 이야기집》(1871)
루이스 캐럴영국
크리스티안 모르겐슈테른
에드워드 고리
Даниил Хармс|다닐 하름스ru
이노우에 히사시일본
쓰쓰이 야스타카일본
사사키 마키일본
제임스 조이스[62]
외젠 이오네스코[63]
이부세 마스지일본
나카무라 조세이일본



이들은 모두 넌센스 장르 외의 작품도 썼다.[25]

5. 1. 영미권

에드워드 리어는 '넌센스의 책'을 통해 넌센스 문학을 대중화시켰고, 루이스 캐럴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거울 나라의 앨리스' 등으로 넌센스 문학을 더욱 유명하게 만들었다.[24] 오늘날 넌센스 문학은 성인과 어린이 모두에게 사랑받고 있다.

대표적인 영미권 넌센스 문학 작가들은 다음과 같다.

작가주요 작품 및 특징
에드워드 리어넌센스 시집(1846), 넌센스의 노래와 이야기집(1871) 등을 통해 넌센스 문학을 대중화함.[24]
루이스 캐럴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거울 나라의 앨리스 등으로 넌센스 문학을 더욱 유명하게 만듦.[24]
에드워드 고리음울하고 기괴한 그림과 독특한 이야기로 유명.
더글러스 애덤스SF 소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시리즈로 유명.
닥터 수스독특한 그림체와 재미있는 이야기로 유명한 어린이 책 작가.


5. 2. 유럽


  • 알퐁스 알레(Alphonse Allais) (프랑스어)
  • 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 (프랑스어, 아일랜드)
  • 외젠 이오네스코(Eugene Ionesco) (프랑스어)
  • 알프레드 자리(Alfred Jarry) (프랑스어)
  • 크리스티안 모르겐슈테른(Christian Morgenstern) (독일어)
  • 프리지스 카린티(Frigyes Karinthy) (헝가리어)
  • 에릭 사티(Erik Satie) (프랑스어)
  • 보리스 비앙(Boris Vian) (프랑스어)[25]

5. 3. 러시아

Даниил Хармс|다닐 하름스ru는 비상식 문학 작가이다.[25]

5. 4. 일본

이노우에 히사시, 쓰쓰이 야스타카, 사사키 마키는 일본의 대표적인 비상식 문학 작가로 꼽힌다.[25] 이들은 넌센스 장르 외에도 다양한 작품을 썼으며, 넌센스를 작품의 주요 특징 또는 부분적인 장치로 활용했다.[25]

5. 5. 기타

여러 언어권의 다양한 작가들이 넌센스 문학에 기여했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25]

작가언어
세사르 아이라(César Aira)스페인어
알퐁스 알레(Alphonse Allais)프랑스어
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프랑스어
미론 비아워셰프스키(Miron Białoszewski)폴란드어
캄푸스 지 카르발류(Campos de Carvalho)포르투갈어
그리골레 쿠글레르(Grigore Cugler)루마니아어, 스페인어
피에르 다크(Pierre Dac)프랑스어
레나르트 헬싱(Lennart Hellsing)스웨덴어
징켄 호프(Zinken Hopp)노르웨이어
외젠 이오네스코(Eugene Ionesco)프랑스어
알프레드 자리(Alfred Jarry)프랑스어
프리지스 카린티(Frigyes Karinthy)헝가리어
다닐 하름스(Daniil Kharms)러시아어
벨리미르 흐렙니코프(Velimir Khlebnikov)러시아어
포스코 마라이니(Fosco Maraini)이탈리아어
크리스티안 모르겐슈테른(Christian Morgenstern)독일어
자간나스 프라사드 다스(Jagannath Prasad Das)오디아어 (인도)
할프단 라스무센(Halfdan Rasmussen)덴마크어
사타지트 레이(Satyajit Ray)벵골어 (인도)
수쿠마르 레이(Sukumar Ray)벵골어 (인도)
지아니 로다리(Gianni Rodari)이탈리아어
에릭 사티(Erik Satie)프랑스어
우르무즈(Urmuz)루마니아어
보리스 비앙(Boris Vian)프랑스어



작가
에드워드 리어(Edward Lear)
루이스 캐럴(Lewis Carroll)
크리스티안 모르겐슈테른(Christian Morgenstern)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62]
다닐 하름스(Daniil Kharms)
외젠 이오네스코(Eugène Ionesco)[63]
에드워드 고리(Edward Gorey)
이부세 마스지(井伏鱒二)
나카무라 조세이(中村正常)
쓰쓰이 야스타카(筒井康隆)
이노우에 히사시(井上ひさし)
사사키 마키(佐々木マキ)



이 작가들은 모두 넌센스 장르 외의 작품도 썼다.[25]

6. 기타 매체

넌센스 문학은 문학 작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된다.

6. 1. 음악

밥 딜런은 1960년대 중반 "밥 딜런의 115번째 꿈"과 "묘비 블루스"와 같은 노래에서 넌센스 기법을 사용한 가사를 썼다.[26]

아트록/뉴 웨이브 그룹인 토킹 헤즈데이비드 번은 "집 태우기", "플리피 플로피 만들기", "여자 친구가 더 낫다"와 같은 노래에서 넌센스 가사를 만들기 위해 일관성 있으면서도 관련 없는 구절들을 결합하는 작사 기법을 사용했다.[27] 이러한 경향은 토킹 헤즈 콘서트 영화 ''(Stop Making Sense)''의 제목의 기초가 되었다.

핑크 플로이드의 설립자인 시드 배럿에드워드 리어루이스 캐럴의 영향을 받은 넌센스한 작사로 유명했으며, 이는 핑크 플로이드의 첫 번째 앨범 ''(The Piper at the Gates of Dawn)''에 크게 등장했다.[29]

6. 2. 만화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만화' 섹션에 대한 내용이나 요약에 언급된 작가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공된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에 `` 템플릿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허용되지 않는 문법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 템플릿을 제거하더라도 섹션 작성에 필요한 내용은 여전히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빈 텍스트를 출력할 수밖에 없습니다.

6. 3. TV 프로그램

Tomfoolery Show영어는 넌센스 문학을 기반으로 한 TV 시리즈였다.

참조

[1] 서적 Anatomy
[2] 서적 Anatomy
[3] 서적 Boshen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Anatomy
[8] 서적 Anatomy
[9] 서적 Naissance
[10] 서적
[11] 서적 Anatomy
[12] 서적 Anatomy
[13] 서적 Shortsleeve
[14] 서적 Anatomy
[15] 서적 Anatomy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Pigs
[19] 서적
[20] 서적 Anatomy
[21] 서적
[22] 웹사이트 Cabaret and Jazz Songs by Dennis Livingston http://www.dennisliv[...] 2010-04-24
[23] 서적 Anatomy
[24] 서적
[25] 서적 Edward Lear, The Life of a Wanderer Sutton
[26] 서적 Tarantula Scribner 1971
[27] 웹사이트 desideratum | David Byrne on reevaluating ideas and finding http://catharsis.tum[...] Catharsis.tumblr.com 2010-03-22
[28] 서적 Arboretum
[29] 뉴스 Syd Barrett: A Very Irregular Head by Rob Chapma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0-04-25
[30] 서적
[31] 간행물 2011-07-01 # Assuming July/August means July 1st for simplicity. Could be improved with more context.
[32] 서적
[33] 웹사이트 The Official Nik Kershaw FAQ file http://www.nikkersha[...] 2024-02-06
[34] 서적 Anatomy
[35] 서적 Boshen
[36] 서적 undefined
[37] 서적 undefined
[38] 서적 undefined
[39] 서적 undefined
[40] 서적 Beautiful Dark Rowman & Littlefield|Scarecrow Press
[41] 서적 Gogol's stile http://gogol-lit.ru/[...] Ogiz 1934
[42] 웹사이트 Особый реализм Гоголя https://poisk-ru.ru/[...] 2011-08-24
[43] 서적 undefined
[44] 서적 undefined
[45] 서적 undefined
[46] 서적 undefined
[47] 서적 undefined
[48] 서적 undefined
[49] 서적 undefined
[50] 서적 undefined
[51] 서적 undefined
[52] 서적 Anatomy
[53] 서적 Boshen
[54] 서적 undefined
[55] 서적 undefined
[56] 서적 undefined
[57] 서적 undefined
[58] 서적 undefined
[59] 서적 Anatomy
[60] 웹사이트 Cabaret and Jazz Songs by Dennis Livingston http://www.dennisliv[...] 2010-04-24
[61] 서적 undefined
[62] 웹사이트 「本を書きたい」人が読むブログ:「ナンセンス」に目からウロコの創作術 書き方や出版を知る 文芸社 https://www.bungeish[...] 2024-05-24
[63] 웹사이트 ノンセンス文学(ノンセンスぶんがく)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5-24
[64] 서적 Anatomy
[65] 서적 Boshen
[66] 서적 undefined
[67] 서적 undefined
[68] 서적 undefined
[69] 서적 undefined
[70] 서적 undefined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Anatomy
[80] 서적 Naissance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Anatomy
[87] 웹사이트 Cabaret and Jazz Songs by Dennis Livingston http://www.dennisliv[...] 2010-04-24
[8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