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뭄바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뭄바톤은 더치 하우스에서 파생된 전자 음악 장르로, 레게, 힙합, 트랩 음악의 요소를 융합한 것이 특징이다. 백 비트의 변형인 원 드롭 리듬과 스테퍼스 리듬을 사용하며, 덥스텝, 레게톤, 브로스텝 등 다양한 하위 장르와 파생 장르를 갖는다. 밥 말리의 "원 드롭"과 같은 곡이 이 장르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대한민국에서도 IZ*ONE, Dreamcatcher 등의 아티스트가 뭄바톤 장르의 곡을 발표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게 장르 - 댄스홀
    댄스홀은 1940년대 자메이카에서 시작되어 디지털화를 거쳐 팝 음악에도 영향을 준 음악 장르로, 특유의 리듬을 특징으로 한다.
  • 레게 장르 - 덥 음악
    덥은 자메이카에서 시작된 음악 기법으로, 레게 음반 B면의 반주에서 비롯되었으며, 킹 터비에 의해 발명되어 엔지니어 이름으로 발표되는 경우가 많고, 1970년대에 전 세계로 확산되어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주었으며, 독특한 리듬 구조와 덥 플레이트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하우스 음악 - 애시드 하우스
    애시드 하우스는 1980년대 중반 시카고에서 시작된 하우스 음악의 하위 장르로, 롤랜드 TB-303 신시사이저의 독특한 전자음을 기반으로 질감 탐구를 중시하며, 영국 레이브 문화와 매드체스터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하우스 음악 - 일렉트로 하우스
    일렉트로 하우스는 묵직한 베이스와 4/4 박자 패턴, 분당 125~135 비트의 템포, 멜로디 강조, 다양한 샘플링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 음악의 하위 장르로, 다프트 펑크 등의 영향을 받아 2000년대 중반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하위 장르로 분화되어 한국에서도 독특한 사운드를 선보이는 아티스트들이 활동하고 있다.
  • 2010년대 음악 - 붐뱁
    붐뱁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등장하여 힙합 음악의 황금기를 이끌었으며, 드럼 머신, 샘플링, 턴테이블 등을 활용한 특유의 리듬과 비트를 특징으로 하는 힙합 음악의 하위 장르이다.
  • 2010년대 음악 - 팝 랩
    팝 랩은 힙합 비트와 랩, 강렬한 멜로디를 결합하여 팝송 구조를 따르며 사랑과 연애 같은 주제를 다루는 음악 장르로, 1980년대 후반 런-DMC, LL 쿨 J 등을 통해 시작되어 MC 해머, 바닐라 아이스, 블랙 아이드 피스를 거쳐 니키 미나즈, 드레이크, 위즈 칼리파 등에 의해 발전되었고, 현재 사회적 인식과 정의에 대한 논의가 있으며 나이지리아에서는 스트릿 팝이라는 하위 장르로 발전하고 있다.
뭄바톤
음악 스타일 정보
이름뭄바톤
장르 뿌리하우스
레게톤
댄스홀
더치하우스
레게 퓨전
문화적 기원2009년 미국 워싱턴 D.C.
사용 악기뎀보(리듬)
샘플러
신시사이저
드럼 머신
파생 장르뭄바코어
퓨전 장르레게스텝(Reggaestep)
뭄바트랩(Moombahtrap)
특징
템포108-115 BPM
영향덥스텝, 하우스, 라틴 아메리카 음악
관련 용어
관련 용어뎀보
주크
트랩
댄스홀
레게톤
음악 패턴 정보
원 드롭 드럼 패턴
원 드롭 드럼 패턴
원 드롭 16분음표 패턴
원 드롭 드럼 패턴, 16분음표 변형

2. 역사

뭄바톤은 Silvio Ecomo & 척키의 "Moombah (Afrojack remix)"의 템포를 108 BPM까지 낮춘 것에서 시작되었다.[16] 이 BPM은 레게톤과 매우 유사하여 Moombah와 Reggaeton을 조합해 뭄바톤(Moombahton)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미국 워싱턴 D.C.의 DJ이자 트랙 메이커인 데이브 나다(Dave Nada)는 이 새로운 스타일을 개발하여 주목받았고, 2010년 3월에는 시드니 샘슨(Sydney Samson)의 "riverside" 뭄바톤 리믹스를 포함한 5트랙 EP를 발매했다.

초창기부터 뭄바톤에 참여한 먼치(Munchi)와 데이비드 하트브레이크(David Heartbreak)는 덥스텝 등의 작품 외에도 뭄바톤 트랙을 제작하여 공동 EP "Fuck H&M"을 발표했다. DJ A-Mac도 거의 동시에 "Heads Will Roll (A-Mac Moombahton Edit)"[17]를 발표했다.

일본에서는 KAN TAKAHIKO와 FYS aka BINGO가 블로그를 통해 뭄바톤을 소개해 인기를 얻었다.

2. 1. 기원

실비오 에코모(Silvio Ecomo) & 척키의 "Moombah (Afrojack remix)"의 템포를 108 BPM까지 낮춘 것이 시초이며[16], 그 BPM이 레게톤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Moombah와 Reggaeton을 조합하여 뭄바톤(Moombahton)이라고 명명했다.

미국 워싱턴 D.C.의 DJ이자 트랙 메이커인 데이브 나다(Dave Nada)가 개발한 이 새로운 스타일은 주목을 받았고, 2010년 3월에는 시드니 샘슨(Sydney Samson)의 "riverside"의 뭄바톤 리믹스를 포함한 5트랙을 EP로 발매했다.

또한 이 움직임에 초창기부터 참여한 먼치(Munchi), 데이비드 하트브레이크(David Heartbreak) 두 사람은 덥스텝 등의 작품을 만들면서도 뭄바톤 트랙을 각자 제작하여 마침내 공동으로 EP "Fuck H&M"을 만들어냈다.

이와 거의 동시에 DJ A-Mac이 "Heads Will Roll (A-Mac Moombahton Edit)"[17]를 발표했다.

일본에서 불을 지핀 것은 블로그에서 소개한 KAN TAKAHIKO, FYS aka BINGO 두 사람이다.

2. 2. 발전과 확산

Silvio Ecomo & 척키의 "Moombah (Afrojack remix)"의 BPM을 108까지 낮춘 것이 시초이며[16], 그 BPM이 레게톤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Moombah와 Reggaeton을 조합하여 뭄바톤이라고 명명했다.

미국 워싱턴 D.C.의 DJ이자 트랙 메이커인 Dave Nada가 개발한 이 새로운 스타일은 주목을 받았고, 2010년 3월에는 Sydney Samson의 "riverside"의 뭄바톤 리믹스를 포함한 5트랙을 EP로 발매했다.

또한 이 움직임에 초창기부터 참여한 Munchi, David Heartbreak 두 사람은 덥스텝 등의 작품을 만들면서도 뭄바톤 트랙을 각자 제작하여 마침내 공동으로 EP "Fuck H&M"을 만들어냈다.

이와 거의 동시에 DJ A-Mac이 "Heads Will Roll (A-Mac Moombahton Edit)[17]"를 발표했다.

일본에서 불을 지핀 것은 블로그에서 소개한 KAN TAKAHIKO, FYS aka BINGO 두 사람이다.

3. 음악적 특징

뭄바톤은 덥스텝, 그라임, 드럼 앤 베이스, 정글레게톤의 친화성이 높다. 돈 오마르나 션 폴을 뭄바톤으로 리믹스한 트랙도 종종 보인다. 레게톤은 힙합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음악이며, 뭄바톤도 힙합에서 파생된 트랩의 요소(하이햇의 연속음 등)를 도입하기도 한다.

아프로잭, 척키 등에 대표되는 더치 하우스가 근원이지만, 최근 베이스 뮤직의 흐름에 따라 러스코, 닥터 P 등에 의한 브로스텝도 뭄바톤으로 리믹스되고 있다.

최근에는 David Heartbreak이 '''Moombahsoul'''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확립했다. 분화된 장르로는 '''Moombahcore'''가 있다.

3. 1. 원 드롭 (One Drop)

백 비트는 지배적인 스네어 드럼 연주(일반적으로 크로스 스틱으로 생성된 클릭 소리)와 베이스 드럼이 매 네 박자 중 세 번째 박자에서 동시에 울리고 첫 번째 박자는 비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첫 번째 박자에서 예상되는 히트는 "드롭"되어 원 드롭 효과를 만들어낸다.[12] 박자의 "1"에서 베이스를 생략하면 드럼의 다운 비트가 더욱 강조되어 리듬을 만든다.

이것은 전형적인 록 드럼 패턴과 원 드롭의 드럼 악보에서 볼 수 있다.

구분1 + 2 + 3 + 4 +
록 드럼 패턴
원 드롭



'''로커스''' 리듬은 매 8분 음표마다 꾸준한 베이스 드럼이 울리는 원 드롭 리듬이지만, 원 드롭은 스카 패턴보다 느리고, 로커스는 종종 원 드롭보다 느리다.[4]

'''스테퍼스''' 리듬은 본질적으로 매 4분 음표마다 꾸준한 베이스 드럼이 울리는 원 드롭 리듬이다.

4. 하위 장르 및 파생 장르

뭄바코어(Moombahcore)는 뭄바톤이 덥스텝의 영향을 받은 장르이다. 덥스텝그라임, 드럼 앤 베이스정글이 친화성이 높은 것처럼, 레게톤과도 친화성이 높아 돈 오마르나 션 폴을 뭄바톤으로 리믹스한 트랙도 종종 보인다. 레게톤은 힙합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음악이며, 뭄바톤도 힙합에서 파생된 트랩의 요소(하이햇의 연속음 등)를 도입하기도 한다.

또한, 근원은 아프로잭, 척키 등에 대표되는 더치 하우스이지만, 최근 베이스 뮤직의 무브먼트도 있어 러스코, 닥터 P 등에 의한 브로스텝도 적극적으로 뭄바톤으로 리믹스되고 있다.

최근에는 David Heartbreak이 Moombahsoul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확립했다. 분화된 장르로는 Moombahcore가 있다.[1]

5. 대표적인 아티스트 및 트랙

뭄바톤의 대표적인 아티스트와 트랙은 다음과 같다.

아티스트트랙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피터 토시
스틸 펄스
더 업세터스
프랭크 자파
러쉬
피쉬
Silvio Ecomo & DJ Chuckie"Moombah (Afrojack remix)"[16]
아프로잭
Dave Nada
Sydney Samson"riverside"의 뭄바톤 리믹스 (2010년 3월, 5트랙 EP)
Munchi, David HeartbreakEP "Fuck H&M"
David Heartbreak
DJ A-Mac"Heads Will Roll (A-Mac Moombahton Edit)"[17]
KAN TAKAHIKO
FYS aka BINGO
돈 오마르
션 폴
러스코
닥터 P
IZ*ONE환상동화
JSTJRPapi
DreamcatcherBOCA


6. 한국에서의 뭄바톤

덥스텝의 영향을 받은 뭄바톤의 하위 장르로 뭄바코어가 있다.

참조

[1] 서적 Drums For Dummies 2011
[2] 서적 Dub: Soundscapes and Shattered Songs in Jamaican Reggae Wesleyan University 2007
[3] 서적 Drum Set Styles Encyclopedia 2010
[4] 문서 2011
[5] 서적 The Drummer's Bible: How to Play Every Drum Style from Afro-Cuban to Zydeco 2004
[6] 뉴스 Feel it in Carlie's One Drop http://www.jamaicaob[...] JamaicaObserver.com 2016-09-07
[7] 웹사이트 Carlton Barrett http://www.manik.sk/[...] 2016-09-07
[8] 웹사이트 The Greatest Reggae Beats On Record http://www.drummagaz[...] 2016-09-07
[9] 서적 The Album: A Guide to Pop Music's Most Provocative, Influential, and Important Creations ABC-CLIO 2012
[10] 뉴스 Winston Grennan – Background musician with foreground players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11-09-15
[11] 뉴스 Winston Grennan, 56, Jamaican Drummer https://www.nytimes.[...] 2016-09-07
[12] 간행물 Bass Culture: Dub Reggae's Low-End Legacy Bass Player 1996-11-01
[13] 서적 Music and Familiarity: Listening, Musicology and Performance Routledge 2016
[14] 간행물 20 Crossover Hits Modern Drummer 2012-08-01
[15] 웹사이트 Dillon Francis: The Maker Of 'Moombahton' https://www.vice.com[...] 2024-05-29
[16] 뉴스 Scene and heard: Moombahton https://www.theguard[...] 2019-05-06
[17] 문서 原曲はYeah Yeah Yeahsによるもの。
[18] 서적 BTS: THE REVIEW 알에이치코리아 2019
[19] 뉴스 Our Year in Moombahton https://www.washingt[...] Washington Citypaper 2019-08-26
[20] 뉴스 Dave Nada, Creator of Moombahton: Interview + MP3s http://www.thefader.[...] The Fader 2019-08-26
[21] 뉴스 Scene and heard: Moombahto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