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뮌헨 작전은 1941년 7월 루마니아군과 독일군이 소련군을 상대로 벌인 군사 작전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게 빼앗긴 북부 부코비나와 베사라비아를 탈환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작전은 루마니아 제3군과 제4군, 독일 제11군이 참여하여 추축국의 승리로 끝났다. 작전 기간 동안 베사라비아에서 유대인 학살이 발생했으며, 루마니아군은 88대의 소련 항공기를 격추하는 등 공중전에서 우위를 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1년 루마니아 - 방공 협정
1936년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이 코민테른에 대항하여 체결한 방공 협정은 소련을 겨냥한 비밀 의정서를 포함하고, 추후 이탈리아 등을 포함한 추축국 형성에 기여했으나, 독소불가침조약으로 의미가 퇴색되고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비판받으며 국제 정세와 추축국 외교 전략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루마니아가 참가한 전투 - 악세 작전
악세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항복에 대비해 독일 국방군이 수립한 작전 계획으로, 이탈리아군을 무장 해제하고 이탈리아 반도의 전략적 요충지를 점령하여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고 자원 확보를 목표로 했다. - 소련이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크림 공세
- 소련이 참가한 제2차 세계 대전의 해전 - 북극해 해상 작전 (제2차 세계 대전)
북극해 해상 작전 (제2차 세계 대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해군이 소련으로 향하는 연합군 수송선단을 공격하고, 영국 해군과 소련 해군이 이를 호송하고 독일 해군 기지를 공격한 일련의 해상 전투를 의미하며, 연합군의 승리로 종전되었다.
뮌헨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작전 개요 | |
부분 | 독소 전쟁의 일부 |
시기 | 1941년 7월 2일 - 7월 24일 |
장소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북부 부코비나, 베사라비아, 헤르차 지역 |
결과 | 추축국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소비에트 연방 |
교전국 2 | 루마니아 왕국 나치 독일 |
지휘관 | |
소비에트 연방 | 이반 튤레네프 야코프 체레비체노코 안드레이 스미르노프 필리프 옥탸브리스키 |
루마니아/독일 | 이온 안토네스쿠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오이겐 폰 쇼베르트 호리아 마첼라리우 |
부대 | |
소비에트 연방 | 오데사 군관구: 제9군 제12군 제18군 |
루마니아/독일 | 안토네스쿠 군집단: 제3군 제4군 제11군 |
전력 | |
소비에트 연방 | 군인: 364,700명 전차: 700대 항공기: 1,750기 강 모니터: 5척 장갑 자동차 포정: 22척 |
루마니아/독일 | 군인: 325,685명 전차: 201대 항공기: 672기 모니터함: 1척 강 모니터: 6척 무장 보트: 4척 이상 5개 사단, 항공기: 420기 |
사상자 | |
소비에트 연방 | 총합: 17,893명 전사/실종: 8,519명 부상: 9,374명 항공기: 255기 손실 강 모니터: 2척 손상 장갑 자동차 포정: 7척 침몰 |
루마니아/독일 | 총합: 21,738명 전사: 4,112명, 부상: 12,120명, 실종: 5,506명 항공기: 58기 손실 |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는 러시아로부터 베사라비아를, 오스트리아-헝가리로부터 북부 부코비나를 획득했다.[29] 그러나 1940년 6월, 소련은 군사적 압박을 통해 이 지역들을 다시 점령했다.[30] 이에 루마니아는 빼앗긴 영토를 되찾기 위해 1941년 나치 독일이 일으킨 독소 전쟁에 추축국의 일원으로 참전했으며,[19] 뮌헨 작전은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초기 군사 작전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의 영토 변화
루마니아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로부터 베사라비아를, 오스트리아-헝가리로부터 북부 부코비나를 얻었다.[29] 그러나 1940년 6월, 소련은 루마니아에 군사적 압박을 가하여 이 지역들을 다시 점령했다.[30]2. 2. 루마니아의 독소 전쟁 참전
루마니아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에게서 베사라비아를,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서 북부 부코비나를 얻었다.[29] 그러나 1940년 6월, 소련은 군사적 압박을 가하여 이 지역들을 점령했다.[30] 1년 뒤인 1941년, 루마니아는 빼앗긴 북부 부코비나와 베사라비아를 되찾기 위해 나치 독일이 일으킨 독소 전쟁에 참전했다.[19]이 목표를 위해 1941년 7월 2일부터 7월 24일까지 나치 독일과 루마니아 왕국은 공동으로 군사 작전(뮌헨 작전)을 전개했다. 이 작전에는 루마니아의 제3군과 제4군, 그리고 독일의 제11군이 투입되었으며,[20] 결과적으로 추축국 측의 승리로 마무리되었다.
작전 기간 동안 베사라비아에서는 유대인 학살이 자행되는 비극이 발생하기도 했다.[21]
3. 작전 경과
뮌헨 작전은 1941년 7월 2일 루마니아 제3군이 부코비나로 진격하면서 시작되었다. 독일 제11군과 루마니아군은 초기 공세에서 프루트강을 건너 상당한 거리를 진격하였다. 소련 남부 전선군은 초기 기습과 다른 전선에서의 손실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혼란 속에서 후퇴와 반격을 반복하다 결국 드네프르강 동쪽으로 후퇴를 결정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부자크 지역의 다뉴브 강 일대에서는 양측 함대와 해병대 간의 복잡한 전투가 벌어졌으며, 해상과 공중에서도 교전이 이어졌다. 작전은 7월 26일까지 소련군이 드네프르 강 동쪽으로 철수를 완료하면서 일단락되었고, 이 작전을 통해 루마니아는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를 재점령하였다.
3. 1. 루마니아-독일군의 공세 (1941년 7월 2일 - 10일)

1941년 7월 2일, 대위 페테르 드미트레스크가 지휘하는 루마니아 제3군이 부코비나로 진격하면서 뮌헨 작전이 시작되었다. 독일 제11군(대부분 루마니아 보병 사단과 2개 루마니아 차량화 여단으로 구성[31])은 사전에 실시된 항공 폭격의 지원을 받아 40km를 진격했다.[32] 소련 제9군은 독일 제2기계화군단의 기습 공격으로 후퇴했으나, 벌치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저항했다. 그러나 계속된 방어 전투에도 불구하고 해당 지역은 결국 독일군에게 점령되었다. 소련 기갑군은 포병 및 항공 지원이 부족한 상태였으며, 특히 BT 전차와 같은 경전차[33]는 독일 제22사단의 중포병 공격에 큰 손실을 입었다.[34]
한편, 독일-소련 전쟁 초기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등에서 입은 손실과 모스크바 방면으로 독일군 주력이 집중된 상황에서 소련 남부 전선군은 상대적으로 약화되어 있었다. 소련 최고사령부(스타프카)는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에서의 손실 이후, 독일 중앙집단군의 스몰렌스크 방면 공세를 저지하기 위해 남부 전선군 예하 부대를 차출해야 했다. 이로 인해 키예프 방면 전력 약화를 막고자 차출된 부대는 남부 전선군의 차량화 보병 2개 여단과 포병 1개 여단이었다.[35][32]
7월 5일, 남부 전선군 사령관 이반 튤레네프는 드네프르강 동쪽으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는 이온 안토네스쿠가 지휘하는 루마니아군의 전력을 과대평가한 잘못된 정보에 기반한 판단이었다. 튤레네프는 루마니아군이 960대의 전차를 보유했다고 판단했으나, 실제로는 약 60대에 불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35] 그러나 이틀 뒤인 7월 7일, 튤레네프는 후퇴 명령을 취소하고, 오히려 제9군에게 루마니아군의 기동을 최대한 저지하기 위한 반격을 지시했다. 하지만 브로디 전투에서 소련군이 패배하면서 독일 제1기갑군이 로브노 남쪽으로 전선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전황 변화로 인해 결국 7월 7일, 소련 제18군은 드네프르강 동쪽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32]
7월 5일부터 7월 7일 사이, 남부 전선군이 혼란 속에서 전진과 후퇴 명령을 반복하는 동안 독일군은 프루트강 동쪽으로 약 100km까지 진격했다.[34] 7월 8일부터 7월 10일 사이, 야코프 체레비첸코 장군은 보병과 기병의 지원을 받는 제2기계화군단에게 반격을 명령했다. 하지만 이 반격은 키시너우를 향한 루마니아군의 공세로 인해 중단되었다. 또한 독일 제11군의 지속적인 진격과 보급 문제 역시 드네프르강 방면에서의 소련군 반격을 어렵게 만들었다.[32]
3. 2. 소련군의 드네프르 강 후퇴 (1941년 7월 11일 - 26일)
7월 16일 루마니아군은 키시너우를 점령했다. 이틀 뒤인 7월 18일, 독일군이 우크라이나의 베르디치우를 점령하자 소련 지휘부는 드네프르 강 유역에 배치된 병력을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했다. 7월 26일까지 예비군을 포함한 모든 소련군은 드네프르 강 동쪽으로 후퇴를 완료했다. 루마니아군이 적극적으로 교전에 나서지 않았기 때문에, 소련군의 손실은 비교적 적었다.[36][37]3. 3. 부자크 전투
부자크에서의 전투는 뮌헨 작전 전체에서 가장 복잡한 작전 중 하나로, 양측의 포병, 군함, 항공기, 병력 및 해병대가 모두 참여했다.구분 | 소련 다뉴브 강 함대 | 루마니아 다뉴브 강 함대 |
---|---|---|
강 감시선 | 5척 | 7척 |
무장 및 장갑 모터보트 | 22척 | 약 4척 |
기뢰 제거 보트 | 7척 | - |
이 전선 구역에서의 전투는 작전 개시 며칠 전부터 시작되었다. 6월 23일, 소련 군함이 루마니아 해상 봉쇄를 돌파하려 시도하면서 양측 군함 간의 첫 교전이 발생했다. 7월 9일과 10일 사이 밤, 시야가 좁아진 틈을 타 소련 군함은 봉쇄를 몰래 빠져나가는 데 성공했다.
6월 26일, 소련은 해상 기습 작전인 콘스탄차 기습을 지원하기 위해 장갑 모터보트를 이용해 킬리아 베체에 병력을 상륙시켰다. 이 공격으로 루마니아 제15 해병 보병 대대 대부분이 점령당했으며, 루마니아 측 사상자는 468명에 달했다. 무장 보트 1척과 모터보트 2척의 지원을 받은 대대의 남은 병력은 슈티포크 섬을 소련의 추가 공격으로부터 방어하는 데 성공했다.
한편, 루마니아 제17 해병 보병 대대는 작전 기간 내내 페리프라바 구역을 사수하며 수많은 소련의 공격을 격퇴했다. 이 과정에서 대대 포병은 소련 장갑 보트 4척을 격침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7월 22일과 23일 사이 밤, 이 대대는 타타르부나리를 점령했다.
최종적으로 소련 다뉴브 강 함대는 강 감시선 2척 손상, 장갑 모터보트 5척 침몰 및 1척 추가 손상이라는 손실을 입었다. 7월 18일과 19일 사이, 소련 함대는 다뉴브 델타에서 철수했다. 이에 따라 7월 22일, 루마니아군은 레니, 이즈마일, 킬리아, 빌코베를 점령했다.
3. 4. 해상 전투
작전에 참여한 루마니아 해군 부대인 툴체 전술 그룹은 소련 해군과 여러 차례 해전을 벌였다. 이 전투로 소련 모니터 2척과 장갑 모터포트 2척이 손상되었고, 다른 장갑 모터포트 1척이 침몰했다.[11] 손상된 소련 포트 2척은 작전 며칠 전 벌어진 교전의 결과였다.7월 13일, 루마니아 모니터함 미하일 코갈니체아누는 코파나 발카 마을 근처에서 소련 모니터함과 조우했다. 루마니아 모니터함은 공격을 가해 소련 모니터함에 명중탄을 기록했다. 소련 군함은 반격했으나 아무런 결과를 얻지 못하고 퇴각했다.[12]
7월 14일, 미하일 코갈니체아누는 이즈마일에서 소련 모니터함 우다르니를 공격했다. 전날과 마찬가지로, 루마니아 모니터함은 소련군의 격렬한 반격에도 불구하고, 직접 명중탄을 기록했다. 우다르니는 후퇴하면서 계속 사격을 가했지만, 이번에도 루마니아 군함에는 피해를 입히지 못했다.[12]
작전 중 루마니아 무장 바지선이 이스아체아 인근에서 장갑 모터 포정을 포격하여 침몰시키기도 했다.[12]
3. 5. 항공전

최초의 소련-루마니아 공중전은 제51 비행대대의 테오도르 모스쿠 소위가 치렀다. 그는 남부 베사라비아 상공에서 자신의 하인켈 He 112 전투기로 다섯 대의 폴리카르포프 I-16 편대의 공격을 받았다. 모스쿠는 이 중 세 대를 격추시켰고, 나머지 두 대는 후퇴했다. 이 초기 교전 과정에서 소련 항공기 8대가 추가로 격추되었고 지상에서 40대가 파괴되었으나, 루마니아군 역시 소련의 지상 화력으로 항공기 11대를 잃었다.
7월 12일, 소련군의 강력한 반격에 맞서 루마니아군은 대규모 공습을 감행했다. 이탈리아와 폴란드에서 제작된 폭격기를 포함한 59대의 폭격기가 루마니아 자체 제작 IAR-80 전투기를 포함한 54대의 전투기의 호위를 받으며 출격했다. 이 혼성 부대는 제공권을 장악한 후 소련 지상군(포병, 병력, 수송 차량, 전차)에 큰 피해를 입혔다. 예를 들어, IAR-80 조종사 바실레 클라루는 자신을 추격하던 6대의 폴리카르포프 전투기 중 3대를 격추했으나 탄약이 떨어지자 자신의 전투기를 네 번째 적기에 충돌시켜 소련 비행대 부사령관 M. 샤마노프를 사살했다. 클라루 자신도 이 충돌로 사망했다. 결국 소련군의 반격은 큰 손실을 입고 격퇴되었다.
7월 26일까지 루마니아군은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 상공의 제공권을 완전히 장악했다. 이 기간 동안 루마니아 공군은 총 5,100회의 임무를 수행하며 공중전에서 적기 88대를 격추하고 지상에서 108대를 파괴하는 전과를 올렸다. 반면, 루마니아군은 항공기 58대를 잃었다. 또한, 루마니아 대공포 사격으로 소련 항공기 59대가 추가로 격추되었다.[13]
4. 결과
1941년 7월 16일 루마니아 군은 키시너우를 점령했다.[36][37] 7월 26일까지 모든 소련군은 베사라비아와 북부 부코비나에서 후퇴했으며, 이 과정에서 루마니아 측은 비교적 적은 손실을 입었다. 이는 루마니아군이 적극적인 전투를 피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36][37]
뮌헨 작전은 루마니아가 1940년 소련에 빼앗겼던 영토를 탈환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19] 이로써 루마니아는 전쟁 목표를 달성했다. 그러나 작전 과정 중 베사라비아에서는 유대인에 대한 학살이 자행되는 비극이 발생했다.[21]
이 작전에서 루마니아군은 22,000명, 소련군은 18,000명의 사상자를 기록했다.[36][26] 작전 목표 달성 이후에도 루마니아군은 오데사 공방전을 비롯하여[36] 세바스토폴 포위전, 코카서스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 등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지속적으로 참여했다.
루마니아가 탈환했던 베사라비아 지역은 이후 제2차 이아시-키시뇨프 공세에서 소련군에게 다시 점령되었다.
5. 양측 병력
뮌헨 작전에는 추축국과 소련 양측의 대규모 병력이 동원되었다. 추축국 측에서는 루마니아군과 독일군이 주력을 이루었다. 루마니아의 이온 안토네스쿠 원수가 전체적인 지휘에 관여했으며, 독일 제11군 사령관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상급 대장, 루마니아 제3군 사령관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중장, 제4군 사령관 니콜라에 치우페르커 중장 등이 주요 지휘관으로 참전했다.
이에 맞서는 소련군은 이반 튜레네프 대장이 지휘하는 남부 전선 소속의 제9군과 제18군이 주력이었다. 양측의 상세한 병력 편성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5. 1. 추축국 군대
원수 이온 안토네스쿠 휘하의 추축국 군대는 다음과 같이 편성되었다.- 루마니아 제3군 - 중장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 * 산악 군단 – 소장 게오르게 아브라메스쿠
- ** 제1 산악 여단 – 준장 미하일 라스카르
- ** 제2 산악 여단 – 준장 이온 두미트라케
- ** 제4 산악 여단 – 준장 게오르게 마놀리우
- ** 제7 보병 사단 – 준장 올림피우 스타브라트 (Olimpiu Stavrat)
- * 기병 군단 – 소장 이온 미하일 라코비처
- ** 제6 보병 사단 – 준장 로물루스 이오아노비치 (Romulus Ioanovici)
제15 라즈보이에니 연대
- ** 제5 기병 여단 – 대령 바실레 머이네스쿠 (Vasile Măinescu)
제6 기동 로시어리 연대 – 대령 라두 코르네
- ** 제6 기병 여단 – 소장 아우렐 라코비처 (Aurel Racovitză)
- ** 제8 기병 여단 – 대령 이오안 더네스쿠 (Ioan Dănescu)
- * 제4 군단 – 소장 콘스탄틴 사나테스쿠
- ** 제13 보병 사단 – 준장 게오르게 로진 (Gheorghe Rozin)
- ** 제14 보병 사단 – 준장 게오르게 스타브레스쿠 (Gheorghe Stavrescu)
- 독일 제11군 – 상급 대장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 제11 군단 – 보병 대장 요아힘 폰 코르츠플라이쉬
- ** 제22 보병 사단 – 중장 한스 그라프 폰 슈포넥
- ** 제46 보병 사단 – 중장 카를 크리벨
- ** 제239 보병 사단 – 중장 페르디난트 노이링
- * 제30 군단 – 보병 대장 한스 폰 잘무트
- ** 제76 보병 사단 – 중장 카를 로덴부르크
- ** 제198 보병 사단 – 중장 오토 뢰티히
- * 제54 군단 – 기병 대장 에릭-오스카르 한센
- ** 제50 보병 사단 – 중장 카를-아돌프 홀리트
- ** 제170 보병 사단 – 중장 발터 비트케 (Walter Wittke)
- * 루마니아 제1 기갑 사단 – 준장 이온 시온
- 루마니아 제4군 – 중장 니콜라에 치우페르커
- * 제3 군단 – 소장 바실레 아타나시우
- ** 제15 보병 사단 – 소장 코스마 마린 포페스쿠 (Cosma Marin Popescu)
제23 포병 연대 – 대령 알렉산드루 이안쿨로비치
제25 포병 연대 – 대령 페트레 로마노
- ** 제35 예비 사단 – 준장 에밀 프로코피에스쿠 (Emil Procopiescu)
- * 제5 군단 – 소장 아우렐리안 손 (Aurelian Son)
- ** 근위 사단 – 소장 니콜라에 쇼바 (Nicolae Șova)
- ** 제21 보병 사단 – 소장 니콜라에 다스칼레스크
제5 포병 연대 – 대령 바실레 미하일레스쿠
제30 포병 연대 – 대령 콘스탄틴 로세티-벌러네스쿠 (Constantin Rosetti-Bălănescu)
- * 제11 군단 – 소장 콘스탄틴 콘스탄티네스쿠-클라프스
- ** 제4 보병 사단 – 준장 게오르게 치알라크
- ** 제1 요새 여단
- ** 제2 요새 여단
- * 예비대: 제5 보병 사단 – 준장 페트레 블라데스쿠
- ** 제7 포병 연대 – 대령 알렉산드루 니콜리치 (Alexandru Nicolici)
- ** 제28 포병 연대 – 대령 알렉산드루 오토페아누
- * 제2 군단 – 장군 니콜라에 마시치
- ** 제9 사단 – 준장 후고 슈바브 (Hugo Schwab)
- ** 제10 사단 – 준장 이온 글로고제아누
5. 2. 소련 군대
- 남부 전선 - 대장 이반 튜레네프
- *제18군 - 중장 안드레이 스미르노프
- **제17소총병단 - 소장 이반 갈라닌
제60산악소총병사단 - 소장 M.B. 살리호프
제96산악사단 - 소장 이반 셰페토프
제164소총병사단 - 대령 A.N. 체르빈스키
- **제16기계화군단 - 소장 A. D. 소콜로프
제15전차사단
제39전차사단
제240자동차화사단
- **제55소총병단 - 소장 콘스탄틴 코로테예프
제130소총병사단
제169소총병사단 - 소장 이반 투루노프
제189소총병사단
- *제9군 - 중장 야코프 체레비첸코
- **제35소총병단 - 소장 이반 다시체프
제30산악사단
제95소총병사단 - 소장 A.I. 파스트레비치
제176소총병사단 - 소장 V.M. 마르친케비치
- **제48소총병단 - 소장 로디온 말리노프스키
제74소총병사단 - 대령 F.Ye. 셰베르딘
제116소총병사단 - 대령 야.F. 예레멘코
제150소총병사단 - 소장 I.I. 호룬
- **제2기계화군단 - 소장 유리 노보셀스키
제11전차사단 - 대령 G.I. 쿠즈민
제16전차사단 - 대령 M.I. 민드로
제15자동차화사단 - 소장 니콜라이 벨로프
- **제18기계화군단 - 소장 P.V. 볼로흐
제44전차사단 - 대령 V.P. 크리모프
제47전차사단 - 대령 게오르기 로딘
제218자동차화소총병사단 - 소장 F.N. 실로프
- **제2기병군단 - 소장 파벨 벨로프
제5기병사단 - 대령 빅토르 키릴로비치 바라노프
제9기병사단 - 대령 A.F. 비치코프스키
- **제14소총병단 - 소장 다니일 예고로프
제25소총병사단 - 대령 A.S. 자하르첸코
제51소총병사단 - 소장 P.G. 치룰니코프
- **도나우 함대 - 해군 소장 니콜라이 오시포비치 아브라모프
6. 다른 "뮌헨 작전"
참조
[1]
서적
Axworthy (1995)
[2]
서적
Axworthy (1995)
[3]
서적
Warship 2001–2002
Conway Maritime Press
[4]
서적
Axworthy (1995)
[5]
서적
Axworthy (1995)
[6]
서적
Operation Barbarossa 1941: Army Group South
Praeger
2004
[7]
서적
Germany and the Axis Powers: From Coalition to Collapse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5
[8]
뉴스
Operațiunea München: Ostași, vă ordon, treceți Prutul!
https://evenimentuli[...]
2021-06-21
[9]
서적
Deutsche und Juden in Bessarabien 1814–1941: zur Minderheitenpolitik Russlands und Grossrumäniens
IKGS, Institut für deutsche Kultur u. Geschichte Südosteuropas
2005
[10]
서적
Armata română în al doilea război mondial: (1941–1945); dicționar enciclopedic
Editura Enciclopedică
1999
[11]
서적
Death on the Don: The Destruction of Germany's Allies on the Eastern Front, 1941–44
History Press Limited
[12]
서적
Glorie și dramă: Marina Regală Română, 1940–1945
Editura Ion Cristoiu
[13]
서적
The Axis air forces: flying in support of the German Luftwaffe
ABC-Clio
2011
[14]
서적
Axworthy (1995)
[15]
서적
Axworthy (1995)
[16]
서적
Warship 2001-2002
[17]
서적
World War II Sea War, Vol 4: Germany Sends Russia to the Allies
[18]
서적
Axworthy (1995)
[19]
서적
Operation Barbarossa 1941: Army Group South
[20]
서적
Germany and the Axis powers from coalition to collapse
[21]
서적
Deutsche und Juden in Bessarabien, 1814-1941
[22]
서적
Rich man's war, poor man's fight: race, class, and power in the ...
[23]
서적
Axworthy (1995)
[24]
서적
Axworthy (1995)
[25]
서적
Germany and the Axis powers from coalition to collapse
[26]
웹사이트
Оборони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 в Молдавии (1- 26.7.41 г.)
http://www.soldat.ru[...]
[27]
서적
Deutsche und Juden in Bessarabien, 1814-1941
[28]
서적
Operation Barbarossa 1941: Army Group South
[29]
웹사이트
4.6. Проблема Бессарабии
http://www.diphis.ru[...]
[30]
웹사이트
14.12. Вопрос о возвращении Бессарабии
http://www.diphis.ru[...]
[31]
웹사이트
Nitu
http://www.worldwar2[...]
[32]
서적
[33]
웹사이트
2 механизированный корпус
http://mechcorps.rkk[...]
[34]
웹사이트
http://militera.lib.[...]
[35]
웹사이트
http://www.rkka.ru/o[...]
[36]
서적
Axworthy, Serbanescu
[37]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militera.lib.[...]
[38]
서적
Rich man's war, poor man's fight: race, class, and power in the ...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