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893년 프란츠 카임이 창단한 카임 관현악단을 전신으로 하는 독일의 관현악단이다. 첼리비다케의 지휘 아래 명성을 얻었으며, 제임스 리바인, 크리스티안 틸레만, 로린 마젤, 발레리 게르기예프 등이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게르기예프가 해임되었으며, 라하브 샤니가 2026년부터 상임 지휘자로 부임할 예정이다. 브루크너, 말러 등의 작품을 특기로 하며, 가스타이크 필하모니를 상주 공연장으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뮌헨의 음악 -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은 1949년 오이겐 요훔에 의해 창단되어 라파엘 쿠벨릭, 콜린 데이비스, 로린 마젤, 마리스 얀손스를 거쳐 2023년부터 사이먼 래틀이 상임 지휘자로 활동하며 독일 고전 및 낭만 음악과 현대 음악을 연주하는 독일 뮌헨의 오케스트라이다. - 뮌헨의 음악 - Michael Jackson & Friends
마이클 잭슨 & 프렌즈는 1999년 마이클 잭슨이 서울과 뮌헨에서 개최한 자선 콘서트로, 서울 공연은 생중계되어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지만, 뮌헨 공연에서는 무대 장치 사고가 있었고, 추가 공연은 취소되었다. - 독일의 관현악단 -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은 1949년 오이겐 요훔에 의해 창단되어 라파엘 쿠벨릭, 콜린 데이비스, 로린 마젤, 마리스 얀손스를 거쳐 2023년부터 사이먼 래틀이 상임 지휘자로 활동하며 독일 고전 및 낭만 음악과 현대 음악을 연주하는 독일 뮌헨의 오케스트라이다. - 독일의 관현악단 -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882년 창단된 독일의 대표적인 오케스트라로, 한스 폰 뷜로,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등 당대 최고의 지휘자들이 거쳐갔으며, 자체적인 운영 시스템과 다양한 공연 및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웹사이트 | 뮌헨 필하모닉 공식 웹사이트 |
개요 | |
창단 | 1893년 |
콘서트 홀 | 가슈타이크 |
별칭 | 뮌헨 필 뮌헨 필하모니 |
주요 인물 | |
차기 수석 지휘자 (2026/2027 시즌부터) | 라하프 샤니 |
2. 역사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893년 오스트리아 출신의 음악 애호가 프란츠 카임이 창단한 '카임 관현악단(Kaim-Orchester)'이 그 시초이다. 이후 뮌헨 톤할레의 상주 악단이 되었고, 한스 빈더슈타인을 시작으로 헤르만 춤페, 페르디난트 뢰베, 펠릭스 바인가르트너 등이 상임 지휘자를 역임하며 베토벤과 브루크너 등의 독일계 클래식 음악을 주요 레퍼토리로 확립했다. 구스타프 말러는 객원 지휘자로 참여하여 자신의 교향곡을 초연하기도 했다.
1900년대부터 재정난을 겪다가 1908년 '뮌헨 연주협회 관현악단'으로 이름을 바꾸고 뢰베를 다시 상임 지휘자로 초빙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객원 지휘 체제로 운영되었고, 종전 후 1919년 한스 피츠너가 잠시 상임 지휘자를 맡았다. 지크문트 폰 하우제거는 브루크너 교향곡 원전판 연주 보급에 기여했으며, 1928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최종 변경되었다.
1933년 나치스 집권 후 악단은 친나치 성향을 띠었고, 1938년 오스발트 카바스타가 상임 지휘자가 되었다. 전쟁 중 국책 악단으로 활동했으나 1944년 활동이 중단되고 톤할레도 파괴되었다. 종전 후 한스 로스바우트의 지휘로 연주를 재개했고, 빌헬름 푸르트벵글러가 객원 지휘자로 돕기도 했다. 프리츠 리거와 루돌프 켐페가 상임 지휘자를 역임했고, 특히 켐페 시절에는 악단의 첫 전성기를 맞았다.
1979년 세르주 첼리비다케가 상임 지휘자가 되면서 악단의 명성이 크게 높아졌지만, 그는 녹음을 거의 하지 않았다. 첼리비다케는 여성 단원에게 불이익을 주어 소송에서 패소하기도 했다.
1996년 첼리비다케 사후 제임스 리바인이 최초의 미국인 상임 지휘자가 되었고, 2004년 크리스티안 틸레만이 상임 지휘자를, 주빈 메타는 계관 지휘자가 되었다. 로린 마젤이 2012년부터 상임 지휘를 맡았으나 2014년 건강 문제로 사임 후 타계했다.
2015년 발레리 게르기예프가 상임 지휘자가 되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입장 때문에 뮌헨시로부터 해임되었다. 2023년 라하브 샤니가 차기(2026년부터)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다.
2. 1. 창단과 초기 (1893-1914)
1893년 오스트리아 출신의 음악 애호가 프란츠 카임이 뮌헨에서 '카임 관현악단(Kaim-Orchester)'을 창단했는데, 이것이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시초이다. 2년 뒤 뮌헨 톤할레의 상주 관현악단이 되었다.[18] 초대 상임 지휘자는 10월 13일 창단 공연을 지휘했던 한스 빈더슈타인이었고, 이후 헤르만 춤페, 페르디난트 뢰베, 펠릭스 바인가르트너가 차례로 상임 지휘자를 맡았다.[18] 특히 뢰베와 바인가르트너는 베토벤과 브루크너 등 독일계 클래식 음악을 집중적으로 연주하여 주요 레퍼토리로 만들었다.[18]구스타프 말러도 객원 지휘자로 자주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을 지휘하여 자신의 교향곡 제4번과 교향곡 제8번을 초연했다.[18] 브루노 발터는 말러의 대지의 노래를 초연 지휘했다.[18]
2. 2. 두 차례의 세계 대전 (1914-1945)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했고, 단원들이 군 복무를 위해 차출되면서 운영이 중단되었다.[1] 전쟁 후 뮌헨 시가 악단을 인수하여 운영을 재개했다. 1919년에는 한스 피츠너가 상임 지휘자로 취임했으나 단기간 재임에 그쳤다.[18]피츠너의 후임으로는 지크문트 폰 하우제거가 임명되었고, 브루크너의 교향곡을 기존의 제자 개찬판이 아닌 자필보에 충실한 편집으로 재간행한 원전판 연주의 보급에 크게 이바지했다.[18] 1928년에는 현재의 이름(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으로 최종 개칭되었다.[18]
1933년 나치스 집권 후 악단의 성향도 친나치스로 기울었고,[18] 악보에 하켄크로이츠와 "파시스트 운동의 오케스트라"라는 문구를 찍었다.[1] 1938년에는 하우제거의 후임으로 열렬한 나치스 지지자인 오스발트 카바스타가 상임 지휘자로 부임했다.[18] 전쟁 중에는 나치스의 국책 관현악단 중 하나로 인정받아 활동할 수 있었으나, 1944년 전황의 악화로 인해 활동 정지 조치를 당했다. 상주 공연장이었던 톤할레도 폭격으로 파괴되었다.[18]
2. 3. 전후 재건과 발전 (1945-1979)
1944년 전황 악화로 활동이 중지되었던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종전 후 미군정의 허가를 받아 한스 로스바우트의 지휘로 뮌헨 대학 강당 등에서 연주회를 재개했다.[18] 빌헬름 푸르트벵글러도 객원 지휘자로 참여하여 공연 수익금을 악단에 기부하기도 했다.[18]로스바우트의 후임으로는 프리츠 리거와 루돌프 켐페가 차례로 상임 지휘자를 맡았다.[18] 1967년 켐페가 수석 지휘자로 취임하면서 뮌헨 필하모니는 최초의 전성기를 맞이했다.[18]
2. 4. 첼리비다케 시대 (1979-1996)
1979년 세르주 첼리비다케가 상임 지휘자로 부임하면서 악단의 명성이 급상승했다.[18] 첼리비다케는 엄격하고 까다로운 리허설, 상업적인 녹음 거부, 돌발적인 언행 등으로 악명이 높았으나, 악단의 연주력과 표현력을 끊임없이 연마해 세계적인 수준으로 향상시켰다.[18] 다만, 녹음을 싫어하는 그의 방침 때문에 당시에는 거의 레코드를 발매하지 않았다.첼리비다케는 여성이라는 이유로 수석 트롬본 연주자 애비 코넌트를 해임하려 했고, 그녀 몰래 남성 동료들보다 적은 급여를 지급했다.[2] 뮌헨시는 코넌트가 트롬본 파트 리더로서 필요한 체력이 부족하고, 트롬본 그룹을 명확하게 이끌 능력이 없으며, 음악감독의 예술적 의지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공감 능력이 부족하다고 항변했다.[3]
애비 코넌트는 긴 법적 절차 끝에 1983년 뮌헨시를 상대로 소송에서 승소하여 남성 동료들과 동일한 급여를 받았고, 수석 솔리스트로서의 지위를 완전히 회복했다.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결했다.
> "근거 없는 주장으로 인한 업무 배정 변경은 부당하므로 소송이 허용됩니다."
>
> "피고는 사실로 해임을 정당화하지 않았고, 일반적인 가치 판단만 내놓았습니다."
>
> "게다가 그들은 주장하는 실수가 언제(날짜) 발생했는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원고에게 언제 경고를 했는지도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
> "따라서 법원은 원고가 무엇을 잘못했는지, 또는 주장하는 경고를 받아들였는지, 다시 말해 경고 후에 실수를 반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4]
코넌트의 오디션은 블라인드 오디션을 사용한 마지막 오디션이었다고 한다.[5]
2. 5. 첼리비다케 이후 (1996-현재)
1996년 세르주 첼리비다케 타계 후, 3년 동안 객원 지휘 체제로 운영되다가 1999년 제임스 리바인이 뮌헨 필하모닉 최초의 미국인 상임 지휘자로 부임했다. 제임스 리바인은 2004년까지 재직 후 보스턴 교향악단으로 옮겼다.[18] 2004년 9월, 크리스티안 틸레만이 음악 감독으로 임명되었고, 주빈 메타는 계관 지휘자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2007년 틸레만과 뮌헨 필하모닉 인텐단트(Intendant)였던 바우터 호크스트라(Wouter Hoekstra) 사이의 분쟁으로 호크스트라가 해임되었다.[6] 2009년, 뮌헨 필하모닉은 2011년에 틸레만의 임기가 종료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게스트 지휘자 선정에 대한 틸레만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8]2010년 3월, 로린 마젤이 2012-2013 시즌부터 뮌헨 필하모닉의 차기 수석 지휘자로 임명되었다.[7] 그러나 2014년 초, 마젤은 건강 악화로 인해 콘서트 출연을 취소했고, 같은 해 6월에 뮌헨 필하모닉 음악 감독직에서 즉시 사임한다고 발표했다.[8] 얼마 지나지 않아 마젤은 2014년 7월 14일에 타계하였다.[18]
2013년 1월, 뮌헨 필하모닉은 발레리 게르기예프를 2015년부터 차기 수석 지휘자로 임명했으며, 초기 계약은 2020년까지였다.[9]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하자, 뮌헨시는 게르기예프에게 침공을 비난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으나, 게르기예프는 이를 거부했다. 결국 뮌헨시는 "러시아 지배자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수정할 것을 기대했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2022년 그를 해임했다.[10]
2022년 3월, 라하브 샤니가 우크라이나를 위한 자선 콘서트에서 처음으로 뮌헨 필하모닉을 객원 지휘했다.[11] 이후 2022년 9월에 추가 객원 지휘를 위해 돌아왔다.[12] 2023년 2월, 뮌헨 필하모닉과 뮌헨 시의회는 샤니를 5년 계약으로 차기 수석 지휘자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13] 따라서 2026년부터 샤니가 뮌헨 필하모닉의 수석 지휘를 맡게 될 예정이다.
3. 주요 특징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1985년 가스타이크 필하모니가 완공되기 전까지 바이에른 지방에서 주로 알려졌다. 루돌프 켐페가 지휘를 맡은 후 녹음 활동을 활발히 하며 유명해졌다.[1] 세르주 첼리비다케는 상업 녹음을 거의 하지 않았으나, 바이에른 방송 등에서 연주회 중계가 활발해져 해적판까지 만들어질 정도로 관심을 받았다.[1]
첼리비다케는 만년에 소니 클래시컬에서 브루크너 교향곡 6-8번을 영상물로 제작했고, 사후 EMI에서 실황 음반 CD 세트가 발매되어 느린 템포와 투명한 음향으로 화제가 되었다.[1] 후임 제임스 레바인은 욈스 클래식스에서 음반을 내며 미국 작곡가 작품을 처음으로 악단 목록에 추가했다.[1] 크리스티안 틸레만은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실황 녹음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다.[1]
한스 크나퍼츠부슈, 귄터 반트 등의 지휘자 음반도 발매되고 있으며,[1] 지크문트 폰 하우제거, 오스발트 카바스타 재임기 제국 방송 녹음도 복각되어 발매되었다.[1] 정기 연주회 외 실내악, 야외 연주회, 청소년 및 어린이 음악회, 공개 리허설도 진행한다.[1]
3. 1. 레퍼토리 및 연주 스타일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구스타프 말러, 안톤 브루크너,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를 주요 레퍼토리로 삼고 있다. 특히 말러와는 깊은 인연이 있는데, 1901년에는 말러 자신의 지휘로 교향곡 제4번을, 1910년에는 교향곡 제8번을 초연했다.[2] 1911년에는 브루노 발터의 지휘 아래 대지의 노래를 초연하기도 했다.[2]브루크너의 경우, 교향곡 제9번 원전판 초연 지휘자인 지크문트 폰 하우제거를 비롯하여 역대 수석 지휘자들이 모두 뛰어난 연주를 선보였으며, 수많은 녹음을 남겼다.[4] 2017년부터 2019년까지는 발레리 게르기예프와 함께 악단 최초로 브루크너 교향곡 전집을 제작했는데, 이 전집은 브루크너의 묘소가 있는 성 플로리안 수도원에서 녹음되었다.[4]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역시 뮌헨 필하모니가 자랑하는 레퍼토리 중 하나이다.[4]
세르주 첼리비다케 시대에는 극단적으로 느린 템포와 투명한 음향을 추구하는 독특한 연주 스타일을 확립했다.[1] 첼리비다케는 상업 녹음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그의 사후 EMI에서 브루크너 교향곡 실황 음반 세트 등을 발매하여 큰 화제를 모았다.[1]
후임 제임스 레바인은 욈스 클래식스에서 음반을 냈으며, 미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악단의 음반 목록에 처음으로 포함시켰다.[1] 크리스티안 틸레만은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실황 녹음 위주로 음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1]
한스 크나퍼츠부슈, 귄터 반트 등 상임 지휘자 외 다른 지휘자들의 음반도 발매되고 있다.[1]
3. 2. 녹음 활동
1985년 가스타이크 필하모니가 완공되기 전까지 뮌헨 필하모니 관현악단은 주로 바이에른 지방 내에서 유명했다. 그러나 루돌프 켐페가 음악 감독을 맡은 후 적극적으로 녹음 활동을 시작하면서 유명세를 얻기 시작했다.[1] 세르주 첼리비다케는 켐페의 후임으로, 상업적인 녹음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바이에른 방송을 중심으로 연주회 중계가 활성화되면서 무단 복제 해적판까지 만들어지는 등 화제를 모았다.[1]첼리비다케는 만년에 소니 클래시컬에서 브루크너 교향곡 6-8번을 영상물 형태로 제작하는 데 동의했고, 이 영상물은 LD와 비디오 테이프 등으로 유통되었다.[2] 첼리비다케 사후, 그의 아들의 허락을 받아 EMI에서 방송 실황 음원을 토대로 공식 CD 세트들을 출반했다. 특히 브루크너 교향곡 녹음들은 극단적으로 느린 템포와 투명한 음향으로 큰 화제가 되었다.[2] 제임스 레바인은 첼리비다케의 후임으로, 욈스 클래식스에 음반을 취입했으며, 최초로 미국 작곡가들의 작품을 악단의 음반 목록에 포함시켰다.[2] 크리스티안 틸레만은 레바인의 후임으로, 전속 음반사인 도이체 그라모폰에서 실황 녹음 위주로 음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2]
상임 지휘자들 외에도 한스 크나퍼츠부슈가 브루크너 작품을 중심으로 몇 종류의 스튜디오 녹음과 실황 녹음을 남겼으며,[3] 귄터 반트의 방송 음원도 헨슬러 등에서 발매되고 있다.[3] 하우제거와 카바스타 재임기에 제국 방송에서 만든 방송용 녹음들도 프라이저와 뮤직 앤 아츠 등에서 복각되어 발매되었다.[3]
발레리 게르기예프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악단 최초로 브루크너 교향곡 전집을 제작했다.[12] 이 전집에서는 전 9곡이 브루크너와 가장 인연이 깊은 장소이자 묘소인 성 플로리안 수도원에서 녹음되었다.[12]
3. 3. 상주 공연장
1985년에 가스타이크 필하모니가 완공되면서 상주 악단이 되었다.[1] 2차 대전으로 톤할레가 파괴된 후에는 레지덴츠 궁전에 있는 헤르쿨레스잘과 독일 박물관 회의장 등을 공연장으로 사용했다.[1]정기 연주회 외에도 악단원들의 실내악 연주회, 오데온 광장 야외 연주회, 청소년 음악회, 어린이 음악회도 열리고 있으며, 부정기적으로 공개 리허설도 행하고 있다.[1]
4. 역대 상임 지휘자
재임 기간 | 지휘자 |
---|---|
1893년–1895년 | 한스 빈더슈타인 |
1895년–1897년 | 헤르만 춤페 |
1897년–1898년 | 페르디난트 뢰베 |
1898년–1905년 | 펠릭스 바인가르트너 |
1905년–1908년 | 게오르크 슈네보익트 |
1908년–1914년 | 페르디난트 뢰베 |
1919년–1920년 | 한스 피츠너 |
1920년–1938년 | 지크문트 폰 하우제거 |
1938년–1944년 | 오스발트 카바스타 |
1945년–1948년 | 한스 로스바우트 |
1949년–1966년 | 프리츠 리거 |
1967년–1976년 | 루돌프 켐페 |
1979년–1996년 | 세르주 첼리비다케 |
1999년–2004년 | 제임스 레바인 |
2004년–2011년 | 크리스티안 틸레만 |
2012년–2014년 | 로린 마젤 |
2015년–2022년 | 발레리 게르기예프 |
2026년– | 라하브 샤니[17] (2026년 취임 예정) |
5. 계관 지휘자
주빈 메타[14]
6. 기타 활동
정기 연주회 외에도 악단원들의 실내악 연주회와 오데온 광장 야외 연주회, 청소년 음악회, 어린이 음악회도 열리고 있으며, 부정기적으로 공개 리허설도 행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You Sound Like A Ladies Orchestra
http://www.osborne-c[...]
osborne-conant.org
2007-08-05
[2]
뉴스
Aus dem Blech gefallen
http://www.spiegel.d[...]
1991-10-28
[3]
문서
Brief, Conant vs. LH München, AGM Aktz: 2 Ca 7022/82
1983-02-03
[4]
문서
Final judgement, Conant vs. LH München Aktz. Ca 2 7022/82
1984-04-12
[5]
뉴스
Verheerende Folgen
https://www.spiegel.[...]
2023-08-24
[6]
뉴스
Munich Philharmonic Planning to Replace General Manager Following Feud With Christian Thielemann
http://www.playbilla[...]
playbill.com
2007-04-17
[7]
보도자료
Lorin Maazel wird Chefdirigent der Münchner Philharmoniker
http://www.mphil.de/[...]
Munich Philharmonic
2010-03-27
[8]
뉴스
Star-Dirigent Lorin Maazel tritt zurück
https://www.welt.de/[...]
2014-06-12
[9]
보도자료
Valery Gergiev becomes new principal conductor of the Munich Philharmonic Orchestra
http://www.mphil.de/[...]
Munich Philharmonic
2013-01-23
[10]
보도자료
Valery Gergiev, a Putin Ally, Fired as Chief Conductor in Munich
https://www.nytimes.[...]
2022-03-01
[11]
뉴스
Benefizkonzert für die Ukraine: Anne-Sophie Mutter spielte mit Münchner Orchestern
https://www.br-klass[...]
2022-03-09
[12]
뉴스
Kritik – Münchner Philharmoniker: Soeng-Jin Cho und Lahav Shani - Feingeist trifft Energiebündel
https://www.br-klass[...]
2022-09-22
[13]
보도자료
Lahav Shani ab 2026 Chefdirigent der Münchner Philharmoniker
https://www.mphil.de[...]
Munich Philharmonic
2023-02-01
[14]
웹사이트
Zubin Mehta
https://www.mphil.de[...]
2024-01-17
[15]
뉴스
ロシア出身の世界的指揮者、ミュンヘン・フィルが解任…プーチン氏と深い親交のゲルギエフ氏
https://www.yomiuri.[...]
読売新聞オンライン
2022-03-03
[16]
웹사이트
DIE GESCHICHTE DER MÜNCHNER PHILHARMONIKER
https://www.mphil.de[...]
2023-07-23
[17]
웹사이트
LAHAV SHANI
https://www.mphil.de[...]
2023-07-23
[18]
뉴스
Valery Gergiev wird neuer Chefdirigent
http://www.br.de/rad[...]
2013-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