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1502년 스페인 바스크 지방에서 태어난 스페인 탐험가이자 정복자이다. 1564년 필리핀 원정을 이끌어 세부 섬에 정착지를 건설하고 마닐라를 정복하여 필리핀을 스페인 식민지로 만들었다. 그는 필리핀의 초대 총독으로, 필리핀을 통치하며 가톨릭 개종을 강요하고 엔코미엔다 제도를 통해 노동력을 착취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레가스피는 필리핀 정복 과정에서 재산을 탕진하고 1572년 뇌졸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필리핀 원정은 태평양 횡단 무역을 개척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스크인 콩키스타도르 -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는 스페인 바스크인 탐험가로, 마젤란 탐험대의 반란에 가담했으나 용서받고 마젤란 사후 빅토리아호를 이끌어 세계 최초로 지구를 일주하는 데 성공했으며, 카를 5세로부터 문장을 받았으나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마젤란에 가려져 역사적 평가와 재조명의 대상이 되었다.
  • 바스크인 콩키스타도르 -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는 스페인의 탐험가이자 아우구스티누스회 수사로, 세계 일주 항해를 완수하고 필리핀-멕시코 간 태평양 횡단 항로를 개척하여 마닐라 갤리온 무역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필리핀 초기 식민지 건설에 기여하고 세부 대성당 및 산토 니뇨 성당을 건립하였다.
  • 스페인의 역사가 -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스페인의 사제이자 역사가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스페인의 잔혹 행위를 목격한 후 원주민 옹호에 평생을 바쳤으며, 식민 정책을 비판하고 인디언 인권 옹호에 기여했지만 아프리카 노예제도를 옹호한 과거는 비판받고 있다.
  • 스페인의 역사가 - 살바도르 데 마다리아가
    살바도르 데 마다리아가는 국제 연맹 활동, 스페인 대사 역임, 프랑코 정권 저항, 유럽 통합 운동 기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 스페인의 외교관이자 작가, 사상가이다.
  • 누에바에스파냐 사람 -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스페인의 사제이자 역사가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스페인의 잔혹 행위를 목격한 후 원주민 옹호에 평생을 바쳤으며, 식민 정책을 비판하고 인디언 인권 옹호에 기여했지만 아프리카 노예제도를 옹호한 과거는 비판받고 있다.
  • 누에바에스파냐 사람 - 페드로 데 알바라도
    페드로 데 알바라도는 1485년 스페인에서 태어난 콘키스타도르로, 에르난 코르테스의 부관으로서 아즈텍 정복에 참여하고 과테말라 총독을 역임했으며, 대사원 학살과 원주민에 대한 잔혹 행위로 비판받다 1541년 사망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이름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원어 이름Miguel López de Legazpi
별칭엘 아델란타도 (El Adelantado)
엘 비에호 (El Viejo)
로마자 표기Miguel Lloppes de Legaspi
출생1502년 6월 12일
출생지스페인기푸스코아 주수마라가
사망1572년 8월 20일
사망지필리핀마닐라인트라무로스
안장지산 아구스틴 교회, 마닐라
직위
직책필리핀 총독
임기 시작1565년 4월 27일
임기 종료1572년 8월 20일
군주펠리페 2세
총독(누에바에스파냐 부왕)
프란시스코 세이노스
가스톤 데 페랄타
알론소 무뇨스 및 루이스 카리요
마르틴 엔리케스 데 알만사
이전초대
이후귀도 데 라베사리스

2. 초기 생애

1502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기푸스코아 수마라가에서 지역 귀족 가문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3] 그의 아버지는 돈 후안 마르티네스 로페스 데 레가스피, 어머니는 엘비라 구루차테기였다. 1526년부터 1527년까지 레가스피는 고향 마을의 시의원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부모 사후 가문의 재산을 형이 모두 상속받자, 1528년 에르난 코르테스멕시코에 건설한 누에바 에스파냐로 이주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3]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출생지, 스페인 수마라가, 바스크 지방

2. 1. 멕시코에서의 생활

1528년 에르난 코르테스멕시코에 정착지를 건설한 후, 레가스피는 누에바 에스파냐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부모의 사망 후 가문의 재산을 형이 모두 상속받자 이에 불만을 품은 것도 이주 이유 중 하나였다.[3] 레가스피는 누에바 에스파냐의 트라스칼라에서 후안 가르세스와 그의 여동생 이사벨 가르세스와 함께 일했다. 이후 레가스피는 이사벨과 결혼하여 아홉 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1550년대 중반에 아내와 사별했다.[3]

1528년부터 1559년까지 레가스피는 재무 부서 평의회 의장 및 멕시코 시티 시장 등 다양한 관직을 역임했다.[3] 그는 종교 재판소에서도 근무하며 1536년부터 1543년 사이에 여러 종교 재판 과정에 관여하는 등 멕시코에서 재무, 행정,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료로 활동하며 능력을 인정받았다.[3]

3. 필리핀 원정

1564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루이스 데 벨라스코 부왕의 지시를 받아 향신료 제도 (말루쿠 제도)를 찾는 탐험대를 이끌게 되었다. 이 탐험은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의 명령에 따른 것이었다. 페르디난드 마젤란과 루이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가 각각 1521년1543년에 이곳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7] 1564년 7월 부왕이 사망했지만, 아우디엔시아와 레가스피는 탐험 준비를 완료했다.

1564년 11월 19일 또는 11월 20일, 500여 명의 병사를 태운 5척의 배가 멕시코 할리스코주의 바라 데 나비다드 항구를 출발했다. 탐험대에는 항해사이자 영적 조언자인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 신부를 포함한 6명의 아우구스티누스회 선교사, 레가스피의 아들 멜초르, 손자 펠리페 데 살세도, 그리고 마젤란 탐험의 생존자 기도 데 라베자레스 등이 포함되었다.

레가스피 일행은 93일 동안 태평양을 항해했다. 1565년 초, 마리아나 제도에 잠시 정박하여 물자를 보충하고 차모로족과 전투를 벌여 가옥을 불태우기도 했다.

3. 1. 필리핀 정착

1565년 2월 13일, 로페스 데 레가스피 일행은 필리핀 세부 해안에 상륙했다. 짧은 전투 후 섬을 떠났다가 3월 16일 보홀섬에 상륙, 현지 추장(다투) 시카투나와 혈맹을 맺었다.[7] 서로 팔을 베어 피를 흘려 잔에 담아 마시는 방식으로 우정을 맹세했다.[8]

4월 27일, 세부로 돌아온 레가스피 일행은 라자 투파스의 저항을 제압하고, 원주민 집에서 발견된 산토 니뇨 상의 이름을 따 "Villa del Santisimo Nombre de Jesús"(예수의 가장 거룩한 이름의 마을)라는 최초의 스페인 정착촌을 건설했다.[8] 이들은 또한 〈비야 데 산 미겔〉(Villa de San Miguel, 성 미카엘 마을)도 건설하였다.

1567년 스페인 왕명으로 200명의 병력이 세부에 도착, 정착촌을 도시로 만들고 산 페드로 요새를 건설하여 멕시코와의 무역 거점이자 원주민 반란 방어 기지로 삼았다.

1568년, 포르투갈이 세부 봉쇄를 시도했으나, 스페인 식민지는 저항했고, 포르투갈 함대는 장티푸스 발병으로 철수했다.[11]

1569년, 식량 부족으로 레가스피는 파나이 섬의 파나이 타운으로 이동, 파나이 강 기슭에 "카피스"(현 카피스 주의 록사스)라는 두 번째 정착지를 건설했다.

1570년, 레가스피는 손자 후안 데 살세도를 민도로로 보내 모로족과 싸우게 했고, 살세도는 일린과 루방의 요새를 파괴했다.

3. 2. 마닐라 정복

1569년 말, 마르틴 데 고이티가 이끄는 300명의 스페인 병력은 세부를 출발하여 비사야 제도 북부 탐사를 시작했다. 1570년 5월 8일 마닐라에 도착한 이들은 마닐라 항구의 규모와 풍요로움에 압도되었고, 현지 무슬림들과 동맹을 맺는 척하며 주둔했다. 5월 24일 스페인인들과 현지인들 사이에 전쟁이 벌어졌고, 중무장한 스페인 병사들은 술리만의 병사들을 물리치고 마닐라를 정복했다.[8]

그 후, 레가스피는 멕시코에서 온 지원군과 함께 1571년 마닐라에 도착했다. 그는 현지 유력자들과 평화 조약을 맺고, 2명의 시장, 12명의 평의원, 1명의 서기로 구성된 마닐라 시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1571년 6월 24일, 레가스피는 마닐라에 영구 정착촌을 설립하고 성벽 도시 인트라무로스 건설을 지시했다. 그는 마닐라를 필리핀의 수도이자 서태평양의 스페인 영구 영토로 선포했다.

4. 필리핀 통치와 사망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1572년 마닐라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할 때까지 1년 동안 필리핀 식민지를 통치했다.[13][14] 정복 활동에 개인 재산을 대부분 소진했기 때문에 사망 당시에는 몇 페소밖에 남지 않은 파산 상태였다. 그의 유해는 인트라무로스의 산 어거스틴 교회에 안치되었다.

1574년, 스페인 왕은 마닐라 시에 "유명하고 영원히 충실한 스페인 도시(Insigne y Siempre Leal Ciudad de España)"라는 칭호를 내렸지만, 레가스피는 이 영광스러운 축제를 보지 못하고 사망했다.

레가스피가 사망할 당시, 루손섬, 비사야 제도 등 필리핀의 주요 지역은 스페인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민다나오섬무슬림 술탄국, 삼발레스의 삼발족, 코르디예라 산맥의 이고로트족 등은 스페인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이후 256년 동안 필리핀은 누에바 에스파냐(멕시코)의 식민지가 되었다.

4. 1. 스페인 왕에게 보낸 편지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말년에 동인도로의 여정과 그가 이룬 정복에 관해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에게 여러 통의 편지를 썼다.[15] 이 편지들은 통칭하여 카르타스 알 레이 돈 펠리페 2세: 소브레 라 엑스페디시온, 콘키스타스 이 프로그레소스 데 라스 이슬라스 펠리피나스|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에게 보내는 편지: 필리핀 제도의 원정, 정복 및 진전에 관하여es로 알려져 있다. 이 편지들은 스페인 세비야에 있는 인도 일반 문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5. 평가 및 유산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한다.

레가스피는 마닐라 갤리온 무역을 개척하여 동서양 교역에 중요한 다리를 놓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이 무역로를 통해 , 실크, 도자기 등이 교환되었으며, 스페인 제국에 큰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태평양 간의 중요한 상업적 연결을 형성했다.[17] 또한 필리핀에 서구 문물을 도입하고, 섬들의 '스페인화'를 이끌었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레가스피는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확장에 앞장서 필리핀 원주민들의 주권을 침해하고 억압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는 원주민들의 전통 신앙을 탄압하고 로마 가톨릭으로 강제 개종을 시도했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1]

5. 1. 긍정적 평가

레가스피는 마닐라 갤리온 무역을 개척하여 동서양 교역에 중요한 다리를 놓았다.[17] 이 무역로를 통해 멕시코와 포토시에서 채굴된 이 중국의 실크, 도자기, 인도네시아의 향신료, 인도의 보석 등과 교환되었다.[17] 이는 스페인 제국에 큰 재정적 지원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와 아시아 태평양 간의 중요한 상업적 연결을 형성했다.[17]

또한 레가스피는 필리핀에 최초로 서구 문물을 도입하고, 섬들의 '스페인화'를 이끌었다. 레가스피가 도착했을 당시 필리핀 원주민들은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토착 신앙 등을 믿고 있었으나, 레가스피와 여러 수사들의 노력으로 원주민들은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기독교식 이름을 갖게 되었다. 1609년, 안토니오 데 모르가는 섬들이 펠리페 2세의 이름을 따 필리피나스 제도로 불리게 되었다고 기록했다.

5. 2. 부정적 평가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는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 확장에 앞장서 필리핀 원주민들의 주권을 침해하고 억압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는 원주민들의 전통 신앙을 탄압하고 로마 가톨릭으로 강제 개종을 시도했다.[1]

레가스피가 필리핀에 도착했을 당시, 원주민들은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 토착 신앙 등 다양한 종교를 믿고 있었다. 그러나 레가스피는 아우구스티누스회와 프란치스코회 등 여러 수도회와 함께 원주민들을 강제로 기독교로 개종시키려 했다.[1]

1609년, 누에바에스파냐 왕립 아우디엔시아의 형사 사건 판사였던 안토니오 데 모르가는 "성스러운 복음의 지배적인 빛이 들어오면서 섬이 정복된 후, 이교도들은 세례를 받았고, 그들의 이교주의의 어둠은 사라졌으며, 그들은 자신들의 이름을 기독교식 이름으로 바꾸었다."라고 기록했다. 또한, 필리핀 제도가 펠리페 2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은 스페인의 정복과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의도였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마크 길이 2013년 필리핀 TV 시리즈 《인디오》에서 레가스피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Miguel López de Legazpi vs Manuel de Legazpi
[2] 웹사이트 Miguel López de Legazpi https://www.paratodo[...]
[3] 웹사이트 Miguel López de Legazpi https://dbe.rah.es/b[...] 2022-10-19
[4] 문서 Schurz, Manila Galleon, 22; Carlos Quirino, "Mexican Connection," 933–934.
[5] 간행물 Legazpi 1564–1572 https://www.jstor.or[...]
[6] 웹사이트 Blood Compact http://www.bohol-phi[...]
[7] 웹사이트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 Volume 12 of 55 eBook http://www.bookrags.[...]
[8] 서적 Philippine History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9]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Vol. XII, 1601–1604, by Edited by Blair and Robertson http://www.ibiblio.o[...]
[10] 웹사이트 Philippine eLib Portal http://www.elib.gov.[...] www.elib.gov.ph 2008-06-16
[11] 간행물 The Spanish Pacification of the Philippines https://apps.dtic.mi[...] Defense Technical Information Center 1992-06-05
[12] 서적 1493: Uncovering the New World Columbus Create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Inc. 2012-08-28
[13] 서적 The Remnants of the Great Ilonggo Nation https://books.google[...] Rex Bookstore, Inc.
[14] 서적 In our Image: America's Empire in the Philippines
[15] 간행물 Trans-Pacific Connections: Cultural Contacts through the Lens of Miguel López de Legazpi's Representation of the Philippin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arly Accounts of the New World 2015
[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hilippine Islands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urg 2004-12-01
[17] 간행물 1493: Uncovering the New World Columbus Created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18] 웹사이트 English: Tombs of http://commons.wikim[...] 2013-03-21
[19] 웹사이트 필리핀 [Philippines]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20] 웹사이트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 [Miguel Lopez de Legazpi]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