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육군참모총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육군참모총장은 미국 육군부의 최고 수뇌부 중 한 명으로,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아 4년의 임기로 재임한다. 육군 장관에게 육군 관련 사항을 보고하며 정책, 계획 및 예측을 제시하고 시행하는 등 장관의 대외 업무를 지원한다. 1903년 육군 참모 본부가 창설되면서 정식으로 설치되었으며, 1958년 국방부 개편법 통과 이후 육군 부대에 대한 작전 지휘 권한은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육군참모총장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 최고 사령관을 지낸 5성 장군이자, 1950년대 미국 대통령으로서 한국 전쟁 종식, 냉전 시대 핵 억제 정책 추진, 사회보장제도 강화,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건설, 아이젠하워 독트린 발표, 리틀록 고등학교 사건 개입 등 국내외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육군참모총장 - 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해밀턴은 미국의 건국 아버지이자 초대 재무장관으로, 미국의 경제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으며, 독립 전쟁에서 활약, 강력한 중앙 정부 수립을 옹호했고, 국가 부채 해결과 국립은행 설립 등 경제적 기반을 다졌으나, 에런 버와의 결투로 사망한 후 뮤지컬을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 1903년 설립 - 히비야 공원
히비야 공원은 도쿄 치요다구에 위치한 공원으로, 간다강 흐름 변경으로 생긴 땅에 조성되어 러일전쟁, 관동 대지진, 제2차 세계대전 등 일본 근현대사의 굴곡을 함께 겪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시설과 자연을 갖춘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고, 개원 130주년 기념 시설 개선 계획이 진행 중이다. - 1903년 설립 - 군산제일고등학교
군산제일고등학교는 1903년 미국 선교사가 설립한 영명학교에서 시작되어 3.1 운동에 참여하고 일제에 저항하여 폐교했다가 1952년 재개교했으며, 1975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어 지역 명문 고등학교로 발전했다.
미국 육군참모총장 | |
---|---|
개요 | |
![]() | |
직책 | 육군 참모총장 |
소속 | 미국 육군 |
계급 | 대장 |
임기 시작 | 2023년 9월 21일 |
본부 | 펜타곤, 버지니아주알링턴 카운티 |
거주지 | 쿼터스 1, 포트 마이어 |
약칭 | CSA |
소속 | 육군성 육군 참모부 |
구성원 | 미국 합동참모본부 |
보고 대상 | 육군 장관 |
임명권자 | 대통령 |
임명 방식 | 상원의 동의를 얻어 임명 |
임기 | 4년 |
임기 연장 | 전시 또는 국가 비상사태 시 1회 연장 가능 |
창설 근거 | 10 U.S.C. § 3033 |
전신 | 육군 총사령관 |
창설일 | 1903년 8월 15일 |
초대 | 사무엘 B. M. 영 중장 |
부관 | 육군참모차장 |
웹사이트 | 육군 참모총장 웹사이트 |
역대 육군 참모총장 | |
초대 | 사무엘 B. M. 영 |
현재 | 랜디 조지 |
역할 | |
임무 | 10 U.S.C. § 151 에 명시 |
2. 임명 및 권한
미국 육군참모총장은 버지니아주 Joint Base Myer–Henderson Hall에 있는 쿼터스 1을 관사로 사용한다. 육군부의 최고 수뇌부는 육군 장관(국방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 부서의 수장), 육군 차관(이상 2명은 민간인), 육군 참모총장, 육군 부참모총장(이상 2명은 군 장교)으로 구성된다.
2. 1. 임명
미국 육군참모총장은 4년 임기로 대통령이 임명하며,[1] 상원의 인준을 받아야 한다.[1] 육군참모총장은 1차례 연임이 가능하지만, 이는 의회가 선포한 전시 또는 국가 비상사태일 경우에만 해당된다.[1] 법률에 따라 육군참모총장은 4성 대장 계급을 갖는다.[1]2. 2. 권한
미국 육군참모총장은 4년 임기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상원의 인준을 받아야 한다.[1] 육군참모총장은 1차례 연임이 가능하지만, 이는 의회가 선포한 전시 또는 국가 비상사태일 경우에만 해당된다.[1] 법률에 따라 육군참모총장은 4성 대장 계급을 갖는다.[1]육군참모총장은 육군 관련 사항에 대해 육군 장관에게 직접 보고하며 육군 정책, 계획 및 예측을 제시하고 시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장관의 대외 업무를 지원한다. 또한 참모총장은 육군 감찰감에게 필요에 따라 검사와 조사를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참모총장은 육군 참모부를 주재하며 합동 회의에서 육군의 역량, 요구 사항, 정책, 계획 및 프로그램을 대표한다.[2] 육군 장관의 권한 위임에 따라 참모총장은 통합 전투 사령관에게 육군 인력과 육군 자원을 지정한다.[3] 참모총장은 육군 장관의 권한, 지시 및 통제 하에 에 열거된 다른 기능을 수행하거나 해당 임무와 책임을 자신의 행정부 내 다른 장교에게 위임한다. 다른 군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참모총장은 1958년 국방부 개편법 통과 이후 육군 부대에 대한 작전 지휘 권한이 없다. 참모총장은 G-1, 인사와 같은 육군 부참모총장들의 보좌를 받는다. 참모총장의 기본 급여는 월 21147.3달러이며, 개인 용돈(월별 금액) 333.33USD, 기본 식비 253.38USD, 주택 수당 50.7달러에서 1923.3달러를 받는다.
3. 역사
1903년 육군 참모 본부가 창설되면서 미국 육군참모총장 직위가 정식으로 설치되었다. 그 이전에는 미국 육군 장관 직속의 미국 육군 총사령관이 육군 군인의 최고 직위였다. 남북 전쟁에서 율리시스 S. 그랜트가 총사령관이 되었을 때, 전임자 헨리 할렉은 참모총장 직위로 변경되었다.[17]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의회는 3명의 육군 소장을 대장으로 승진시켰으나, 대전 후에는 대장 승진을 인정하지 않아 이후 육군 소장이 참모총장이 되었다. 그러나 찰스 펠롯 서머럴 재임 중 참모총장도 대장 직급이 되었는데, 이는 대장 직급인 해군 작전 부장과 동격으로 하기 위함이었다.[17] 참고로, 1939년 8월 의회가 군 사령관(4명)을 중장 직급으로 정하기 전까지 미국 육군에는 중장이 없었다.[18]
3. 1. 초기 역사
19세기에 미국 육군은 제임스 윌킨슨(1757-1825) 장군부터 시작하여 "사령관(General-in-Chief)"이라는 직함을 사용했으며, 이후 수십 년 동안 윈필드 스콧(1786-1866) 장군이 이 직책을 맡았다. 이후 율리시스 S. 그랜트(1822-1885) 중장은 1864년 남북 전쟁의 서부 전선에서 동부로 소환된 후 이 직함을 받았다.[17] 1903년까지 육군의 최고위 장교는 미국 육군 사령관이었으며, 그는 전쟁 장관에게 보고했다.[17] 1864년부터 1865년까지, 전쟁 초기에 사령관을 역임했던 헨리 할렉(1815-1872) 소장은 새로 임명된 사령관 율리시스 S. 그랜트 중장 아래에서 "육군 참모총장"으로 복무했으며, 이는 육군의 최고위 장교가 아닌 다른 직책을 수행했음을 의미한다.[17] 할렉은 백악관 서쪽에 인접한 오래된 벽돌 건물인 전쟁부에 전쟁 장관과 함께 있었고, 그랜트 장군은 현장에 있었다.[17]초대 참모총장은 1908년 워싱턴 D.C.의 국가 수도 근처인 버지니아 북부에 있는 포트 마이어로 본부를 옮겼다.[17]
1903년, 육군 참모 본부가 창설되면서 정식으로 설치되었다.[17] 그 이전 육군 군인의 최고 직위 호칭은 미국 육군 장관 직속의 미국 육군 총사령관이었다.[17] 예를 들어, 남북 전쟁에서 율리시스 S. 그랜트가 총사령관이 되었을 때, 전임자 헨리 할렉은 참모총장 직위로 "강등"되었다.[17] 의회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에 3명의 육군 소장을 대장으로 승진시켰지만, 대전 후에는 대장 승진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3명 이후에는 육군 소장이 참모총장이 되었다.[17] 그러나 찰스 펠롯 서머럴 재임 중, 대장 직급의 해군 작전 부장과 동격으로 하기 위해, 참모총장도 대장 직급이 되었다.[17] 참고로, 의회가 1939년 8월에 군 사령관(4명)을 중장 직급으로 할 때까지, 미국 육군에는 중장이 없었다.[18]
3. 2. 계급 변동
1903년, 육군 참모 본부가 창설되면서 미국 육군참모총장 직위가 정식으로 설치되었다. 그 이전 육군 군인의 최고 직위는 미국 육군 장관 직속의 미국 육군 총사령관이었다. 예를 들어, 남북 전쟁에서 율리시스 S. 그랜트가 총사령관이 되었을 때, 전임자 헨리 할렉은 참모총장 직위로 변경되었다.[17]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의회는 3명의 육군 소장을 대장으로 승진시켰지만, 대전 후에는 대장 승진을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3명 이후에는 육군 소장이 참모총장이 되었다. 그러나 찰스 펠롯 서머럴 재임 중, 대장 직급의 해군 작전 부장과 동격으로 하기 위해 참모총장도 대장 직급이 되었다.[17] 참고로, 의회가 1939년 8월에 군 사령관(4명)을 중장 직급으로 할 때까지, 미국 육군에는 중장이 없었다.[18]
4. 역대 육군참모총장
순번 | 사진 | 이름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1 | ![]() | 새뮤얼 B. M. 영 | 1903년 8월 15일 | 1904년 1월 8일 | |
2 | ![]() | 애드나 R. 채피 | 1904년 8월 19일 | 1906년 1월 14일 | [19] |
3 | ![]() | 존 C. 배이츠 | 1906년 1월 15일 | 1906년 4월 13일 | |
4 | ![]() | J. 프랭클린 벨 | 1906년 4월 14일 | 1910년 4월 21일 | |
5 | ![]() | 레너드 우드 | 1910년 4월 22일 | 1914년 4월 21일 | |
6 | ![]() | 윌리엄 W. 워더스푼 | 1914년 4월 22일 | 1914년 11월 16일 | |
7 | ![]() | 휴 L. 스콧 | 1914년 11월 17일 | 1917년 9월 22일 | |
8 | 태스커 H. 블리스 | 1917년 9월 22일 | 1918년 5월 19일 | [20] | |
9 | ![]() | 페이튼 C. 마치 | 1918년 5월 20일 | 1921년 6월 30일 | [21] |
10 | ![]() | 존 J. 퍼싱 | 1921년 7월 1일 | 1924년 9월 13일 | [22] |
11 | ![]() | 존 L. 하인스 | 1924년 9월 14일 | 1926년 11월 20일 | |
12 | ![]() | 찰스 P. 서머럴 | 1926년 11월 21일 | 1930년 11월 20일 | [23] |
13 | ![]() | 더글러스 맥아더 | 1930년 11월 21일 | 1935년 10월 1일 | |
14 | ![]() | 말린 크레이그 | 1935년 10월 2일 | 1939년 8월 31일 | |
15 | 조지 마셜 | 1939년 9월 1일 | 1945년 11월 18일 | [24] | |
16 | ![]()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1945년 11월 19일 | 1948년 2월 6일 | |
17 | ![]() | 오마 브래들리 | 1948년 2월 7일 | 1949년 8월 15일 | [25] |
18 | ![]() | J. 로턴 콜린스 | 1949년 8월 16일 | 1953년 8월 14일 | |
19 | ![]() | 매슈 리지웨이 | 1953년 8월 15일 | 1955년 6월 29일 | |
20 | ![]() | 맥스웰 D. 테일러 | 1955년 6월 30일 | 1959년 6월 30일 | |
21 | ![]() | 라이먼 L. 렘니처 | 1959년 7월 1일 | 1960년 9월 30일 | |
22 | ![]() | 조지 H. 데커 | 1960년 10월 1일 | 1962년 9월 30일 | |
23 | 얼 G. 휠러 | 1962년 10월 1일 | 1964년 7월 2일 | ||
24 | ![]() | 해럴드 K. 존슨 | 1964년 7월 3일 | 1968년 7월 2일 | |
25 | ![]() |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 1968년 7월 3일 | 1972년 6월 30일 | |
대행 | ![]() | 브루스 팔머 주니어 | 1972년 7월 1일 | 1972년 10월 11일 | [26] |
26 |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 1972년 10월 12일 | 1974년 9월 4일 | [27] | |
27 | ![]() | 프레더릭 웨이앤드 | 1974년 10월 3일 | 1976년 9월 30일 | |
28 | ![]() | 버나드 W. 로저스 | 1976년 10월 1일 | 1979년 6월 21일 | |
29 | ![]() | 에드워드 C. 메이어 | 1979년 6월 22일 | 1983년 6월 21일 | |
30 | 존 A. 위컴 주니어 | 1983년 7월 23일 | 1987년 6월 23일 | ||
31 | 칼 E. 부오노 | 1987년 6월 23일 | 1991년 6월 21일 | ||
32 | 고든 R. 설리번 | 1991년 6월 21일 | 1995년 6월 20일 | ||
33 | 데니스 J. 라이머 | 1995년 6월 20일 | 1999년 6월 21일 | ||
34 | ![]() | 에릭 신세키 | 1999년 6월 21일 | 2003년 6월 11일 | |
35 | ![]() | 피터 J. 슈메이커 | 2003년 8월 1일 | 2007년 4월 10일 | [28] |
36 | ![]() | 조지 W. 케이시 주니어 | 2007년 4월 10일 | 2011년 4월 11일 | [29] |
37 | ![]() | 마틴 뎀프시 | 2011년 4월 11일 | 2011년 9월 7일 | [30] |
38 | ![]() | 레이몬드 오디에르노 | 2011년 9월 7일 | 2015년 8월 14일 | |
39 | ![]() | 마크 A. 밀리 | 2015년 8월 14일 | 2019년 8월 9일 | |
40 | ![]() | 제임스 C. 매콘빌 | 2019년 8월 9일 | 2023년 8월 4일 | |
41 | ![]() | 랜디 조지 | 2023년 8월 4일 | 현재 | [31] |
참조
[1]
문서
10 USC 3033. Chief of Staff
https://www.law.corn[...]
[2]
웹사이트
General George Casey - Chief of Staff Army
http://www.army.mil/[...]
2007-09-22
[3]
문서
10 USC 165. Combatant commands: administration and support
https://www.law.corn[...]
[4]
뉴스
Acting chief of staff held Vietnam posts
https://www.newspape[...]
1974-09-05
[5]
뉴스
Weyand OKd
https://www.newspape[...]
1974-10-04
[6]
웹사이트
The Surge – Collective Memory Project
https://www.smu.edu/[...]
2015-08-18
[7]
웹사이트
Gen. George W. Casey Jr. Becomes Army Chief of Staff
https://www.army.mil[...]
Army News Service
2007-04-10
[8]
웹사이트
Dempsey lays out themes for tenure as Army chief
https://www.army.mil[...]
American Forces Press Service
2011-04-12
[9]
웹사이트
Familiar face accepts new role: Gen. Odierno becomes Army Chief of Staff
https://www.army.mil[...]
362nd Mobile Public Affairs Detachment
2011-09-09
[10]
웹사이트
The new boss: Army welcomes Milley on JBM-HH and says goodbye to a 'moral giant'
https://www.army.mil[...]
Joint Base Myer-Henderson Hall Public Affairs
2015-08-20
[11]
웹사이트
McConville, Grinston sworn in as Army's top uniformed soldiers
https://www.stripes.[...]
2019-08-09
[12]
웹사이트
Webcast: Relinquishment of Responsibility for GEN James McConville / Change of Responsibility SMA Michael Grinston
https://www.dvidshub[...]
[13]
웹사이트
Army Gen. Randy George sworn in as 41st Army Chief of Staff
https://www.dvidshub[...]
11th Airborne Division
2023-09-21
[14]
문서
10 USC 151
[15]
뉴스
アメリカ、海兵隊に続き陸軍もトップ空席 人事停滞で異例の事態
https://mainichi.jp/[...]
2023-08-05
[16]
뉴스
米議会、陸軍と海兵隊トップを承認 不在解消
https://www.nikkei.c[...]
2023-09-22
[17]
문서
Why is the Colonel Called "Kernal"?
https://media.defens[...]
Raymond Oliver, Museum Curator, McClellan Aviation Museum. Office of History, Sacramento Air Logistics Center, McClellan AFB, CA
1983
[18]
문서
An Act To provide for the rank and title of lieutenant general of the Regular Army.
https://www.loc.gov/[...]
[19]
문서
「機甲部隊の父」と呼ばれた[[アドナ・R・チャーフィー・ジュニア]]陸軍少将の父。
[20]
문서
参謀総長就任時の階級は少将。第一次世界大戦参戦により、[[1917年]][[10月8日]]に大将へ昇任(6日付)。[[1888年]]に大将に任命された[[フィリップ・シェリダン]]陸軍総司令官以来、約30年ぶりの大将昇任者。
[21]
문서
戦時階級の大将が消滅して、在任中の[[1920年]][[7月1日]]に少将に戻る。
[22]
문서
5つ星の元帥よりもさらに上位とされる階級。この地位に任命されたのはパーシングと初代大統領[[ジョージ・ワシントン]]([[1976年]][[6月4日]]に議会によって追贈,存命時の最終階級は陸軍中将)の2人のみである。
[23]
문서
参謀総長就任時は少将。在任中の[[1929年]][[2月23日]]に大将に昇任。
[24]
문서
参謀総長就任時は大将。在任中の[[1944年]][[12月16日]]に元帥に昇任。
[25]
문서
のちに[[アメリカ統合参謀本部議長|統合参謀本部議長]]に就任し、同職在任中の[[1950年]][[9月22日]]に元帥に昇任。
[26]
문서
陸軍副参謀総長として職務を代行。
[27]
문서
参謀総長在任のまま死去。
[28]
문서
[[アメリカ特殊作戦軍|特殊作戦軍]]司令官を務めたのち、2000年に一度退役。その後参謀総長職に指名されたことをうけて軍務に復帰。
[29]
문서
Historical Resources Branch, [[w: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アメリカ陸軍歴史センター]]の資料より。
[30]
문서
在任期間約5ヶ月という、近年の陸軍参謀総長の中では異例の短さであるが、これは[[マイケル・マレン]][[アメリカ統合参謀本部議長|統合参謀本部議長]]の後任に指名されたためである。
[31]
문서
副参謀総長職のまま参謀総長代行
[32]
웹인용
10 USC 151. Joint Chiefs of Staff: composition; functions
https://www.law.corn[...]
2019-11-16
[33]
웹인용
Chief of Staff Army
https://www.army.mil[...]
2019-11-16
[34]
웹인용
10 USC 165. Combatant commands: administration and support
https://www.law.corn[...]
2019-11-16
[35]
웹인용
10 U.S. Code § 7033. Chief of Staff
https://www.law.corn[...]
2019-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