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라클프루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라클프루트는 서아프리카가 원산지인 관목으로, 열매를 섭취하면 미라클린이라는 당단백질의 작용으로 신맛을 단맛으로 느끼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 18세기부터 서아프리카에서 사용되었으며, 1980년대 미국에서 상업화 시도가 있었으나 식품의약국의 규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알려지기 시작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이나 천연 감미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미라클프루트는 pH 4.5~5.8의 토양에서 잘 자라며, 열매는 야자술을 달게 하는 데 사용되거나 다양한 음식의 감미료로 활용된다. 미국에서는 수입이 금지되었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규제가 다르며, 한국에서는 관련 법규 및 규제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2년 기재된 식물 - 나비난초
나비난초는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깊은 산 속에서 자라며 붉은 자색 꽃을 피우고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특히 일본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품종 개량이 활발한 식물이다. - 1852년 기재된 식물 - 실부추
높이 30~50cm의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인 실부추는 실처럼 가는 잎과 9~10월에 피는 홍자색 꽃이 특징이며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고 건조한 산지 경사면에서 자라며 전초는 식용으로 사용된다. - 스타애플아과 - 루쿠마
루쿠마는 에콰도르와 페루 안데스 산맥 원산의 상록수로, 열매는 익으면 밤색 또는 노란색을 띠며 독특한 풍미를 가진다. - 스타애플아과 - 아비우
아비우는 아마존 상류 유역이 원산지인 열대 과일 나무로, 최대 35m까지 자라며 타원형 잎과 흰색 또는 녹색 꽃을 피우고, 익으면 밝은 노란색 껍질과 크림 같은 과육을 가진 달콤한 열매를 맺으며 식용 및 건축용으로 사용된다. - 가봉의 식물상 - 키와노
키와노는 아프리카 원산의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타원형 열매로, 젤리 형태의 과육은 독특한 맛을 가지며, 식용, 관상용, 접목 대목으로 사용된다. - 가봉의 식물상 - 기름야자
기름야자는 열매와 씨앗에서 팜유와 팜핵유를 얻는 열대 식물이며, 식용유 및 공업용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재배 과정에서 환경적, 사회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미라클프루트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Synsepalum dulcificum |
이명 | Bakeriella dulcifica (Schumach. & Thonn.) Dubard Bumelia dulcifica Schumach. & Thonn. Pouteria dulcifica (Schumach. & Thonn.) Baehni Richardella dulcifica (Schumach. & Thonn.) Baehni Sideroxylon dulcificum (Schumach. & Thonn.) A.DC. Synsepalum glycydora Wernham |
과 | 사포테과 |
속 | 풀크리코속 |
분포 지역 | 서아프리카 |
특징 | |
열매 | 맛을 변화시키는 당단백질인 미라쿨린을 함유하고 있다. |
활용 | |
용도 | 당뇨병 환자를 위한 대체 감미료 항암 치료 환자의 미각 변화 개선 체중 감량 보조 요리 실험 |
2. 역사
이 열매는 서아프리카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요루바족 식단의 일부였다.[7] 18세기부터 적어도 유럽 탐험가인 슈발리에 데 마르셰가 그곳에서의 사용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면서 외부인들도 이 과일에 대해 알게 되었다. 1725년의 여행에서 다양한 과일을 찾아 서아프리카를 탐험하던 데 마르셰는 현지인들이 덤불에서 열매를 따서 식사 전에 씹는 것을 발견했다.
미라클프루트는 pH 4.5~5.8의 약산성 토양, 서리가 없고 습도가 높은 부분적인 그늘에서 잘 자란다. 가뭄, 햇볕, 경사지에 대한 내성이 있다.[5] 씨앗은 발아하는 데 14~21일이 걸리며, 식물 간 간격은 4m가 권장된다.[5] 약 3~4년 자란 후 처음 열매를 맺으며,[5] 우기가 끝난 후 연간 두 번 수확한다.
1980년대 미국에서는 이 과일이 열량 소모 없이 단맛이 없는 음식을 단맛으로 느끼게 해주는 능력 때문에 상업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식품의약국에서 이 열매를 식품 첨가물로 분류하고 안전성에 대한 증거를 요구하면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8][12][13]
3. 특징
미라클 프루트는 키가 1.8m~4.5m까지 자라고 잎이 무성한 관목이다.[16][17] 잎은 길이가 5cm~10cm이고 폭은 2cm~3.7cm이며, 아래쪽은 매끄럽다. 잎은 잔가지 끝에 뭉쳐서 난다. 꽃은 흰색이다. 열매는 붉은색이며, 길이는 2cm이다. 각 열매에는 씨가 하나 들어 있다.[5]
미라클 프루트 나무는 상록수이며, 커피콩 정도 크기의 작은 붉은 열매를 맺는다. 나무는 현지에서는 6m 이상 자라지만, 다른 곳에서 재배된 것은 대부분 1.5m에 미치지 못한다. 꽃은 하얗고, 여러 달에 걸쳐 개화한다. 열매는 일 년에 두 번, 우기 후에 수확할 수 있다.
미라클 프루트 자체는 달지 않지만, 여러 개의 당쇄를 가진 특수한 당단백질인 미라클린을 함유하고 있다. 이 열매를 먹으면 (그때, 과육을 혀에 문지르듯이 하면 좋다) 미라클린 분자가 혀의 미뢰에 결합하여, 다음에 먹는 쓴맛이나 신맛이 있는 음식(레몬, 라임 등) 및 약물을 달게 느끼게 한다. 이 효과는 30분에서 2시간 정도 지속된다. 미라클린 자체는 감미료가 아니며, 느껴지는 단맛은 후속 음식에 따라 달라진다.
4. 재배
이 상록수는 작은 붉은 열매를 생산하며, 흰색 꽃은 일년 중 여러 달 동안 핀다. 씨앗은 커피콩 크기 정도이다.
아프리카에서는 잎이 나비목 유충의 공격을 받으며, 열매는 파리 유충에 의해 감염된다. ''Rigidoporus microporus''라는 곰팡이가 이 식물에서 발견되었다.[5]
유전자 변형 토마토 식물은 미라큘린을 생산하는 연구 프로젝트에서 개발되었다.[18][19]
4. 1. 한국에서의 재배 현황
미라클프루트는 pH 4.5에서 5.8 사이의 토양에서 가장 잘 자라며, 서리가 없고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잘 자란다. 씨앗은 발아하는 데 14~21일이 걸리며, 식물 간 간격은 4m가 권장된다.[5] 약 3~4년 자란 후 처음 열매를 맺으며,[5] 우기가 끝난 후 연간 두 번 수확한다.
한국에서는 일부 농가에서 미라클프루트를 소규모로 시험 재배하고 있다. 대부분 비닐하우스 등의 시설 재배를 통해 온습도를 조절하며, 재배 기술 및 병충해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5. 활용
요루바족의 식단에 포함되었던 미라클프루트는 열대 서아프리카에서 야자술을 달게 하거나 신맛 나는 옥수수빵의 풍미를 개선하는 데 사용되었다.[20][21] 1725년 탐험가 슈발리에 데 마르셰는 현지인들이 식사 전에 이 과일을 따서 씹는 것을 보고 그 존재를 알게 되었다.
1980년대 미국에서는 열량 소모 없이 단맛이 없는 음식을 단맛으로 느끼게 하는 능력 때문에 상업화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식품의약국에서 이 열매를 식품 첨가물로 분류하고 안전성에 대한 증거를 요구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8][12][13] 1970년대 한동안 미국에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미라쿨린 알약을 구입할 수 있었다.[14] 미라클프루트는 맥주, 칵테일, 식초, 피클 등 다양한 음료와 음식의 감미료 및 향료로 사용되어 왔다.[22]
5. 1. 한국에서의 활용
미라클프루트는 당뇨병 환자를 위한 인공 감미료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1] 그러나 미라클린은 1974년에 미국 식품의약국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 지정되었고,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 자금과 오랜 기간의 안전성 검증이 필요했다.[1]6. 규제
1980년대 미국에서는 미라클프루트가 열량 소모 없이 단맛을 느끼게 하는 능력 때문에 상업화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미라클프루트를 식품 첨가물로 분류하고 안전성에 대한 증거를 요구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8][12][13] 1970년대 미국에서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은 미라쿨린 알약을 구입하기도 했다.[14]
2011년부터 미국 FDA는 원산지인 대만에서 ''Synsepalum dulcificum''(미라쿨린 명시) 수입을 금지하고, "불법 미신고 감미료"로 선언했다. 그러나 이 금지 조치는 다른 국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23] 2021년에는 스페인의 Baïa Food Co.가 말린 미라클 베리를 EU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다.[24]
6. 1. 한국에서의 규제 현황
현재 한국에서 미라클프루트 및 미라클린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규제는 없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미라클프루트를 식품 원료로 인정하고 있지 않다. 향후 안전성 평가 및 관련 연구 결과에 따라 규제가 마련될 가능성이 있다.7. 의미
일반적으로 과일이 단맛을 내는 것은 동물이 과일을 먹고 씨앗을 퍼뜨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먹히는 과육이나 포함된 당분 등은 식물에게는 손실이지만, 이는 종자 산포를 위한 투자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종자 산포가 이루어진다면, 이러한 투자가 적을수록 유리하다.
그러한 관점에서 미라클프루트를 보면, 과실에는 당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먹은 후에 다른 것을 먹을 때 단맛을 느낄 수 있다. 즉, 미라클프루트는 다른 과일이 자신에게 투자해야 할 것을 자신의 종자 산포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참조
[1]
간행물
"''Synsepalum dulcificum''"
2023-01-16
[2]
웹사이트
"''Synsepalum dulcificum'' (Schumach. & Thonn.) Daniel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03-06
[3]
서적
World Economic Plants: A Standard Reference
https://books.google[...]
CRC Press
[4]
서적
"Mansfeld's encyclopedia of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crops"
https://books.google[...]
Springer
[5]
서적
CRC handbook of alternative cash crops
https://books.google[...]
CRC Press
[6]
서적
A Profile of economic plants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7]
저널
Yoruba F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1-01
[8]
웹사이트
Ancient Berry, Modern Miracle: The Sweet Benefits of Miracle Fruit
http://www.thefoodpa[...]
thefoodpaper.com
2009-08-20
[9]
뉴스
Miracle berry lets Japanese dieters get sweet from sour
https://www.theguard[...]
2008-05-28
[10]
저널
Human sweet taste receptor mediates acid-induced sweetness of miraculin
[11]
뉴스
Miracle fruit turns sour things sweet
http://www.cnn.com/2[...]
CNN
2009-03-25
[12]
뉴스
Sweet and sour tale of the miracle berry
http://www.theweek.c[...]
The Week
2011-10-31
[13]
뉴스
The miracle berry
http://news.bbc.co.u[...]
BBC
2008-05-28
[14]
뉴스
Super Lettuce Turns Sour Sweet
https://www.wired.co[...]
Wired Magazine
2008-07-22
[15]
뉴스
A Tiny Fruit That Tricks the Tongue
https://www.nytimes.[...]
2008-05-28
[16]
저널
Taste Modifiers, Taste-Modifying Properties of Miracle Fruit (Synsepalum Dulcificum)
[17]
저널
Tropical plants with unusual taste properties
[18]
저널
Production of Recombinant Miraculin Using Transgenic Tomatoes in a Closed Cultivation System
[19]
저널
Genetically stable expression of functional miraculin, a new type of alternative sweetener, in transgenic tomato plants
[20]
서적
Medicinal plants in tropical West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서적
Plant inventory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2]
웹사이트
A Tiny Fruit That Tricks the Tongue
https://www.nytimes.[...]
2016-05-17
[23]
웹사이트
"''Synsepalum dulcificum'' Import Alert 45-07; Taiwan"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8-02-09
[24]
웹사이트
Baïa Food eyes 'untapped' potential of 'Dried Miracle Berries' in sugar reduction after Novel Foods approval
https://www.foodnavi[...]
2021-06-15
[25]
문서
コリン・リズデイル、ジョン・ホワイト、キャロル・アッシャー 著、杉山明子、清水晶子 訳『知の遊びコレクション 樹木』新樹社、2007年、320頁。{{ISBN2|978-4-7875-8556-1}}
[26]
저널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aumatin I and II, the sweet‐tasting proteins from Thaumatococcus daniellii Benth
[27]
서적
Alternative Sweeteners
CRC Press
[28]
문서
World Economic Plants: A Standard Reference,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29]
웹인용
"''Synsepalum dulcificum'' (Schumach. & Thonn.) Daniell"
http://www.theplantl[...]
2012-03-26
[30]
웹인용
"''Synsepalum dulcificum'' (Schumach. & Thonn.) Daniell"
http://www.plantsoft[...]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06-06
[31]
문서
Daniell, William Freeman. Pharmaceutical Journal and Transactions 11: 445. 1852.
[32]
웹인용
"''Synsepalum dulcificum'' (Schumach.) Daniell"
https://npgsweb.ars-[...]
2017-09-19
[33]
저널
[34]
뉴스
http://news.heraldco[...]
2012-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