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모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모사(Mimosa pudica)는 1753년 칼 린네가 처음 기술한 콩과 식물로, 라틴어로 '수치심'을 뜻하는 종명처럼 외부 자극에 잎이 닫히는 특징을 보인다.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민감한 식물', '부끄러운 식물' 등으로 불리며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줄기는 가늘고 가시가 있으며, 잎은 우상 복엽으로 여름철에 연분홍색 또는 보라색 꽃이 핀다. 잎의 움직임은 지진운동으로 불리며, 자극에 의해 잎받침의 팽압 변화로 잎이 닫히고, 질소 고정 능력을 통해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미모신과 같은 화학 성분을 포함하며, 농업적으로는 잡초로 작용하거나, 토양 정화 기술에 활용될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잎의 움직임과 기억 능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열대구의 식물상 - 붉은용과
붉은용과는 니카라과에서 페루 북부까지 자생하며 붉은색 열매와 자주색 과육을 가진 덩굴성 식물로, 식용으로 재배가 용이하며 분류학적 위치가 재정립되었으나 종 내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신열대구의 식물상 - 담배 (종)
담배(종)은 가지과 담배속의 한해살이풀로, 흡연용 잎담배의 주요 재배종이며, 니코틴을 함유한 잎은 담배나 시가의 원료로 사용되고, 잘못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 실거리나무아과 - 카시아속
카시아속은 다양한 기후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포함하는 속으로, 많은 종이 다른 속으로 이동되었지만, 관상용, 산림 복구, 사막화 방지 등에 활용되며, 일부 종은 전통 의학이나 요리에도 사용되나 독성이 있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 한국에서는 카시아를 찾아볼 수 있다. - 실거리나무아과 - 소목 (식물)
소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심재와 협에서 적색 염료인 브라질린을 얻을 수 있으며, 가지에 가시가 있고 노란색 꽃이 피며, 소목색 염료 및 한방 약재로 사용된다. - 실내용화초 - 봉술
봉술은 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뿌리줄기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인도네시아와 태국 요리에 활용되고 한의학에서는 봉출이라는 약재로, 전통 의학에서는 염증, 통증, 피부 질환 등에 사용되었으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비누 제조 등에 사용된다. - 실내용화초 - 팔손이
팔손이는 7~9개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 잎이 특징인 두릅나무과 상록 관목으로, 남부 해안가에서 자생하며 관상용 및 약재로 사용되고, 통영 비진도의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미모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imosa pudica L. |
일반명 | 오지기소우 네무리그사 |
영명 | sensitive plant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군 |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콩목 |
과 | 콩과 |
아과 | 네무노키아과 |
속 | 오지기소우속 |
분포 및 서식 | |
원산지 | 열대 아메리카 |
분포 지역 |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 |
서식지 | 길가, 빈터, 습지 등 |
특징 | |
형태 | 여러해살이풀 |
크기 | 높이 30~50cm |
잎 | 깃꼴겹잎, 작은잎은 건드리면 오므라듦 |
꽃 | 둥근 모양의 두상화서, 분홍색 또는 보라색 |
열매 | 꼬투리, 마디마다 꺾어짐 |
생태 | |
특징적인 움직임 | 잎이 접히는 현상은 털의 기저에 있는 세포의 팽압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
반응 원인 | 접촉, 온도 변화, 빛의 강도 변화 |
활용 | |
관상용 | 화분에 심어 관상용으로 재배 |
약용 | 전통 의학에서 뿌리, 잎, 줄기 등을 약재로 사용 |
기타 정보 | |
IUCN Red List | LC (관심 필요) |
외래종 정보 |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에 등재됨. |
2. 분류
''미모사 푸디카(Mimosa pudica)''는 1753년 칼 린네가 ''종의 식물(Species Plantarum)''에서 처음으로 공식 기술하였다.[8] 종명 pudicala는 라틴어로 수치심, 부끄러움, 또는 수축을 의미하며, 접촉에 대한 수축 반응을 나타낸다.
어린 미모사 줄기는 곧게 서 있지만, 자라면서 점차 기거나 늘어진다. 줄기는 가늘고 가지가 많으며, 빽빽하게 가시가 있다. 잎은 깃꼴겹잎으로, 1~2쌍의 깃과 깃당 10~26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 잎자루에도 가시가 있다. 여름철에 잎겨드랑이에서 연분홍색 또는 보라색의 두상화가 핀다. 꽃은 매우 연약하며 하루를 채 넘기지 못하고 죽는다. 꽃은 충매화이자 풍매화이며,[9] 열매는 2~8개의 꼬투리 묶음으로 구성된다. 각 꼬투리는 2~5개의 조각으로 갈라지며 옅은 갈색 씨앗을 포함한다.
미모사(''Mimosa pudica'')는 외부 자극에 대한 잎의 빠른 움직임이 특징인데, 이를 지진운동이라고 한다.[14] 잎은 따뜻하게 하거나, 만지거나, 불거나, 흔드는 등 여러 방식으로 자극을 받으면 닫히는데, 이는 포식자를 억제하거나 증발로 인한 물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
이 종은 민감한 식물, 행동 식물, 겸손한 식물, 부끄러운 식물, 접촉 금지 등 다양한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4][2]
3. 형태
4. 생태
잎이 처지게 하는 주요 구조는 잎받침이다. 자극은 자극된 작은 잎에서 잎의 부풀어 오른 기저부(잎받침)를 거쳐 활동 전위를 통해 잎의 가지를 따라 뻗어 있는 다른 작은 잎의 잎받침으로 전달된다. 그런 다음 활동 전위는 잎자루로 전달되고, 마지막으로 잎이 줄기에 부착되는 잎자루 끝에 있는 큰 잎받침으로 전달된다. 잎받침 세포는 세포 안팎으로 이동하는 물 때문에 팽압을 얻고 잃으며, 여러 이온 농도가 물 이동 조절에 역할을 한다.
미모사의 잎은 파리지옥의 감각 털과 유사하게 촉각에 과민하다.[14] 이러한 촉각 감지 기능에 따라, 기계적 감각 채널과 연결된 기계수용기가 있어 탈분극을 일으키고 활동 전위(AP)를 시작한다.
잎은 짝수 깃털 모양 겹잎으로, 접촉, 열, 바람, 진동과 같은 자극에 의해 작은 잎이 선단에서부터 한 장씩 순서대로 닫히고, 마지막에는 잎 전체가 약간 아래로 처진다. 이 운동은 Thigmonasty|접촉 굴성 운동영어이라고 불린다.[51] 이러한 안으로 접히는 움직임은 식물에게 에너지 소모가 크며 광합성 과정도 방해한다.[15]
미모사가 자극을 받으면 줄기의 특정 부위에서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이 방출되어 0.1초 후에 잎이 운동한다.[52] 칼륨 이온은 액포에서 물을 배출시키고, 물은 세포 밖으로 확산되어 잎이 닫히고 잎자루가 수축한다. 다시 잎이 열리는 데에는 약 30분 정도 걸린다.[53]
2022년, 사이타마 대학 등의 연구팀은 잎이 움직여서 미모사처럼 반응하는 것은 메뚜기의 식해에 대한 방어라고 밝혔다.[55][52]
미모사는 뿌리에 공생하는 질소 고정 박테리아 덕분에 대기 중 질소를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꿀 수 있다.[27] 질소는 엽록소의 구성 성분이자 식물의 성장과 번식에 필수적인 요소로, 광합성에도 꼭 필요하다.[34] 미모사에서 발견되는 질소의 최대 60%는 박테리아에 의한 질소 고정으로 얻어진다.[12]
응애와 미모사 애벌레는 ''미모사''의 천적이다. 이들은 잎을 거미줄로 덮어 잎의 반응성 폐쇄를 방해하며, 거미줄에 덮인 잎은 공격받은 후 갈색으로 변한다.[21]
4. 1. 분포 및 서식지
미모사(''Mimosa pudica'')는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태국, 인도, 네팔, 인도네시아, 대만,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일본, 스리랑카 등 아시아 국가에서도 발견된다. 탄자니아, 남부 및 동남아시아, 많은 태평양 섬에서 침입종으로 간주되며, 다른 많은 지역에도 도입되었다.[16] 오스트레일리아 일부 지역에서도 침입종으로 간주되며, 노던 준주와 서호주에서는 유해 식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귀화되지는 않았다.[18] 퀸즐랜드에서는 관리가 권장된다.[19]
또한 우간다, 가나, 나이지리아, 세이셸, 모리셔스, 동아시아에도 도입되었지만, 그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간주되지 않는다.[16] 미국에서는 루이지애나, 플로리다, 하와이, 테네시, 버지니아, 메릴랜드, 푸에르토리코, 텍사스, 앨라배마, 미시시피, 노스캐롤라이나, 조지아, 괌,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에서 자란다.[20]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전 세계에 귀화했다.[50] 일본에서는 귀화 식물로 오키나와에서 야외 번식을 하고 있으며,[50] 에도 시대 후기에 네덜란드 선박에 의해 일본으로 반입되었다고 한다.
4. 2. 생리적 특성
미모사는 외부 자극에 대한 잎의 빠른 움직임이 특징이다. 잎은 따뜻하게 하거나, 만지거나, 불거나, 흔드는 등 여러 방식으로 자극을 받으면 닫히는데, 이는 모두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자극에 포함된다. 이러한 유형의 움직임을 지진운동이라고 한다.[14] 이는 포식자를 억제하거나, 증발로 인한 물 손실을 줄이기 위해 식물을 그늘지게 하는 방어 메커니즘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
미모사는 뿌리에 공생하는 질소 고정 박테리아 덕분에 대기 중 질소를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꿀 수 있다. 뿌리혹을 형성하여 질소 고정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27] 질소는 엽록소의 구성 성분이자 식물의 성장과 번식에 필수적인 요소로, 광합성에도 꼭 필요하다.[34] 질소 고정은 식물과 식물 뿌리 주변의 토양에 질소를 공급한다.[34] 미모사에서 발견되는 질소의 최대 60%는 박테리아에 의한 질소 고정으로 얻어진다. Burkholderia ''phymatum'' STM815T 와 Cupriavidus ''taiwanensis'' LMG19424T는 미모사와 결합하여 질소를 고정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디아조트로프의 베타-라이조비알 균주이다. Burkholderia는 세라도와 카팅가와 같이 질소가 부족한 토양에서 미모사의 강력한 공생체로 밝혀졌다.[12]
응애와 미모사 애벌레는 ''미모사''의 천적이다. 이들은 잎을 거미줄로 덮어 잎의 반응성 폐쇄를 방해하며, 거미줄에 덮인 잎은 공격받은 후 갈색으로 변한다.[21] 미모사 애벌레는 두 세대에 걸쳐 발생하므로, 살충제를 적절한 시기에 사용해야 한다.[22] 유충이 강철 회색 나방이 되면 식물에 해롭지 않지만, 더 많은 알을 낳는다.[22]
4. 2. 1. 잎의 움직임
미모사의 가장 큰 특징은 외부 자극에 대한 잎의 빠른 움직임이다. 잎은 따뜻하게 하거나, 만지거나, 불거나, 흔드는 등 여러 방식으로 자극을 받아도 닫히는데, 이는 모두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자극에 포함된다. 이러한 유형의 움직임을 지진운동이라고 한다.[14] 이러한 반응은 포식자를 억제하거나, 증발로 인한 물 손실을 줄이기 위해 식물을 그늘지게 하는 방어 메커니즘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
잎이 처지게 하는 주요 구조는 잎받침이다. 자극은 자극된 작은 잎에서 잎의 부풀어 오른 기저부(잎받침)를 거쳐 활동 전위를 통해 잎의 가지를 따라 뻗어 있는 다른 작은 잎의 잎받침으로 전달된다. 그런 다음 활동 전위는 잎자루로 전달되고, 마지막으로 잎이 줄기에 부착되는 잎자루 끝에 있는 큰 잎받침으로 전달된다. 잎받침 세포는 세포 안팎으로 이동하는 물 때문에 팽압을 얻고 잃으며, 여러 이온 농도가 물 이동 조절에 역할을 한다.
미모사의 잎은 파리지옥의 감각 털과 유사하게 촉각에 과민하다.[14] 방어 또는 영양 유지와 같은 작업에 사용되는 촉각 감지 기능에 따라, 이러한 부분에는 촉각 자극 시 칼슘 이온과 간접적으로 상대적인 음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기계적 감각 채널과 연결된 기계수용기가 있어 탈분극을 일으키고 활동 전위(AP)를 시작한다. 또한 과분극과 팽압 형성을 촉진하는 전압 감지 칼륨 채널도 있다. 이러한 민감한 식물은 동물에서 보이는 것과 유사한 올-오어-낫형 AP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안으로 접히는 움직임은 식물에게 에너지 소모가 크며 광합성 과정도 방해한다.[15]
잎은 짝수 깃털 모양 겹잎으로, 접촉, 열, 바람, 진동과 같은 자극에 의해 작은 잎이 선단에서부터 한 장씩 순서대로 닫히고, 마지막에는 잎 전체가 약간 아래로 처진다. 이 일련의 운동은 순식간에 몇 초 만에 일어난다. 이 운동은 특정 부위의 세포가 팽압(세포의 액포 속의 물이나 다른 내용물에 의해 세포벽에 걸리는 힘)을 잃음으로써 일어난다. 이러한 운동을 Thigmonasty|접촉 굴성 운동영어이라고 부른다.[51]
미모사가 자극을 받으면 줄기의 특정 부위에서 칼슘 이온을 포함하는 화학 물질이 방출된다. 이 화학 물질이 잎의 뿌리 부분인 잎자루에 도달하면 0.1초 후에 잎이 운동한다.[52] 칼륨 이온은 액포에서 물을 배출시키고, 물은 세포 밖으로 확산된다. 이로 인해 세포의 압력이 없어지고 수축하며, 이 다른 부위 간의 팽압 차이에 의해 잎이 닫히고 잎자루가 수축한다. 이러한 특징은 콩과의 네프로레피스아과 내에서 매우 일반적이다. 자극은 근처의 잎에도 전달된다.
다시 잎이 열리는 데에는 닫힌 후 약 30분 정도 걸린다.[53]
왜 미모사가 이 특성을 진화시켰는지는 불분명하다. 다른 네프로레피스류와 마찬가지로, 잎은 밤이 되면 잎을 닫고 처진다.[54] 이를 수면 운동이라고 한다.
2022년, 사이타마 대학 등의 연구팀은 잎이 움직여서 미모사처럼 반응하는 것은 메뚜기의 식해에 대한 방어라고 밝혔다.[55][52]
4. 2. 2. 질소 고정
미모사 푸디카는 뿌리에 공생하는 질소 고정 박테리아 덕분에 대기 중 질소를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질소 고정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도록 미모사 푸디카는 뿌리혹을 형성한다.[27] 질소는 식물이 성장하고 번식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엽록소의 구성 성분이기도 하여 광합성에도 꼭 필요하다.[34] 질소 고정은 식물과 식물 뿌리 주변의 토양에 질소를 공급한다.[34]
질소 고정은 원래 박테리아와 식물 사이의 기생 관계를 상호 공생 관계로 변화시킨 적응 형질이다. 이러한 관계 변화는 미모사 푸디카와 박테리아 모두에서 다양한 공생 특성 개선으로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경쟁적 혹 형성, 혹 발달, 세포 내 감염 및 박테로이드 지속성" 등이 포함된다.[28]
미모사 푸디카에서 발견되는 질소의 최대 60%는 박테리아에 의한 질소 고정으로 얻어진다. Burkholderia ''phymatum'' STM815T 와 Cupriavidus ''taiwanensis'' LMG19424T는 미모사 푸디카와 결합하여 질소를 고정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디아조트로프의 베타-라이조비알 균주이다. Burkholderia는 세라도와 카팅가와 같이 질소가 부족한 토양에서 미모사 푸디카의 강력한 공생체로 밝혀졌다.[12]
4. 2. 3. 천적
응애와 미모사 애벌레는 ''미모사 푸디카''의 천적이다. 이들은 잎을 거미줄로 덮어 잎의 반응성 폐쇄를 방해한다. 거미줄에 덮인 잎은 공격받은 후 갈색으로 변한다.[21] 미모사 애벌레는 두 세대에 걸쳐 발생하므로, 살충제를 적절한 시기에 사용해야 한다.[22] 유충이 강철 회색 나방이 되면 식물에 해롭지 않지만, 더 많은 알을 낳는다.[22]
5. 화학적 성분
미모사 푸디카는 독성 알칼로이드인 미모신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미모사 추출물은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 유충을 1시간 안에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30] 뿌리의 수성 추출물은 안경뱀(타이코브라)(''Naja kaouthia'') 독의 치사율을 상당히 줄여주는 중화 효과를 보였으며,[31] 뱀독의 근육 독성 및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미모사는 항산화 및 항균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염수 새우 치사 시험에서 무독성으로 나타나 낮은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화학 분석 결과, 미모사는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C-글리코사이드, 스테롤, 테르페노이드, 탄닌, 사포닌 및 지방산 등 다양한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2][33] 뿌리에는 최대 10%의 탄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에서는 아드레날린과 유사한 물질이 발견되었다. 씨앗은 글루쿠론산과 자일로스로 구성된 점액질을 생성한다. 또한 미모사 추출물에는 크로세틴-디메틸에스터, 튜불린 및 녹황색 지방 오일이 함유되어 있으며, 새로운 식물 호르몬인 터고린(gallic acid 4-''O''-(β-D-glucopyranosyl-6'-sulfate)의 유도체)도 발견되었다.[11]
뿌리에는 SO2, 메틸설핀산, 피루브산, 젖산, 에탄설핀산, 프로판 설핀산, 2-메르캅토아닐린, S-프로필 프로판 1-티오설피네이트, 그리고 티오포름알데히드를 포함한 유기 및 유기황 화합물을 방출하는 주머니 모양의 구조가 있다.[35]
6. 인간과의 관계
미모사는 독특한 잎의 움직임 덕분에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11] 농업적으로는 열대 지역에서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잡초로 여겨지기도 하지만,[9] 토양의 질소와 칼륨 함량을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역할도 한다.[24] 미모사는 질소 고정 박테리아와의 공생 관계를 통해 대기 중 질소를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하며,[27][28] 이는 식물 성장과 토양 개선에 기여한다. 오염된 토양에서 중금속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어 식물 정화 기술에 활용될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25][26]
미모사의 잎 움직임은 식물 생리학 연구에서 중요한 모델로 사용되어 왔다.[14] 잎은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닫히는 지진운동을 보이는데,[14] 이는 포식자를 억제하거나 수분 손실을 줄이는 방어 메커니즘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14] 빌헬름 페퍼를 비롯한 여러 과학자들이 미모사를 이용해 식물의 습관화, 학습 능력, 기억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36][47] 최근 연구에서는 미모사의 빠른 움직임이 칼슘 이온(Ca2+) 및 전기 신호와 관련되어 있으며, 곤충의 공격에 대한 방어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2] 사이타마 대학 등의 연구팀은 잎의 움직임이 메뚜기의 식해(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을 갉아 먹는 것)에 대한 방어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55][52]
6. 1. 재배
미모사는 독특한 잎의 움직임 덕분에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온대 지역에서는 주로 실내에서 한해살이풀로 재배하며, 번식은 씨앗을 통해 이루어진다. 미모사는 배수가 잘 되는 척박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햇빛을 좋아하고 추위에 약하다. 기온이 13°C 이하로 떨어지는 온대 지역에서는 보호 아래에서 재배해야 한다.[11]6. 2. 농업적 영향
미모사 푸디카는 열대 지역에서 옥수수, 코코넛, 토마토, 목화, 커피, 바나나, 콩, 파파야, 사탕수수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잡초로 간주될 수 있다.[9] 건조한 덤불은 화재의 위험을 높이기도 한다.[9] 하와이 품종은 가축에게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23]하지만 미모사 푸디카는 토양의 질소와 칼륨 함량을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역할도 한다.[24] 특히, 질소 고정 박테리아가 있는 환경에서는 뿌리혹을 형성하여 대기 중 질소를 식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전환한다.[27] 이는 콩과 식물의 특징으로, 질소는 식물 성장과 광합성에 필수적인 엽록소의 구성 성분이다.[34] 질소 고정은 식물과 토양에 질소를 공급하여 식물과 박테리아 간의 관계를 공생 관계로 만든다.[28] 미모사 푸디카에서 발견되는 질소의 최대 60%는 박테리아에 의한 질소 고정으로 인한 것이다.[12] ''Burkholderia phymatum'' STM815T 와 ''Cupriavidus taiwanensis'' LMG19424T는 미모사 푸디카와 결합하여 질소를 고정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균주이다.[12]
또한, 미모사 푸디카는 오염된 토양에서 중금속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어 식물 정화 기술에 활용될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25][26] 태국 자생 식물 36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미모사 푸디카는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잎에 생물 농축하는 4종의 식물 중 하나였다.[25] 다른 연구에서는 미모사 푸디카가 구리, 납, 주석, 아연 등의 중금속을 추출하여 토양을 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26]
미모사 푸디카는 배수가 잘 되고 영양분이 적은 토양에서 잘 자라며, 토양 교란이 있는 지역에 잘 정착한다.[11] 음지와 추위에 약하므로 빛이 적거나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생존하기 어렵다.[11]
6. 3. 연구
미모사 푸디카의 잎 움직임은 식물 생리학 연구에서 중요한 모델로 사용되어 왔다. 잎은 따뜻하게 하거나, 만지거나, 불거나, 흔드는 등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여 닫히는데, 이를 지진운동이라고 한다. 이러한 반응은 포식자를 억제하거나 증발로 인한 물 손실을 줄이는 방어 메커니즘으로 진화했을 수 있다.[14] 잎이 처지게 하는 주요 구조는 잎받침이며, 자극은 활동 전위 형태로 전달된다. 미모사의 잎은 파리지옥의 감각 털과 유사하게 촉각에 매우 민감하며, 기계수용기와 전압 감지 칼륨 채널이 관여한다.[14] 이러한 움직임은 식물에게 에너지 소모가 크며 광합성 과정을 방해한다.[15]19세기 독일 식물학자 빌헬름 페퍼는 미모사를 이용하여 식물의 습관화 현상을 연구했다.[36] 1965년에는 미모사가 물방울과 손가락 접촉을 구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36] 전기 신호 실험에서는 1.3~1.5 볼트 및 2~10 μC의 전하가 잎을 닫히게 하는 임계값으로 작용했다.[37] 2017년에는 미모사를 파리지옥에 연결하여 활동 전위를 발생시키면 두 식물 모두 반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8]
동물 마취제가 미모사의 운동 기관에 마취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39] 미모사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당뇨병 및 항고지혈증 활성을 보였다.[40] 2018년에는 공기 분사를 이용하여 미모사를 제어 가능한 2색 디스플레이로 활용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41]
2022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손상된 미모사 푸디카에서 빠른 움직임이 칼슘 이온(Ca2+)의 급격한 변화와 활동 전위 및 변동 전위와 결합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세포질 Ca2+ 역학을 방해하면 미모사 푸디카가 초식 곤충의 공격에 더 취약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Ca2+ 및 전기 신호 전파에 기반한 빠른 움직임이 곤충의 초식에 대한 식물의 방어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42]
모니카 갈리아노의 연구에 따르면, 미모사는 습관화 현상을 보이며, 반복적인 자극에 반응을 멈추는 학습 능력을 가지고 있다.[47] 이는 식물이 해롭지 않은 자극을 걸러내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저조도 환경에서 자란 미모사가 고조도 환경에서 자란 식물보다 더 빠른 학습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45][46] 이는 저조도 환경에서 에너지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한 적응 결과로 해석된다.
식물은 중추 신경계가 없기 때문에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 방식은 명확하지 않다. 미모사의 기억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이 제시되었는데, 하나는 칼모듈린 단백질과 칼슘 이온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기 신호 발생이고, 다른 하나는 식물 세포가 이온 채널을 통해 신경 세포와 유사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47]
2022년, 사이타마 대학 등의 연구팀은 잎의 움직임이 메뚜기의 식해(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을 갉아 먹는것)에 대한 방어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55][52]
참조
[1]
iucn
"''Mimosa pudica''"
2012
[2]
GRIN
2008-03-27
[3]
서적
Biology of Plants
"[[W. H. Freeman and Company]]"
2005-01
[4]
뉴스
Plants Remember You if You Mess With Them Enough
https://www.nytimes.[...]
2016-03-28
[5]
웹사이트
"''Mimosa pudica''"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4-04
[6]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07
[7]
웹사이트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http://www.iucngisd.[...]
2018
[8]
APNI
[9]
웹사이트
"''Mimosa pudica'' L."
http://www.fs.fed.us[...]
US Forest Service
[10]
간행물
Germination, emergence, and dormancy of Mimosa pudica
[11]
간행물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Overview on Mimosa Pudica Linn
2011
[12]
간행물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by Mimosa spp. in the Cerrado and Caatinga Biomes of Brazil
http://www.alice.cnp[...]
2010
[13]
간행물
Cytotaxonomic studies in the Leguminosae
[14]
서적
What a Plant Knows: A Field Guide to the Senses
http://worldcat.org/[...]
Farrar, Straus and Giroux
2020-10-06
[15]
간행물
Leaf-folding response of a sensitive plant shows context-dependent behavioral plasticity
2014
[16]
웹사이트
Mimosa pudica
http://www.tropical-[...]
Tropical Biology Association
[17]
웹사이트
Declared Weeds
http://www.nt.gov.au[...]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18]
웹사이트
Sensitive plant common (Mimosa pudica)
http://agspsrv95.agr[...]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19]
웹사이트
Common Sensitive Plant
http://www.dpi.qld.g[...]
Biosecurity Queensland
[20]
문서
Distribution of ''Mimosa pudica''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plants.usda.g[...]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1]
서적
Spider Mites of El Salvador, Central America
http://www.nhm.ac.uk[...]
Florida Entomologist
1980
[22]
웹사이트
Mimosa Webworm
https://extension.en[...]
Purdue University
[23]
웹사이트
"''Mimosa pudica''"
http://www.hear.org/[...]
1999-01-01
[24]
간행물
Changes i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enzyme activities and soil microbial communities under Mimosa pudica invasion
2015
[25]
간행물
The potential of Thai indigenous plant species for the phytoremediation of arsenic contaminated land
2002-08
[26]
간행물
Heavy metals accumulation in plants growing in ex tin mining catchment
http://www.bioline.o[...]
2011-03-01
[27]
서적
Associative and endophytic nitrogen-fixing bacteria and cyanobacterial associ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8]
간행물
Shaping Bacterial Symbiosis With Legumes by Experimental Evolution
2014
[29]
간행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imosine in ovarian cancer
http://meeting.ascop[...]
2005
[30]
간행물
Inactivation of ''Strongyloides stercoralis'' filariform larvae in vitro by six Jamaican plant extracts and three commercial anthelmintics
[31]
간행물
Neutralisation of lethality, myotoxicity and toxic enzymes of ''Naja kaouthia'' venom by ''Mimosa pudica'' root extracts
2001-04
[32]
간행물
Comparative Bioactivity Studies on Two Mimosa Species
2008
[33]
간행물
Antidiabetic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a methanolic extract of Mimosa pudica (Fabaceae) in diabetic rats, Egyptian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ciences
2019
[34]
간행물
Natural Abundance of 15N and 13C in Nodulated Legumes and Other Plants in the Cerrado and Neighbouring Regions of Brazil
1996
[35]
간행물
Mechanosensitivity Below Ground: Touch-Sensitive Smell-Producing Roots in the "Shy Plant," Mimosa pudica L
2015-12-09
[36]
논문
Learning in Plants: Lessons from Mimosa pudica
2016-03-31
[37]
논문
Mimosa pudica': Electrical and mechanical stimulation of plant movements
2010-02
[38]
AV media
Electrical experiments with plants that count and communicate {{!}} Greg Gage
https://www.youtube.[...]
TED
2017-11-01
[39]
논문
Mimosa pudica': a model for the study of the excitability in plants
1979
[40]
간행물
Antidiabetic and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a methanolic extract of Mimosa pudica (Fabaceae) in diabetic rats, Egyptian Journal of Basic and Applied Sciences, 6:1, 137–148
2019
[41]
서적
Proceedings of the 7th ACM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vasive Displays
http://dl.acm.org/ci[...]
2018-06
[42]
논문
Calcium-mediated rapid movements defend against herbivorous insects in Mimosa pudica
2022-11-14
[43]
논문
The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habituation and sensitization across phylogeny: A behavioral homeostasis model
2001-10
[44]
서적
The Plant Messiah: Adventures in Search of the World's Rarest Species
Anchor
[45]
논문
Rates Of Translocation And Photosynthesis In Mimosa Pudica L.
1977
[46]
논문
Leaf folding in a sensitive plant: A defensive thorn-exposure mechanism?
1981-01-01
[47]
논문
Experience teaches plants to learn faster and forget slower in environments where it matters
2014-01-05
[48]
논문
Memory and habituation to harmful and non-harmful stimuli in a field population of the sensitive plant, Mimosa pudica
https://www.cambridg[...]
2022-03
[49]
논문
Leaf-folding response of a sensitive plant shows context-dependent behavioral plasticity
https://doi.org/10.1[...]
2014-12-01
[50]
서적
日本帰化植物写真図鑑 Plant invader 600種
全国農村教育協会
2001-07-26
[51]
웹사이트
Kanzawa Lab | 日本語HP
http://www.mls.sophi[...]
上智大学神澤研HP
2023-03-17
[52]
웹사이트
オジギソウは、どのようにして、何のために葉を動かすのか? -「光る」「おじぎをしない」オジギソウを用いて、虫害防御高速運動を解明-
https://www.saitama-[...]
2023-03-17
[53]
웹사이트
NParks | Mimosa pudica
https://www.nparks.g[...]
'{{ill2|ナショナル・パークス・ボード|en|National Parks Board}}(シンガポール国立公園局)'
2023-03-17
[54]
서적
Biology of Plants
https://books.google[...]
W. H. Freeman and Company
2005-01
[55]
웹사이트
(ぶらっとラボ)オジギの力で、無礼な虫退散: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1-23
[56]
웹사이트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imosine in ovarian cancer
http://meeting.ascop[...]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57]
논문
Inactivation of strongyloides stercoralis filariform larvae in vitro by six Jamaican plant extracts and three commercial anthelmintics
[58]
논문
Neutralisation of lethality, myotoxicity and toxic enzymes of ''Naja kaouthia'' venom by ''Mimosa pudica'' root extrac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