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스터 매키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사우스 파크》에 등장하는 사우스 파크 초등학교의 상담 교사이다. 그는 학생들의 정신 건강과 가치관 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때때로 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미스터 매키는 "m'kay"라는 독특한 말투를 사용하며, 넥타이 때문에 머리가 유난히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는 종종 좌익 성향을 보이며, 다양한 에피소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심리학자 - 할리 퀸
할리 퀸은 DC 코믹스 캐릭터로, 아캄 정신병원의 심리학자 할린 프랜시스 퀸젤이 조커와 사랑에 빠져 범죄에 동참, 이후 다양한 활동을 통해 DC 유니버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 가공의 심리학자 - 리비 (로스트)
로스트 드라마 등장인물 리비는 꼬리칸 생존자 중 한 명으로, 정신 병원 입원 과거와 헐리와의 로맨스, 미스터리한 면모, 그리고 마이클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는 인물이다. - 사우스 파크의 등장인물 - 에릭 카트먼
에릭 카트먼은 《사우스 파크》의 등장인물로, 이기적이고 반유대주의적인 성향을 보이며 비도덕적인 행동을 일삼지만, 음악적 재능과 뛰어난 지능을 보이기도 한다. - 사우스 파크의 등장인물 - 제럴드와 실라 브로플로프스키 부부
제럴드와 쉴라 브로플로프스키 부부는 《사우스 파크》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로, 과잉보호적인 유대인 어머니의 전형인 쉴라와 변호사로 일하며 이중적인 모습을 보이는 제럴드를 통해 가족 관계, 사회 문제, 종교, 인터넷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풍자하고 비판한다.
미스터 매키 | |
---|---|
Mr. Mackey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시리즈 | 사우스 파크 |
처음 등장 | "미스터 행키, 크리스마스 응가" (1997년) |
창작자 | 트레이 파커 매트 스톤 |
디자이너 | 트레이 파커 매트 스톤 |
목소리 | 트레이 파커 |
가명 | 소방관 톰 |
성별 | 남성 |
직업 | 사우스 파크 초등학교 상담 교사 |
가족 | 매키 여사 (어머니) 매키 씨 (아버지, 작고) |
거주지 | 콜로라도, 사우스 파크, 미국 |
배우자 | 다이앤 촉손딕 (여자친구, 작고) |
2. 인물 특징
미스터 매키는 트레이 파커의 고등학교 상담가였던 미스터 랙키를 모델로 만들어진 캐릭터이다. 그의 가장 큰 외형적 특징은 유난히 큰 머리인데, "Ike's Wee Wee" 에피소드에서는 꽉 조인 넥타이 때문에 머리가 커 보이는 것이라고 암시된다. 그러나 "Proper Condom Use" 에피소드에서는 나이가 들면서 머리만 커졌다고 스스로 언급하며, 이때 넥타이를 풀어도 머리 크기가 그대로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그는 녹색 긴 소매 셔츠에 파란 넥타이, 짙은 파란색 바지와 파란색 가죽 신발을 신고 검은색 뿔테 안경을 착용한다. 머리카락은 검은색이지만 숱이 적으며, 남부 억양으로 말한다.
그의 독특한 말버릇인 "M'kay"는 매우 유명하며, "Child Abduction Is Not Funny" 에피소드에 등장한 그의 부모님 역시 같은 말버릇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가족의 특징으로 보인다. 이 말버릇은 비비스 앤 벗헤드의 등장인물인 미스터 반 드리센(Mr. Van Driessen)의 특징과 유사하다는 지적도 있다.
다른 주요 성인 캐릭터들과 달리 그의 이름은 현재 알려지지 않았다.
2. 1. 성격 및 가치관
매키는 일반적으로 좌익 성향의 정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시즌 7 "나는 작은 컨트리" 에피소드에서는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여하기도 했다.그는 사우스 파크 초등학교의 상담 교사로서, 학생들의 정신 건강과 올바른 가치관 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역할에 충실하려 노력한다. 과거 초크손딕 선생님과 함께 성교육을 가르쳤으며,[4] 미스터 개리슨의 부재 시에는 그의 학급에서 마약, 흡연, 알코올 음료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기도 했다. 그러나 미스터 개리슨이 교육용 마리화나를 훔쳐가면서 해고당하고, 이로 인해 우울증에 빠져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3]
"인쉬셉션" 에피소드에서는 어린 시절 겪은 트라우마로 인해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수집벽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7] 또한 "옷장에 갇히다" 에피소드에서 잠시 사이언톨로지 교회 신자로 묘사되었으나,[8] 이후 에피소드에서는 이러한 모습이 언급되지 않는다. 그는 스페인어에도 능통하다.[9]
1980년대 문화의 영향을 받은 X세대로 추정되며, 이는 여러 에피소드에서 나타나는 그의 모습과 관련된 언급들을 통해 뒷받침된다.
3. 담당 업무
매키는 사우스 파크 초등학교의 상담 교사이다.[3] 그의 주된 역할은 학생들의 고민을 들어주고 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것이지만, 때때로 직접 수업을 진행하기도 한다.
특히 성교육은 매키가 자주 담당하는 과목 중 하나이다. ''Proper Condom Use'' 에피소드에서는 초크손딕 선생님과 함께 아이들에게 성교육을 실시했으며, 교육 과정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4] 이후 초크손딕 선생님이 사망하고 개리슨 선생님이 복귀하기 전까지 잠시 4학년 담임을 맡기도 했다.[3]
또한 매키는 마약, 흡연, 음주와 같은 청소년 문제에 대한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Ike's Wee Wee'' 에피소드에서는 개리슨 선생님의 반에서 약물 교육을 진행했다. 당시 교육용으로 가져온 대마초를 개리슨 선생님이 훔쳐가는 바람에 억울하게 해고당하는 사건을 겪기도 했다.[3] ''Butt Out'' 에피소드에서는 카트먼, 스탠, 카일 등이 담배를 피우는 것을 적발하기도 했다. 극장판에서는 아이들과 함께 욕설을 멀리하자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그 외에도 학교 내 다양한 문제 해결 및 학생 지도 활동에 참여한다. ''Mr. Hankey, the Christmas Poo''에서는 카일에게 미스터 행키의 존재에 대해 납득시키려 노력했으며, ''Mystery of the Urinal Deuce''에서는 학교 소변기에 누가 대변을 봤는지 조사하기도 했다. 학생들을 인솔하여 외부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도 종종 보인다. 예를 들어 ''Rainforest Schmainforest''에서는 합창 캠프에 참여하는 아이들을 인솔했고, ''World Wide Recorder Concert''에서는 세계 리코더 연주회에 동행했다.
4. 주요 에피소드
- "아이크의 웽웽": 이 에피소드에서 매키는 미스터 개리슨의 반 학생들에게 마약, 흡연, 알코올 음료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했다. 하지만 수업 자료로 준비한 마리화나를 미스터 개리슨이 훔쳐가면서 매키는 학교에서 해고당한다. 이 일로 집에서도 쫓겨나고 우울증에 빠져 결국 스스로 마약을 하게 되는 상황에 처한다.[3]
- "적절한 콘돔 사용": 해당 에피소드에서는 매키가 마지막으로 성관계를 가진 시점이 21년 전(당시 19세)이라는 사실이 언급된다.[4]
- "레인포레스트 슈마인포레스트": 매키가 스페인어에 능통하다는 사실이 이 에피소드에서 드러난다.[9]
- "인쉬셉션": 매키가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수집벽 증상을 보이는 이유가 어린 시절 겪었던 트라우마 때문임이 밝혀진다. 1974년, 그가 4학년이었을 때 다른 아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했으며, 좋아했던 캐릭터인 우디 올빼미(Woodsy Owl) 마스코트 복장을 한 인물에게 소풍 마지막 날 성추행을 당하는 충격적인 경험을 했다. 이 경험이 수집벽의 원인이 되었으며, 에피소드 후반에는 자신의 사무실 물건을 버리려는 스탠 마시에게 폭력적인 언행을 보이기도 한다.[7]
5. 기타
- 미스터 매키는 트레이 파커의 고등학교 상담 교사였던 미스터 랙키를 모델로 하였다.
- "Ike's Wee Wee" 에피소드에서는 미스터 매키의 머리가 다른 사우스 파크 등장인물과 크기가 같지만, 꽉 조인 넥타이 때문에 커 보이는 것이라고 암시한다. 그러나 "Proper Condom Use" 에피소드에서는 본인이 "나이가 들면 들수록 머리만 커지고 나머지 부분은 자라지 않았다"고 말했으며, 실제로 넥타이를 풀어도 머리 크기는 그대로였다.
- "Child Abduction Is Not Funny" 에피소드에서는 미스터 매키의 부모님이 등장하는데, 그들 역시 "m'kay"라는 말버릇을 가지고 있으며 매키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 "m'kay"라고 말하는 특징은 비비스와 버트헤드의 등장인물 Mr. Van Driessen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다.
- "Rainforest Schmainforest" 에피소드에서는 미스터 매키가 스페인어에 능통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심지어 해당 에피소드에서 코스타리카 대통령이 "m'bien"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다.[9]
- "인쉬셉션" 에피소드를 통해 매키는 1965년생으로 추정되며, X세대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냉전으로의 귀환" 에피소드에서 매키와 관련된 1980년대 문화(예: 워 게임 패러디, 왕 청의 "댄스 홀 데이즈"에 맞춰 춤추는 모습)에 대한 언급이나, "테이밍 스트레인지" 에피소드에서 학교 인터콤으로 라이오넬 리치의 "올 나이트 롱 (올 나이트)"이나 글렌 프레이의 "더 히트 이즈 온" 같은 1980년대 음악이 나오는 장면 등을 통해 뒷받침된다.
- 매키는 일반적으로 좌익 정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시즌 7 에피소드 "나는 작은 컨트리"에서는 이라크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 "인쉬셉션"에서는 매키가 1974년 4학년 시절 겪었던 불우한 경험 때문에 수집벽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당시 그는 다른 아이들에게 괴롭힘을 당했고, 좋아했던 우디 올빼미 캐릭터에게 소풍 마지막 날 성추행을 당하는 트라우마를 겪었다.[7]
- "옷장에 갇히다" 에피소드에서 사이언톨로지 교회 신자로 등장했지만, 이후 에피소드에서는 이 설정이 다시 언급되지 않았다.[8]
- 다른 주요 성인 캐릭터들과 달리, 그의 이름(first name)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Untold Truth Of Mr. Hankey, The Christmas Poo
https://www.looper.c[...]
2020-12-03
[2]
웹사이트
South Park – Season 1 | Commentary by Trey Parker & Matt Stone
https://www.youtube.[...]
CommentaryCentral
2023-05-18
[3]
episode
Ike's Wee Wee
1998-05-20
[4]
episode
Proper Condom Use
2001-08-01
[5]
episode
Something You Can Do with Your Finger
2000-07-12
[6]
episode
Cat Orgy
1999-07-14
[7]
episode
Insheeption
2010-10-20
[8]
웹사이트
South Park Scriptorium – "Trapped in the Closet"
http://www.spscripto[...]
Spscriptorium.com
2010-07-07
[9]
episode
Rainforest Shmainforest
1999-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