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모토 신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야모토 신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1995년부터 2013년까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유격수와 3루수로서 10번의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2001년에는 시즌 최다 희생타 일본 기록을 세웠고, 2012년에는 2000안타를 달성하며 최고령 기록을 경신했다. 또한, 2004년 아테네 올림픽과 2006년, 2008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일본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은퇴 후에는 야쿠르트의 코치와 수석 코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야구 평론가 및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이타시 출신 - 시이바시 히로시
시이바시 히로시는 아카츠카 후지오의 영향을 받아 만화를 시작, 오사카예술대학 졸업 후 2002년 데뷔하여 『누라리횬의 손자』로 큰 인기를 얻은 일본 만화가로, 요괴물 외에도 사회적 약자를 다룬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 스이타시 출신 - 카와나카 미유키
카와나카 미유키는 1973년 데뷔 후 1977년 재데뷔, 《후타리자케》의 밀리언셀러를 통해 인기를 얻은 일본 오사카부 출신의 엔카 가수로, NHK 홍백가합전에 24회 출연하는 등 드라마와 영화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기무라 다쿠야 (야구인)
기무라 다쿠야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포지션을 가리지 않는 유틸리티 플레이어였으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히로시마 도요 카프,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나, 2009년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 지주막하 출혈로 사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고영민
고영민은 전 KBO 리그 두산 베어스의 2루수이자 빠른 발과 넓은 수비 범위를 갖춘 선수, 꼼꼼한 타격 분석으로 평가받았으며 현재는 롯데 자이언츠 코치이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야구 선수 명단 - 다나카 마사히로
다나카 마사히로는 '마군'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일본의 우완 투수로, 라쿠텐 시절 압도적인 기량과 메이저리그 활약, 그리고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까지 일본과 미국 프로야구에서 큰 족적을 남겼으며, 뛰어난 제구력과 다양한 변화구를 바탕으로 수많은 타이틀과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미야모토 신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70년 11월 5일 |
출생지 | 오사카부 스이타시 |
신장 | 176 |
체중 | 82 |
포지션 | 내야수/코치 |
투구 | 우투 |
타석 | 우타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 1994년 (드래프트 2위, 역지명) |
데뷔 | 1995년 4월 11일 |
최종 출장 | 2013년 10월 4일 (은퇴 경기) |
소속팀 | 야쿠르트 스왈로스/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995년~2013년) |
코치 경력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09년~2013년, 2018년~2019년) |
아마추어 경력 | PL학원 고등학교 도시샤 대학교 프린스 호텔 |
국가대표 경력 | |
대표팀 | 일본 |
올림픽 | 2004년, 2008년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06년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03 삿포로 |
수상 | |
골든 글러브 | 8회 (1997년, 1999년~2003년, 2009년~2010년) |
올스타 | 5회 (2002년~2003년, 2007년~2009년) |
통계 | |
리그 | NPB |
타율 | .282 |
안타 | 2133 |
홈런 | 62 |
타점 | 578 |
도루 | 111 |
희생타 | 408 |
2. 프로 입단 전
미야모토 신야는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하여 고등학교, 대학교, 사회인 야구를 거치며 프로 선수로서의 꿈을 키웠다.
한신 타이거스의 전설적인 유격수 요시다 요시오에게 지도를 받으며 유격수의 꿈을 키웠고, PL가쿠엔 고등학교 시절에는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도시샤 대학에서는 뛰어난 타격 실력을 보여주며 수위타자를 차지하기도 했다.
대학 졸업 후 프로 구단의 지명을 받았으나, 도시샤 대학 노구치 신이치 감독의 조언에 따라 프린스 호텔에 입사하여 사회인 야구 경험을 쌓았다. 이후 1994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2순위 지명을 받고 프로에 입단하게 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
미야모토 신야는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는데, 처음으로 야구를 가르쳐 준 프로 야구 관계자는 한신 타이거스에서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라고 불리던 간판 유격수 요시다 요시오였다. 미야모토가 유격수 포지션을 고집하게 된 것은 요시다의 영향이 컸으며, 요시다에게서 배운 유격수로서의 마음가짐을 지금도 지키고 있다고 한다. 4학년 때 팀에 발탁되었고, 5학년 때부터 투수를 맡았다. 미야모토의 부친은 나가시마 시게오의 열성팬이었기 때문에, 미야모토는 졸업 문집에 ‘장래의 꿈은 프로 야구 선수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하고 싶다’라고 적었다.중학교 시절에는 시니어 리그 팀에서 활약했지만, 연습에서 공 3개를 던져보고 투수는 무리라고 판단하여 내야수를 맡게 되었다. 체격은 작았지만, 3학년이 되면서 키가 급격하게 자랐다. 2루수로 출전한 전국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패했지만, PL가쿠엔 고등학교 관계자가 미야모토의 활약을 보고 입단 테스트를 권유했다.
PL가쿠엔 고등학교에 진학한 후에는 1학년 선배인 다쓰나미 가즈요시와 가타오카 아쓰시 등이 있었고, 팀이 우승한 1987년 제69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팀에서 유일하게 2학년 신분으로 출전했다. 결승전에서는 3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안타를 기록하기도 했다. 3학년이 되면서 대학이나 사회인 야구팀으로부터 입단 권유를 받았는데, 이전부터 입단 제의가 있었던 도시샤 대학에 진학하기로 결정했다.
간사이 학생 리그에서는 1990년 춘계 리그전에서 수위타자를 차지했고, 리그 통산 84경기 출장, 286타수 89안타, 타율 3할 1푼 1리, 3홈런을 기록했다. 4학년 때 여러 프로 구단으로부터 드래프트 지명 인사를 받았지만, 모두 4순위나 5순위 지명이었다. 도시샤 대학의 노구치 신이치 감독은 “사회인 야구팀에서 실력을 쌓은 뒤에 프로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일반 사회 경험도 플러스가 된다”라는 조언을 했고, 미야모토는 프린스 호텔에 입사하여 야구 오프 시즌에는 호텔 종업원으로도 일했다. 1994년 프로 야구 드래프트 회의에서 야쿠르트 스왈로스로부터 2순위로 지명받고 입단했으며, 등번호는 6번으로 결정되었다.[2][3][4][5][6]
2. 2. 사회인 야구 시절
미야모토는 도시샤 대학 졸업 후 프린스 호텔 야구부에 입단했다. 도시샤 대학의 노구치 신이치 감독은 "사회인 야구에서 힘을 키운 뒤 프로에 들어가는 편이 좋다. 일반 사회에서의 경험도 플러스가 된다"라고 조언했고, 미야모토는 이를 받아들였다.[2]프린스 호텔 1년 차에는 도시 대항 야구에 출전했다.[2] 2년 차에는 일본 선수권에서 사이토 미쓰구 투수 등의 활약으로 팀은 8강에 진출했다. 미야모토는 야구 오프 시즌에는 호텔 직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프린스 호텔 야구부에는 훗날 프로에서 코치로 지도하게 되는 오쿠무라 노부유키의 아버지 신이치와 노부유키를 고교 시절에 지도한 아라키 준야(니치다이 야마가타 고등학교 감독) 등이 있었다.
3. 프로 선수 시절
미야모토 신야는 1999년부터 2번 타자로 자주 출전했고, 2001년에는 2번 타자로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이 해에 미야모토는 67개의 희생타를 기록하며 시즌 최다 희생타 일본 신기록을 세웠고, 야쿠르트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큰 힘을 보탰다.[48] 또한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으며, 나카니시 후토시 임시 코치의 조언을 받아 2000년에는 3할 타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3. 1. 1995년 ~ 2003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핵심 선수로 성장
미야모토 신야는 1995년에 입단하여 주로 2루수 수비 요원으로 출전하며 일본 시리즈에 모두 출전했다. 1996년에는 이케야마 다카히로를 대신해 유격수로 출전하며 시즌 후반기에는 완전히 고정되었지만, 야수진이 두터워 8번 타자를 맡는 경우도 있었다.1997년에는 115경기에 출전하여 109개의 안타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세 자릿수 안타를 기록했고,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시즌 종료 후 탈세 행위가 드러나 형사 고발을 당했고, 집행 유예와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로 인해 1998년에는 개막 이후부터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고, 야쿠르트 구단은 닛폰햄 파이터스의 시로이시 노리유키를 영입했다(교환 요원은 포수 노구치 도시히로). 징계 해제 후에는 주전으로 복귀했다.
1999년부터는 2번 타자로 출전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2000년에는 3할 타율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2001년에는 2번 타자로 고정되어 시즌 67개의 희생타를 기록하며 시즌 최다 희생타 일본 신기록을 수립했고, 야쿠르트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48]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하며 수비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3. 2. 2004년 ~ 2013년: 국가대표팀 주장과 베테랑 리더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미야모토 신야는 일본 대표팀 주장을 맡아 예선부터 활약했다. 평소 맡지 않던 2루수 포지션을 무난히 소화했으며, 예선 전 미팅에서 "반드시 이기는 싸움을 하겠다"라며 선수들을 독려했다. 아마추어 선수들의 꿈을 안고 뛰는 만큼 책임감을 강조했고, 예선 통과 후에는 "져서 다행이다"라며 안도하기도 했다. 올림픽에서 유격수로서 뛰어난 수비와 주루는 물론, 팀 최고 타율 5할을 기록하며 맹활약했다.2006년 제1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에 일본 대표로 선출된 미야모토는 타무라 히토시와의 등번호 중복으로 '10'번을 달았다. 준결승 대한민국 전에서는 대타로 출전해 좋은 결과를 얻었고, 이후 본업이 아닌 3루수로 수비에 나섰다(수비 기회는 없었음). 결승 쿠바 전에서는 9회에 가와사키 무네노리의 부상으로 인해 유격수 수비를 맡았다.
2007년 시즌 오프에는 다시 일본 대표팀 주장에 지명되어 팀 수뇌진과 선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호시노 센이치 감독은 "성적과 관계없이 대표팀으로 뽑을 생각이었다"며 깊은 신뢰를 보였고, 선수들도 감독 다음으로 미야모토에게 헹가래를 쳐주었다.
2008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에서 미야모토는 다시 한번 주장으로서 팀을 이끌었으나, 금메달 획득에는 실패하고 4위에 그쳤다. 그는 "주장으로서 책임을 느낀다"며 눈물로 패배를 인정했다.
4. 은퇴 후
2013년 11월 26일자로 임의 은퇴가 공시되어 야쿠르트를 탈퇴했으며, 12월 5일부터 닛칸 스포츠의 야구 평론가로 활동하는 것이 발표되었다.[25] 2014년부터는 닛칸 스포츠 야구 평론가[25], NHK의 야구 해설자로 전향했다. 같은 해 1월 21일에는 호리우치 츠네오(전 요미우리 투수·코치·1군 감독, 참의원 의원)의 후임으로 일본 야구 기구 조사 위원으로 취임하는 것이 이사회에서 승인되었다.[26]
2015년 10월 5일 발표된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다 사토시의 야구 도박 관여 문제에 대해 NPB 조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변호사가 중심인 조사 위원회에서 선수 경험자로서 큰 역할을 담당했다.
2016년 학생 야구 자격 회복 연수를 수강했고, 이듬해 2017년 2월 7일 일본 학생 야구 협회로부터 학생 야구 자격 회복 적성 인정을 받아 학생 야구 선수 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27]
5. 지도자 경력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팀 주장으로 지명되어 팀 수뇌진과 선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호시노 센이치 감독에게서 절대적인 신뢰를 얻었다. 재계약과 관련해서는 구단 사장에게 전력분석원 증강이나 2군 실내 연습장 조기 설치 등을 요구하는 등 팀 강화를 직접 요청했다.
2014년부터 닛칸 스포츠의 야구 평론가[25], NHK의 야구 해설자로 활동했다. 2015년 1월 21일에는 호리우치 츠네오의 후임으로 일본 야구 기구 조사 위원으로 취임했다.[26] 2015년 10월 요미우리 자이언츠 후쿠다 사토시의 야구 도박 관여 문제에 대해 NPB 조사 위원회에서 선수 경험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2016년 학생 야구 자격 회복 연수를 수강했고, 2017년 2월 7일 일본 학생 야구 협회로부터 학생 야구 자격 회복 적성 인정을 받아 학생 야구 선수 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27]
5. 1.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코치 시절
2009년 시즌부터 코치 겸임으로 발탁되어 지도자로서의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폭넓은 경험을 쌓기 위해 타격, 수비, 주루 등의 담당을 나누지 않고 모든 분야에서 지도하게 되었다.[25] 코치로 부임하면서 3년 간 맡았던 일본 프로 야구 선수회 회장직은 아라이 다카히로에게 넘겨주었다.
2017년 10월 6일, 2018 시즌부터 1군 헤드코치(수석 코치) 취임이 발표되었다.[28] 등번호는 '''86'''번이었다. 2019년에는 16연패를 기록하는 등 팀이 최하위에 머물렀고, 9월 8일에 감독인 오가와 준지와 함께 헤드코치직을 사임할 것을 표명했다.
5. 2. 아마추어 야구 지도
학생 야구 자격 회복 연수를 수강한 후, 2017년 2월 7일에 일본 학생 야구 협회로부터 학생 야구 자격 회복의 적성 인정을 받음으로써, 학생 야구 선수에 대한 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27] 야쿠르트 퇴단 후 11월에 한 번 실효되었던 학생 야구 자격을 회복하고, 12월 16일에 동도 대학 야구 연맹 소속의 도요 대학을 지도하며, 앞으로도 정기적으로 지도를 방문할 것을 표명했다.[29]2020년 2월 19일, 20일에는 올해부터 시작한 프로 야구 독립 구단인 류큐 블루 오션스의 임시 코치로서, 봄철 캠프에서 야수 특별 강연을 했다.[30][31]
2022년 가을부터는 미야모토의 장남이 소속된 도카이 대학 스가오 고등학교 야구부의 임시 코치로 취임했다.[32]
6. 선수로서의 특징
미야모토 신야는 2008년에 3루수로 기용되어 2년 연속 3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 해에는 빠른 타구나 불규칙 바운드 처리에 어려움을 겪어 1996년 이후 두 자릿수 실책을 기록했고, 수비율(.959)도 떨어졌다.[35][36]
6. 1. 타격
일본 시리즈에 출전한 미야모토 신야는 이듬해인 1996년 이케야마 다카히로를 대신해 유격수로 출전, 시즌 후반기에는 완전히 고정되었지만 8번 타자를 맡는 일도 있었다. 1997년에는 115경기에 출전하여 109개의 안타를 기록하는 등 처음으로 세 자릿수 안타를 기록했고 같은 해에 골든 글러브상을 받았다. 1998년에는 탈세 사건으로 출전 정지 징계를 받았으나 징계 해제 후 주전으로 복귀했다.2008년에는 3루수로 기용되었고, 2년 연속 3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 해에는 공이 날아가는 속도의 빠른 타구나 공의 불규칙한 바운드 처리에 부담을 겪는 등 1996년 이후 두 자릿수 실책을 기록했고, 수비율(.959)도 떨어졌다.
2011년에는 개막 이후부터 16경기에서 14개 안타를 기록했고, 4월의 월간 최다 안타(22개)와 최고 타율(.400)을 기록하는 등 처음으로 월간 MVP를 수상했다. 40세 5개월 만의 첫 수상은 리그 최고령 기록이었다. 133경기에 출전하면서 타율은 3년 만에 3할 대를 넘은 3할 2리를 기록했는데, 41세가 되면서 3할 대의 타율을 넘긴 것은 역대 4번째였다. 292차례의 수비 기회에 실책은 불과 1개였고 9할 9푼 7리의 수비율을 기록하는 등 3루수로서의 수비율은 일본 프로 야구 신기록을 경신했다. 그리고 본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베스트 나인과 3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모두 3루수 부문)했는데, 40세 11개월에서의 베스트 나인에 선정된 사례는 센트럴 리그 사상 최고령 기록이며 골든 글러브상 수상은 일본 프로 야구 사상 최고령 기록을 경신했다.
미야모토 신야는 名구회에 가입한 타자 중 통산 2000안타, 400희생타를 기록한 유일한 선수이다(2012년 9월 26일 시점)[33]。아슬아슬한 공을 파울로 끈질기게 쳐내고, 달콤하게 들어온 공을 처리하는 끈기 있는 타격 스타일[38]을 보였다. 좌완 투수와의 궁합이 좋았으며, 특기로 했던 투수로는 다카하시 히사노리와 우츠미 테츠야를 꼽았다. 그에 반해, 우완 사이드암이나 언더핸드 투수와의 궁합이 좋지 않아, 어려워했던 투수로는 스즈키 요시히로, 우메즈 토모히로, 와타나베 슌스케, 마키타 카즈히사를 꼽았다. 현역 말년에는 공을 너무 끌어당기지 않고, 배트를 가볍게 내밀어 맞히는 것으로 극복했다고 한다(우에하라 코지의 YouTube 채널에서)[34]。
6. 2. 수비
미야모토 신야는 프로 선수 생활 동안 뛰어난 수비 능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유격수와 3루수 포지션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골든 글러브상을 유격수 부문에서 6회, 3루수 부문에서 4회나 수상했다.[35][36] 『주간 베이스볼』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구계 200인이 선택한! 내야 수비 랭킹" 유격수 1위로 선정되기도 했다.[35][36]미야모토는 몸놀림, 발놀림, 공을 다루는 능력, 정확한 송구가 뛰어났으며, 견실한 플레이를 펼치는 선수였다.[37] 어려운 타구도 쉽게 처리했고, 어떤 자세에서도 송구 실수를 하지 않는 등, 눈에 띄지 않는 파인 플레이도 많았다.[38] 헤이세이 시대를 대표하는 수비가 뛰어난 명 유격수 중 한 명으로 꼽힌다.[37]
1995년에는 주로 2루수 수비 요원으로 출전했고, 일본 시리즈에도 출전했다. 1996년에는 이케야마 다카히로를 대신해 유격수로 출전하며 시즌 후반기에는 완전히 고정되었다. 1997년에는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2012년에는 3루수로 기용되었고, 2년 연속 3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 해에는 공이 날아가는 속도가 빠른 타구나 불규칙한 바운드 처리에 어려움을 겪으며 실책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2년 5월 1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전에서는 3루수로서의 연속 수비 기회 무실책 센트럴 리그 기록(257)이 중단되기도 했다.
현역 시절 팀 동료였던 후루타 아쓰야는 수비 시프트를 자주 사용했지만, 미야모토는 투수의 입장을 고려하여 수비 시프트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39]
7. 개인적인 면모
성인 비디오(AV)를 좋아한다. 2004년 버라이어티 설 특집 방송에 출연했을 때, "만나보고 싶은 여배우"라는 주제에 대해 오이카와 나오, 아사부키 케이토, 호시노 히카루 등 여러 AV 여배우의 이름을 언급한 적이 있다. 같은 AV 애호가로 알려진 마쓰이 히데키는 "저 사람은 대단한 사람이다. 아내와 딸이 있는데, TV에서 대놓고 그런 말을 하다니... 나는 아직 멀었어"라고 혀를 내둘렀다.[40] 2003년에는 아테네 올림픽 일본 대표 합숙에서 대량의 AV를 반입하여 다른 선수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41]
프랭크 뮬러의 시계를 좋아하며, 후배 선수가 프로 첫 안타를 기록했을 때 같은 브랜드의 시계를 선물하는 것이 관례였다.[41] 2000안타 달성 당시에는 고등학교 시절 동창인 시계 장인과 협력하여, 후년에 상표권 침해 소송까지 발전한 "프랭크 미우라"라는 패러디 시계를 제작하여 관계자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41]
야쿠르트의 구단 마스코트 쓰바구로와 사이가 좋다. 쓰바구로는 등번호 6에 연관하여 현역 시절부터 "6사마"라고 불렀다.[42] 미야모토가 현역 은퇴 후에 설립한 회사 "로쿠사마 기획"의 사명은 여기에서 유래되었다.[43] 2012년 오프 시즌에 쓰바구로가 FA 선언을 했을 때 미야모토는 "스스로 권리를 행사했으니 마음대로 하세요"라고 차갑게 대했고, 결국 쓰바구로는 잔류를 선언했다.[44]
장남 또한 야구 선수로 도쿄도의 강호 도카이 대학 스가오 고등학교에 소속되어 투수로 활동하고 있다.[45] 입학 다음 해 봄 제95회 기념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 출전했다.[46] 한편, 같은 대회에 미야모토의 PL학원 고등학교 선배인 기요하라 가즈히로의 차남도 게이오기주쿠 고등학교 선수로 출전했다.[46]
8. 상세 정보
미야모토 신야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항목 !! 내용
|-
! 일본 프로 야구 통산 성적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타 | 희생플라이 | 사구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95 | 야쿠르트 | 67 | 57 | 50 | 13 | 11 | 2 | 0 | 0 | 13 | 4 | 3 | 1 | 1 | 0 | 6 | 0 | 0 | 9 | 0 | .220 | .304 | .260 | .564 |
1996 | 68 | 270 | 238 | 27 | 65 | 8 | 2 | 1 | 80 | 13 | 6 | 0 | 8 | 1 | 19 | 1 | 4 | 39 | 3 | .273 | .336 | .336 | .672 | |
1997 | 115 | 432 | 387 | 44 | 109 | 15 | 3 | 1 | 133 | 33 | 16 | 5 | 6 | 3 | 31 | 10 | 5 | 37 | 11 | .282 | .340 | .344 | .684 | |
1998 | 114 | 402 | 368 | 28 | 95 | 10 | 1 | 1 | 110 | 25 | 5 | 3 | 6 | 1 | 24 | 4 | 3 | 51 | 4 | .258 | .308 | .299 | .607 | |
1999 | 131 | 572 | 501 | 60 | 124 | 14 | 1 | 1 | 143 | 24 | 11 | 4 | 45 | 0 | 23 | 1 | 3 | 40 | 6 | .248 | .285 | .285 | .570 | |
2000 | 136 | 536 | 476 | 39 | 143 | 24 | 4 | 3 | 184 | 55 | 13 | 5 | 19 | 5 | 31 | 10 | 5 | 49 | 7 | .300 | .346 | .387 | .733 | |
2001 | 125 | 578 | 477 | 74 | 129 | 15 | 0 | 1 | 147 | 17 | 11 | 6 | 1 | 27 | 0 | 6 | 57 | 8 | .270 | .317 | .308 | .625 | ||
2002 | 114 | 519 | 464 | 53 | 135 | 21 | 1 | 5 | 173 | 25 | 6 | 2 | 40 | 0 | 9 | 0 | 4 | 64 | 5 | .291 | .310 | .373 | .683 | |
2003 | 140 | 643 | 543 | 78 | 154 | 20 | 1 | 7 | 197 | 44 | 11 | 3 | 50 | 5 | 38 | 1 | 7 | 78 | 10 | .284 | .336 | .363 | .698 | |
2004 | 90 | 390 | 346 | 52 | 104 | 12 | 1 | 11 | 151 | 26 | 6 | 1 | 18 | 0 | 18 | 0 | 8 | 69 | 6 | .301 | .349 | .436 | .786 | |
2005 | 135 | 608 | 547 | 71 | 145 | 19 | 2 | 7 | 189 | 47 | 5 | 2 | 22 | 1 | 26 | 1 | 12 | 88 | 10 | .265 | .312 | .346 | .658 | |
2006 | 73 | 290 | 270 | 29 | 82 | 11 | 1 | 2 | 101 | 34 | 3 | 1 | 5 | 1 | 8 | 0 | 6 | 29 | 10 | .304 | .337 | .374 | .711 | |
2007 | 131 | 514 | 464 | 42 | 139 | 18 | 3 | 5 | 178 | 39 | 3 | 1 | 23 | 0 | 22 | 4 | 5 | 55 | 16 | .300 | .338 | .384 | .722 | |
2008 | 116 | 482 | 422 | 47 | 130 | 11 | 0 | 3 | 150 | 32 | 3 | 3 | 27 | 2 | 26 | 0 | 5 | 52 | 10 | .308 | .354 | .355 | .709 | |
2009 | 128 | 505 | 469 | 43 | 138 | 26 | 4 | 5 | 187 | 46 | 3 | 2 | 12 | 4 | 16 | 0 | 4 | 58 | 6 | .294 | .320 | .399 | .719 | |
2010 | 129 | 517 | 468 | 42 | 129 | 22 | 2 | 4 | 167 | 39 | 2 | 2 | 18 | 1 | 27 | 2 | 3 | 31 | 10 | .276 | .319 | .357 | .675 | |
2011 | 136 | 518 | 474 | 30 | 143 | 17 | 1 | 2 | 168 | 35 | 2 | 1 | 19 | 2 | 17 | 0 | 6 | 37 | 14 | .302 | .333 | .354 | .687 | |
2012 | 110 | 394 | 356 | 19 | 95 | 5 | 0 | 3 | 109 | 23 | 1 | 0 | 16 | 1 | 16 | 2 | 5 | 38 | 9 | .267 | .307 | .306 | .613 | |
2013 | 104 | 259 | 237 | 13 | 63 | 1 | 0 | 0 | 64 | 17 | 1 | 0 | 6 | 1 | 14 | 0 | 1 | 28 | 8 | .266 | .308 | .270 | .578 | |
통산 | 19년 | 2162 | 8486 | 7557 | 804 | 2133 | 271 | 27 | 62 | 2644 | 578 | 111 | 42 | 408 | 29 | 398 | 36 | 92 | 909 | 153 | .282 | .325 | .350 | .675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는 일본 프로 야구 역대 최고 기록이다.
|-
| 올림픽 성적
|
연도 | 대표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타 | 희생플라이 | 사구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
2004 | 일본 | 9 | 43 | 36 | 9 | 18 | 1 | 0 | 0 | 19 | 3 | 1 | 1 | 5 | 0 | 2 | 0 | 0 | 2 | 1 | .500 | .526 | .528 |
2008 | 3 | 4 | 4 | 0 | 1 | 0 | 0 | 0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2 | .250 | .250 | .250 |
|-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성적
|
연도 | 대표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희생타 | 희생플라이 | 사구 | 고의사구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
2006 | 일본 | 3 | 3 | 3 | 1 | 2 | 1 | 0 | 0 | 3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667 | .667 | 1.000 |
|-
| 포지션별 성적
|
연도 | 구단 | 유격수 | 2루수 | 3루수 | |||||||||||||||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경기 | 자살 | 보살 | 실책 | 병살 | 수비율 | ||
1995 | 야쿠르트 | 10 | 5 | 10 | 0 | 2 | 1.000 | 56 | 43 | 50 | 2 | 13 | .979 | - | - | - | - | - | - |
1996 | 65 | 116 | 180 | 11 | 33 | .964 | 5 | 10 | 11 | 0 | 5 | 1.000 | - | - | - | - | - | - | |
1997 | 115 | 185 | 356 | 4 | 64 | .993 | - | - | - | - | - | - | - | - | - | - | - | - | |
1998 | 114 | 197 | 357 | 6 | 69 | .989 | - | - | - | - | - | - | - | - | - | - | - | - | |
1999 | 131 | 215 | 409 | 9 | 76 | .986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0 | 136 | 240 | 378 | 4 | 76 | .994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1 | 125 | 198 | 425 | 9 | 87 | .986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2 | 114 | 162 | 342 | 7 | 53 | .986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3 | 140 | 188 | 460 | 8 | 80 | .988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4 | 90 | 120 | 278 | 3 | 52 | .993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5 | 135 | 211 | 447 | 3 | 85 | .995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6 | 72 | 83 | 208 | 8 | 28 | .973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7 | 129 | 160 | 354 | 5 | 53 | .990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8 | 58 | 72 | 174 | 2 | 30 | .992 | - | - | - | - | - | - | 56 | 45 | 98 | 2 | 5 | .986 | |
2009 | 11 | 13 | 35 | 1 | 2 | .980 | 2 | 0 | 4 | 0 | 0 | 1.000 | 118 | 68 | 197 | 2 | 16 | .993 | |
2010 | 4 | 6 | 12 | 0 | 2 | 1.000 | 1 | 2 | 4 | 0 | 1 | 1.000 | 125 | 87 | 197 | 12 | 17 | .959 | |
2011 | - | - | - | - | - | - | - | - | - | - | - | - | 132 | 92 | 199 | 1 | 18 | ||
2012 | - | - | - | - | - | - | - | - | - | - | - | - | 99 | 57 | 178 | 5 | 15 | .979 | |
2013 | 3 | 2 | 3 | 0 | 0 | 1.000 | - | - | - | - | - | - | 52 | 32 | 95 | 3 | 9 | .977 | |
통산 | 1452 | 2173 | 4428 | 80 | 792 | .988 | 64 | 55 | 69 | 2 | 19 | .984 | 582 | 381 | 964 | 25 | 80 | .982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굵은 글씨 연도'''는 골든 글러브상 수상 연도
- 는 역대 최고
|-
|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 베스트 나인 : 1회(2011년, 3루수 부문)
- 골든 글러브 상 : 10회(1997년, 1999년~2003년(유격수 부문), 2009년~2012년(3루수 부문)) ※ 복수 부문 10회 수상은 역대 최다 타이, 센트럴 리그 최다. 3루수 부문 4년 연속 수상은 센트럴 리그 최장, 역대 2위 타이.
- 월간 MVP : 1회(2011년 4월)
- 골든 스피릿 상 : 1회 (2013년)
- 센트럴 리그 특별 공로상 : 1회 (2013년)
- 베스트 파더 옐로 리본 상 in 「프로 야구 부문」 : 1회 (2008년)
- 아테네 올림픽 예선 아시아 선수권 MVP (2003년)
- 2006년 봄 자수포장 (WBC 일본 대표 멤버)
|-
| 개인 기록
|
연도 | 기록 종류 | 내용 |
---|---|---|
1995년 | 첫 출장 |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회말에 이시이 가즈히사의 대타로 출장 |
1995년 | 첫 안타 |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3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기쿠 야마다를 상대로 우전 안타 |
1995년 | 첫 도루 | 상동, 8회말에 2루 도루(투수: 요다 고, 포수: 나카무라 다케시) |
1995년 | 첫 선발 출장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1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8번 타자, 2루수로 선발 출장 |
1995년 | 첫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1차전(후쿠오카 돔), 2회말에 다케우치 마사야를 상대로 기록 |
1995년 | 첫 타점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7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사토 고를 상대로 좌월 적시 2루타 |
1996년 | 첫 홈런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2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2회말에 야마자키 겐을 상대로 좌월 솔로 |
2003년 | 200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회말에 후지타 다이요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22번째 |
2003년 | 1000경기 출장 |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28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2번 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장 ※역대 389번째 |
2004년 | 250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13차전(오사카 돔), 3회초에 야부 게이치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9번째 |
2004년 | 1000안타 |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1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데니 토모리를 상대로 중전 안타 ※역대 221번째 |
2007년 | 300 희생타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1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5회말에 구로다 히로키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5번째 |
2008년 | 1500안타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4차전(삿포로 돔), 5회초에 라이언 그린을 상대로 중전 안타 ※역대 97번째 |
2008년 | 1500경기 출장 | 한신 타이거스와의 10차전(아키타 현립 야구장), 2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159번째 |
2010년 | 350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1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8회초에 랜디 메신저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3번째 |
2012년 | 2000안타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6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2회말에 후쿠이 유야를 상대로 중전 안타 ※역대 40번째 (41세 5개월로 당시 역대 최고령) |
2012년 | 2000경기 출장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4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45번째 |
2012년 | 400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2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3회말에 제이슨 스탠리지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3번째(명구회에 가입한 선수의 달성은 역대 최초) |
2011년 | 베스트 나인 | 3루수 부문 |
1997년, 1999년 ~ 2003년, 2009년 ~ 2012년 | 골든 글러브상 | 유격수 부문: 1997년, 1999년 ~ 2003년, 3루수 부문: 2009년 ~ 2012년 |
2011년 4월 | 월간 MVP | |
2013년 | 골든 스피릿상 | |
2013년 | 센트럴 리그 특별 공로상 | |
2004년 5월 22일 ~ 2005년 5월 17일 | 유격수 수비 기회 연속 무실책 | 463 |
2011년 6월 19일 ~ 2012년 5월 1일 | 3루수 수비 기회 연속 무실책 | 257 ※일본 기록 |
2001년 | 시즌 67 희생타 | ※세계 타이기록 |
2011년 | 3루수 최고 수비율 | .997 |
2002년, 2003년, 2007년 - 2009년, 2011년 - 2013년 | 올스타전 출장 |
|-
| 기타 기록
|
기록 | 내용 |
---|---|
아테네 올림픽 예선 아시아 선수권 MVP | 2003년 |
아테네 올림픽 동메달 | 2004년 |
연속 유격수 수비 기회 무실책 | 463 |
2004년 5월 22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8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부터 2005년 5월 17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차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까지 기록이며 당시로서는 일본 기록. | |
연속 3루수 수비 기회 무실책 | 257 (일본 기록) |
2011년 6월 19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4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2012년 5월 1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4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까지의 기록. | |
시즌 최다 희생타 | 67 (2001년, 세계 타이 기록) |
3루수 최고 수비율 | .997 (2011년) |
올스타전 출장 | 8회 (2002년, 2003년, 2007년 ~ 2009년, 2011년 ~ 2013년) |
|-
| 등번호
|
- '''6'''(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995년 ~ 2013년) (준 영구 결번)
- '''86'''(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18년 ~ 2019년)
- '''10'''(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48][49][50]
8. 1. 출신 학교
미야모토 신야는 PL가쿠엔 고등학교와 도시샤 대학을 졸업했다. PL가쿠엔 고등학교 시절에는 1학년 선배인 다쓰나미 가즈요시와 가타오카 아쓰시 등이 있었고, 2학년 때인 1987년 제69회 전국 고등학교 야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결승전에서는 3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안타를 기록하기도 했다. 도시샤 대학에서는 간사이 학생 리그에서 1990년 춘계 리그 수위타자를 차지했고, 리그 통산 84경기 출장, 286타수 89안타, 타율 3할 1푼 1리, 3홈런을 기록했다.8. 2. 선수 경력
1995년에는 주로 2루수 수비 요원으로 출전했다. 일본 시리즈에도 모든 경기에 교체 출전했다. 1996년에는 이케야마 다카히로를 대신하여 유격수로 출전하게 되었고, 시즌 후반에는 완전히 고정되었지만, 타순에서는 야쿠르트의 야수진이 두터워 8번을 맡는 경우가 많았다.1997년에는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탈세 행위를 한 것이 발각되어 형사 고발을 받았다. 판결 공판에서 징역 10개월, 집행 유예 3년, 벌금 350만엔의 유죄 판결을 받았다[7]。 1998년 개막일로부터 4주간 출장 정지와 제재금 100만엔의 처분을 받았다[8]。 구단은 개막 전날 대체 선수로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조이시 노리유키를 영입했다(교환 요원은 포수 노구치 도시히로). 출장 정지 처분이 풀린 후에는 레귤러로 출전했다.
1999년 캠프에서 임시 코치를 맡은 나카니시 후토시로부터 조언을 받고 노력한 결과, 2번 타자로 출전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2000년에 처음으로 타율 3할을 기록했다. 이후 2012년에 프로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을 때 "통산 300개 정도 쳤을 때 나카니시 후토시 씨를 만났습니다. 그분이 없었다면 2000개에는 어림도 없었을 겁니다"라고 말했다[9]。
2001년에는 2번 타자로 고정되어 67개의 희생타로 시즌 최다 희생타 일본 기록을 세우는 등, 야쿠르트의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덧붙여, 시즌 67 희생타는 세계 타이기록이기도 하다(1917년에 레이 채프먼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시즌 최다 희생타 기록 67개를 세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5년 연속으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
2004년에는 90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301, 11홈런, 26타점을 기록했다. 2005년에는 1번 타자로 지명되었지만, 2번 타자였던 아오키 노리치카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교체되어 2번으로 돌아갔다. 같은 해 오프 시즌에 일본 프로 야구 선수회 회장이었던 후루타 아쓰야가 선수 겸 감독이 되었기 때문에, 회장직을 승계했다.
2006년에는 개막부터 컨디션이 좋았지만, 부상으로 두 번이나 이탈하면서 73경기 출전에 그쳤다. 2007년, 야수진의 리더로서도 기대를 받으며, 지금까지의 출루, 진루 역할에서 주자를 득점시키는 역할도 기대받아 5번이나 6번 타자로 출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 압박에도 굴하지 않고 타율 3할 5홈런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이 해의 요미우리 자이언츠 우승 결정전에서 요미우리의 1타점 끝내기 찬스에서 시미즈 다카유키의 땅볼을 처리한 후 1루로 악송구를 범하여 우승을 결정하는 끝내기 타임리 에러를 범하고 말았다. 시즌 오프에는 다시 일본 대표팀의 주장에 지명되어, 팀 수뇌진과 선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호시노 센이치 감독으로부터는 "성적과 관계없이 대표팀으로 뽑을 생각이었다"라는 절대적인 신뢰를 받았으며, 또한 선수들로부터도 감독 다음으로 헹가래를 받았다. 계약 갱신에서는 구단 사장에게 스카우트 강화와 2군 실내 연습장의 조기 설치 등 팀 강화를 직소했다.
2008년에는 시즌 도중부터 3루수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시즌 오프 계약 갱신에서 39세가 되는 2010년 시즌까지 연봉 2.2억엔을 기본으로, 매년 최대 8000만엔의 성과급으로 합의했다(금액은 추정). 또한 장래의 감독 후보를 위해 다음 시즌부터 1군 타격 코치 겸 내야수로서, 지도자로서의 첫 발을 내딛게 되었다. 덧붙여 폭넓은 경험을 쌓기 위해 타격, 수비, 주루 등 담당 부문을 나누지 않고 모두 지도하게 되었다[10]。 코치 취임으로 인해 3년 동안 맡아온 일본 프로 야구 선수회 회장직은 같은 해 오프 시즌에 아라이 다카히로에게 넘겼다.
2009년에는 3루수로 고정되었지만, 다른 선수의 부상 등으로 유격수를 맡기도 했다. 타순은 주로 6번이었지만, 아오키 노리치카의 부진 시에는 다양한 타순을 소화했다. 3루수에서 수비율.993을 기록하여, 3루수로서 처음으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으며, 유격수에서의 수상과 합쳐 7번째 수상이었다.
2010년에는 전년과 거의 같은 기용이 되었다.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2번째 3루수 부문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지만, 이 해에는 공의 속도가 빠른 타구와 불규칙 바운드 처리에 어려움을 겪는 장면이 많이 보였고, 1996년 이후 두 자릿수 실책을 기록했다. 수비율도 .959로 전년보다 4푼 가까이 숫자 줄었다.
2011년에는 개막부터 16경기에서 14안타를 기록했고, 4월 월간 최다 안타(22개), 최고 타율(.400)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월간 MVP를 수상했다. 40세 5개월의 나이로 첫 수상을 하며, 리그 최고령 기록을 세웠다[11]。 133경기에 출전하여, 타율은 3년 만에 3할인 .302를 기록했다. 41세 또는 그 이상의 나이로 타율 3할을 넘긴 것은 역대 4번째 기록이다[12]。 수비에서도 292번의 수비 기회에서 실책을 단 1개로 막아 수비율 .997을 기록하며, 3루수 수비율 프로 야구 신기록을 경신했다[12]。 또한, 본인 최초의 베스트 나인과 3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다(모두 3루수로서). 40세 11개월의 나이로 베스트 나인 수상은 센트럴 리그 역대 최고령[13], 골든 글러브상 수상은 프로 야구 역대 최고령 기록이다[14]。 37개의 삼진은 전년의 31개에 이어 2년 연속 센트럴 리그 규정 타석 도달자 중 가장 적었다.
2012년 5월 1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의 경기에서 3회말 실책을 범하며, 3루수 연속 수비 기회 무실책 센트럴 리그 기록이 257에서 끊어졌다. 5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경기(투수 후쿠이 마사야)에서, 프로 통산 2000안타를 달성했다. 41세 5개월의 나이로 달성한 것은, 41세 4개월에 달성한 오치아이 히로미쓰의 기록을 넘는 최고령 기록이며, 대학 졸업 후 사회인 야구를 거쳐 2000안타를 달성한 것은, 한때 팀 동료였던 후루타 아쓰야에 이어 두 번째이다. 또한, 2000안타 달성 시점에서의 통산 홈런 수 59개도 아라이 히로마사의 86개를 밑도는 최소 기록이 되었다. 또한, 1976번째 경기에서 2000안타를 달성한 것은, 야쿠르트에 동기 입단하여 미야모토보다 6일 먼저 달성한 이나바 아쓰노리 (니혼햄)와 같은 경기 수이다. 9월 26일에 역대 3번째로 통산 400희생타를 달성했다. 명구회에 들어간 타자 중 통산 400희생타를 달성한 것은 미야모토가 처음이다[16]。 10월 22일, 다음 시즌부터 선수 겸 코치가 될 것이 발표되었다[17]。
2013년에는 7월 이후에는 대타로 출전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8월 25일에 올 시즌을 끝으로 현역 은퇴할 것이 보도되었고[18], 다음 날인 8월 26일에 정식으로 올 시즌을 끝으로 현역 은퇴를 표명했는데, 그 이유에 대해 "레귤러로 출전할 수 없다는 것을 은퇴할 때라고 느꼈다"라고 말했다[19]。 10월 4일 한신 타이거즈와의 경기(진구)가 은퇴 경기가 되어, 2번 유격수로 선발 출전했다. 5타석 무안타에 그쳤지만, 11회말에는 2점 홈런이 될 뻔한 큰 타구를 날리는 등 연장 12회까지 출전했다. 경기 후에는 은퇴 기념 행사가 열렸다[20]。 다음 날인 10월 5일에 출전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고[21], 남은 경기를 코치로 동행했으며[22], 시즌 최종전인 10월 8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경기(도쿄 돔) 경기 후 양 팀 선수들에 의한 헹가래가 있었다[23]。 11월 26일에 임의 은퇴 선수로 공시되었다[24]。
8. 3. 국가 대표 경력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팀(2004년)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팀
2004년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야구 일본 대표팀에서는 예선부터 나가시마 시게오 대표팀 감독으로부터 주장을 맡아, 예선에서는 평소에 맡지 않는 2루수 포지션을 무난하게 소화했다. 예선 전 미팅에서 "이건 열심히 하고 져서 어쩔 수 없다는 싸움이 아니야. 반드시 이기는 거야"라고 선수들을 격려했다. 자국 개최에 더해 이번부터 멤버 전원이 프로로 구성되어 아마추어 선수들의 꿈을 빼앗는 꼴이 되기 때문에, 만약 진다면 아마추어 야구계에도 얼굴을 들 수 없다고 말했다. 참고로 예선 돌파를 결정한 후의 샴페인 파이트에서는 "져서 다행이네"라고 말하기도 했다. 올림픽에서는 유격수로서의 수비, 주루는 물론 팀 최고 타율 5할을 기록하며 맹활약하여 나가시마 재팬을 이끌었다.
2006년 3월에 개최된 제1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의 일본 대표로 선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등번호가 타무라 히토시와 중복되어 '''10'''번을 달았다. 준결승 대한민국 전에서는 대타로 나와 좋은 결과를 냈으며, 그 후 수비에서는 본업이 아닌 3루수로 출전했다(수비 기회는 없음). 쿠바와의 결승전에서는 그 경기에서 2번 실책을 한 가와사키 무네노리를 대신하여 9회에 본업인 유격수로 출전했다. 하지만 미야모토로의 교체는 앞선 공격 회에서 가와사키가 홈으로 생환할 때 오른쪽 팔꿈치를 다쳤기 때문이며, 실책이 원인이 되어 교체된 것은 아니다.
2008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야구에서는 지난 아테네에 이어 주장으로서 팀을 이끌고 금메달 획득을 목표로 했지만 4위에 그쳐 "주장으로서 책임을 느낀다"라며 눈물로 패전의 변을 말했다.
8. 4. 지도자 경력
미야모토 신야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일본 국가대표팀의 주장으로 지명되면서 팀 수뇌진과 선수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완수했고, 호시노 센이치 대표팀 감독에게서 절대적인 신뢰를 얻었다.[48]-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1군 플레잉 코치(2009년 ~ 2013년)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수석 코치(2018년 ~ 2019년)
8. 5. 수상 및 타이틀 경력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
8. 6. 개인 기록
연도 | 기록 종류 | 내용 |
---|---|---|
1995년 | 첫 출장 |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회말에 이시이 가즈히사의 대타로 출장 |
1995년 | 첫 안타 | 주니치 드래건스와의 3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기쿠 야마다를 상대로 우전 안타 |
1995년 | 첫 도루 | 상동, 8회말에 2루 도루(투수: 요다 고, 포수: 나카무라 다케시) |
1995년 | 첫 선발 출장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1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 8번 타자, 2루수로 선발 출장 |
1995년 | 첫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1차전(후쿠오카 돔), 2회말에 다케우치 마사야를 상대로 기록 |
1995년 | 첫 타점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7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사토 고를 상대로 좌월 적시 2루타 |
1996년 | 첫 홈런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2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2회말에 야마자키 겐을 상대로 좌월 솔로 |
2003년 | 200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5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회말에 후지타 다이요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22번째 |
2003년 | 1000경기 출장 |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28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 2번 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장 ※역대 389번째 |
2004년 | 250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13차전(오사카 돔), 3회초에 야부 게이치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9번째 |
2004년 | 1000안타 |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1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데니 토모리를 상대로 중전 안타 ※역대 221번째 |
2007년 | 300 희생타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12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5회말에 구로다 히로키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5번째 |
2008년 | 1500안타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의 4차전(삿포로 돔), 5회초에 라이언 그린을 상대로 중전 안타 ※역대 97번째 |
2008년 | 1500경기 출장 | 한신 타이거스와의 10차전(아키타 현립 야구장), 2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159번째 |
2010년 | 350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1차전(한신 고시엔 구장), 8회초에 랜디 메신저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3번째 |
2012년 | 2000안타 |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6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2회말에 후쿠이 유야를 상대로 중전 안타 ※역대 40번째 (41세 5개월로 당시 역대 최고령) |
2012년 | 2000경기 출장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4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6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 ※역대 45번째 |
2012년 | 400 희생타 | 한신 타이거스와의 2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3회말에 제이슨 스탠리지를 상대로 투수 앞 희생타 ※역대 3번째(명구회에 가입한 선수의 달성은 역대 최초) |
2011년 | 베스트 나인 | 3루수 부문 |
1997년, 1999년 ~ 2003년, 2009년 ~ 2012년 | 골든 글러브상 | 유격수 부문: 1997년, 1999년 ~ 2003년, 3루수 부문: 2009년 ~ 2012년 |
2011년 4월 | 월간 MVP | |
2013년 | 골든 스피릿상 | |
2013년 | 센트럴 리그 특별 공로상 | [49] |
2004년 5월 22일 ~ 2005년 5월 17일 | 유격수 수비 기회 연속 무실책 | 463 |
2011년 6월 19일 ~ 2012년 5월 1일 | 3루수 수비 기회 연속 무실책 | 257 ※일본 기록 |
2001년 | 시즌 67 희생타 | ※세계 타이기록 |
2011년 | 3루수 최고 수비율 | .997 |
2002년, 2003년, 2007년 - 2009년, 2011년 - 2013년 | 올스타전 출장 |
8. 7. 기타 기록
기록 | 내용 |
---|---|
아테네 올림픽 예선 아시아 선수권 MVP | 2003년[48] |
아테네 올림픽 동메달 | 2004년[48] |
연속 유격수 수비 기회 무실책 | 463[50] |
2004년 5월 22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8차전(히로시마 시민 구장)부터 2005년 5월 17일 대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1차전(풀캐스트 스타디움 미야기)까지 기록이며 당시로서는 일본 기록.[50] | |
연속 3루수 수비 기회 무실책 | 257 (일본 기록) |
2011년 6월 19일 대 지바 롯데 마린스 4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2012년 5월 1일 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4차전(요코하마 스타디움)까지의 기록. | |
시즌 최다 희생타 | 67 (2001년, 세계 타이 기록) |
3루수 최고 수비율 | .997 (2011년) |
올스타전 출장 | 8회 (2002년, 2003년, 2007년 ~ 2009년, 2011년 ~ 2013년) |
8. 8. 등번호
- '''6'''(1995년 ~ 2013년) (준 영구 결번)
- '''86'''(2018년 ~ 2019년)
- '''10'''(2006년 WBC)
참조
[1]
웹사이트
歴代最高記録
http://npb.jp/bis/hi[...]
日本野球機構
2020-11-15
[2]
간행물
スポニチプロ野球手帳
スポーツニッポン新聞社
2020-11
[3]
뉴스
朝日新聞 1994년 11월 3일자 아침 신문 (29면)
朝日新聞
1994-11-03
[4]
뉴스
朝日新聞 1994년 11월 27일자 아침 신문 (22면)
朝日新聞
1994-11-27
[5]
간행물
週刊ベースボール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6]
Youtube
【宮本慎也が語る】野村克也監督率いるヤクルト黄金期の秘密
https://www.youtube.[...]
2022-05-21
[7]
뉴스
朝日新聞 1998년 1월 23일자 저녁 신문 (15면)
朝日新聞
1998-01-23
[8]
뉴스
朝日新聞 1998년 2월 10일자 아침 신문 (31면)
朝日新聞
1998-02-10
[9]
웹사이트
「守備の人」が2000本安打。宮本慎也を支えた打撃理論と母の教え
http://sportiva.shue[...]
集英社
2012-05-05
[10]
뉴스
ヤクルト・宮本 コーチ兼任で2年契約
http://sankei.jp.msn[...]
2008-11-25
[11]
웹사이트
2011年4月度「日本生命月間MVP賞」受賞選手 (セントラル・リーグ)
http://www.npb.or.jp[...]
日本野球機構
2011-05-10
[12]
뉴스
宮本がシーズン最高守備率のプロ野球新記録
http://www.iza.ne.jp[...]
2011-10-25
[13]
뉴스
宮本、セの最年長受賞=ソフトバンクから4人-プロ野球ベストナイン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1-11-28
[14]
뉴스
宮本が最年長受賞=ソフトバンクは4人-ゴールデングラブ賞
http://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11-11-24
[15]
웹사이트
【野球】2000安打ラッシュとなるか。大記録まで残り100本を切った5選手たち
https://www.daily.co[...]
デイリースポーツ online
2017-05-09
[16]
뉴스
ここが宮本の凄さ!2000安打&400犠打なら日本初
https://www.sponichi[...]
2012-09-04
[17]
뉴스
ヤクルト 来季スタッフ発表 宮本はコーチ兼任に
https://www.sponichi[...]
2012-10-22
[18]
뉴스
朝日新聞 2013년 8월 26일 스포츠면
朝日新聞
2013-08-26
[19]
뉴스
宮本、今季限りでの現役引退を正式表明「引く時かなと感じた」
http://www.sponichi.[...]
2013-08-26
[20]
웹사이트
宮本慎也ラストG「父ちゃん頑張れた」
http://www.daily.co.[...]
2013-10-05
[21]
웹사이트
出場選手登録・登録抹消公示
http://www.npb.or.jp[...]
2013-10-23
[22]
뉴스
ヤクルト宮本「幸せでした」 引退試合から一夜、ファンに感謝
http://www.sponichi.[...]
2013-10-05
[23]
웹사이트
巨人・村田がサヨナラ打!試合後は両軍ナインで宮本胴上げ
http://www.sponichi.[...]
2013-10-11
[24]
웹사이트
2013年度 任意引退選手
http://www.npb.or.jp[...]
日本野球機構
2013-11-26
[25]
뉴스
宮本氏が日刊スポーツ評論家「素晴らしさを」
https://www.nikkansp[...]
2013-12-06
[26]
뉴스
前ヤクルト宮本氏 NPB調査委員会新メンバーに
https://www.sponichi[...]
2014-01-21
[27]
뉴스
元ヤクルト宮本慎也氏ら132人が学生野球資格回復
https://www.nikkansp[...]
2017-02-08
[28]
웹사이트
コーチ契約について
http://www.yakult-sw[...]
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
2017-10-06
[29]
뉴스
宮本慎也氏が東洋大でコーチ ヤクルト退団後に資格再回復で実現
https://www.sponichi[...]
2019-12-16
[30]
트윗
本日、野手特別講義に元ヤクルトの宮本慎也さんが来てくれました。
https://twitter.com/[...]
2020-02-19
[31]
트윗
本日も、昨日に続き、宮本慎也さんが来てくださいます。
https://twitter.com/[...]
2020-02-20
[32]
뉴스
東海大菅生が恒例合宿スタート「体力と筋力のアップ」掲げ、パワーと技術の相乗効果狙う
https://www.nikkansp[...]
2022-12-21
[33]
뉴스
宮本慎也が名球会打者初の400犠打
http://www.daily.co.[...]
2012-09-26
[34]
Youtube
【意外すぎる名前連発】2000安打の宮本慎也さんが嫌いだった投手【イラッとした投手も】【野村監督の打撃理論】【次回からは川上憲伸コラボ再開】【宮本キャプテンSP 4/4】【巨人】
https://www.youtube.[...]
2021-09-28
[35]
간행물
球界200人が選ぶ史上最強の内野守備職人
http://sp.baseball.f[...]
2014-07-13
[36]
간행물
[37]
웹사이트
宮本慎也、石井琢朗、小坂誠、井端弘和…「平成の守備No.1ショート」は誰?
https://column.sp.ba[...]
2021-07-26
[38]
웹사이트
現役最高のワザ師は誰だ!?
https://column.sp.ba[...]
2013-07-15
[39]
Youtube
【激論】宮本慎也が日本球界の守備シフト撤廃を要求!「大谷翔平がやってんのになんでやらないの?」
https://www.youtube.[...]
川上憲伸 カ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2022-09-10
[40]
뉴스
ハダカの松井秀喜(5)
https://web.archive.[...]
東京スポーツ
2013-09-09
[41]
웹사이트
プロ野球「今季で引退」大物選手サヨナラ場外スクープ!(4) 宮本慎也
https://www.asagei.c[...]
徳間書店
2020-11-15
[42]
웹사이트
つば九郎、キャンプで大失態「さがしました」…挨拶に行かなかった先輩とは?
https://cyclestyle.n[...]
2021-12-24
[43]
웹사이트
CS優勝ヤクルトスワローズ。「つば九郎」と6さまの忘れられない話。二人の出会い、そしてお酒のお話
https://www.youtube.[...]
YouTube 野球いっかん!
2021-12-24
[44]
웹사이트
“1万円プレーヤー”達成も…宮本慎也は「勝手にどうぞ」つば九郎FAメモ
https://www.nikkansp[...]
2021-12-24
[45]
뉴스
元ヤクルトの宮本慎也氏を父に持つ東海大菅生・宮本恭佑が城西大城西戦で2回無失点 185センチの1年生右腕
https://www.sanspo.c[...]
2023-01-30
[46]
뉴스
東海大菅生が選抜出場 元ヤクルト・宮本慎也氏の長男・恭佑は慶応・清原に〝雪辱〟だ!
https://www.sanspo.c[...]
2023-01-30
[47]
웹사이트
2013年度 表彰選手(セントラル・リーグ)
http://www.npb.or.jp[...]
日本野球機構
2020-11-15
[48]
문서
참고로 시즌 67개의 희생타는 세계 타이 기록이다.
[49]
웹사이트
2013年度 表彰選手(セントラル・リーグ)
http://www.npb.or.jp[...]
일본 야구 기구 홈페이지
[50]
문서
후에 [[이바타 히로카즈]]가 이 기록을 경신하면서 513차례 연속 유격수 수비 기회무실책이 2011년 시즌 종료까지의 일본 기록으로 돼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