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야케 세쓰레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야케 세쓰레이는 일본의 철학자이자 국수주의 사상가로, 1860년에 태어나 1945년에 사망했다. 그는 도쿄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자유민권운동에 참여했으나, 이후 국수주의를 옹호하며 잡지 『일본인』을 창간했다. 미야케 세쓰레이는 협력적 민족주의를 주장하며 서구 중심의 보편주의를 비판하고, 일본 고유의 문화 유산을 보존하여 아시아 문화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요 저서로는 『진선미 일본인』, 『위악추 일본인』, 『우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가국 사람 - 마에다 도시이에
    마에다 도시에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약한 일본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오다 노부나가 휘하에서 이름을 알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사업에 참여하여 가가번을 기반으로 백만 석의 영지를 얻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후견인으로서 도요토미 정권의 중신으로 활동했다.
  • 가가국 사람 - 시미즈 도루
    시미즈 도루는 일본 제국의 법학자이자 관료로, 제국대학 법과대학 수석 졸업 후, 행정재판소 장관, 추밀원 고문관 등을 역임했으며, 일본국 헌법 시행 후 국체 위기를 우려하여 자결했다.
  • 정교사 관련자 - 이노우에 엔료
    이노우에 엔료는 일본의 철학자, 교육자, 불교 개혁가이자 요괴 연구가로, 철학관을 설립하고 불교 개혁과 요괴 연구에 힘썼으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정교사 관련자 - 이오키 료조
    이오키 료조는 의사 면허를 가진 일본 언론인이자 정치 활동가로, 언론계와 정치계에서 활동하며 《일본》 편집장으로서 대외 강경론을 주장하고 국민 동맹회 결성, 대지 연합회 활동 등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 일본의 평론가 - 기타 레이키치
    기타 레이키치는 1885년 니가타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민본주의를 옹호하며 평론가, 교육자, 정치인으로 활동했으며 제국미술학교 초대 교장을 지냈다.
  • 일본의 평론가 - 마쓰모토 겐이치 (1946년)
    마쓰모토 겐이치 (1946년)는 일본의 평론가이자 역사학자이며, 도쿄 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호세이 대학 대학원에서 근대 일본 문학을 전공했으며, 레이타쿠 대학 교수와 내각관방참여관을 역임하고 시바 료타로상을 수상했다.
미야케 세쓰레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야케 세쓰레이
출생일1860년 7월 7일
출생지가나자와시, 이시카와현
사망일1945년 11월 26일
직업철학자, 작가, 언론인
장르정치, 문화
사상적 흐름값찾기
주요 작품값찾기
영향을 준 인물값찾기
영향을 받은 인물값찾기

2. 생애

미야케 세쓰레이는 1860년 가가 번 가로 혼다 가문의 유의(儒医)인 미야케 히사시의 아들로 태어났다. 관립 도쿄 개성학교를 거쳐, 1883년 도쿄 대학문학부철학과 (후에 제국대학문과대학)를 졸업했다. 졸업 후 임시 수사국 편찬계(현: 도쿄 대학 사료편찬소)에 취직, 문부성 편집국을 거쳐 1887년 도쿄 전문학교와 철학관에서 강의했다.[3]

고토 쇼지로의 대동단결운동 및 조약 개정 반대 운동 등 자유민권운동에 관여했으며, 1888년 시가 시게타카, 스기우라 주고 등과 정교사를 설립하고 국수주의 입장을 주장하기 위해 잡지 《일본인》(이후 《일본 및 일본인》으로 변경)을 창간했다. 개인 잡지 《아관》, 《중앙공론》 등에 논설을 발표했다.

하야시 내각에서 문부대신 입각 요청을 받았으나 사퇴했다. 1937년 제국 예술원 회원, 1943년 문화훈장을 수훈했다. 주요 저서로는 《진선미 일본인》, 《위악추 일본인》, 《자전》, 《우주》 등이 있으며, 《재팬 리뷰》에 기고하기도 했다.

1945년 11월 26일, 노쇠로 인해 기타타마군고마에 촌이가타의 고 나카노 세이고의 별장에서 사망했다.[2] 묘소는 아오야마 영원에 있다.

2. 1. 가족 및 친족

부인 미야케 카호(구 성씨: 다나베)는 히구치 이치요와 동문인 소설가, 가인이다.[3] 나카노 세이고는 미야케 카호의 사위이다.

3. 사상

미야케 세쓰레이는 보편주의자들과는 다른 의견을 가진 협력적 민족주의자였다. 그는 일본이 먼저 아시아 공동체의 일원이고, 다음으로 세계 공동체의 일원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일본이 아시아 문화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세계 문화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메이지 시대 이전의 문화 유산을 지키고 보존해야 한다고 믿었다.

미야케는 일본이 아시아를 연구하고, 서구 제국주의에 반대하며, 독특한 일본의 미적 감각을 육성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1888년(메이지 21년), 시가 시게타카・스기우라 주고 등과 정교사를 설립하여 국수주의 입장을 주장하기 위해, 『일본인』을 창간했다(후에 『일본 및 일본인』으로 개제). 그 후에도 개인 잡지 『아관』을 창간하고, 『중앙공론』 등에 논설을 발표하는 등 주목을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진선미 일본인』, 『위악추 일본인』, 『자전』, 『우주』 등이 있으며, 『재팬 리뷰』에 기고하기도 했다.

3. 1. 협력적 민족주의와 보편주의 비판

미야케 세쓰레이는 협력적 민족주의를 주장했으며 보편주의와는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일본이 아시아 공동체의 일원이며, 나아가 세계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일본이 메이지 시대 이전의 문화 유산을 지키고 보존하여 아시아 문화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세계 문화를 강화해야 한다고 믿었다.[3]

미야케는 일본이 아시아를 연구하고, 서구 제국주의에 반대하며, 독특한 일본의 미적 감각을 육성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아야 한다고 생각했다.[3]

4. 저서

미야케 세쓰레이는 철학,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신젠비 니혼진(일본인의 선, 진실, 미)》와 《기아쿠슈 니혼진(일본인의 허위, 악, 추)》 등이 있다.[3] 그는 잡지 《일본인》(이후 《일본 및 일본인》으로 변경)을 창간하고, 『재팬 리뷰』에 기고하는 등 언론 활동도 활발히 했다.

4. 1. 주요 저서

미야케 세쓰레이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발행 연도출판사비고
진선미 일본인(真善美日本人)1891년정교사고단샤 학술 문고판(1985)에 위악추 일본인(偽悪醜日本人) 부기
우주(宇宙)1909년정교사
동시대사(同時代史)1949년 ~ 1954년이와나미 서점전 6권
자전(自伝)1950년아사히 신문사헤이본샤 일본인의 자전(1982), 일본도서센터 인간의 기록(1997)에 재수록

[3]

4. 2. 저작 목록

미야케 세쓰레이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신젠비 니혼진(일본인의 선, 진실, 미)》
  • 《기아쿠슈 니혼진(일본인의 허위, 악, 추)》
  • 우주(宇宙)』
  • 자전(自伝)』 (인간의 기록, 일본도서센터에서 재간)


또한, 그는 『재팬 리뷰』에 기고하기도 했다.

다음은 출판년도 순으로 정리한 미야케 세쓰레이의 저작 목록이다.

출판년도제목출판사비고
1896년단운유수(断雲流水)정교사(政教社)시가 시게타카와 공저
1898년추성백로(秋声白露)연구회(研学会)후쿠모토 니치난 외 공저, 연구총서 제5편
1899년춘란추국(春蘭秋菊)연구회(研学会)토요시마 도사이 외 공저, 문범총서
1915년미야케 세쓰레이 인생훈도아도 서방에토 토시오 편집
1915년미야케 세쓰레이 수양어록신초샤이쿠타 슌게츠 편집
1917년미야케 세쓰레이 미사명구집쿄바시도야마카와 히토시 편집, 내외 문호 미사명구 총서 제4집
1917년미야케 세쓰레이 격언 전집추오 출판사후지타 노부스케 편집
1920년삼대가의 신수양(三大家の新修養)야노 히로노부 서방(矢野博信書房)오쿠마 시게노부, 시부사와 에이이치와 공저
1923년노서아승인론(露西亜承認論)동방시론사・정교사(東方時論社・政教社)사와야나기 마사타로와 공저
1925년세쓰레이 명작선집반도 미코샤
1927년미야케 세쓰레이 격언 전집유코샤후지타 노부스케 편집
1931년미야케 세쓰레이집개조사현대 일본 문학 전집 제5편
1934년세쓰레이 명작선집반도 미코샤동양 문예 연구회 편저
1967년미야케 세쓰레이집지쿠마 서방야나기다 이즈미 편・해설, 메이지 문학 전집 33, 복간 2013년
1971년리카쿠난・미야케 세쓰레이주오코론사시카노 마사나오 책임 편집, 일본의 명저 37
1975년미야케 세쓰레이집지쿠마 서방모토야마 사치히코 편・해설, 근대 일본 사상 대계 5


5. 평가

미야케 세쓰레이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엇갈린다.


  • 야나기다 이즈미는 『철인 미야케 세쓰레이 선생』에서 그의 사상을 높이 평가했다.[1]
  • 하세가와 뇨제칸은 『세 사람의 언론인집 제5권』에서 미야케 세쓰레이를 다루었다.
  • 나가츠마 미사오는 『공공성의 에토스 미야케 세쓰레이와 재야 정신의 근대』, 『미야케 세쓰레이의 정치사상 「진선미」의 행방』 등의 저서를 통해 그의 사상을 연구했다.
  • 나카노메 토오루는 『미야케 세쓰레이』(요시카와코분칸 인물총서)라는 평전을 통해 그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했다.

5. 1. 긍정적 평가

三宅雪嶺|미야케 세쓰레이일본어는 일본인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하고, 서구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 일본 고유의 가치를 재발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철학, 문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여 독자적인 사상 체계를 구축했다는 평가도 받는다.[1]

5. 2. 부정적 평가

미야케 세쓰레이의 국수주의적 민족주의 사상은 일본의 제국주의 팽창과 군국주의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는 일본이 아시아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서구 제국주의에 반대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침략과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논리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6. 한국과의 관계

미야케 세쓰레이의 사상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지식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에서는 미야케 세쓰레이를 "일본 제국주의의 나팔수"라고 비판하며, 그의 사상이 한국에 대한 침략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고 있음을 경계했다.

참조

[1] 웹사이트 Hot-Ishikawa | Kanazawa Area | Museum | detail http://www.hot-ishik[...]
[2]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45-11-27
[3] 웹사이트 雪嶺プロフィール https://www.rku.ac.j[...] 流通経済大学 2020-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