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켈로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켈로초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가이자 조각가로, 1396년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그는 로렌초 기베르티의 제자였으며, 도나텔로와 함께 아틀리에를 운영하며 건축 설계를 시작했다. 1430년경부터 건축 설계를 시작하여 1446년에는 피렌체 대성당 건설을 이어받아 브루넬레스키의 작업을 완성했다. 코시모 데 메디치와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메디치 가문의 건축가로 활동하며 메디치 궁전, 산 마르코 수도원,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의 합창단 등을 설계했다. 그는 1472년경 사망했으며, 중부 이탈리아 궁전 유형의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미켈로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미켈로초 디 바르톨로메오 미켈로치 |
출생 | 1396년 경 |
출생지 | 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
사망 | 1472년 10월 7일 |
사망지 | 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
국적 | 이탈리아 |
묘지 | 산 마르코 수도원, 피렌체 |
배우자 | 1441년, 프란체스카 디 암브로조 갈리가리와 결혼 |
자녀 | 7명 |
분야 | 조각 건축 |
사조 | 초기 르네상스 |
2. 생애
미켈로초는 피렌체에서 바르톨로메오 디 게랄도의 아들로 태어났다. 1417년부터 로렌초 기베르티의 제자로 있다가, 1425년 도나텔로와 함께 아틀리에를 설립했다.[7] 1430년경부터 건축 설계를 시작, 1446년 피렌체 대성당 건설을 이어받아 브루넬레스키의 작업을 완성했다. 그의 건축 디자인은 브루넬레스키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영향은 밀라노에서 롬바르디아에 이르기까지 미켈로초의 활동과 함께 확대되었다.[7]
코시모 데 메디치와 미켈로초는 거의 40년 동안 메디치 가문의 건축가로 활동할 정도로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 1789년 안젤로 파브로니는 "코시모는 미켈로초를 매우 사랑하고 그를 의지했는데, 이는 그의 타고난 재능 때문만이 아니었다. 그는 모든 건축 판단에서 브루넬레스키조차도 그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그의 훌륭한 자질과 성격 때문이기도 했다."라고 설명했다.[5] 조르조 바사리는 ''가장 뛰어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의 생애, 치마부에에서 우리 시대까지''에서 1433년부터 1434년까지 베네치아로 망명하는 코시모를 동행했는데, 이는 코시모에 대한 그의 큰 사랑과 충성심 때문이었다고 한다. 역사가들은 이를 예술가와 후원자 사이의 전례 없는 존경심의 사례로 언급한다.[1]
미켈로초는 코시모를 위해 피렌체의 대규모 메디치 궁전을 설계했는데, 이는 15세기 이탈리아 건축의 가장 훌륭한 사례 중 하나이다. 이 건축물에서 미켈로초는 초기 이탈리아 고딕 양식의 섬세함과 고전 양식의 위엄을 결합하는 뛰어난 취향과 기술을 보여주었다. 그는 폐허 상태였던 베키오 궁전을 보강하고 부분적으로 재건했으며, 1437년에는 산 마르코 수도원의 생활 공간 재건과 교회 개조를 맡았다. 이외에도 코시모를 위해 예루살렘에 피렌체 순례자들을 위한 숙소, 카레지의 빌라, 카파지올로의 메디치 빌라 등 많은 건물들을 설계했다.[6] 1445년부터 1451년 사이에는 산 지롤라모 빌라를 확장하기도 했다.[6]
1441년 미켈로초는 프란체스카 갈리가리와 결혼하여 4남 3녀를 두었다.
바사리에 따르면 68세에 사망했다고 하나, 1472년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에 묻혔다.[7]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미켈로초는 1396년 피렌체에서 바르톨로메오 디 게라르도 보르고뇨네와 안토니아의 아들로 태어났다. 보르고뇨네는 프랑스 출신으로 부르고뉴에서 피렌체로 이주해왔다.[1] 그는 피렌체 산타 크로체 지구에서 재봉사로 일했으며, 1376년 4월 9일 피렌체 시민이 되었다.[2] 미켈로초에게는 레오나르도(1389/90년생), 자노비(1391년생), 조반니(1403년생)라는 세 명의 형제가 있었다. 1391년 미켈로초의 가족은 산 조반니 지구로 이사했고, 이후 그곳에서 계속 살았다.[1]미켈로초는 어린 시절 읽기, 쓰기, 산술에 대한 포괄적인 교육을 받았으며, 1410년 피렌체 조폐국에서 주화 조각사로 일하기 시작했다.[3] 조각사로서 미켈로초는 중세와 르네상스 금세공인들이 가장 흔하게 사용했던 구리와 청동을 주조, 다듬고 도금하는 방법을 배웠다. 또한 미니어처 조각 디자인에도 능숙했다.[3]
1420년대 초, 미켈로초는 피렌체의 길드 중 하나인 Arte dei Maestri di Pietra e Legname(석공, 목각가, 조각가들을 대표하는 길드)의 일원이 되었다. 그는 1430년 길드의 집정관 중 한 명으로 일했다.[1]
2. 2. 도제 생활
도나텔로 밑에서 미켈로초는 산타 트리니타의 성구실 건축을 도왔는데, "기베르티는 후기 고딕 양식과 고대 형태를 융합하기 시작했다."[7] 도나텔로와 미켈로초는 모두 고대에 대한 타협 없는 헌신으로 조각가로 시작했으며, 이는 도나텔로가 툴루즈의 성 루이의 성소 장식에 미켈로초의 도움을 요청했을 때 분명해졌다. 미켈로초는 또한 대립교황 요한 23세의 묘비처럼 도나텔로 조각상의 건축적 틀을 담당하는 파트너가 되었다. 1428년, 도나텔로와 함께 미켈로초는 성 스테파노 대성당의 각도에 야외 설교단을 세웠는데, 이는 유명한 유물, 토마스의 허리띠(''Sacra Cintola'')의 정기적인 공개 전시를 위해 고안되었다.[7] 도나텔로가 두 사람 중 더 유명하지만, "미켈로초의 기여를 과소평가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다. 도나텔로가 건축 장식의 유일한 설계자로 등장하는 곳에서 그의 스타일은 상당히 다르다. 그는 조각에 건축적 배경을 완전히 종속시키고, 건축을 그의 조각의 하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만든다. 브루넬레스키의 베키아 성구실에 있는 아름다운 장식 조각은 도나텔로가 그의 조각에 효과적인 틀을 제공하기 위해 그의 현관과 메달리온의 넓고 비스듬한 주변부의 엄청나게 역동적인 모델링에서 얼마나 멀리 갈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7]2. 3. 코시모 데 메디치와의 관계
코시모 데 메디치와 미켈로초의 관계는 매우 긴밀했다. 미켈로초는 거의 40년 동안 메디치 가문의 건축가로 활동했다. "미켈로초는 불같은 성격의 브루넬레스키보다 코시모의 조언과 요구에 더 잘 맞았고, 후원자의 강한 개인적인 취향을 기꺼이 따랐다."[1] 1789년 안젤로 파브로니는 그들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코시모는 미켈로초를 매우 사랑하고 그를 의지했는데, 이는 그의 타고난 재능 때문만이 아니었다. 그는 모든 건축 판단에서 브루넬레스키조차도 그보다 뛰어나다고 생각하지 않았으며, 그의 훌륭한 자질과 성격 때문이기도 했다."[5]미켈로초는 평생 코시모 데 메디치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조르조 바사리의 ''가장 뛰어난 화가, 조각가, 건축가들의 생애, 치마부에에서 우리 시대까지''에 따르면, 1433년부터 1434년까지 베네치아로 망명하는 코시모를 동행했는데, 이는 코시모에 대한 그의 큰 사랑과 충성심 때문이었다. 역사가들은 이를 예술가와 후원자 사이의 전례 없는 존경심의 사례로 언급한다. 바사리는 또한 미켈로초가 1434년 코시모를 위해 산 조르조 수도원의 도서관을 건립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주장은 도서관의 원래 설명 및 문서와 모순된다. 자료에 따르면 도서관 건설은 코시모가 시작했지만, 미켈로초가 베네치아를 떠난 후인 1467년부터 1478년 사이에 메디치 가문 은행 관리자 조반니 도리노 란프레디니의 지휘 아래 대부분 건설되었다.
코시모가 건립한 피렌체의 대규모 메디치 궁전은 미켈로초가 설계했으며, 15세기 이탈리아 건축의 가장 훌륭한 사례 중 하나이다. 이 건축물에서 미켈로초는 초기 이탈리아 고딕 양식의 섬세한 경쾌함과 고전 양식의 장대한 위엄을 결합하는 뛰어난 취향과 기술을 보여주었다. 그는 뛰어난 기술로 폐허 상태였던 베키오 궁전을 보강하고 부분적으로 재건했으며, 많은 중요한 방과 계단을 추가했다. 1437년 코시모의 관대함으로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이 도미니크 수도회 피에솔레에게 넘어갔을 때, 미켈로초는 생활 공간을 재건하고 교회를 개조하는 일을 맡았다. 그는 코시모를 위해 많은 다른 건물들을 설계했는데, 그 대부분은 주목할 만한 중요성을 지닌다. 여기에는 피렌체 순례자들을 위해 예루살렘에 세운 숙소, 코시모의 여름 별장인 카레지의 빌라, 그리고 1452년부터 무젤로의 카파지올로의 메디치 빌라로 재건축한 요새화된 ''카스텔로''가 포함된다. 코시모의 아들 조반니 데 메디치를 위해 그는 매우 큰 피에솔레의 빌라도 건축했다. 1445년부터 1451년 사이에 그는 코시모의 요청으로 피에솔레의 메디치 빌라 옆에 있는 산 지롤라모 빌라를 확장하기도 했다.[6]

2. 4. 결혼과 가족
미켈로초는 1441년 1월 말이나 2월에 프란체스카 갈리가리와 결혼했다. 당시 프란체스카는 20세, 미켈로초는 45세였다.[1] 프란체스카의 지참금은 425플로린으로, 당시 중상류층 가정의 평균 수준이었다. 이는 미켈로초의 사회적 지위가 상당히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8]1441년, 미켈로초는 두 형의 빚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기 위해 법적 소송을 제기했다. 중재인들은 두 형이 미켈로초 빚의 대부분의 원인이었으며, 빚에 대한 부분적인 보상으로 상속 재산을 포기해야 한다고 판결했다.[1]
미켈로초는 프란체스카와의 사이에서 아들 넷과 딸 셋을 두었는데, 그중 다섯 명이 아버지보다 오래 살았다.
출생년도 | 이름 |
---|---|
1442년 | 바르톨로메오 |
1443년 | 피에로 |
1445년 | 안토니아 |
1447년 | 니콜로 |
1453년 | 마리에타 |
1459년 | 리자베타 |
그의 아들 중 니콜로와 베르나르도는 메디치가의 교육을 받았으며, 어린 시절 팔라초 메디치에 살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들은 훗날 피렌체의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 사이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베르나르도는 로렌초 일 마니피코의 가정부가 되어 피에로 데 메디치의 가정교사가 되었다. 1500년 그는 피렌체의 교회법정 판사가 되었고, 교황 레오 10세 (조반니 데 메디치) 휘하에서 시종장, 비서 겸 참사관으로 일했다.
베르나르도와 마찬가지로 니콜로는 피치노에게서 수학했고, 플라톤 아카데미에 참여했다. 그는 피에로 디 코시모의 비서가 된 후 피에로 디 로렌초 치하에서도 그 직책을 유지했다. 1469년 니콜로는 피렌체 참사원에서 서기로 정치 경력을 시작했고, 1489년부터 1494년까지 피렌체 공화국의 대사로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메디치가의 몰락 이후 잠시 투옥되었지만, 1496년 명예를 회복하고 아르테 데이 주디치 에 노타이의 사전 변호사가 되었으며, 1513년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뒤를 이어 공화국의 차석 참사관이 되었다.[1]
2. 5. 죽음과 유산
바사리의 주장에 따르면 그는 68세에 사망했다고 하나, 1472년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피렌체의 산 마르코 수도원에 묻혔다.[7]초기 르네상스 시대 가장 영향력 있으면서도 덜 알려진 건축가 중 한 명인 미켈로초의 디자인은 중부 이탈리아 궁전(Palazzo) 유형의 급속한 발전을 위한 길을 열었다. 그는 통로 없는 교회를 개발했고, 현대에서 가장 중요한 성당 건축 계획 유형의 선구자였다. 그는 세속 건축을 변화시켰고, 전통적인 형태를 활용하는 그의 적응력 덕분에 롬바르디아와 달마티아와 같은 먼 지역에도 좋은 절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7]
건축 장식에 대한 그의 세심한 처리에 대해, "미켈로초는 아이디어를 채택하여 잘 활용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아이디어를 전달할 수도 있었다. 마네티, 베르나르도 로셀리노, 줄리아노 다 마이아노, 심지어 줄리아노 다 상갈로의 스타일은 브루넬레스키와 나중의 도나텔로의 예술적 특징뿐만 아니라 미켈로초의 예술적 특징의 지지와 영향 없이는 상상할 수 없다."[7]
3. 주요 작품
연도 | 작품명 | 비고 |
---|---|---|
1461년~1464년 | 스톤 성벽 | 유럽에서 가장 큰 중세 성벽 (라구사 공화국) [11] |
1444년 (설계) 1464년 (완공) | 메디치 궁전 | 피렌체, 「메디치 궁전」으로 표기하기도 함 [12] |
1437년 (착공) 1443년 (완공) | 산 마르코 교회 성구실 및 도서관 | 피렌체 |
1452년 (착공) |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교회 | 피스토이아 |
1462년 (착공) 1466년 (완공) | 포르티날리 예배당 | 밀라노 |
3. 1. 메디치 궁전 (Palazzo Medici Riccardi)
1444년 코시모 데 메디치가 메디치 궁전 건설을 시작했을 때, 브루넬레스키를 제치고 미켈로초를 선택했다. 시청사 외관과 마찬가지로, 메디치 궁전의 외관은 토스카나 후기 중세 궁전의 전통을 따랐지만, 코시모의 '최고의 동등자'이자 '국부'로서의 역할과는 맞지 않는 시민 권력의 눈에 띄는 상징들은 없었다.[9] 궁전의 외관은 비트루비우스식 건축수법에 따라 구성되지 않았으며, 1층의 큰 아치는 윗층 창문과 일치하지 않았다. 대신 미켈로초는 "1층의 자연스러운 러스티케이션(rustication), 피아노 노빌레(piano nobile)의 평평한 석재 코스, 그리고 상층의 매끄러운 석조"와 같이 표면 질감의 대비에 중점을 두었다.[9] 외관은 또한 크기, 더 세련된 성격, 그리고 거대한 고전주의적 처마 장식에서 몬테풀차노의 궁전과 달랐다. "치아 모양 장식, 알과 화살 장식, 그리고 콘솔의 연속에서 미켈로초는 로마의 세라피스 신전을 직접적으로 따랐다."[9]
브루넬레스키의 영향은 궁전 설계에서, 특히 후기 중세 이중창 창문, 대칭성, 입구 축의 지배성, 그리고 전통적 요소와 진보적 요소의 결합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궁전 중정의 아케이드와 엔타블러처도 오스페달레 델리 인노첸티 로지아의 모델을 따르는데, 이는 상징적으로 브루넬레스키의 가장 초기의, 그리고 비트루비우스식이 아닌 건물이다.[9]
미켈로초의 가장 잘 알려진 건축 프로젝트 중 하나인 이 궁전은 새로운 건축 유형인 피렌체 르네상스 궁전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파사드에 대한 미켈로초의 많은 혁신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부가나토 디그라단테(bugnato digradante)(윗층으로 올라갈수록 밝아지는 크고 고르지 않게 자른 돌)의 사용, 이중창 창문의 고전적 기둥과 홈이 있는 주두, 건물을 장식하는 거대한 고전적 처마 장식과 층을 나누는 작은 처마 장식, 정사각형 블록의 거대한 직사각형 비율, 그리고 창문 배치의 규칙성(하지만 문에 대해서는 비대칭적임)" 등이 있다.[1]
3. 2. 산 마르코 수도원 (San Marco)

산 마르코 수도원은 르네상스 시대 건축가들이 건립한 모든 수도원 건물의 기본 토대가 되었으며, 미켈로초가 피렌체에서 수행한 최초이자 가장 영향력 있는 건축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코시모 데 메디치의 비용으로 1437년에서 1438년 사이에 건설이 시작되었다. 재건에는 교회, 성구실, 회랑, 수도사 생활 공간 및 도서관이 포함되었다. 산 마르코 수도원는 최초의 르네상스 교회로 불리지만, 트레첸토 전통과 르네상스 정신 사이의 절충으로 보인다. 프레스코화가 없는 밋밋한 흰색 벽은 트레첸토의 색채 전통과 다르며, 미켈로초의 건축 개념과 회색 피에트라 세레나로 만들어진 필요한 구조 부재로 미묘하게 표현된 크고 장식이 없는 표면에 대한 선호도에 필수적이었다.[1] 산 마르코 수도원은 미켈로초의 많은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놀라운 속도로 건설되었다. 브루넬레스키와 달리 미켈로초는 코시모로부터 캠페인 전반에 걸쳐 충분한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고, 미켈로초의 효율성 덕분에 시작한 일을 마칠 수 있었다.
미켈로초가 착수한 첫 번째 부분은 "낡은 식당을 재건하는 것"이었는데, 산 트리니타 성당 성구실의 콘솔과 매우 유사한 콘솔로 지탱되는 낮은 둥근 천장이 위쪽의 침실을 지탱하도록 만들어졌다. 교회 건설은 1438년에 시작되어 아마도 3년 후에 완공되었을 것이며, 교황 에우제니오 4세가 봉헌한 1443년까지는 확실히 완공되었다. 미켈로초는 이전 트레첸토 교회의 경계를 사용하여 보스코 아이 프라티의 것과 유사한 형태의 다각형 후진을 추가했으며, 현재 수도원 윗층에서 볼 수 있는 세 개의 긴 둥근 아치 피에트라 세레나 창으로 채광되었다. 뾰족한 입구 아치는 크고 고전적인 코린트식 주두로 장식된 두 개의 기둥 위에 놓여 있으며, 메디치 가문의 구슬(현재도 볼 수 있음)로 장식된 대좌가 그 위에 놓여 있다. 후진 앞에는 횡단 둥근 천장으로 덮인 카펠라 마지오레가 있었다. 신랑은 통로가 없는 단일 개방 공간으로, 에디쿨라 또는 제단(양쪽에 세 개)으로 장식되었고 목재 들보 천장으로 덮여 있었다. 신랑과 카펠라 마지오레를 분리하는 것은 두 개의 문이 있는 높은 벽(트라메초)이었다. 교회의 후기 개조에서 벽이 제거되었고 문은 현재 위치한 다각형 후진으로 옮겨졌다. 홈이 파인 기둥은 브루넬레스키가 만든 산 펠리치타의 바르바도리 예배당의 기둥과 동일한 복합 주두로 장식되어 있으며, 고전적인 몰딩이 있는 아치트라브 위에는, 보스코 아이 프라티의 주두와 마찬가지로 메디치 가문의 구슬로 장식된 프리즈가 있다.[1]
3. 3.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의 합창단 (Choir of the Santissima Annunziata)
로도비코 곤자가는 만토바의 영주이자 피렌체 군대의 총사령관이었는데, 이 합창단은 그의 의뢰로 건립되었다. 곤자가의 아버지를 기리고 "그의 영혼을 위한 미사를 거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9] 코시모는 이미 미켈로초에게 브루넬레스키의 고대 로마 양식 광장이라는 아이디어를 계속 이어가기 위해 교회의 현관과 중정 건설을 의뢰한 바 있었다. 미켈로초는 산티시마 안눈치아타를 설계하면서 미네르바 메디카 신전(로마)을 모델로 삼아, 내부 평면을 둥글게 하고, 판테온처럼 반구형 돔을 만들고, 깊고 반원형이 넘는 예배당이 있는 10각형 외관으로 세부를 만들었다. 그는 또한 늑골이 없는 드럼과 돔을 선택했다. 산티시마 안눈치아타는 미켈로초가 브루넬레스키를 능가하려는 시도였지만, "두 평면도를 비교해 보면 브루넬레스키의 설계가 얼마나 뛰어난지 알 수 있다."[9]3. 4. 산타 크로체 성당 (Santa Croce)
하워드 살먼은 1966년 5월 ''버링턴 매거진''에서 "옛 기숙사와 옛 도서관 날개의 세부 사항이 미켈로초의 양식을 보여준다. 바사리가 옳고 미켈로초가 산타 크로체에서 실제로 일했다면(문서 부족에도 불구하고 의심할 이유가 없다) 미켈로초와 그의 동료들이 산 마르코, 산타 안눈치아타 등 다른 곳들처럼 이 전체 작업을 담당했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적었다.[10]미켈로초는 산타 크로체 교회와 회랑에 옛 기숙사와 도서관 앞의 로지아(팔각형 기둥과 물방울 장식이 있는 코린트식 기둥머리)를 포함하여 여러 부분을 추가했다. 이 로지아는 원래 회랑을 가로질러 교회 남쪽의 높은 로지아까지 이어져 산 줄리아노(멜리니) 예배당의 동쪽 측면을 따라 있었다. 이 로지아는 19세기에 파괴되기 전에 첫 번째 회랑을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10] 옛 도서관 날개의 1층에 있는 옛 식당에 인접한 끝부분에 있는 체르키(Cerchi) 예배당은 1423년 화재에서 살아남은 오래된 주변 벽에 분명히 삽입되어 있다. 세부 사항(작은 정사각형 합창단으로 이어지는 개구부의 양쪽에 있는 기둥, 합창단 앞의 홀의 둥근 천장의 기둥머리 - 측벽의 오래된 창문과 겹침)의 양식은 미켈로초의 동료들의 양식이다.[10]
3. 5. 기타 주요 작품
연도 | 작품명 | 비고 |
---|---|---|
1461년~1464년 | 스톤 성벽 | 유럽에서 가장 큰 중세 성벽 (라구사 공화국) [11] |
1444년 (설계) 1464년 (완공) | 메디치 리카르디 궁전 | 피렌체, 「메디치 궁전」으로 표기하기도 함 [12] |
1437년 (착공) 1443년 (완공) | 산 마르코 교회 성구실 및 도서관 | 피렌체 |
1452년 (착공) |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교회 | 피스토이아 |
1462년 (착공) 1466년 (완공) | 포르티날리 예배당 | 밀라노 |
참조
[1]
서적
Michelozzo
Garland Publishing, Inc.
[2]
서적
Michelozzo di Bartolommeo
[3]
서적
Donatello & Michelozzo: An Artistic Partnership and its Patrons in the Early Renaissance
Harvey Miller
[4]
서적
Lorenzo Ghiberti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Magni Cosmi Medicei Vita
[6]
웹사이트
I Luoghi della Fede: Chiesa di San Girolamo
http://web.rete.tosc[...]
2018-02-07
[7]
서적
Architecture in Italy, 1400-1500, Volume 53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Social World of the Florentine Humanists, 1390-1460
University of Toronto Press, Scholarly Publishing Division
[9]
서적
The Architecture of the Italian Renaissance
Thames & Hudson Ltd, London
[10]
학술지
Michelozzo Studies
1966
[11]
웹사이트
What to visit in Stagno. Croatian tourist website
http://www.croazia-t[...]
[12]
서적
新装版 図説 西洋建築の歴史
河出書房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