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크로코스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크로코스모스는 벨러 버르토크가 둘째 아들 페테르를 위한 교육용 피아노 교재로 작곡한 153개의 소곡 모음집이다. 1932년부터 1939년까지 작곡되었으며, 쉬운 곡에서 점차 난이도를 높여가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위법, 카논, 다양한 선법, 동유럽 민속 음악, 무조 음악 등 다양한 음악적 기법을 활용하며, 총 6권으로 나뉘어 난이도별로 분류된다. 미크로코스모스는 피아노 교육과 20세기 음악 연구에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버르토크의 독창적인 음악 어법과 민속 음악에 대한 이해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르토크 벨러의 작품 - 버르토크의 현악 사중주
    버르토크 벨러가 1909년부터 1939년까지 작곡한 6개의 현악 사중주 작품은 그의 음악적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다양한 현악 사중주단에 의해 녹음되었다.
  • 버르토크 벨러의 작품 - 춤 모음곡
    벨러 버르토크가 부다페스트 시의 의뢰로 작곡한 춤 모음곡은 헝가리, 루마니아, 아랍 민족의 색채를 담은 6악장 구성의 관현악 모음곡으로, 초연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피아노 버전도 존재한다.
  • 피아노 곡 - 밤의 가스파르
    모리스 라벨이 알로이지우스 베르트랑의 시집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밤의 가스파르》는 세 악장으로 구성된 피아노 모음곡으로, 시의 이미지를 섬세하게 표현하면서도 극도의 연주 난이도를 자랑하며 라벨의 독창적인 음악적 개성을 드러낸다.
  • 피아노 곡 - 쿠프랭의 무덤
    모리스 라벨의 《쿠프랭의 무덤》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사한 친구들을 기리기 위해 바로크 시대 춤곡 형식을 바탕으로 작곡된 6악장 피아노 모음곡으로, 전쟁의 참상과 상실감을 표현하며 인상주의 음악과 20세기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미크로코스모스

2. 작곡 배경 및 목적

1940년에 출판된 《미크로코스모스》는 그리스어로 '작은 세계'라는 뜻을 가진, 153개의 소곡으로 이루어진 6권의 작품이다. 작곡가 버르토크는 둘째 아들 페테르의 피아노 교육을 위해 이 곡들을 작곡했다.[1] 곡들은 뒤로 갈수록 난이도가 점점 높아지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버르토크는 1932년 여름부터 작곡을 시작하여 1939년까지 이 작품을 완성했다. 처음에는 쉬운 곡들을 작곡하고, 이후에 난이도를 점차 높여가는 방식으로 작곡을 진행했다.[1] 1933년부터 피아노 연습을 시작한 아들 페테르를 통해 곡들을 실제로 시험해 볼 기회를 얻었으며, 이는 작곡 과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1]

《미크로코스모스》는 교육적인 목적 외에도 로베르트 슈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프랑수아 쿠프랭에게서 받은 음악적 영감,[2] 민속 음악적 요소, 그리고 버르토크 자신의 음악 어법을 연구하고 실험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1]

3. 구성 및 특징

1940년에 출판된 미크로코스모스는 총 6권, 153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권은 난이도에 따라 분류된다. 로베르트 슈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프랑수아 쿠프랭에 대한 오마주, 민속 음악에서 영감을 얻은 곡, 리듬 또는 피아노 기술에 대한 연습곡 등 다양한 곡들이 있다. 원래 피아노 연습곡집이기 때문에, 대부분 연주 시간이 1분에서 2분 정도로 매우 짧으며, 다양한 성격의 짧은 곡들이 모여 있다는 점 등에서 미크로코스모스(소우주)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미크로코스모스 각 권의 목록
번호난이도비고
제1권1-36초급
제2권37-66초급
제3권67-96중급
제4권97-121중급
제5권122-139고급
제6권140-153고급


3. 1. 음악적 특징

1940년에 출판된 미크로코스모스는 다양한 음악적 기법과 특징을 보여준다.

  • 대위법적 기법: 대위법, 모방, 카논 등 여러 대위법적 기법이 사용되었다.[6]
  • 선법 활용: 도리아, 프리지아, 리디아, 믹솔리디아 등 다양한 선법이 사용되었다.[4]
  • 민속 음악 요소: 헝가리, 불가리아, 트란실바니아 등 동유럽 민속 음악의 리듬과 선율이 사용되었다. 특히 제6권에는 해리엇 코언에게 헌정된 "불가리아 리듬의 6개의 춤곡"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불가리아 민속 음악의 특징인 가산 리듬(각 마디의 박자가 불균등한 리듬)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춤곡(148)은 (각 마디에 아홉 개의 8분 음표)로 묶이고, 마지막 춤곡(153)은 (각 마디에 여덟 개)로 묶인다.
  • 현대 음악적 요소: 무조, 복조, 불규칙한 리듬 등 현대 음악적 요소도 나타난다.
  • 확장 기법: 일부 작품에서는 발 구르기, 두드리기, 소리 없이 건반 누르기, 노래와 같은 확장 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5]
  • 바흐슈만의 영향: 대위법을 활용한 바흐와 성격 소품의 대가인 슈만을 기리는 곡으로서 그들의 작풍을 모방한 곡들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 덕분에 "피아노를 통한 현대 음악 입문서"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3. 2. 각 권별 난이도

미크로코스모스의 곡들은 전체 작품집을 통해 난이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진다. 1권의 첫 번째 곡부터 6권의 마지막 곡인 153번까지 이어진다.

  • 제1권(1-36번), 제2권(37-66번): 초급
  • 제3권(67-96번), 제4권(97-121번): 중급
  • 제5권(122-139번), 제6권(140-153번): 고급


초반은 쉬워서 초심자의 연습에 적합하지만, 점점 난이도가 상승한다. 6권 후반의 곡, 특히 148번 이후의 '불가리아 리듬에 의한 6개의 무곡'과 바르토크 자신이 제목을 붙인 6곡(피아니스트 해리엇 코언에게 헌정)은 콘서트에서 앙코르 등으로 사용된다. 바르토크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부다페스트에서 연주회를 개최했을 때도 직접 이 6곡을 연주했다.

3권에서 6권 중 7곡은 바르토크가 디타 부인과 함께 연주하는 연주회를 위해 두 대의 피아노용으로 편곡했다.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미크로코스모스"에서 발췌한 7개의 소품')

4. 곡 목록

미크로코스모스는 총 153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6권으로 나뉜다. 각 권은 난이도가 점차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적인 목적을 가지고 작곡되었다.

미크로코스모스 곡 목록
번호곡명(일부) 및 특징
제1권1-36육성 멜로디, 점음표, 당김음, 평행 진행, 반진행, 모방, 카논 등 (제1권 상세 목록)
제2권37-66리디아 선법, 스타카토레가토, 유고슬라비아헝가리 스타일, 믹솔리디아 선법, 오리엔탈 스타일, 10도, 오음계 등 (제2권 상세 목록)
제3권67-963도, 화음, 겹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로베르트 슈만에 대한 오마주, 스케르초, 변주곡, 러시아 스타일, 반음계적 인벤션 등 (제3권 상세 목록)
제4권97-121야상곡, 엄지 손가락 넣기, 손 교차, 민요 스타일, 감7도, 배음, 불가리아 리듬, 3화음 등 (제4권 상세 목록)
제5권122-139스타카토, 보트 타기, 박자 변경, 새로운 헝가리 민요, 발 구르기 춤, 4도, 당김음, 무궁동, 온음계, 백파이프 음악 등 (제5권 상세 목록)
제6권140-153자유 변주, 오스티나토, 행진곡, 불가리아 리듬의 여섯 개의 춤곡 (해리엇 코언에게 헌정) 등 (제6권 상세 목록)


4. 1. 제1권 (BB 105, Sz. 107)

번호곡명
1육성 멜로디 (I)
2(a) 육성 멜로디 (II)
(b) 육성 멜로디 (II)
3육성 멜로디 (III)
4육성 멜로디 (IV)
5육성 멜로디 (V)
6육성 멜로디 (VI)
7점음표
8반복 (1)
9당김음 (I)
10번갈아 치기
11평행 진행
12반사
13자리바꿈
14질의 응답
15마을 노래
16자리바꿈을 동반한 평행 진행
17반진행
18사성 멜로디 (I)
19사성 멜로디 (II)
20사성 멜로디 (III)
21사성 멜로디 (IV)
22모방과 대위법
23모방과 반전 (I)
24목가
25모방과 반전 (II)
26반복 (II)
27당김음 (II)
28옥타브의 카논
29반사된 모방
30완전 5도의 카논
31카논 형식의 춤
32도리아 선법으로
33느린 춤
34프리지아 선법으로
35코랄
36자유 카논



제1권은 1번부터 36번까지의 곡으로, 초급 단계의 연습곡들이다. 주로 양손이 같은 움직임을 하는 연습곡, 점음표, 당김음, 반진행, 모방, 카논 등의 기법을 다룬다.

4. 2. 제2권 (BB 105, Sz. 107)

제2권은 37번부터 66번까지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급 단계의 연습곡들이다. 이 권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법과 양식을 다루고 있다.

  • 리디아 선법: 37번 곡에 사용되었다.
  • 스타카토레가토: 38번, 39번 곡에서 이 두 가지 주법을 연습한다. 39번 곡은 카논 형식으로 되어 있다.
  • 유고슬라비아 스타일: 40번 곡에서 나타난다.
  • 헝가리 스타일: 43번 곡은 헝가리 스타일을 따르며, (a)는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곡이고, (b)는 한 대의 피아노를 위한 곡이다.
  • 반진행: 44번 곡은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반진행 연습곡이다.
  • 믹솔리디아 선법: 48번 곡에 사용되었다.
  • 오리엔탈 스타일: 59번 곡에서 나타난다.
  • 10도: 57번 곡은 10도 멜로디를 다룬다.
  • 오음계: 61번 곡은 오음계 멜로디를 사용한다.


이 외에도 41번(반주가 있는 멜로디), 42번(쪼개진 3화음의 반주), 45번(명상), 46번(증가-감소), 47번(시골 장터), 49번(크레센도-디미누엔도), 50번(미뉴에트), 51번(파도), 52번(분할된 유니슨), 53번(트란실바니아 스타일로), 54번(반음계), 55번(리디아 선법의 셋잇단음표,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해), 56번(10도의 멜로디), 58번(오리엔탈 스타일), 60번(지속 음표가 있는 카논), 62번(평행 진행의 단조 6도), 63번(윙윙거림), 64번((a) 점에 대항하는 선, (b) 점에 대항하는 선), 65번(대화, 목소리와 함께), 66번(분할된 멜로디) 곡들이 포함되어 있다.

각 곡의 상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제목
37리디아 선법으로
38스타카토레가토 (I)
39스타카토레가토 (카논)
40유고슬라비아 스타일로
41반주가 있는 멜로디
42쪼개진 3화음의 반주
43(a) 헝가리 스타일로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해)
44반진행 (2)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해)
45명상
46증가-감소
47시골 장터
48믹솔리디아 선법으로
49크레센도-디미누엔도
50미뉴에트
51파도
52분할된 유니슨
53트란실바니아 스타일로
54반음계
55리디아 선법의 셋잇단음표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해)
5610도의 멜로디
57악센트
58오리엔탈 스타일로
59장조와 단조
60지속 음표가 있는 카논
61오음계 멜로디
62평행 진행의 단조 6도
63윙윙거림
64(a) 점에 대항하는 선
65대화 (목소리와 함께)
66분할된 멜로디


4. 3. 제3권 (BB 105, Sz. 107)

Bartók Béla|버르토크 벨러hu의 미크로코스모스 제3권(BB 105, Sz. 107)은 67번부터 96번까지의 곡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급 단계의 연습곡들이다. 각 곡의 목록과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번호제목설명
67단선율에 대항하는 3도
68헝가리 춤곡두 대의 피아노를 위해 편곡됨
69화음 연구
70겹음 멜로디
713도
72용의 춤
736도와 3화음
74 (a)헝가리 중매 노래
74 (b)헝가리 중매 노래목소리와 함께
75셋잇단음표
76세 부분으로
77작은 연습곡
785음 음계
79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바침
80로베르트 슈만에게 바침
81방황
82스케르초
83중단이 있는 멜로디
84유쾌함
85쪼개진 화음
86두 개의 장조 5화음
87변주곡
88피리 이중주
894성부로 (I)
90러시아 스타일로
91반음계적 인벤션 (I)
92반음계적 인벤션 (II)
934성부로 (II)
94옛날 옛적에...
95 (a)여우 노래
95 (b)여우 노래목소리와 함께
96충격



이 곡들은 3도, 화음, 겹음, 헝가리 중매 노래, 셋잇단음표, 5음 음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로베르트 슈만에 대한 오마주, 스케르초, 변주곡, 러시아 스타일, 반음계적 인벤션 등 다양한 기법과 양식을 다루고 있다.[6]

4. 4. 제4권 (BB 105, Sz. 107)

Mikrokosmos영어 제4권은 97번부터 121번까지의 곡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급 단계의 연습곡들이다.[6] 야상곡, 엄지 손가락 넣기, 손 교차, 민요 스타일, 감7도, 배음, 불가리아 리듬, 3화음 등 다양한 기법과 양식을 다루고 있다.

번호제목비고
97야상곡
98엄지 손가락 넣기
99손 교차
100민요 스타일로
101감7도
102배음
103단조와 장조
104(a) 건반을 따라 방황
(b) 건반을 따라 방황
105게임 (두 개의 5음 음계)
106어린이 노래
107안개 속의 멜로디
108레슬링
109발리 섬에서
110그리고 소리가 부딪치고 쨍그랑거린다...
111간주곡
112민요 주제에 의한 변주곡
113불가리아 리듬 (I)
114주제와 반전
115불가리아 리듬 (II)
116노래
117부레
118 박자의 셋잇단음표
119 박자의 춤
1203화음
1212성부 연구


4. 5. 제5권 (BB 105, Sz. 107)

# 122번: 함께 그리고 반대로의 화음

# (a) 스타카토와 레가토 (II)

#:(b) 스타카토와 레가토 (II)

# 124번: 스타카토

# 125번: 보트 타기

# 126번: 박자 변경

# 127번: 새로운 헝가리 민요 (목소리와 함께)

# 128번: 발 구르기 춤

# 129번: 번갈아 치는 3도

# 130번: 마을 농담

# 131번: 4도

# 132번: 장2도 쪼개고 함께 치기

# 133번: 당김음 (III)

# (a) 겹음 연구

#:(b) 겹음 연구

#:(c) 겹음 연구

# 135번: 무궁동

# 136번: 온음계

# 137번: 유니슨

# 138번: 백파이프 음악

# 139번: 유쾌한 앤드류

이 곡들은 고급 단계의 연습곡들로, 다양한 기법과 양식을 다룬다. 예를 들어, 124번 스타카토는 스타카토 주법을, 125번 보트 타기는 특정 연주 기법을 연습하는 데 중점을 둔다. 126번 박자 변경은 곡 중간에 박자가 바뀌는 것을 연습하며, 127번 새로운 헝가리 민요는 헝가리 민속 음악의 특징을 담고 있다. 128번 발 구르기 춤은 춤곡 리듬을, 131번 4도는 4도 음정을 중심으로 연습한다. 133번 당김음은 싱코페이션 리듬을 다루며, 135번 무궁동은 끊임없이 이어지는 음형을 연습한다. 136번 온음계는 온음계적 음계를 사용하며, 138번 백파이프 음악은 백파이프 소리를 모방한다.

4. 6. 제6권 (BB 105, Sz. 107)

요약에 따르면, 제6권은 140번부터 153번까지의 고급 연습곡들을 다룬다.

번호곡명
140자유 변주
141주제와 반사
142파리의 일기에서
143분할된 아르페지오
144단2도, 장7도
145(a) 반음계적 인벤션 (III)
146오스티나토
147행진곡
148불가리아 리듬의 여섯 개의 춤곡 (I)
149불가리아 리듬의 여섯 개의 춤곡 (II)
150불가리아 리듬의 여섯 개의 춤곡 (III)
151불가리아 리듬의 여섯 개의 춤곡 (IV)
152불가리아 리듬의 여섯 개의 춤곡 (V)
153불가리아 리듬의 여섯 개의 춤곡 (VI)



제6권에는 영국 피아니스트 해리엇 코언에게 헌정된 "불가리아 리듬의 6개의 춤곡"이 들어 있다. 불가리아 민속 음악은 가산 리듬, 즉 각 마디의 박자가 불균등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춤곡(148)은 각 마디에 아홉 개의 8분 음표로 묶이고, 마지막 춤곡(153)은 각 마디에 여덟 개의 8분 음표로 묶인다.

6권 후반의 곡, 특히 148번 이후의 '불가리아 리듬에 의한 6개의 무곡'과 바르토크 자신이 제목을 붙인 6곡(피아니스트 해리엇 코언에게 헌정)은 콘서트에서 앙코르 등으로 사용된다. 바르토크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부다페스트에서 연주회를 개최했을 때도 직접 이 6곡을 연주했다.

5. 평가

《미크로코스모스》는 피아노 교육과 연주, 그리고 20세기 현대 음악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버르토크의 독창적인 음악 어법과 민속 음악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주는 작품이다.[6] 난이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구성은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연습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음악적 기법과 양식을 담고 있어 현대 음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피아노를 통한 현대 음악 입문서"라는 평가를 받는다.[6]

참조

[1] 논문 History of Bela Bartok's Mikrokosmos 1959
[2] 서적 Sechs Tänze in Bulgarischem Rhythmus Schott/Universal 2016
[3] 웹사이트 Mikrokosmos
[4] 서적 Introduction to Musical Ambigu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 서적 Béla Bartók: A Celebration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4
[6] 문서 레ショフスキー・シャーンドルと共著、1913年 1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