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평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평가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적색 목록에서 멸종 위험을 평가하는 9가지 범주 중 하나이다. 이 범주는 멸종 위험이 정량화될 만큼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종에 해당하며, 멸종 위험이 없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IUCN은 미평가로 분류된 종에 대해 위협받는 종과 동일한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고한다. IUCN은 전 세계적으로 76,000종 이상의 보존 상태를 평가했으며, 미평가 범주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종의 수에 대한 추정치가 300만 종에서 3,000만 종으로 다양하기 때문에 가장 큰 범주이다. IUCN의 평가는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보전 위협을 평가하고 적색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데 적용되며, 생태계에 대한 위협을 분류하는 데도 사용된다. 대한민국 환경부도 IUCN 적색 목록 기준을 바탕으로 멸종 위기 야생생물을 지정하고 보호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은 멸종 위협 정도에 따라 생물종을 9가지 범주로 분류한다. 멸종(EX), 야생 멸종(EW), 위급(CR), 위기(EN), 취약(VU), 준위협(NT), 관심대상(LC), 정보부족(DD), 미평가(NE)로 나뉜다.[4] 이 중 정보부족(DD) 및 미평가(NE) 범주는 멸종 위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4]
IUCN은 2015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76,000종 이상에 대한 보존 상태를 평가했다.[6] 지구상 생물 종의 수는 300만~3000만 종으로 추정되어,[6] '미평가'(NE) 범주가 가장 크다. IUCN은 미평가 종도 "위협을 받지 않는 것처럼 취급해서는 안 되며, 적어도 상태를 평가할 수 있을 때까지 위협받는 분류군과 동일한 정도의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적절하다."라고 권고한다.[4][5]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평가 및 분류 과정은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보전 위협을 평가하고 적색 목록을 작성하는 데 활용된다.[7][8][9][10][11][12] 또한, 생태계 위협 분류에도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모든 생태계는 평가 전 '미평가' 상태이다.[13]
2. IUCN 적색 목록의 범주
IUCN은 2015년까지 전 세계 76,000종 이상을 평가했으며, 이 중 약 24,000종이 멸종 위협을 받고 있다고 분류했다. 지구상 생물 종의 수가 300만~3,000만 종으로 추정되므로, 미평가(NE) 범주가 가장 크다.[6]범주 설명 멸종 (EX) 더 이상 생존 개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종 야생 멸종 (EW) 야생에서는 멸종되었지만, 사육 또는 인공 증식을 통해 생존하는 종 위급 (CR) 야생에서 멸종될 위기에 직면한 종 위기 (EN) 야생에서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 취약 (VU) 멸종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는 종 준위협 (NT)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하지 않았지만 가까운 미래에 위협받을 수 있는 종 관심대상 (LC) 멸종 위험이 낮고, 널리 분포하며, 개체 수가 많은 종 정보부족 (DD) 멸종 위험을 평가하기에 정보가 부족한 종 미평가 (NE) IUCN에서 아직 평가하지 않은 종[4]
2. 1. 멸종 (EX)
멸종은 더 이상 생존 개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종이다.
2. 2. 야생 멸종 (EW)
야생에서는 멸종되었지만, 사육 또는 인공 증식을 통해 생존하는 종을 의미한다. IUCN 적색 목록 야생 멸종 종 목록 및 :Category:IUCN 적색 목록 야생 멸종 종을 참고할 수 있다.
2. 3. 위급 (CR)
심각한 위기 (CR)은 야생에서 멸종될 위기에 직면한 종이다.
2. 4. 위기 (EN)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기(EN) 단계는 야생에서 멸종될 가능성이 높은 종을 의미한다.
2. 5. 취약 (VU)
IUCN 적색 목록의 멸종 위협 등급 중 하나이다. 취약종은 멸종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는 종을 의미한다.[1]
2. 6. 준위협 (NT)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 적색 목록에서 지정한 멸종 위기 등급 중 하나로,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하지 않았지만 가까운 미래에 위협받을 수 있는 종을 의미한다.
2. 7. 관심대상 (LC)
관심대상 (LC)은 멸종 위험이 낮고, 널리 분포하며, 개체 수가 많은 종이다.
2. 8. 정보부족 (DD)
IUCN 적색 목록에서 멸종 위험을 평가하기에 정보가 부족한 종을 의미한다.[1]
2. 9. 미평가 (NE)
미평가(Not Evaluated, NE)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적색 목록 범주를 아직 평가하지 않은 종을 의미한다.[4] 이 범주는 멸종 위험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해당 종에 대한 멸종 위험이 아직 정량화되어 발표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4]
IUCN은 미평가 종에 대해 "위협받지 않는 것처럼 취급해서는 안 되며, 적어도 상태를 평가할 수 있을 때까지 위협받는 분류군과 동일한 정도의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고 권고한다.[4][5]
2015년까지 IUCN은 전 세계적으로 76,000종 이상의 보존 상태를 평가했다. 이 중 약 24,000종이 한 가지 이상의 보존 수준에서 전 세계적으로 위협받는 종으로 분류되었다. 지구상에 존재하는 종의 수는 300만 종에서 3,000만 종까지로 추정되는데, 이는 IUCN의 '미평가'(NE) 범주가 9가지 멸종 위험 범주 중 가장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6]
생태계의 경우, IUCN 분류를 적용하기 전에는 모두 "미평가"(NE)에 해당한다.[19]
3. IUCN 적색 목록의 평가 과정
보전 위기 평가와 개별적인 적색 목록 작성을 위한 기본으로 삼기 위해, IUCN의 세계 규모 평가와 분류 과정을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원용하는 사례가 나타난다.[16][17][18] 또한 생태계의 위기를 분류하기 위한 평가 기준의 적용(en)도 시작되었으며, IUCN 분류 적용 이전의 생태계는 모두 "미평가"(NE)에 해당한다.[19]
4. IUCN 적색 목록의 다른 적용 사례
4. 1. 대한민국에서의 적용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전 세계 평가 및 분류 과정은 이후 국가 수준, 때로는 지역 수준에서 보전 위협을 평가하고 해당 지역의 개별 적색 자료 목록을 작성하는 데 기반으로 적용되어 왔다.[7][8][9][10][11][12]
5. 생태계 적색 목록
IUCN은 생태계 위협 분류 방식을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모든 생태계는 평가 과정 이전에 '미평가'로 분류된다.[13][19]
6. 보전 노력과의 연계
IUCN 적색 목록은 생물 다양성 보전 노력과 정책 결정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멸종 위기종 보호를 위한 국제 협약(CITES 등)과 연계하여 효과적인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한다. 한국 정부는 IUCN 적색 목록을 참고하여 국가 생물 다양성 전략을 수립하고, 멸종 위기종 복원 사업 등을 추진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the IUCN Red List.
https://web.archive.[...]
2016-02-19
[2]
서적
Plant Conservation: Why It Matters and How It Works
https://books.google[...]
Timber Press
2013
[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www.iucnredl[...]
2024-05-06
[4]
서적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http://cmsdocs.s3.am[...]
2018-07-24
[5]
웹사이트
Guidelines for Using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13
https://web.archive.[...]
IUCN Standards and Petitions Subcommittee
2018-07-24
[6]
웹사이트
Wildlife Conservation Resource
https://web.archive.[...]
2018-07-23
[7]
간행물
National Threatened Species Listing Based on IUCN Criteria and Regional Guidelin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2007-06
[8]
웹사이트
Threatened Species Programme {{!}} SANBI Red List of South African Plants
http://redlist.sanbi[...]
2018-07-24
[9]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wildlife
https://nt.gov.au/en[...]
2018-07-24
[10]
웹사이트
The National Red List 2012 of Sri Lanka Conservation Status of the Fauna and Flora
http://www.cea.lk/we[...]
Ministry of Environment, Colombo, Sri Lanka.
2018-07-24
[11]
간행물
Red Data List of southern African plants. 2. Corrections and additions
https://abcjournal.o[...]
2018-07-24
[12]
간행물
Why South-east Asia should be the world's priority for averting imminent species extinctions, and a call to join a developing cross-institutional programme to tackle this urgent issue
https://journals.ope[...]
2018-07-24
[13]
간행물
A practical guide to the application of the IUCN Red List of Ecosystems criteria
https://web.archive.[...]
Royal Society
2018-07-24
[14]
웹사이트
About the IUCN Red List
http://www.iucnredli[...]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2019-07-20
[15]
웹사이트
Wildlife Conservation Resource (野生生物保全の情報源)
https://www.marwell.[...]
2018-07-23
[16]
웹사이트
Threatened Species Programme {{!}} SANBI Red List of South African Plants (絶滅危惧種プログラム{{!}}南アフリカの植物のSANBIレッドリスト)
http://redlist.sanbi[...]
2018-07-24
[17]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wildlife (野生生物の分類)
https://nt.gov.au/en[...]
ノーザン・テリトリー州政府
2018-07-24
[18]
웹사이트
2012年スリランカ全国レッドリスト 動植物保全状況
http://www.cea.lk/we[...]
スリランカ環境省(コロンボ)
2018-07-24
[19]
웹사이트
A practical guide to the application of the IUCN Red List of Ecosystems criteria
https://www.iucn.org[...]
Royal Society
2018-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