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족말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말살은 특정 민족 집단의 문화, 언어, 정체성을 파괴하려는 행위를 의미한다. 1943년 라파엘 렘킨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으며, 집단학살과 유사하게 문화적 요소를 파괴하는 개념으로 여겨진다. 유네스코는 민족말살을 문화적 권리 박탈로 정의하며, 프랑스 민족학자 로베르 자랭은 민족말살을 '목표'로, 피에르 클라스트레스는 문화 파괴에 기반한 행위로 정의했다. 배리 사우트먼은 민족말살의 의도가 강제 동화에 맞춰져 있다고 주장한다. 일제강점기의 민족말살통치,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족 탄압 등이 민족말살의 사례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족 갈등 - 민족 분쟁
    민족 분쟁은 민족 집단 간의 갈등으로, 원시주의, 도구주의, 구성주의 등 다양한 이론으로 설명되며, 자원, 영토, 종교, 민족주의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고대부터 현대까지 발생하고 있고, 탈냉전 시대 이후에도 소셜 미디어의 영향으로 갈등이 증폭되는 가운데 공동체주의, 연방주의, 비영토 자치 등 해결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 민족 갈등 - 중국의 위구르족 박해
    중국의 위구르족 박해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을 비롯한 소수 민족에게 자행하는 대규모 구금, 고문, 강제 노동, 강제 불임 시술, 문화 및 종교 탄압 등의 인권 침해를 말하며, 중국 정부는 테러와의 전쟁 및 극단주의 척결을 명분으로 내세우지만 위구르족의 문화적 정체성을 말살하고 사회를 통제하려는 의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 집단학살 - 다르푸르 분쟁
    다르푸르 분쟁은 수단 다르푸르 지역에서 발생한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한 분쟁으로, 아랍화 정책과 정치적 소외에 대한 비아랍계 주민들의 불만이 무장 투쟁으로 이어져 수많은 사망자와 난민을 발생시켰으며, 현재는 평화 협상을 통해 분쟁 종식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집단학살 - 난징 대학살
    난징 대학살은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후 6주 동안 자행한 대규모 학살 및 전쟁범죄로, 희생자 수에 대한 논쟁은 있지만 국제사회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혹한 범죄로 인정하고 있다.
민족말살
지도
기본 정보
다른 이름문화적 집단 학살, 문화 학살
로마자 표기ethnocide
정의 및 특징
정의특정 민족이나 문화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을 말살하려는 행위
특징문화적 유산 파괴
언어, 종교, 전통 탄압
교육 시스템 조작
문화적 표현 금지
문화적 동화 강요
역사 왜곡 및 은폐
목적
목적특정 민족 또는 문화 집단의 정체성을 파괴하고 지배력을 강화하는 것
관련 개념
관련 개념집단 학살
문화 제국주의
민족 청소
역사적 사례
역사적 사례아메리카 원주민 강제 동화 정책
티베트 문화 탄압
위구르족 문화 탄압
호주 원주민 강제 동화 정책
관련 법률 및 국제 규범
관련 법률집단살해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 (문화적 학살에 대한 직접적인 정의는 없음)
국제형사재판소 규정 (반인도적 범죄에 문화적 파괴 행위 포함)
논쟁점
논쟁점문화적 집단 학살이 집단 학살의 일부인지, 별개의 개념인지에 대한 논쟁
'문화적 집단 학살'이라는 용어의 법적 지위와 범위
추가 정보
추가 정보문화 말살은 물리적 폭력이 수반될 수 있으며, 문화적 집단 학살은 집단 학살의 문화적 측면으로 간주될 수 있음.
문화 말살은 의도치 않은 그룹 파괴나 질병, 기근 등으로 인한 파괴와는 구별됨.

2. 용어의 기원

1943년, 라파엘 렘킨은 '집단학살'이라는 용어를 만들면서, '민족말살'이라는 용어를 함께 제안했다. 렘킨은 집단학살에 문화적 요소가 있다고 주장하며, '문화적 집단학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1948년 집단살해 협약 작성자들은 '민족말살' 용어 사용을 고려했으나 최종적으로는 제외했다. 1994년 원주민의 권리에 관한 국제연합 선언 초안에는 '민족말살'과 '문화적 집단학살'이라는 문구가 사용되었으나, 2007년 채택된 최종 문서에는 '문화적 집단학살'은 제외되었다.[6]

3. 민족말살의 개념

민족말살은 특정 민족이 고유한 문화를 유지하고 발전시킬 권리를 박탈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람들의 육체를 파괴하는 집단학살과는 달리, 그들의 정신을 파괴하는 행위이다. 민족말살은 신체적 파괴가 아닌 문화 파괴에 기반하며, '잘못된' 차이에 초점을 맞춰 문화적 차이를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한다.[8] 이러한 의도는 문화적 죽음을 초래하는 의도적인 행위로 이어진다.[9]

3. 1. 유네스코(UNESCO)의 정의

유네스코는 산호세 선언에서 문화말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문화말살이란 특정 민족 집단이 집단적 또는 개별적으로 자체 문화와 언어를 향유하고, 발전시키고, 전승할 권리를 박탈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인권, 특히 민족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 존중에 대한 극단적인 대규모 침해를 수반합니다.

3. 2. 로베르 자랭(Robert Jaulin)의 정의

프랑스 민족학자 로베르 자랭(1928-1996)은 1970년 민족말살 개념을 재정의하여, 민족말살을 정의하는 것이 ‘수단’이 아니라 ‘목표’라고 제안했다. 따라서 민족말살은 이러한 파괴 행위를 수행하는 사람들과 다른 사람들의 사상과 삶의 방식을 체계적으로 파괴하는 것이다. 집단학살이 사람들의 육체를 죽이는 반면, 민족말살은 그들의 정신을 죽인다.

3. 3. 피에르 클라스트레스(Pierre Clastres)의 정의

피에르 클라스트레스의 저서 《폭력의 고고학》(The Archeology of Violence) 4장에 따르면,[8] 민족말살(Ethnocide)은 집단학살(Genocide)과 달리 신체적 파괴가 아닌 문화의 파괴에 기반한다. 민족말살은 다양한 문화의 사고방식, 삶의 방식, 존재 방식을 말살한다. 특정 지역의 문화적 규범으로 소수 집단의 인구를 변화시킴으로써, 특히 '잘못된' 차이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춘 문화적 차이를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자신들의 문화에 따른 차이의 측정을 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라고 한다. 민족중심주의적 사고는 우월한 문화와 열등한 문화의 위계가 존재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따라서 민족말살은 어떤 수단을 사용하든 열등한 문화를 우월한 문화의 지위로 끌어올리기를 바란다.[8]

3. 4. 배리 사우트먼(Barry Sautman)의 정의

배리 빅터 사우트먼(홍콩과학기술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은 민족말살의 "의도"가 문화적 대량학살의 의도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민족말살이 집단의 물리적 또는 생물학적 파괴와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족말살의 의도는 일반적으로 강제 동화에 맞춰져 있으며, 인구 감소에는 맞춰져 있지 않다. 즉, 민족말살의 의도는 문화적 죽음을 초래하는 의도적인 행위이다.[9]

4. 사례


  • 민족말살통치: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이 한국인의 민족 정체성을 말살하고 일본인으로 동화시키기 위해 시행한 정책이다. 창씨개명, 한국어 사용 금지, 신사참배 강요 등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는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 강력하게 비판하는 역사적 사건이다.[1]
  • 홀로코스트: 나치 독일이 유대인과 다른 소수 집단을 대상으로 자행한 집단 학살이다.[2]
  • 위구르족 집단학살: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족 및 기타 소수 민족에게 가하는 탄압이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은 독도 문제, 동북공정과 같은 민감한 문제에 대하여 한국의 심기를 건드리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민족 탄압은 더불어민주당과 같은 진보 진영뿐만 아니라, 한국인들에게 매우 비판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
  • 원나라: 한족의 문화를 억압하고 몽골 문화를 강요했다.[4]
  • 청나라 변발: 한족에게 만주족의 변발을 강요했다.[5]

참조

[1] 서적 What is Genocide https://books.google[...] Polity 2007-03-20
[2] 서적 La paix blanche: introduction à l'ethnocide Éditions du Seuil
[3] 서적 The SAGE Handbook of Nations and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SAGE 2006-06-29
[4] 학술지 In the Shadow of Genocide: Ethnocide, Ethnic Cleansing, and International Order 2021-10-01
[5] 웹사이트 'Ethnic Cleansing' is a euphemism used for genocide denial https://www.genocide[...] 2023-06-28
[6] 웹사이트 Article 7 and 8,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Adopted by the General Assembly on 13 September 2007 https://www.ohchr.or[...] United Nations 2007-09-13
[7] 웹사이트 THE SAN JOSE DECLARATION https://www.mtholyok[...]
[8] 서적 The Archeology of Violence Éditions du Seuil
[9] 서적 Cultural genocide and Asian state peripheries. Cultural genocide in international context Palgrave Macmillan
[10] 서적 What is Genocide https://books.google[...] Polity 2007-03-20
[11] 웹사이트 Acts Constituting a General (Transnational) Danger Considered as Offences Against the Law of Nations http://www.preventge[...] 1933-10-14
[12] 서적 The SAGE Handbook of Nations and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SAGE 2006-06-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