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주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라주딘은 크로아티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1181년 최초로 언급되었다. 1209년 자유 왕립 도시 특권을 부여받아 북부 크로아티아의 경제, 군사 중심지로 성장했다. 오스만 제국의 침략으로 요새를 중심으로 방어적으로 건설되었으며, 1756년 크로아티아의 수도가 되었으나 1776년 대화재 이후 자그레브로 수도 기능이 이전되었다. 19세기부터 재건되어 산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20세기에는 크로아티아 북서부의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다. 현재는 문화 유산과 바로크 건축물, 다양한 축제 등으로 관광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옛 수도 - 시베니크
시베니크는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해안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인들이 건설한 가장 오래된 도시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시베니크 대성당과 성 니콜라스 요새가 있으며,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쳐 1991년 크로아티아에 속하게 되었다. - 크로아티아의 옛 수도 - 솔린
솔린은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반도 북쪽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도시 살로나 유적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역사적 장소이자 스플리트 도시권의 일부로 2021년 기준 인구는 24,862명이다. - 크로아티아의 주도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주도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크로아티아의 도시 - 리예카
크로아티아 서부 아드리아해 북부 연안에 위치한 리예카는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현재는 크로아티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2020년 유럽 문화 수도로 선정된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을 지닌 곳이다.
바라주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Grad Varaždin City of Varaždin |
표어 | Probitati et bonis artibus (For Honesty and Good Virtues) |
일반 정보 | |
국가 | 크로아티아 |
군 | 바라주딘 주 |
시장 | 네벤 보실 |
시 의회 | 21명의 의원 SDP (12석) NL 이반 체호크 (4석) HDZ (3석) NS-R (1석) NL 두브라브카 노바크 (1석) |
지리 | |
면적 | 59.9 km² |
도시 면적 | 34.5 km² |
고도 | 173 m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1년) | 43,782명 |
도시 인구 | 36,187명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ET |
여름 시간 (DST) | CEST |
UTC 오프셋 | +1 |
UTC 오프셋 (DST) | +2 |
우편 번호 | HR-42 000 |
지역 번호 | +385 42 |
차량 등록 번호 | VŽ |
수호 성인 | 성 니콜라스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바라주딘은 1209년 헝가리의 언드라시 2세에 의해 자유 왕립 도시로 선언되면서 북부 크로아티아의 경제, 군사 중심지로 발전했다.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대비해 요새를 중심으로 도시를 방어적으로 건설하면서 전형적인 중세 워터부르크(Wasserburg)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4세기 말, 바라주딘 요새는 첼레 백작의 소유가 되었다. 이후 몇 세기 동안 여러 소유주를 거쳤는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은 시청을 건설한 베아트리체 프랑코판과 요새를 강화한 남작 이반 웅나드였다. 16세기 말에는 토마스 에르되디 백작이 소유주가 되어 바라주딘의 세습적인 행정관(주판) 직을 맡았으며, 요새는 1925년까지 에르되디 가문의 소유였다.
16세기 말 바라주딘은 슬라보니아 군사 국경의 중심지였다. 그러나 잦은 화재로 인해 도시 발전에 어려움을 겪었다. 1582년, 1586년, 1587년, 1592년, 1599년, 1646년, 1648년, 1665년, 1745년, 1748년, 1771년 그리고 1776년에 대화재가 발생하여 도시의 많은 부분이 파괴되었다. 특히 1776년 화재는 도시의 80%를 파괴하여 행정 기능이 자그레브로 이전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잦은 화재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 당국은 소방 대책을 마련하고, 건축 규정을 강화했다. 1599년에는 10가구당 사다리 1개와 철제 갈고리 1개를 갖추도록 의무화했으며, 1772년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은 소방 장비 칙령을 발표하여 도시의 소방 능력을 강화했다.
1756년 반 페렌츠 나다스디는 바라주딘을 공식 거주지로 선택하면서 바라주딘은 잠시 크로아티아의 수도가 되었다. 크로아티아 사보르와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가 설립한 왕립 크로아티아 평의회가 이곳에 위치했다.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 시대에 예수회가 도착하면서 김나지움과 예수회 하우스가 설립되었고, 바로크 양식의 교회와 건물들이 건설되었다.
19세기 바라주딘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바라주딘 군의 행정 중심지였으며,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이후 헝가리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20세기에는 북서 크로아티아의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다. 1918년에는 섬유 제조업체 '티바르'가 설립되었고. 1929년에는 실크 공장이 설립되었는데, 이 공장은 나중에 스포츠 의류 브랜드 야사를 시작하게 된다. 유고슬라비아의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우스타샤에 의해 ''유대인 부재'' 도시로 선언되기도 했다.[31]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시기에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지가 빠르게 항복하면서 큰 피해 없이 6억달러 상당의 무기를 크로아티아 군대에 제공했다.
2. 1. 12-13세기
1181년 8월 20일, 헝가리 왕 벨라 3세가 발행한 법적 문서에서 인근 온천 (바라주딘스케 토플리체)을 언급하면서 바라주딘(당시 지명은 가레스틴)이 처음으로 역사에 등장한다.[8]1209년, 헝가리 왕 헝가리의 언드라시 2세는 바라주딘을 자유 왕립 보로로 선언하였다. 이후 바라주딘은 크로아티아 북부 지역의 경제 및 군사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대비하여 도시를 요새화하면서 전형적인 중세 워터부르크(Wasserburg)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3세기 초에는 구호 기사단(Ivanovcihr)이 바라주딘에 교회와 수도원을 건설하였다.[8] 13세기 중반, 구호 기사단 소속이었던 성 요한 교회가 프란치스코회에 넘겨졌고, 프란치스코회는 수 세기에 걸쳐 교회를 확장하여 중세 구조물을 초기 바로크 양식으로 바꾸었다.[9]
2. 2. 14-17세기
1209년 헝가리 왕 언드라시 2세는 바라주딘을 자유 왕립 보로로 선언했다. 이로 인해 바라주딘은 북부 크로아티아의 경제 및 군사 중심지로 성장했다. 오스만 제국의 침략에 대비하여 도시는 오래된 요새를 중심으로 방어 체계를 갖추었고, 중세 워터부르크(Wasserburg) 형태를 띠게 되었다. 13세기 초에는 구호 기사단(Ivanovcihr)이 바라주딘에 와서 교회와 수도원을 건설했다.[8] 13세기 중반, 구호 기사단의 성 요한 교회는 프란치스코회에 의해 넘겨졌고, 프란치스코회는 수 세기에 걸쳐 교회를 확장하여 결국 중세 구조물을 초기 바로크 양식으로 대체했다.[9]14세기 말, 바라주딘 요새는 첼레 백작의 소유가 되었다. 이후 몇 세기 동안 바라주딘은 여러 소유주를 거쳤다. 그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은 시청을 건설한 베아트리체 프랑코판(1480–1510)과 기존 요새를 강화한 남작 이반 웅나드(1493–1564)였다. 16세기 말에는 토마스 에르되디 백작이 소유주가 되어 바라주딘의 세습적인 행정관(주판) 직을 맡았으며, 요새는 1925년까지 에르되디 가문의 소유로 남아 있었다. 16세기 말 바라주딘은 슬라보니아 군사 국경의 중심지였다.[10]
16세기부터 바라주딘에는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1582년 5월 27일의 대화재로 본당, 프란체스코 교회와 수녀원, 성 비드, 미카엘, 삼위일체 예배당, 지방 세관원과 세무 관리의 집 등이 소실되었다.[12] 이후 헝가리 왕실은 세금 면제와 무상 농노 노동을 허가했고, 오스트리아 대공 에르네스트는 시민들에게 무상으로 목재를 제공하도록 했다.[13] 이 화재를 계기로 바라주딘을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망루에 경비원을 배치하여 화재를 감시했다.[14]
1586년, 1587년, 1592년, 1599년에도 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건물들이 피해를 입었다. 특히 1599년 화재 이후 도시 관리들은 최초의 소방 대책을 시행했다.[18] 1646년과 1648년에도 대화재가 발생하여 도시의 절반 이상이 파괴되었고, 페르디난트 3세는 세금 면제를 통해 도시 재건을 지원했다.[20]
1665년 3월 27일에는 부활절 월요일에 발생한 큰 화재로 도시 전체가 거의 파괴되었다. 이 화재로 교회, 요새 사령관 소유 건물, 도시 성벽의 탑 등이 소실되었고, 많은 시민들이 목숨을 잃었다.[20] 이후 화재로부터 보호를 기원하는 성 플로리안 예배당이 1669년에 건립되었다.[25]
1756년[8] 또는 1766년,[29] 반 페렌츠 나다스디는 바라주딘을 공식 거주지로 선택했고, 바라주딘은 잠시 크로아티아 전체의 수도가 되었다. 크로아티아 사보르와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가 설립한 왕립 크로아티아 평의회가 이곳에 위치했다. 그러나 1776년 4월의 대화재로 인해 수도로서의 기능은 막을 내렸다.[30]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 시대에 예수회가 도착하면서 학교(김나지움)와 예수회 하우스가 설립되었고, 바로크 양식의 교회와 건물들이 건설되었다. 18세기에는 많은 크로아티아 귀족들이 바라주딘에 거주했으며, 1756년에는 크로아티아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그러나 1776년의 화재로 도시의 약 80%가 파괴되면서 행정 기관은 다시 자그레브로 이동하게 되었다.[8]
2. 3. 18-19세기
바라주딘은 16세기 말 슬라보니아 군사 국경의 중심지였다.[10]16세기는 화재가 기록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1558년 바라주딘에서 화재가 발생했지만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11] 1582년 5월 27일의 대화재는 피해가 매우 커서 바라주딘 사람들은 시간을 "대화재 이전"과 "대화재 이후"로 구분했다.[12] 이 화재로 본당, 프란체스코회 교회와 수녀원, 성 비드, 미카엘, 삼위일체 예배당, 지방 세관원과 세무 관리의 집 등이 피해를 입었다. 요새는 화재를 면했지만, 도시 성벽을 넘어 드라바 강 근처의 교외 지역까지 피해를 입혔다. 시민들은 왕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헝가리 왕실은 향후 6년간 세금 면제를, 1년간 세금 면제 및 무상 농노 노동을 허가했다. 오스트리아 대공 에르네스트는 1582년 7월 9일 바라주딘 군 관리들에게 화재로 집을 잃은 시민들에게 무상으로 목재를 제공하라고 명령했다.[13]
1586년 4월 29일의 화재로 여러 건물이 불탔다. 1587년에는 5월 10일에 왕실 거리에서 23채의 집이, 12월 26일에는 한 채의 집이 불타는 등 두 건의 화재가 발생했다.[13] 1592년 화재에서는 "비참하고 슬픈 도시 바라주딘"이라는 설명이 도시 기록에 등장하며, 시청과 성 니콜라스 교회를 포함한 여러 공공 건물이 피해를 입었다.[12][16] 1599년 화재는 성 비드 거리 주변에서 66채의 건물을 파괴했다.[17]
1599년, 도시 관리들은 최초의 소방 대책을 시행했다. 10채의 집마다 긴 사다리 1개와 철제 볼트 1개를 제공하도록 하는 조례였다.[18]
1646년 대화재는 도시의 절반 이상을 파괴했지만, "추악한 도시 지역"을 더 나은 건물로 대체하면서 도시의 성장을 멈추게 하지는 못했다.[19] 1648년 5월 1일 강풍으로 인한 화재로 도시 성벽 안의 절반 이상이 파괴되었고, 수백 채의 집이 사라졌다. 페르디난트 3세 왕은 1649년 10월 27일 "1648년 5월 1일 화재로 바라주딘의 절반이 소실되었다"는 이유로 500 헝가리 포린트의 연체 세금 납부를 면제했다.[20]
1665년 3월 27일 부활절 월요일, 큰 화재가 브로도프스키 코네츠 교외에서 시작되어 도시 전체로 번졌다.[23] 이 화재로 바라주딘 교회(본당, 예수회 교회, 프란체스코회 교회)와 바라주딘 요새 사령관 소유의 8채의 집과 새로운 마구간만 남기고 도시 성벽의 여러 탑을 파괴했지만, 화약고로 사용되는 탑은 살아남았다. 도시 내부 건물 외에도 상부 문 밖의 교외 전체, 동쪽에서 요새의 통행료 문까지, 주요 거리와 비슈쿠페츠 마을 방향의 비도프스키 코네츠 거리가 화재로 파괴되었다. 다음 날 화재는 비도프스키 코네츠의 모든 건물을 태웠다.[20]
성 플로리안 예배당은 1665년 화재 이후 1669년 바라주딘에 세워졌다.[25]
18세기에는 1745년, 하숙인에게 앙심을 품은 군인들이 일으킨 화재로 여러 집과 양조장이 파괴되었다.[21] 1748년에는 또 다른 화재로 119채의 집과 수백 채의 마구간과 헛간을 포함한 남부 교외 지역이 대부분 파괴되었다.[26]

1767년, 크로아티아 왕립 평의회는 바라주딘 시 당국에 집 난로에서 아마 및 대마 섬유를 건조하는 것, 헛간과 마구간 주변에서 흡연을 금지하고, 나무 굴뚝을 벽돌로 된 굴뚝으로 교체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768년 기록에 따르면 바라주딘의 굴뚝 대부분은 나무 굴뚝이었고, 사람들은 굴뚝을 거의 청소하지 않아 화재 위험이 컸다. 1755년 바라주딘에는 굴뚝 청소부가 한 명뿐이었고, 정기적인 급여도 받지 못했다.[27] 1769년 화재 진압의 효율성이 기록되었는데, 시 행정부 구성원들이 화재 현장에 나타나 작전을 지휘하고, 소방관에게 임무를 할당하고, 그들의 수행을 감시했다.[11]
1771년 화재로 32채의 건물과 많은 마구간 및 헛간이 파괴되었다.[26] 그해 헝가리 상공 회의소 대표는 시 당국에 화재로 집을 잃은 사람들이 벽돌로 재건하고 집 밖에 난로를 설치하도록 돕자고 제안했다. 1774년 헝가리 상공 회의소는 바라주딘 시 당국에 스라치네츠 마을의 불타버린 집을 생 벽돌 건물로 교체하라고 요구했다.[18] 1772년 마리아 테레지아 여왕은 도시 당국이 소방을 위해 구매해야 하는 필수 장비를 열거한 칙령을 발행했고, 1773년까지 시는 이 장비의 대부분을 소유하게 되었다. 1771년 바라주딘 당국은 모든 시민에게 소방을 의무화했다.[11]
1776년 4월 25~26일의 대화재는 스라치네츠 교외에서 시작되어 바라주딘으로 번졌다. 강한 바람과, 집 안에 화약을 쌓아두었던 상인의 부주의로 인한 폭발이 화재에 연료를 더했다.[21] 성벽 안에 있던 113채의 건물 중 70채가 완전히 파괴되었고 11채가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 북부 교외에는 256채의 건물이 있었는데, 그중 111채가 완전히 파괴되었고, 남부 교외의 245채의 집 중 135채가 파괴되었다. 총 614채의 집 중 316채가 파괴되어 절반 이상이 파괴되었다. 대부분의 귀족들이 도시를 떠났고, 국가 정부도 함께 떠났다. 그러나 평민들은 남아 도시를 거대한 건설 현장으로 만들었다. 1780년까지 집의 수는 화재 이전과 같아졌다.[26]
화재 이후, 시 당국은 도시 성벽 안에서 나무 집을 짓는 것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벽돌로 만든 굴뚝이 의무화되었고, 적절한 건축 자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했다. 화재 진압에 가장 먼저 도움을 준 시민에게 보상하는 인센티브도 마련되었다.[18]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7세기와 18세기에 바라주딘의 경제와 문화는 확장되었으며, 인구는 1600년경 3,000명에서 18세기 말경 5,500명으로 증가했다.[29]
1756년[8] 또는 1766년,[29] 반 페렌츠 나다스디는 바라주딘을 그의 공식 거주지로 선택했고, 바라주딘은 크로아티아 전체의 수도가 되었다. 이곳에는 크로아티아 사보르와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가 설립한 왕립 크로아티아 평의회가 있었다. 1776년 4월의 화재로 인해 그 존재는 끝을 맺었다.[30]
종교 개혁과 반종교 개혁 시대는 바라주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예수회의 도착과 함께 학교(김나지움)와 예수회 하우스가 설립되었으며, 바로크 양식의 교회와 기타 건물이 세워졌다. 18세기에 바라주딘은 많은 크로아티아 귀족의 거주지였으며, 1756년에는 크로아티아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1776년의 화재는 도시의 약 80%를 파괴하여 행정 기관이 다시 자그레브로 이동하게 되었다.[8]

바라주딘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바라주딘 군의 행정 중심지였으며,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 이후 헝가리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881년에 발행된 헝가리 우표에는 두 이름이 모두 표시되어 있다.
2. 4. 20세기 이후
20세기 바라주딘은 크로아티아 북서부의 산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1918년에는 섬유 제조업체 '티바르'가 설립되었다. 1929년에는 실크 공장이 설립되었는데, 이 공장은 나중에 스포츠 의류 브랜드 야사를 시작하게 된다.크레시미르 필리치 교수의 지도 아래, 이 도시는 시립 도서관, 시립 박물관, 미술관을 개발하고, 음악 학교를 재개했으며, 산악 협회를 창설했다.
유고슬라비아의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직후인 1941년 7월 12일, 바라주딘은 우스타샤에 의해 ''유대인 부재'' 도시로 선언되었으며, 크로아티아에서 이 불명예스러운 칭호를 얻은 최초의 도시가 되었다.[31]
1857년부터 1948년까지 별도의 정착지로 인구가 추적되었던 비슈쿠페츠는 1953년 인구 조사부터 바라주딘시에 통합되었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발발한 1991년, 바라주딘은 며칠 동안 직접적인 피해를 입었지만, 바라주딘 병영 포위전 이후 거대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지가 빠르게 항복하면서 사망자 수가 최소화되었고, 크로아티아 군대에 6억달러 상당의 무기를 제공했다.
3. 지리
바라주딘의 총 면적은 59.45km2이고, 도시 정착지 면적은 34.22km2이다. 바라주딘 주의 중심지이며, 드라바 강 근처에 위치해 있다.
3. 1. 기후
바라주딘(Varaždin)은 쾨펜 기후 구분상 온난 습윤 온대 기후(''Dfb'')이며 해양성 기후 (''Cfb'')에 가깝다.[36][37]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19.1°C | 21.6°C | 25.3°C | 30.4°C | 33.2°C | 36°C | 39.3°C | 39.4°C | 32.9°C | 27.7°C | 24.3°C | 21.4°C | 39.4°C |
평균 최고 기온 (°C) | 3.4°C | 6.1°C | 11.1°C | 15.7°C | 20.9°C | 23.9°C | 26°C | 25.8°C | 21.5°C | 15.5°C | 8.6°C | 4.4°C | 15.2°C |
평균 기온 (°C) | -0.2°C | 1.6°C | 5.8°C | 10.3°C | 15.4°C | 18.5°C | 20.2°C | 19.5°C | 15.4°C | 10°C | 4.6°C | 1°C | 10.2°C |
평균 최저 기온 (°C) | -3.7°C | -2.5°C | 1°C | 4.7°C | 9.2°C | 12.6°C | 14.1°C | 13.5°C | 10°C | 5.5°C | 1°C | -2.2°C | 5.3°C |
최저 기온 기록 (°C) | -26.8°C | -28°C | -23.4°C | -5.5°C | -2.3°C | 2.2°C | 4.7°C | 3.2°C | -3.1°C | -7.5°C | -19.6°C | -22.7°C | -28°C |
강수량 (mm) | 38.9mm | 42mm | 50.9mm | 63.1mm | 71.8mm | 96.5mm | 91.2mm | 88mm | 84.7mm | 80.6mm | 77mm | 58.3mm | 843.1mm |
평균 강수일수 (≥ 0.1mm) | 9.2 | 9.3 | 10.9 | 12.9 | 13.2 | 14.0 | 12.1 | 10.9 | 10.3 | 10.4 | 11.1 | 11.2 | 135.4 |
평균 적설일수 (≥ 1cm) | 13.5 | 9.9 | 3.4 | 0.5 | 0.0 | 0.0 | 0.0 | 0.0 | 0.0 | 0.0 | 3.7 | 9.4 | 40.4 |
평균 상대 습도 (%) | 84.1 | 78.6 | 73.2 | 69.1 | 69.6 | 70.9 | 71.7 | 74.8 | 79.3 | 81.7 | 84.7 | 85.7 | 76.9 |
평균 일조 시간 | 77.5 | 113.0 | 148.8 | 180.0 | 238.7 | 246.0 | 279.0 | 260.4 | 195.0 | 139.5 | 84.0 | 65.1 | (연간 일조 시간 데이터 누락) |
일조율 (%) | 30 | 43 | 45 | 49 | 57 | 59 | 65 | 65 | 57 | 47 | 34 | 29 | 51 |
4. 인구
정착지 | 인구 |
---|---|
체르네츠 비슈쿠페치 | 696 |
도니 쿠찬 | 716 |
고야네츠 | 620 |
고르니 쿠찬 | 1,139 |
흐라슈치차 | 1,283 |
얄코베츠 | 1,309 |
쿠찬 마로프 | 1,388 |
폴랴나 비슈쿠페츠카 | 452 |
바라주딘 | 38,839 |
즈벨라바 | 504 |
총합 | 46,946 |
5. 행정 구역
바라주딘의 행정 구역은 지방 위원회(mjesni odbori|미에스니 오드보리hr)로 구성되어 있다.[7]
- 센타르
- 제2 지방 위원회
- 제3 지방 위원회
- 제4 지방 위원회
- 제5 지방 위원회
- 반피차
- 비슈쿠페츠
- 흐라슈치차
- 고야네츠
- 얄코베츠
- 폴랴나 비슈쿠페츠카
- 체르네츠 비슈쿠페츠키
- 쿠찬 마로프
- 고르니 쿠찬
- 도니 쿠찬
- 즈벨라바
6. 문화
바라주딘은 크로아티아 대륙에서 가장 잘 보존되고 풍요로운 도시 단지를 대표하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 등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9]
이 도시는 시청 앞에서 열리는 '근위병 교대' 행사와 다양한 도시 행사에서 푸르가리라는 이름의 구 시립 경비대를 선보인다. 또한, 바라주딘 경찰관들은 따뜻한 계절에는 자전거를 타고 순찰한다.[33]
바라주딘 공동묘지는 1773년에 조성되었으며, 1905년 헤르만 할러의 아이디어로 큰 나무와 길을 조성하여 공원과 같은 형태로 만들었다. 1905년부터 1947년 사이에 재건축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보호 문화 및 자연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6. 1. 축제
2023년 바라주딘은 크로아티아 도시 중 처음으로 음악 분야에서 유네스코 창의 도시로 지정되었다.[35]
6. 2. 박물관
바라주딘의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구시가지 박물관(Stari Grad): 1925년부터 바르(Varaždin) 시립 박물관 조직의 일부로, 문화 역사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유리, 도자기, 시계 등 400점 이상의 소장품과 르네상스, 바로크, 로코코, 엠파이어, 비더마이어, 역사주의, 아르데코 양식으로 꾸며진 10개의 방, 예배당과 성물 보관소, 바트로슬라프 야기치와 이반 쿠쿨레비치 사크친스키에게 헌정된 2개의 방이 있다.[56]
- 헤르처 궁전(HERZER PALACE): 곤충학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으며, 숲, 숲 근처와 초원, 물속과 물 근처, 밤과 지하 등 여러 주제를 통해 4500점 이상의 전시품으로 곤충의 생물학을 보여준다.
- 세르마게 궁전(THE SERMAGE PALACE): 고대 및 현대 거장 미술관으로,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의 작품 10개의 컬렉션으로 구성된 5300점 이상의 미술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57]
6. 3. 건축물
바라주딘에는 다양한 양식의 건축물들이 보존되어 있다.교회 및 종교 건축물
이름 | 설명 |
---|---|
성 니콜라스 본당 교회 | |
예수회 대학과 성 마리아 교회 (현재 대성당) | 1647년에 지어졌으며 바로크 양식의 입구, 18세기 제단 및 그림으로 구별된다.[32] |
프란체스코 수도원과 성 요한 세례자 교회 | 13세기 중반, 구호 기사단에 속한 성 요한 교회가 프란치스코회에 의해 넘겨졌고, 프란치스코회는 수 세기에 걸쳐 교회를 확장하여 결국 중세 구조물을 초기 바로크 양식으로 대체했다.[9] |
우르술라 수녀원과 탄생 교회 | |
카푸친 수도원과 삼위일체 교회 | |
성 플로리안 예배당 | 1665년 화재 이후 봉헌 예배당으로 1669년에 건립되었다.[25] |
성 비투스 예배당 | |
성 파비안과 세바스찬 예배당 | |
성 로쿠스 예배당 | |
성 게오르기우스 정교회 |
궁전 및 기타 건축물
이름 | 설명 |
---|---|
구시가지 (요새) | 중세 시대 방어 건축물의 예이다. 14세기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다음 세기에는 크로아티아의 고딕 건축 양식의 전형적인 둥근 탑이 추가되었다. 오늘날 이곳에는 [https://web.archive.org/web/20041214033219/http://mdc.hr/varazdin/eng/home.html 시립 박물관]이 있다. 이 요새는 1993년과 2001년에 발행된 크로아티아 5 쿠나 지폐 뒷면에 묘사되었다.[32] |
시청 | 1523년, 게오르크 변경백은 타워 기슭에 바라주딘 문장이 있는 후기 바로크 양식의 시청을 건설했으며, 현재까지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32] 매주 토요일마다 근위병 교대식이 열린다. |
부잔 궁전 | |
드라슈코비치 궁전 | |
에게르스도르퍼 궁전 | |
에르되디 궁전 | |
에르되디-오르시치 궁전 | |
헤르처 궁전 | |
힌터홀처 궁전 | |
얀코비치 궁전 | |
케글레비치 궁전 | |
바라주딘 주 궁전 | |
자그레브 챕터 궁전 | |
파타치치 궁전 | |
파타치치-푸타르 궁전 | |
페트코비치 궁전 | |
프라신스키-세르마지 궁전 | |
파울린 저택 | |
[https://web.archive.org/web/20050116233401/http://mdc.hr/varazdin/eng/galerija.html 고대 및 현대 거장 갤러리] | 1750년에 로코코 양식으로 지어진 세르마게 궁전에 위치해 있다.[32] |
크로아티아 국립 극장 | 1873년에 건설되었으며 빈 건축가 헤르만 헬머와 페르디난트 펠너가 설계했다.[32] |
바라주딘 공동묘지1773년에 조성되었으며, 1905년부터 1947년 사이에 헤르만 할러의 주도로 공원과 같은 형태로 재건축되었다. 현재는 보호 문화 및 자연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7. 경제
바라주딘은 1991년 크로아티아 전쟁에서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 않은 몇 안 되는 크로아티아 도시 중 하나이다. 섬유 대기업 바르텍스(Varaždin Textile) 외에도 전국적으로 중요한 식품(''빈디야''), 금속 및 건설 산업도 발달했다. 정보 기술, 금융 및 은행 부문 또한 잘 발달되어 있으며, 자유 투자 구역을 만들어 경제 발전을 더욱 장려하고 있다.[5]
오늘날 바라주딘은 여름 휴가를 위한 관광지이다. 이 도시는 문화 지역(이 지역의 많은 박물관, 갤러리 및 극장에서 반영됨), 시내 중심가의 쇼핑 센터, 다양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시설, 풍부한 요리 역사 등 다양한 관심사를 가지고 있다. 관광 시즌의 종료는 두 개의 연례 축제로 표시된다. 8월 말에 시작하여 9월에 끝나는(10일 동안 지속됨) 연례 스판치르페스트(ŠpancirFest) 기간 동안 이 도시는 "거리 걷기 축제"라고 불리는 예술가, 거리 공연자, 음악가 및 판매자를 맞이한다.
이 도시는 또한 1971년에 처음 개최된 바라주딘 바로크 저녁 축제를 개최한다. 이 축제는 바라주딘의 정체성에 특별한 자리를 차지하는 바로크 음악과 문화를 기린다.
바라주딘은 또한 여름 말에 콘서트를 개최하는 레이더 페스티벌의 개최지이기도 하다. 밥 딜런, 카를로스 산타나, 더 애니멀스,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솔로몬 버크 등과 같은 아티스트를 초청했다.[38][39]
2023년 10월, 국영 에너지 회사인 부코테르말(Bukotermal)은 Lunjkovec와 Kutnjak 마을 근처에서 평균 142°C의 초고온 지하 호수를 발견했으며, 이는 16MW 규모의 지열 발전소를 지원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발표했다.[40]
2007년 3월까지 바라주딘 증권 거래소가 있었으나, 자그레브 증권 거래소에 의해 흡수 합병되었다.[60]
8. 교통
바라주딘은 도로 교통이 편리하다. 도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새로 건설된 남북 고속도로는 헝가리 국경 근처의 고리찬과 자그레브, 그리고 아드리아 해를 연결한다. 자그레브와 고리찬(헝가리 국경) 사이를 잇는 A4 고속도로 외에도, 바라주딘 지역에는 D2 도로, D3 도로, D35 도로 등 세 개의 국도가 있다. 시는 바라주딘 우회도로로 완전히 둘러싸여 있다.[41][42][43] 고속도로 외에도, 슬로베니아 국경 근처의 코프리브니차와 오시예크, 크로아티아 동부를 연결하는 동서 고속도로도 있다.
바라주딘 기차역은 북부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기차역 중 하나이다. 이곳은 여객 및 화물 운송 모두에 사용되는 세 개의 크로아티아 철도 운송 회랑의 교차점이다. 즉, R201 철도 (자프레시치 - 차코베츠)에 위치해 있으며, L201 (골루보베츠 연결) 지방선과 R202 (코프리브니차, 비로비티차 및 오시예크를 경유하여 달리 연결) 지역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바라주딘에서 시작, 종료 또는 통과하는 모든 철도 회랑은 단선 철도이며 비전철화되어 있다. 철도는 주로 화물 운송에 이용되는데, 이는 국가 철도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시는 버스 공공 교통망을 통해 주변 마을과 연결되어 있다. 바라주딘은 또한 많은 수의 지방, 주간 및 시외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제 노선도 제공하는 버스 운송 회사 "AP 바라주딘"의 허브이기도 하다.[41][42][43] 기차역과 버스 터미널도 있으며, 두 곳 모두 시 중심부에서 도보로 10분 거리에 있다. 바라주딘의 버스 서비스는 품질이 높으며, 많은 지역, 국내외 도로를 정기적으로 운행하며, 아드리아 해로 향하는 많은 주기적인 노선도 운행한다. 택시도 요청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시 외곽에는 소규모의 레저용 공항이 있으며, 주로 관광 및 농업 목적으로 이용된다.
9. 스포츠
바라주딘에는 여러 프로 및 준프로 스포츠 클럽이 있다. 드라바 강 근처에 위치한 바라주딘 아레나는 크로아티아에서 열린 2009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의 개최지 중 하나였다.
종목 | 클럽 |
---|---|
축구 | NK 바라주딘 (1931–2015), NK 바르텍스 (2011), NK 바라주딘 (2012), NK 바르텍스 바라주딘 |
핸드볼 | RK 바르텍스 디 카프리오, RK 코카 |
농구 | KK 빈디, KK 바르텍스 |
배구 | OK 바라주딘 |
테니스 | TK 바라주딘 |
야구 | BK 빈디야 바라주딘 |
아이스하키 | KHL 바라주딘 |
레슬링 | 빈디야 |
수구 | 코닝 |
배드민턴 | BK KAJ |
자전거 타기 | BD 슬로가 |
육상 | TK 마라톤 95 |
10. 교육
바라주딘에는 초등학교 7개, 고등학교 10개가 있다. 고등학교에는 공립 김나지움 2개, 사립 김나지움 2개, 직업 학교 및 다양한 분야의 기타 전문 고등학교가 포함된다.
바라주딘에는 자그레브 대학교 산하 단과 대학 2개(조직 및 정보 기술 학부, 지반 공학 학부)와 노스 대학교가 있다. 2015년부터 바라주딘과 코프리브니차는 두 도시에서 운영되는 국립 공립 대학교인 노스 대학교 설립에 참여했다. 자그레브 대학교는 자그레브에서 이전된 2개의 학부를 통해 이 도시에 존재한다.
11. 자매 도시
바라주딘은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49][50]
국가 | 도시 |
---|---|
오스트리아 | Bad Radkersburg|바트 라트커스부르크de |
크로아티아 | 풀라 |
프랑스 | Auxerre|오세르프랑스어 |
독일 | Koblenz|코블렌츠de |
독일 | Ravensburg|라벤스부르크de |
헝가리 | Zalaegerszeg|절러에게르세그hu |
이탈리아 | Montale|몬탈레it |
북마케도니아 | Куманово|쿠마노보mk |
포르투갈 | Guimarães|기마랑이스pt |
슬로바키아 | Trnava|트르나바sk |
슬로베니아 | Ptuj|프투이sl |
12. 저명한 출신 인물
다음은 바라주딘 출신이거나, 오랫동안 이 도시에 거주했거나, 어떤 중요한 방식으로든 관련이 있는 주목할 만한 인물 목록이다.
- 이반 벨로스테네크 – 언어학자, 사전 편찬자[44]
- 슬라브코 브란코프 – 배우
- 미르코 브레이어 – 작가, 서지학자, 골동품 수집가[45][46]
- 크리스티얀 쥬라세크 – 사이클 선수
- 발타자르 드보르니치치 나풀리 – 가톨릭 성직자, 변호사[47]
- 크레시미르 필리치 (1891–1972) – 역사학자, 박물관학자
- 이그나츠 그로스만 (1825–1897) – 랍비
- 유라이 하브델리치 – 작가[48]
- 로버트 헤르자베크 – 사업가, 투자자, 텔레비전 방송인
- 헤르만 2세 폰 첼레 – 백작
- 사사 히르존 (1972년 출생) - 테니스 선수
- 브랑코 이반코비치 – 축구 감독
- 루카 이바누셰츠 – 축구 선수
- 바트로슬라프 야기치 – 언어학자, 언어학자
- 마리야 유리치 자고르카 – 저널리스트, 극작가, 소설가
- 류보미르 케레케시 – 배우
- 베옐코슬라프 클라이치 – 작가, 역사학자
- 페르디난드 콘슈차크 – 탐험가, 지도 제작자
- 젤코 크라얀 – 테니스 코치, 전 선수
- 이반 쿠쿨레비치 사크친스키 – 역사학자, 정치인, 작가
- 마리아 라이트너 – 작가, 저널리스트
- 사무엘 루이스 모싱거 – 사업가, "바라주딘 자선 협회" 회원
- 밀옌코 뭄레크 – 축구 선수
- 로베르트 무리치 – 축구 선수
- 이반 파도베츠 – 기타 거장
- 프라뇨 라치키 – 역사학자, 정치인, 작가
- 마르코 로그 – 축구 선수
- 라도슬라프 로기나 – 사이클 선수
- 베옐코슬라프 로젠베르크-루지치 – 작곡가, 지휘자, 음악 교육자
- 실베스터 사볼츠키 – 축구 선수
- 타디야 스미치클라스 – 역사학자, 정치인
- 이그나치예 센트마르토니 – 신학자
- 크사베르 샨도르 젤스키 – 작가, 공무원
- 카롤리나 슈프렘 – 테니스 선수
- 크르스토 웅나드 – 남작/시장
- 젤코 빈세크 – 육상 선수
- 다보르 부그리네츠 – 축구 선수
- 요한 바티스트 반할 – 작곡가
- 크르노 로브렉 – 축구 선수
- 요십 포사베츠 – 축구 선수
- 레온 벤코 – 축구 선수
- 로베르트 푼체츠 - 축구 선수
참조
[1]
Q인용
Q119585703
[2]
간행물
Croatian Census 2021
[3]
간행물
Croatian Census 2011
[4]
뉴스
Varazdin: Croatia's 'little Vienna'
https://www.telegrap[...]
2016-02-04
[5]
웹사이트
Varaždin County
http://www.icpr3.org[...]
ICPR3
2013-11-30
[6]
웹사이트
Hrvatski jezični portal - Varaždin
https://hjp.znanje.h[...]
HJP
[7]
웹사이트
Mjesni odbori po ulicama
https://varazdin.hr/[...]
City of Varaždin
2024-11-18
[8]
웹사이트
Varaždin history
https://varazdin.hr/[...]
varazdin.hr
2024-04-12
[9]
웹사이트
Varazdin - Historic Nucleus and Old Town (the Castle)
https://whc.unesco.o[...]
unesco.org
[10]
논문
Fire and urban environment in early modern cities and towns of croatian and slavonian kingdom
https://hrcak.srce.h[...]
2008
[11]
논문
2008
[12]
논문
2008
[13]
논문
2008
[14]
논문
2008
[15]
논문
2008
[16]
논문
2008
[17]
논문
2008
[18]
논문
2008
[19]
논문
2008
[20]
논문
2008
[21]
논문
2008
[22]
웹사이트
Brodovski konec, Varaždin, map
https://www.openstre[...]
openstreetmap
[23]
논문
2008
[24]
웹사이트
Biškupec village, map
https://www.openstre[...]
openstreetmap
[25]
논문
2008
[26]
논문
2008
[27]
논문
2008
[28]
웹사이트
Sračinec, map
https://www.openstre[...]
openstreetmap
[29]
논문
2008
[30]
논문
2008
[31]
웹사이트
Varaždinska županija - broj stanovnika po bivšim naseljima
https://web.dzs.hr/H[...]
Croatian Bureau of Statistics
2013-09-21
[32]
웹사이트
Croatian National Bank
http://www.hnb.hr
Croatian National Bank
[33]
웹사이트
The Varaždin Civil Guard 'Purgari'
http://www.tourism-v[...]
Tourism-Varaždin
[34]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ildren and Youth Animation Film Festival Varaždin
http://www.vafi.hr/e[...]
2013-04-28
[35]
뉴스
Varaždin first Croatian city to join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https://www.croatiaw[...]
croatiaweek.com
2023-11-02
[36]
웹사이트
Varaždin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2
[37]
웹사이트
Mjesečne vrijednosti za Varaždin u razdoblju1949−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38]
웹사이트
Radar festival 2008: Bob Dylan, Manic Street Preachers, Majke, Drago Mlinarec & Vlado Kreslin
http://www.muzika.hr[...]
2014-04-29
[39]
웹사이트
Radar festival: Santana, Solomon Burke, Eric Burdon and The Animals, Joe Jackson, Zoran Predin & Lačni Franz, Voodoo Lizards, Tripdavon
http://www.muzika.hr[...]
2014-04-29
[40]
뉴스
Croatia wants to turn this superhot underground lake into a 16MW geothermal power plant - Countries across the EU are ramping up efforts to harness the Earth's heat
https://thenextweb.c[...]
TNW
2023-10-11
[41]
웹사이트
Gospodarstvo
https://varazdin.hr/[...]
2022-06-02
[42]
웹사이트
AP Varaždin
https://www.ap.hr/
2022-06-02
[43]
웹사이트
Povezivanje naselja autobusnim prometom u Varaždinskoj županiji
https://zir.nsk.hr/i[...]
2018-01-01
[44]
웹사이트
Belostenec, Ivan
http://proleksis.lzm[...]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4-04-29
[45]
harvtxt
[46]
harvtxt
[47]
웹사이트
Dvorničić Napuly, Baltazar
http://proleksis.lzm[...]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4-04-29
[48]
웹사이트
Habdelić, Juraj
http://proleksis.lzm[...]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4-04-02
[49]
웹사이트
Varaždin i EU
https://varazdin.hr/[...]
Varaždin
2021-09-27
[50]
웹사이트
Povelja prijateljstva Varaždina i Schaffenhausa
https://varazdin.hr/[...]
Varaždin
2019-06-25
[51]
웹사이트
VARAŽDIN THEN AND NOW
https://varazdin.hr/[...]
Grad Varaždin
2022-01-29
[52]
간행물
Enciklopedija Slovenije II
1988
[53]
서적
Croatia: A History
McGill-Queen's U. P.
2001
[54]
서적
ユーゴスラヴィアのナショナリズム
刀水書房
1981
[55]
웹사이트
VARAŽDIN THEN AND NOW
https://varazdin.hr/[...]
Grad Varaždin
2022-01-29
[56]
웹사이트
博物館
https://web.archive.[...]
[57]
웹사이트
美術館
https://web.archive.[...]
[58]
웹사이트
VARAŽDIN THEN AND NOW
https://varazdin.hr/[...]
Grad Varaždin
2022-01-29
[59]
웹사이트
Baroque Evenings
http://www.vbv.hr/?L[...]
[60]
웹사이트
自由投資区域
http://www.investmen[...]
[61]
웹인용
Varaždin Climate Normals
http://klima.hr/k1/k[...]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2
[62]
웹인용
Mjesečne vrijednosti za Varaždin u razdoblju1949−2014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5-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