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바리는 역사적으로 통일된 정치적 실체가 아닌, 16세기 이후 알제리, 트리폴리, 튀니지, 모로코 등으로 나뉘어 할거했던 북아프리카 지역을 지칭한다. 이 지역은 알제 데이, 트리폴리 파샤, 튀니스 베이, 모로코 술탄 등이 실질적으로 지배했으며, 특히 16세기부터 바르바리 해적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1789년 미국 헌법 제정 이후 미국은 바르바리 해적에 맞서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을 치렀으며, 이는 미국 해병대의 첫 해외 육상 작전이었다. 1830년 프랑스의 알제리 침공으로 바르바리 해적은 소멸하고 '바르바리 해안'이라는 용어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바리 해적 - 알제 전투
알제 전투는 1816년 영국과 네덜란드 해군이 해적 행위와 기독교인 노예화 관행 중단을 거부한 알제를 공격하여 방어 시설 파괴와 노예 석방에 성공했으나, 알제는 곧 노예제를 재개했다. - 바르바리 해적 - 오루츠 레이스
오루츠 레이스는 16세기 초 서지중해에서 활동하며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세력을 확장하고 알제를 점령하여 술탄으로 선포했으나 스페인과의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동생 하이레딘 바르바로사가 그의 뒤를 이었다. - 아프리카의 지리 - 아프로·유라시아
아프로·유라시아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대륙을 포괄하는 지역으로, 인류의 기원지이자 세계 인구와 문화의 중심지이며, 다양한 문명의 발상지로서 국가 간 협력과 경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아프리카의 지리 - 대지구대
대지구대는 레바논에서 모잠비크에 이르는 광대한 단층 및 균열 지형으로, 동아프리카 지구대를 포함하는 아프리카 대륙의 열곡대이며 지각 융기, 화산 활동, 인류 진화에 영향을 미쳤고 "인류 탄생의 땅"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 북아프리카의 역사 - 프랑스령 북아프리카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는 19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프랑스가 북아프리카 지역에 설치했던 식민지 및 보호령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를 포함하고, 튀니지와 모로코는 1956년에, 알제리는 1962년에 독립했다. - 북아프리카의 역사 - 게이세리쿠스
게이세리쿠스는 5세기 중반 반달 왕국의 왕으로서, 서로마 제국의 쇠퇴기에 북아프리카를 정복하고 지중해를 장악했으며, 로마 약탈과 동·서 로마 연합 함대 격파 등의 업적을 통해 서로마 제국의 몰락에 영향을 미치고 "반달리즘"의 어원이 된 인물이다.
바르바리 | |
---|---|
지리 | |
위치 |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리비아 |
특징 | 북아프리카의 지중해 연안 지역 |
기후 | 지중해성 기후 |
역사 | |
어원 | 베르베르인에서 유래 |
주요 사건 | 바르바리 해적 활동 바르바리 전쟁 |
관련 국가 |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리비아 |
주민 | 베르베르인 아랍인 |
문화 | |
언어 | 베르베르어 아랍어 |
종교 | 이슬람교 |
기타 | |
관련 용어 | 마그레브 바르바리 해적 바르바리 전쟁 |
2. 역사
"바르바리"는 베르베르인의 땅을 의미하는 말로, 17세기부터 20세기 사이 유럽 지도에서는 북아프리카의 넓은 내륙 지역을 포함하여 지칭하는 명칭이었다.[9] 이 명칭이 사용되기 이전에는 이 지역 동부를 이프리키야, 서부를 모로코라고 불렀다. 중부 알제리 지역은 틀렘센이나 티아레트를 중심으로 번성했으나, 종종 무와히드 왕조나 하프스 왕조 같은 강력한 베르베르인 국가의 지배를 받았다. 당시 이 지역에서 가장 번성했던 도시는 모로코의 마라케시였지만, 유럽에서는 리비아의 트리폴리, 알제리의 알제, 모로코의 탕지르 등이 주요 도시로 여겨지기도 했다.
바르바리 지역은 정치적으로 통일된 적이 거의 없었다. 16세기 이후로는 알제리 레겐시, 트리폴리 레겐시(카라만리 왕조), 튀니스 레겐시(후사인 왕조), 그리고 알라위 술탄국 등으로 나뉘어 있었다.[6][11] 이 지역들을 실질적으로 다스린 주요 통치자로는 알제리의 데이, 트리폴리의 파샤(또는 베이), 튀니스의 베이, 모로코의 술탄 등이 있었다.[6][11]
이 지역은 지중해와 북대서양에서 활동하며 선박과 해안을 습격한 바르바리 해적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10] 이들 해적은 오랫동안 유럽 국가들에게 위협적인 존재였으나, 점차 스페인, 프랑스, 영국 등 유럽 해군력의 강화와 바르바리 전쟁에서 미국에게 패배하면서 세력이 약화되었다. 최종적으로 1830년 프랑스가 알제리를 정복하면서 해적 활동은 근절되었고, "바르바리 해안"이라는 명칭도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2. 1. 바르바리 해적의 활동


16세기부터 바르바리 해적은 지중해와 북대서양에서 활동하며 선박과 해안 지역을 습격했다. 이들은 유럽, 아메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등지에서 노예와 물품을 약탈하는 바르바리 노예 무역을 자행했으며, 약탈한 노예와 물품은 명목상 바르바리 해안을 지배하던 오스만 제국이나 유럽의 상인들에게 팔아넘겼다.[10] 바르바리 해적의 활동 거점은 알제리 레겐시, 트리폴리 레겐시, 튀니스 레겐시, 알라위 술탄국 등 정치적으로 분열된 바르바리 국가들이었다.[6] 이 지역들은 각각 알제 데이, 트리폴리 파샤, 튀니스 베이, 모로코 술탄 등이 통치하고 있었다.[6][11]
바르바리 해적 함대는 상당한 규모를 자랑했다. 예를 들어 1625년 알제리의 해적 함대는 다양한 크기의 선박 100척과 8,000명에서 10,000명의 선원으로 구성되었다. 해적 산업은 알제리 도시 노동력의 25%를 차지할 정도였으며, 이는 항구의 다른 활동을 제외한 수치이다. 1680년대에는 함대 규모가 평균 25척으로 줄었지만, 더 큰 선박을 사용하여 여전히 약 7,000명의 선원을 고용했다. 트리폴리에는 2,500명, 튀니스에는 3,000명의 해적이 있었고, 보나, 수사, 비제르타, 살레 등 소규모 기지에도 수천 명이 더 활동했다. 해적들은 기지를 둔 도시의 토착민인 아랍인과 베르베르인뿐만 아니라, 터키인, 그리스인, 알바니아인, 시리아인, 심지어 코르시카 출신의 이탈리아인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이들로 구성되었다.
바르바리 해적의 활동은 미국과의 충돌을 야기하기도 했다. 1789년 미국 헌법 제정으로 연방 정부는 군대 유지 권한을 확보했고, 1794년 알제리 해적에 대응하기 위해 최초의 해군 함선을 건조했다. 1801년, 트리폴리 파샤는 미국이 공물을 제때 지불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전쟁을 선포했다.[7] 이는 제1차 바르바리 전쟁으로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미국은 첫 해외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 1805년 4월, 미 해병대와 미 해군은 현재 리비아 동부의 데르나에서 데르나 전투를 벌였다. 이 작전은 바르바리 해적을 소탕하고 해적 행위를 종식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해병대 찬가''의 첫 구절("몬테주마의 궁전에서 트리폴리 해안까지...")에도 언급되어 있다.[8]
오랫동안 유럽에 위협이 되었던 바르바리 해적은 점차 스페인, 프랑스, 영국 등 유럽 국가 해군의 소탕 작전과 바르바리 전쟁에서의 패배로 세력이 약화되었다. 결정적으로 1830년 프랑스가 알제리를 정복하면서 바르바리 해적은 사실상 소멸하였고, "바르바리 해안"이라는 명칭도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 2. 바르바리 전쟁
1789년 미국 헌법 제정으로 미국 연방 정부는 이전 연합 규약 하에서는 가지지 못했던 세금 부과 및 군대 유지 권한을 확보했다. 미국은 증가하는 바르바리 해적의 위협에 대응하기 시작했으며, 1794년에는 알제리 해적에 맞서기 위해 최초의 미국 해군 함선을 건조했다.
1801년, 오스만 제국의 속령이었던 트리폴리의 파샤는 미국이 공물을 지불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전쟁을 선포했다.[7] 이는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의 시작이었다. 이 전쟁은 미국이 바르바리 해적의 해적 행위를 소탕하고, 바르바리 국가들에 억류된 자국민을 해방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졌다.
전쟁 중이던 1805년 4월, 미국 해병대와 미국 해군은 현재 리비아 동부의 해안 도시인 데르나에서 데르나 전투를 치렀다. 이 전투는 미국이 해외 영토에서 수행한 최초의 군사적 육상 작전으로 기록된다. 이 작전은 바르바리 해적을 소탕하고 지역의 해적 행위를 종식시키려는 미국의 노력의 중요한 부분이었다. 유명한 ''해병대 찬가''의 첫 구절 "몬테주마의 궁전에서 트리폴리 해안까지..."는 바로 이 데르나 전투를 기리고 있다.[8]
2. 3.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과 해적의 소멸
"바르바리" 지역은 지중해와 북대서양에서 활동하며 선박과 해안 지역을 습격했던 바르바리 해적의 근거지였다. 이들은 유럽, 아메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등지에서 노예나 물품을 약탈하는 바르바리 노예 무역을 자행했으며, 약탈한 노예와 물품은 명목상 바르바리 해안을 지배하던 오스만 제국이나 유럽 상인들에게 팔아넘겼다.[10]
바르바리 해적은 오랫동안 유럽 국가들에게 큰 위협이었으나, 점차 스페인,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열강 해군의 소탕 작전과 바르바리 전쟁에서 미국에게 패배하면서 세력이 약화되었다. 특히 미국은 트리폴리의 바르바리 해적에게 붙잡힌 미국인 노예 해방과 해적 행위 근절을 목표로 제1차 바르바리 전쟁을 일으켰는데, 이때 벌어진 1805년 데르나 전투는 미국 해병대와 미국 해군이 해외에서 치른 최초의 육상 전투로 기록된다.
결정적으로 1830년, 프랑스가 알제리를 정복하면서 바르바리 해적은 완전히 소멸하였고, 이와 함께 "바르바리 해안"이라는 명칭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참조
[1]
논문
'The general belief of the world': Barbary as genre and discourse in Mediterranean history
[2]
논문
Die "Seeräuberei der Barbareskenstaaten" im Lichte des europäischen und islamischen Völkerrechts
[3]
서적
The Department of State bulletin
https://archive.org/[...]
[4]
웹사이트
Barbary {{!}} historical region, Africa
https://www.britanni[...]
2021-12-14
[5]
서적
The Encyclopædia of Geography: Comprising a Complete Description of the Earth, Physical, Statistical, Civil, and Political
https://books.google[...]
Lea and Blanchard
1841
[6]
간행물
Barbary Pirates
[7]
웹사이트
Barbary Wars
https://history.stat[...]
2024-11-02
[8]
웹사이트
https://www.marineba[...]
2022-04
[9]
웹사이트
Maps of Barbary
http://www.antiquema[...]
[10]
간행물
Barbary Privateers
[11]
간행물
Barbary Privatee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