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베슈 보여이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는 1959년 루마니아어 빅토르 바베슈 대학교와 헝가리어 볼리아이 대학교의 통합으로 설립된 루마니아 클루지나포카에 위치한 대학이다. 이 대학은 루마니아의 저명한 학자 빅토르 바베슈와 야노시 볼리아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현재 예술, 인문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1995년 다문화 교육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루마니아 대학 중 주요 국제 대학 랭킹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헝가리어 학과는 헝가리 소수 민족을 위한 교육 기관으로, 헝가리-루마니아 분쟁과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대학교 - 부쿠레슈티 대학교
    부쿠레슈티 대학교는 1694년에 설립되어 루마니아의 교육, 과학, 문화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공산 정권 저항과 루마니아 혁명의 거점 역할을 하였고, 현재 19개의 단과대학과 연구 기관을 운영하며 국제 교류에 힘쓰는 유서 깊은 대학교이다.
  • 루마니아의 대학교 - 루마니아 국립 경제대학교
    루마니아 국립 경제대학교는 1913년 설립된 루마니아 최초의 경제 고등 교육 기관으로, 13개의 단과 대학을 운영하며 경제학 분야에서 국제적인 평가를 받는다.
바베슈 보여이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전통과 우수성
전통과 우수성
본래 이름Universitatea Babeș-Bolyai
lang:ro 바베슈-보여이 대학교
Babeș-Bolyai Tudományegyetem
lang:hu 바베슈-보여이 대학교
라틴어 이름Universitas Claudiopolitana
표어전통과 우수성 - 문화-과학-혁신을 통해 1581년부터
연혁
설립1581년 – Academia/Universitas Claudiopolitana
1919년 – 국왕 페르디난드 1세 대학교 (빅토르 바베슈 대학교)
1945년 – 볼랴이 대학교
1959년 – 바베슈-보여이 대학교
학교 정보
종류공립
예산€77,237,173
총장다니엘 다비드
행정 책임자플로린 스트레테아누
교직원 수교수진: 1,554명 (2021–2022)
행정 직원: 1,596명 (2021–2022)
학생 수48,620명 (2021–2022)
학부생33,139명
대학원생9,543명
박사 과정2,239명
기타4,699명
위치클루지나포카, 미하일 코갈니체아누 거리 1번지
캠퍼스도시형
사용 언어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소속유럽 연구 중심 대학 길드
Eutopia
유럽 대학 협회
국제 대학 협회
프랑코포니 대학기구
카르파티아 지역 대학 협회
산탄데르 네트워크
발칸 대학 네트워크
상징색검은색과 흰색

2. 역사

클루지-나포카( Kolozsvár|콜로스바르hu, Klausenburg|클라우젠부르크de )의 대학 교육 역사는 1581년 폴란드 국왕이자 트란실바니아 공작이었던 스테판 바토리가 설립한 예수회 대학에서 시작되었다.[14] 이 초기 교육 기관은 여러 변화를 거치며 이후 설립될 대학들의 모태가 되었다.[16][17]

187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헝가리어만을 사용하는 프란츠 요제프 대학교 설립을 승인했다. 이는 당시 트란실바니아 지역 루마니아인들의 민족적 열망과 다국어 대학 설립 요구를 외면한 조치로, 루마니아 공동체 내에서 불만을 야기했다.[18]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트란실바니아루마니아 왕국에 통합되면서, 1919년 대학은 루마니아의 교육 기관으로 전환되어 '국왕 페르디난드 1세 대학교'로 명명되었다.[18] 이 과정에서 루마니아 국가에 충성을 거부한 헝가리인 교직원들은 헝가리 세게드로 이주하여 세게드 대학교 설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압력에 의한 제2차 빈 중재로 북 트란실바니아가 헝가리에 할양되자, 국왕 페르디난드 1세 대학교는 티미쇼아라시비우로 강제 이전되었고, 클루지에는 헝가리 대학이 다시 들어섰다.[19]

전쟁이 끝나고 영토가 루마니아로 복귀한 후인 1945년, 루마니아 당국은 국왕 페르디난드 1세 대학교(이후 '빅토르 바베슈 대학교'로 개칭)를 클루지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헝가리어 사용자를 위한 국립 기관인 '볼리아이 대학교'를 별도로 설립했다.[18]

1959년 봄, 루마니아계 '빅토르 바베슈 대학교'와 헝가리계 '볼리아이 대학교'는 통합되어 현재의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가 되었다. 대학의 이름은 루마니아의 저명한 의학자이자 세균학자인 빅토르 바베슈와 헝가리의 유명한 수학자 야노시 볼리아이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으며, 이는 대학의 다문화적 성격을 상징한다.[18]

1995년,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는 다문화 교육 시스템을 기반으로 대학 구조를 재편했으며,[18] 현재는 예술,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루마니아의 주요 종합 대학 중 하나로 발전했다.[20]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의 학문적 계보

2. 1. 초기 역사 (1581년-1872년)

클루지-나포카( Kolozsvár|콜로스바르hu, Klausenburg|클라우젠부르크de )는 트란실바니아 공국 시절부터 교육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1581년,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 트란실바니아 공작이었던 스테판 바토리예수회 대학을 설립하며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14] 이 대학은 중세 도시 성벽 내 건물과 토지를 받았으며, 특히 '플라테아 루포룸'(현재 미하일 코갈니체아누 거리)에 자리를 잡았다. 초대 총장은 폴란드 출신 예수회 사제 야쿠프 부예크(Jakub Wujek)였다.[15]

설립 초기부터 이 기관은 학사(''baccalaureus''), 석사(''magister''), 박사(''doctor'') 학위를 수여할 권한을 가졌다. 1585년에는 6개 반에 23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었으며, 모든 교육은 라틴어로 진행되었다.

스테판 바토리가 1581년에 발행한 클루지 예수회 아카데미 설립 문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 수여 권한을 명시하고 있다.


1698년 이후 이 기관은 '우니베르시타스 클라우디오폴리타나'( Universitas Claudiopolitana|우니베르시타스 클라우디오폴리타나la )로 불리며 라틴어와 함께 독일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1753년, 마리아 테레지아 여제는 이 대학에 황실 대학의 지위를 부여했다. 그러나 1773년 예수회가 해산되면서 대학 운영은 피아리스트회로 넘어갔다.

1786년, 우니베르시타스 클라우디오폴리타나는 '왕립 학술 리세'( Lyceum Regium Academicum|리케움 레기움 아카데미쿰la )로 개편되어 준대학 기관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후 외과-의학 연구소와 법학 아카데미라는 두 개의 독립적인 준대학 기관(학사/석사 수준 교육 제공, 박사 학위 미수여)으로 나뉘었으며, 이들은 훗날 프란츠 요제프 대학교의 모체가 되었다.[16][17]

1848년 유럽 전역에서 혁명의 물결이 일면서, 트란실바니아 지역의 루마니아인들 사이에서도 민족적 자각과 함께 루마니아어로 교육받을 권리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 1870년, 당시 헝가리 왕국의 교육부 장관이었던 요제프 외트뵈시는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클루지(콜로스바르)에 헝가리어, 루마니아어, 독일어를 모두 사용하는 대학 설립을 제안했다. 이 구상은 루마니아 지식인 사회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하지만 외트뵈시가 1871년 사망하면서 다국어 대학 설립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결국 187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오직 헝가리어만을 사용하는 헝가리 왕립 콜로스바르 대학교 설립 법안을 승인했다. 이는 루마니아인들의 민족적 열망에 부응하지 못하고 불만을 야기했다.[18]

2. 2. 프란츠 요제프 대학교 (1872년-1919년)

1848년 유럽 혁명의 영향 속에서 루마니아 민족의 자각이 높아지면서 루마니아어를 사용한 고등 교육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었다. 1870년, 당시 교육부 장관이었던 요제프 외트뵈시는 헝가리어, 루마니아어, 독일어로 강의하는 대학을 클루지나포카에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이 구상은 루마니아 지식인 사회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나, 외트뵈시가 1871년 사망하면서 실현되지 못했다. 결국 1872년,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는 헝가리어만을 사용하는 헝가리 왕립 콜로스바르 대학교(Magyar Királyi Ferenc József Tudományegyetemhu) 설립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다민족 지역인 트란실바니아의 현실을 외면한 조치로, 루마니아인들의 상당한 불만을 야기했다.[18]

1900년경의 프란츠 요제프 대학교


1872년 12월 20일, 교수진의 선서 이후 258명의 학생으로 첫 강의가 시작되었다. 대학은 법학 및 국립 과학부, 의학부, 철학, 문학역사학부, 수학자연과학부의 4개 학부로 구성되었으며, 각 학부는 동등한 지위와 내부 자율성을 보장받았다. 초대 총장은 법학부의 경제 및 금융 전문가인 아론 베르데(Áron Berde) 교수가 맡았다. 4개의 학부 외에도 중등학교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학 연구소가 함께 설립되었다. 1895년부터는 여성에게도 대학 강의를 들을 권리가 주어졌다.[19]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1918년 트란실바니아와 루마니아의 통합이 선언되면서, 대학은 루마니아 당국에 의해 인수되어 루마니아 왕국의 국립 기관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밟았다. 1919년 9월 12일, 루마니아 국왕 페르디난드 1세는 "1919년 10월 1일부터 헝가리 왕립 프란츠 요제프 대학교를 루마니아 대학으로 전환한다"는 내용의 법령에 서명했다.[18] 이 과정에서 새로운 루마니아 국가에 충성을 맹세하기를 거부한 헝가리인 교직원들은 헝가리 세게드로 이주하였고, 이는 1921년 세게드 대학교 설립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2. 3. 루마니아 왕국 시기 (1919년-1940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그리고 1918년의 대연합 선언에 따라, 기존의 프란츠 요제프 대학교는 루마니아 당국에 의해 인수되어 루마니아 왕국의 교육 기관으로 전환되었다. 1919년 9월 12일, 루마니아 국왕 페르디난드 1세가 서명한 법령은 "1919년 10월 1일부터 헝가리 왕립 프란츠 요제프 대학교를 루마니아 대학으로 전환한다"고 명시했다.[18] 이 과정에서 루마니아 국가에 충성을 맹세하지 않은 헝가리인 교직원들은 헝가리세게드로 이주하여 세게드 대학교(1921년 설립)의 형성에 기여했다.

새롭게 출범한 루마니아 대학은 처음에는 고대 로마의 속주 이름을 딴 '다키아 수페리오르 대학교'(Universitatea Daciei Superioare)로 불렸으나, 이후 '국왕 페르디난드 1세 대학교'(Universitatea Regele Ferdinand I)로 개칭되었다. 대학은 법학부, 의학부, 과학부, 문학 및 철학부의 4개 학부로 구성되었다. 1919년 11월 3일, 역사학자 바실레 파르반이 "우리 삶의 의무"(Datoria vieții noastre)라는 제목으로 개교 기념 강연을 진행했다. 공식적인 개교식은 1920년 1월 31일부터 2월 2일까지 루마니아 국왕 페르디난드 1세가 참석한 가운데 열렸으며, 초대 총장으로는 언어학자 섹스틸 푸슈카리우가 임명되었다.[17][18]

그러나 1940년, 나치 독일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주도로 이루어진 제2차 빈 중재에 따라 북 트란실바니아 지역이 헝가리에 할양되면서, 국왕 페르디난드 1세 대학교는 티미쇼아라시비우로 강제 이전되었다.[19]

2. 4. 제2차 세계 대전 및 이후 (1940년-1959년)

1940년, 제2차 빈 중재로 인한 영토 조정의 결과로 헝가리가 북 트란실바니아를 차지하게 되면서, 기존의 루마니아 대학이었던 국왕 페르디난드 1세 대학교는 티미쇼아라시비우로 이전해야 했다.[19] 그 자리에 세게드 대학교에서 분리된 헝가리 대학이 다시 클루지에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헝가리의 영토 점유가 무효화되자, 1945년 6월 1일 루마니아 당국은 국왕 페르디난드 1세 대학교(이후 ''빅토르 바베슈 대학교''로 개칭)를 클루지로 복귀시켰다. 동시에 헝가리어 사용자를 위한 국립 교육기관으로 ''볼리아이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볼리아이 대학교는 문학(인문학) 및 철학, 법학 및 정치경제학, 과학, 인문의학의 4개 학부로 구성되었으나, 인문의학부는 1948년에 분리되어 투르구 무레슈로 이전하여 투르구 무레슈 의학 및 약학 대학교의 모태가 되었다.[18]

1959년 봄, 루마니아계 교육기관인 ''빅토르 바베슈 대학교''와 헝가리계 교육기관인 ''볼리아이 대학교''는 하나로 통합되었다. 새로운 대학의 이름은 트란실바니아 출신의 저명한 두 학자, 루마니아의 의사이자 세균학자인 빅토르 바베슈와 헝가리의 수학자 야노시 볼리아이의 이름을 따서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로 명명되었다.[18]

2. 5.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 (1959년-현재)

야노시 볼리아이


1959년 봄, 루마니아계 교육 기관인 '빅토르 바베슈 대학교'와 헝가리계 교육 기관인 '볼리아이 대학교'가 통합되어 현재의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가 되었다.[18] 대학의 이름은 루마니아의 저명한 의사이자 세균학자인 빅토르 바베슈와 헝가리의 유명한 수학자 야노시 볼리아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8] 빅토르 바베슈는 현대 미생물학의 기초를 다진 인물 중 한 명이며, 야노시 볼리아이는 절대 기하학을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통합은 트란실바니아 지역의 다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려는 시도로 이루어졌다.

1995년,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는 다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대학 구조를 개편하여[18]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현재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UBB)는 예술 및 인문학, 사회과학, 생명과학 및 자연과학, 수학 및 컴퓨터 과학, 공학 및 기술 등 폭넓은 분야의 학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종합 대학으로 발전했다.[20]

3. 캠퍼스

대학교 중앙 건물


클리니코르 거리에서 본 중앙 대학교 도서관


토르달러기-코르다 궁전은 바베슈-볼로이 대학교의 기술 행정 본부이다.


주 캠퍼스는 클루지나포카시에 위치해 있으며, 대학교 건물들은 도시 전역에 흩어져 있다. 대학교는 17개의 학생 기숙사 구역[21]을 가지고 있으며, 총 5,280개의 주거 공간(학생용 4,964개, 운동선수용 100개, 박사 과정생용 216개)을 제공한다.[22] 가장 주목할 만한 기숙사 구역은 ''하슈데우''와 ''에코노미카''이다. 모든 기숙사는 개조되었으며, 단열 처리, 이중창, 라미네이트 바닥, PB 또는 목재 가구를 갖추고 있다. 루치안 블라가 대학교 도서관은 시내 중심에 위치해 있다. 대학교는 또한 트란실바니아마라무레슈 역사 지역에 흩어져 있는 다른 도시에 여러 단과 대학을 두고 있다.

대학교의 문화 유산에는 2001년 4월에 설립된 대학교 박물관(750개 이상의 원본 및 복제본 소장)[23], 광물 박물관, 식물 박물관, 고생물학-층서학 박물관, 비바리움, 동물 박물관과 같은 여러 박물관이 있다.

4. 학문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는 학문적으로 꾸준히 성장하여 2021년 기준 약 5만 명에 가까운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는 1993년 12,247명에서 4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이다.[8][24] 대학은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과 더불어 고급 대학원 과정까지 폭넓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며, 총 22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5만 5천 명이 넘는 학술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8] 특히 유럽 내에서 유일하게 4개의 신학부(정교회, 개혁 교회, 로마 가톨릭, 그리스 가톨릭)를 운영하는 점이 특징적이다.[25]

이 대학은 다문화 교육 환경을 지향하며,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로 다양한 학위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26] 헝가리계와 독일계 소수 민족은 교수 평의회와 대학 평의회에서 인구 비율에 맞게 대표성을 보장받는다.

국제적인 학문 교류도 활발하여 다양한 국적의 유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외국인 유학생 중에서는 몰도바우크라이나 출신이 41.5%로 가장 많고, EUEEA 출신이 27.4%, 그 외 비회원국 출신이 31.1%를 차지한다.[27]

4. 1. 개요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는 2021년 기준으로 약 5만 명에 가까운 학생이 재학 중이다. 학생 수는 1993년 12,247명에서 2021년 48,620명으로 약 4배 증가했다.[8][24] 2021년 학생 구성은 박사 과정 2,239명, 석사 과정 9,543명, 학부생 33,139명이다. 대학은 22개의 학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뿐만 아니라 고급 대학원 과정도 제공한다.[8] 특히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는 유럽에서 유일하게 4개의 신학부(정교회, 개혁 교회, 로마 가톨릭, 그리스 가톨릭)를 운영하는 대학이다.[25]

이 대학은 다문화 기관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루마니아어 과정 291개(학사 148개, 석사 143개), 헝가리어 과정 110개(학사 70개, 석사 40개), 독일어 과정 15개(학사 10개, 석사 5개)를 운영하고 있다.[26] 헝가리계와 독일계 소수 민족은 교수 평의회와 대학 평의회에서 인구 비율에 맞게 대표성을 가진다.

외국인 유학생 중에서는 몰도바우크라이나 출신이 41.5%로 가장 많고, EUEEA 출신이 27.4%, 그 외 EU 및 EEA 비회원국 출신이 31.1%를 차지한다.[27]

4. 2. 학부

바베슈-볼리아이 대학교에는 2021년 기준으로 약 5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는 1993년 12,247명에서 4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이다.[8][24] 학생 구성은 박사 과정 학생 2,239명, 석사 과정 학생 9,543명, 학부생 33,139명이다. 대학은 총 22개의 학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학술 공동체 규모는 5만 5천 명이 넘는다.[8]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뿐만 아니라 고급 대학원 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 유일하게 4개의 신학부(정교회, 개혁 교회, 로마 가톨릭, 그리스 가톨릭)를 모두 갖춘 대학이라는 특징이 있다.[25]

이 대학은 다문화 교육 환경을 지향하며, 이는 교육 과정 구성에서도 잘 드러난다. 루마니아어 과정 291개(학사 148개, 석사 143개), 헝가리어 과정 110개(학사 70개, 석사 40개), 독일어 과정 15개(학사 10개, 석사 5개)가 개설되어 있다.[26] 헝가리 및 독일 소수 민족 학생과 교직원은 교수 평의회와 대학교 평의회에서 인구 비율에 맞게 대표성을 보장받는다.

외국인 유학생 중에서는 몰도바우크라이나 출신이 41.5%로 가장 많고, EUEEA 출신이 27.4%, 그 외 비회원국 출신이 31.1%를 차지한다.[27]

시간 경과에 따른 학생 수 변화[28][8]
연도학생 수이전 기록 대비 증감률
1872258-
19191,871+625.2%
19383,094+65.4%
197114,438+366.6%
19895,940−58.9%
199312,247+106.2%
200338,048+210.7%
201340,207+5.7%
201441,136+2.3%
201944,940+9.2%
202148,620+8.2%



학부주소전공[20]
[http://www.cs.ubbcluj.ro/ 수학 및 정보학부]1 Mihail Kogălniceanu 거리수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수학 정보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영어), 정보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영어)
[http://phys.ubbcluj.ro/ 물리학부]1 Mihail Kogălniceanu 거리물리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의학 물리학 (루마니아어), 물리 정보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기술 물리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http://chem.ubbcluj.ro/ 화학 및 화학 공학부]11 Arany János 거리식품 화학 및 생화학 기술 (루마니아어), 생화학 공학 (루마니아어), 화학 및 생화학 공정의 공학 및 정보학 (루마니아어), 산화물 재료 및 나노 재료의 과학 및 공학 (루마니아어), 무기물질 및 환경 보호의 공학 (루마니아어), 유기 물질, 석유 화학 및 탄소 화학의 화학 및 공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화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http://geografie.ubbcluj.ro/ 지리학부]44 Republicii 거리지리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관광 지리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영토 계획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지도 제작 (루마니아어), 수문 기상학 (루마니아어)
[https://web.archive.org/web/20150726061603/http://geografie.ubbcluj.ro/pages/bioge/ 생물학 및 지질학부]5–7 Clinicilor 거리생물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생화학 (루마니아어), 생태학 및 환경 보호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산업 생명 공학 (루마니아어), 지질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지질 공학 (루마니아어)
[http://enviro.ubbcluj.ro/ 환경 과학 및 공학부]30 Fântânele 거리환경 과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환경 지리학 (루마니아어), 환경 공학 (루마니아어), 생물 기술 및 생태 시스템 공학 (루마니아어)
[http://law.ubbcluj.ro/ 법학부]11 Avram Iancu 거리법학 (루마니아어)
[http://lett.ubbcluj.ro/ 문학부]31 Horea 거리루마니아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 및 문학 (모국어가 아닌 경우) (루마니아어), 세계 및 비교 문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및 문학 (헝가리어), 헝가리어 및 문학 (모국어가 아닌 경우) (헝가리어), 영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프랑스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독일어 및 문학 (독일어), 러시아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우크라이나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이탈리아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스페인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노르웨이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일본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중국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한국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핀란드어 및 문학 (루마니아어), 고전 철학 (루마니아어), 민족학 (헝가리어), 문화 연구 (헝가리어), 응용 현대 언어 (루마니아어)
[http://hiphi.ubbcluj.ro/ 역사 및 철학부]1 Mihail Kogălniceanu 거리역사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미술사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고고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기록 관리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정보 및 문서 과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민족학 (루마니아어), 문화 관광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국제 관계 및 유럽 연구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프랑스어), 철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안보 연구 (루마니아어, 영어)
[http://socasis.ubbcluj.ro/ 사회학 및 사회 복지학부]128–130 21 Decembrie 1989 Boulevard사회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인적 자원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인류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사회 복지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http://psiedu.ubbcluj.ro/ 심리학 및 교육 과학부]7 Sindicatelor 거리심리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특수 심리 교육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교육학 (루마니아어), 초등 및 유치원 교육의 교육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http://www.econ.ubbcluj.ro/ 경제 및 경영학부]58–60 Teodor Mihali 거리경영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영어), 마케팅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상업, 관광 및 서비스 경제학 (루마니아어), 회사 경제학 (독일어), 재무 및 은행업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영어), 회계 및 관리 정보 시스템 (루마니아어, 프랑스어, 영어), 경제 정보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통계 및 경제 예측 (루마니아어), 경제 및 국제 비즈니스 (루마니아어), 일반 경제학 (루마니아어), 농업 및 환경 경제학 (루마니아어)
[http://euro.ubbcluj.ro/ 유럽 연구학부]1 Emmanuel de Martonne 거리국제 관계 및 유럽 연구 (루마니아어, 독일어, 영어), 경영학 (루마니아어), 유럽 행정 (루마니아어), 미국학 (영어)
[http://tbs.ubbcluj.ro/ 경영학부]7 Horea 거리경영학 (루마니아어, 영어), 호텔 서비스 경영학 (루마니아어, 영어)
[http://fspac.ubbcluj.ro/ 정치, 행정 및 커뮤니케이션 과학부]71 General Traian Moșoiu 거리정치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영어), 커뮤니케이션 및 공공 관계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저널리즘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영어), 디지털 미디어 (루마니아어), 광고 (루마니아어), 공공 행정 (루마니아어), 공중 보건 서비스 및 정책 (영어)
[http://sport.ubbcluj.ro/ 체육 및 스포츠학부]7 Pandurilor 거리체육 및 스포츠 교육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스포츠 및 운동 수행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운동 요법 및 특수 운동성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http://ot.ubbcluj.ro/ 정교 신학부]Episcop Nicolae Ivan, F. N. 거리목회 정교 신학 (루마니아어), 교리 정교 신학 (루마니아어), 정교 신학-사회 복지 (루마니아어), 성스러운 예술 (루마니아어)
[http://gct.ubbcluj.ro/ 그리스 가톨릭 신학부]26 Moților 거리그리스 가톨릭 신학-사회 복지 (루마니아어), 교리 그리스 가톨릭 신학 (루마니아어), 목회 그리스 가톨릭 신학 (루마니아어)
[https://web.archive.org/web/20150812145101/http://rt.ubbcluj.ro/Roman/roman.htm 개혁 신학부]7 Horea 거리교리 개혁 신학 (헝가리어), 개혁 신학-사회 복지 (헝가리어), 음악 교육학 (헝가리어)
[https://web.archive.org/web/20150703185255/http://rocateo.ubbcluj.ro/ro/roteol.html 로마 가톨릭 신학부]2 Iuliu Maniu 거리교리 로마 가톨릭 신학 (헝가리어), 로마 가톨릭 신학-사회 복지 (헝가리어), 목회 로마 가톨릭 신학 (헝가리어), 종교 연구 (헝가리어)
[https://web.archive.org/web/20150812102807/http://teatrutv.ubbcluj.ro/cm/ 연극 및 텔레비전학부]1 Mihail Kogălniceanu 거리연기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연출 (루마니아어), 연극학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영화 촬영, 사진 및 미디어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영화학 (루마니아어)


5. 랭킹

대학 순위
평가 기관순위연도
QS 세계 대학 랭킹801–850위2024[29]
THE 세계 대학 랭킹1001–1200위2024[30]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세계 대학 랭킹공동 717위2023[31]



바베슈 보여이 대학교(UBB)는 주요 국제 대학 순위에서 일반적으로 루마니아 대학 중 1위를 차지한다.[32][33] 2016년, 루마니아 교육 연구부는 IREG에서 인정하는 주요 국제 대학 순위를 종합하여 대학 메타랭킹을 만들도록 의뢰했다. UBB는 2016년부터 이 메타랭킹에서 루마니아 대학 중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이 분류 과정은 독립적인 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다.[6][7][34][35] 2022년 2월, 교육부는 새로운 방법론과 메타랭킹을 발표했는데, 여기서도 UBB는 1위를 차지했다.[36]

2019년, 영국 QS STAR 학술 감사를 통해[37] UBB는 교육 및 연구 분야에서 우수한 국제 대학으로 평가받았다. 2021년에 이루어진 또 다른 QS 감사에서는 이 대학에 5성급 등급을 부여했는데, 이는 여러 학문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명성을 지닌 세계적 수준의 대학임을 의미한다.[38]

6. 헝가리어 학과

헝가리어 학과는 총 115개의 학위 과정(학사 과정 75개, 석사 과정 40개)을 운영하고 있으며, 4,874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이 학과는 트란실바니아 지역에 거주하는 헝가리 소수 민족 구성원들에게 고등 교육을 제공하는 주요 기관이다.[40] 대학 전체적으로는 1995년부터 국가 소수 민족 고등 판무관[39]의 지원을 받아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를 사용하는 다언어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40]

6. 1. 헝가리-루마니아 분쟁

1995년, 바베슈-보여이 대학교는 국가 소수 민족 고등 판무관[39]의 지원을 받아 다문화주의와 다언어주의에 기반한 교육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모든 학위 과정에서 루마니아어, 헝가리어, 독일어 세 가지 언어로 교육 과정을 운영하게 되었다.[40]

헝가리어 학과는 115개 학위 과정(학사 75개, 석사 40개)에 4,874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트란실바니아에 거주하는 헝가리 소수 민족 구성원들에게 고등 교육을 제공하는 주요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40] 헝가리어 학과는 부분적인 자치권을 가지고 있으며,[41] 이는 최근 몇 년간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였다.[42] 그러나 헝가리어 학과 위원회는 헝가리어 사용 교직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보다 제도화된 형태의 자치권을 요구했다. 대학의 주요 의사 결정이 전체 교수의 과반수 투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수인 헝가리계 대표들의 의견이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2006년 11월, 대학 내 언어 평등을 요구하며 2005년 10월부터 활동해 온 Hantz Péter와 Kovács Lehel|코바치 레헬hu 강사가 해고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들은 과거 볼리아이 대학교처럼 대학을 언어별로 분리하여 독립적인 기관으로 재편성하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43] 해고의 직접적인 계기가 된 사건은 2006년 11월 22일, 대학이 유럽 의회에서 다국어 표지판이 설치된 것처럼 홍보 전시를 연 날, 한츠가 기존 루마니아어 표지판 옆에 헝가리어로 "정보", "금연" 등의 표지판을 추가로 부착한 행위였다.[44] 두 강사는 대학 규정상 이미 허용되었으나 실제로는 시행되지 않던 다국어 표지판 사용 규정과, 대학 스스로가 세 개의 공식 언어(루마니아어, 독일어, 헝가리어)를 사용하는 다문화 기관임을 내세운 점을 근거로 행동했다고 주장했다.[45]

2006년 11월 27일, 대학 상원은 찬성 72표, 반대 9표(루마니아인 2명, 헝가리인 7명)로 두 강사의 해고를 결정했다. 헝가리 학계는 이 결정이 징계 조치가 아니며 투표가 민족적 구분에 따른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지만,[44] 결과적으로 헝가리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해고가 강행되었다. 이후 헝가리어 사용 교직원들의 항의성 사임과 24명의 헝가리계 유럽 의원들의 복직 요구에도 불구하고 해고 결정은 번복되지 않았다.[44] 헝가리 국회의 모든 정당 대표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대학 측에 두 교수의 복직과 헝가리 소수 민족의 권리 존중을 촉구했다. István Hiller 당시 헝가리 교육부 장관은 루마니아 교육부 장관 Mihail Hărdău|미하일 하르더우ro에게 서신을 보내 문제 해결을 위한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45] 이 사건은 유럽 평의회 의회에서도 논의되었는데, 스웨덴 유럽 인민당 소속 Göran Lindblad 의원은 19개국 24명의 의원 서명을 받아 루마니아 정부가 1994년 비준한 국가 소수 민족 보호 기본 협약을 위반했다는 내용의 결의안을 제출했다.[46]

두 강사는 스트라스부르에 있는 유럽 인권 재판소(ECHR)에 루마니아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전 헝가리 법무부 장관 Takács Albert가 이들의 변호를 맡았다.[47] 그러나 2008년, 유럽 인권 재판소는 대학 상원의 해고 결정이 합법적이었다고 판결했다.[48]

2010년에는 새로운 교육법이 고등 교육에서 민족 분리를 조장할 수 있다는 비판 속에 통과되어 논란을 일으켰다.[49] 대학 교육 노조 연맹 "알마 마테르"의 회장 Anton Hadăr|안톤 하더르ro는 바베슈-보여이 대학교를 민족 기준으로 분리하는 것은 위험하고 비생산적일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특히 헝가리계 학생들의 루마니아어 구사 능력 저하 문제를 주요 단점으로 지적했다. 루마니아 유럽 의원 Corina Crețu 역시 UDMR(헝가리계 정당)의 주장이 반영된 교육법이 통과될 경우, 특히 클루지나포카 지역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것이며, "법 적용이 바베슈-보여이 대학교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49]

7. 저명한 동문


  • 가브리엘라 사보 (1975년 출생), 올림픽 육상 선수, 청소년 스포츠부 장관
  • 가브릴 데제유 (1932년 출생), 변호사, 내무부 장관
  • 게오르게 마이오르 (1967년 출생), 루마니아 정보국 국장
  • 게오르게 무레산 (1971년 출생), 농구 선수
  • 게오르제 코슈부크 (1866–1918), 시인, 문학 평론가, 번역가
  • 죄르지 프룬다 (1951년 출생), 정치인
  • 다니엘 다비드 (1972년 출생), 심리학자, 바베슈 보여이 대학교 총장
  • 다니엘 모라르 (1966년 출생), 국가 반부패국 국장, 루마니아 헌법 재판소 판사
  • 다니엘 바르부 (1957년 출생), 역사학자, 상원의원, 문화부 장관
  • 두미트루 라두 포페스쿠 (1935년 출생), 작가, 극작가, 시나리오 작가, 학자
  • 라우라 코드루차 쾨베시 (1973년 출생), 국가 반부패국 수석 검사
  • 루치안 블라가 (1895–1961), 철학자, 시인, 극작가, 번역가, 언론인, 교수, 학자, 외교관
  • 마리아 베레니 (1959년 출생), 역사학자, 시인
  • 미르체아 미클레아 (1963년 출생), 교육부 장관
  • 바실레 딘쿠 (1961년 출생), 정치인, 사회학자
  • 바실레 푸슈카슈 (1952년 출생), 교수, 외교관, 정치인
  • 비르질 I. 바르바트 (1879–1931), 사회학자
  • 빅토르 노이만 (1953년 출생), 역사학자, 문화 철학자, 교수
  • 빅토르 치오르베아 (1954년 출생), 부쿠레슈티 시장, 루마니아 총리
  • 산드라 이자바사 (1990년 출생), 올림픽 체조 선수
  • 샨도르 카냐디 (1929년 출생), 시인
  • 스테판 아우구스틴 도이나슈 (1922–2002), 시인, 수필가, 번역가, 정치범, 학자, 정치인
  • 시모나 후니디 머프, 과학자, 엔지니어, 발명가, 겸임 교수
  • 아나 블란디아나 (1942년 출생), 작가, 시민 운동가
  • 아나톨 E. 바콘스키 (1925–1977), 수필가, 시인, 소설가, 언론인, 문학 이론가, 번역가
  • 아데예미 이쿠포리지 (1958년 출생), 경제학자, 정치인
  • 아론 터마시 (1897–1966), 작가
  • 아코스 비르탈란 (1962년 출생), 관광부 장관
  • 안드리안 칸두 (1975년 출생), 몰도바 의회 의장
  • 안넬리 우테 가바니 (1942년 출생), 정치학자, 문학 평론가, 언론인, 문헌학자
  • 에두아르드 헬비그 (1974년 출생), 유럽 의회 의원, 관광부 장관, 루마니아 정보국 국장
  • 에밀 보크 (1966년 출생), 루마니아 총리 , 클루지나포카 시장
  • 에밀 라코비처 (1868–1947), 학자, 탐험가, 동굴학자, 생물학자
  • 에밀 후레자누 (1955년 출생), 작가, 저술가, 언론인
  • 오비디우 페치칸 (1959년 출생), 작가, 역사학자, 저술가
  • 율리우 마니우 (1873–1953), 루마니아 총리
  • 율리우 하치에가누 (1885–1959), 의사
  • 이오안 기우리 파스쿠 (1961–2016), 음악가, 배우
  • 이오안 올테안 (1953년 출생), 환경부 장관
  • 이오넬 하이두크 (1937년 출생), 화학자, 교수, 학자
  • 이온 라치우 (1917–2000), 정치인
  • 이온 카르자 (1922–1977), 작가, 정치범
  • 카밀 무레샤누 (1927–2015), 역사학자
  • 코르넬리우 코포수 (1914–1995), 기독교 민주 국민 농민당 창립자
  • 클라우스 요하니스 (1959년 출생), 시비우 시장, 루마니아 대통령
  • 트라이안 헤르세니 (1907–1980), 사회학자, 인류학자, 민족학자
  • 파벨 바르토슈 (1975년 출생), 배우, 코미디언, TV 스타
  • 페테르 에크슈테인-코바치 (1956년 출생), 상원의원, 대통령 고문
  • 플로린 세르반 (1975년 출생), 영화 감독
  • 프란츠 할베르크 (1919–2013), 과학자, 현대 생체 리듬학 창시자 중 한 명
  • 헤르만 오베르트 (1894–1989), 로켓 및 우주 항공학의 창시자 중 한 명
  • 후노르 켈레멘 (1967년 출생), 문화부 장관

8. 역대 총장


  • 섹스틸 푸슈카리우 (1919–1920)
  • 바실레 두미트리우 (1920–1921)
  • 디미트리에 컬루개레아누 (1921–1922)
  • 이아코브 이아코보비치 (1922–1923)
  • 니콜라에 베네스쿠 (1923–1924)
  • 카밀 네그레아 (1924–1925)
  • 게오르게 스파쿠 (1925–1926)
  • 이온 미네아 (1926–1927)
  • 게오르게 보그단-두이커 (1927–1928)
  • 에밀 하치에가누 (1928–1929)
  • 에밀 라코비처 (1929–1930)
  • 이울리우 하치에가누 (1930–1931)
  • 니콜라에 드래가누 (1931–1932)
  • 플로리안 슈테퍼네스쿠-고앙거 (1932–1940)
  • 섹스틸 푸슈카리우 (1940–1941)
  • 이울리우 하치에가누 (1941–1944)
  • 알렉산드루 보르자 (1944–1945)
  • 에밀 페트로비치 (1945–1951)
  • 랄루카 리판 (1951–1956)
  • 콘스탄틴 다이코비치우 (1956–1968)
  • 슈테판 파스쿠 (1968–1976)
  • 이온 블라드 (1976–1984)
  • 아우렐 네구치우 (1984–1989)
  • 이오넬 하이두크 (1990–1993)
  • 안드레이 마르가 (1993–2004)
  • 니콜라에 복샨 (2004–2008)
  • 안드레이 마르가 (2008–2012)
  • 이오안-아우렐 팝 (2012–2020)
  • 다니엘 다비드 (2020–현재)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Raportul Rectorului privind starea Universității Babeș-Bolyai din Cluj-Napoca în anul 2015 http://www.ubbcluj.r[...] 2016-02
[3] 웹사이트 Conducerea Senatului http://senat.ubbcluj[...]
[4] 웹사이트 Eutopia https://eutopia-univ[...]
[5] 뉴스 Traditie si Excelenta-Scolile academice/de stiinta la Universitatea Babes-Bolyai din Cluj-Napoca (1581-1872-1919-prezent) https://news.ubbcluj[...]
[6] 간행물 Raport asupra Exercițiului Național de Metaranking Universitar-2016 https://www.edu.ro/s[...]
[7] 간행물 Metarankingul Universitar-2019 Clasamentul Universităților din România https://ad-astra.ro/[...]
[8] 간행물 Raportul rectorului privind starea Universității Babeș-Bolyai din Cluj-Napoca (UBB) pe anul 2021 https://www.ubbcluj.[...]
[9] 뉴스 Consorțiul Universitaria – viitorul învățământului superior românesc de calitate http://www.uaic.ro/c[...]
[10] 웹사이트 Universitatea Babeș-Bolyai https://www.ubbcluj.[...] 2021-06-16
[11] 웹사이트 Affiliations http://cci.ubbcluj.r[...] 2015-08-27
[12] 웹사이트 Partners http://cci.ubbcluj.r[...] 2015-08-27
[13] 웹사이트 Lista Institutiile de invatamant superior acreditate, clasificate ca universitati de cercetare avansata si educatie (conform OM 5262/2011). http://www.cnatdcu.r[...] 2017-03-06
[14] 서적 Istoria Universităţii "Babeş-Bolyai" http://dspace.bcuclu[...] 2012
[15] 웹사이트 Un secol de învățământ superior românesc la Cluj http://www.agerpres.[...] 2014-08-27
[16] 서적 A Szegedi Tudományegyetem és elődei története (1581–2011) https://u-szeged.hu/[...] University of Szeged 2011
[17] 웹사이트 Babeș-Bolyai University - short history https://www.ubbcluj.[...]
[18] 웹사이트 Repere istorice ale universităţii clujene http://www.ubbcluj.r[...] 2015-08-27
[19] 서적 Istoria Universităţii Babeş-Bolyai Mega 2012
[20] 웹사이트 "Admission at Babeș-Bolyai University https://admitere.ubb[...] 2020-04-21
[21] 웹사이트 Cazare în cămine http://csubb.ro/ce-f[...]
[22] 웹사이트 Universităţile clujene oferă peste 12.000 de locuri în cămine pentru 72.000 de studenţi http://citynews.ro/e[...] 2012-09-17
[23] 웹사이트 Muzeul Universităţii http://www.ubbcluj.r[...]
[24] 웹사이트 Analiza: 80.000 de studenti aduc la Cluj, anual, 400 de milioane de euro http://www.ziardeclu[...] 2013-04-19
[25] 서적 Ghidul studentului din Universitatea Babeș-Bolyai http://admitere.ubbc[...] 2016-05-09
[26] 간행물 Raportul Rectorului privind starea Universitatii Babes-Bolyai din Cluj-Napoca în anul 2019 https://www.ubbcluj.[...]
[27] 웹사이트 Date statistice http://www.ubbcluj.r[...]
[28] 웹사이트 Raportul rectorului, Universitatea Babeș-Bolyai http://www.ubbcluj.r[...] 2015-08-27
[29]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Romania https://www.topunive[...] 2023-06-29
[30]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Romania https://www.timeshig[...] 2023-09-28
[31] 웹사이트 Best Global Universities in Romania https://www.usnews.c[...] 2024-02-27
[32]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1-07-01
[3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0 https://www.topunive[...] 2021-07-01
[34] 간행물 Metarankingul Universitar-2020 https://ad-astra.ro/[...]
[35] 간행물 Metarankingul Universitar-2021 https://ad-astra.ro/[...]
[36] 웹사이트 Raport anual privind Metarankingul Național aferent anului 2021 https://www.edu.ro/r[...]
[37] 웹사이트 QS Stars rating system https://www.qs.com/s[...]
[38] 웹사이트 UBB is the first Romanian University Ranked World-Class 5 stars” https://news.ubbcluj[...]
[39] 서적 Mechanisms for the implementation of minority rights https://books.google[...] Council of Europe Publishing 2005
[40] 웹사이트 The multicultural feature http://www.ubbcluj.r[...]
[41] 웹사이트 Carta Universității Babeș-Bolyai http://www.ubbcluj.r[...]
[42] 웹사이트 UBB isi consolideaza pozitia in mediul academic romanesc http://www.romaniali[...] 2006-03-10
[43] 웹사이트 Scandalul placutelor de la UBB a provocat demisia a doi prorectori http://www.hotnews.r[...] 2006-12-01
[44] 웹사이트 Sacked Hungarian lecturers fail to get re-instated http://bolyai.eu/dok[...] 2007-01-17
[45] 뉴스 Hungary asks Romania to reinstate 2 ethnic Hungarian professors expelled by university http://bolyai.eu/dok[...]
[46] 웹사이트 Motion supports sacked lecturer http://bolyai.eu/dok[...] 2007-02-23
[47] 웹사이트 Doi profesori universitari din Cluj dau în judecată statul român la Strasbourg http://ziuadecj.real[...] 2008-04-30
[48] 웹사이트 Justitia a stabilit: Inlaturarea lui Hantz Peter si Kovacs Lehel din cadrul UBB a fost legala http://www.ziare.com[...] 2008-12-01
[49] 웹사이트 "Maghiarii forţează nota!" Integritatea UBB-ului, pusă în pericol de legea educaţiei! http://www.cotidiant[...] 2015-08-27
[5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news.ubbcluj.[...] 2015-08-27
[51] 웹사이트 バベシュ・ボヤイ大学(ルーマニア)と調印式を行いました。 https://www.nagaokau[...] 長岡技術科学大学(2019年9月2日更新) 2019-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