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시 학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시 학살은 1562년 3월 1일 프랑스 바시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프랑스 종교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기즈 공작 프랑수아가 위그노들이 예배를 드리는 것을 보고, 이를 제지하려다 충돌이 발생하여 60명 이상의 위그노가 사망하고 1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 이 사건은 위그노 전쟁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후 프랑스 전역에서 종교적 갈등과 폭력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바시 학살은 종교적 관용의 중요성과 소수 집단 보호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바시 학살 | |
---|---|
지도 정보 | |
사건 개요 | |
사건명 | 바시 학살 |
다른 명칭 | 바시 대학살 |
로마자 표기 | Massacre de Wassy |
날짜 | 1562년 3월 1일 |
장소 | 바시, 프랑스 왕국 |
원인 | 위그노에 대한 종교적 편견 및 긴장 고조 |
교전 세력 | |
가해자 | 프랑수아 드 기즈 공작의 군대 |
피해자 | 위그노 교도 |
피해 규모 | |
사망자 | 약 50 ~ 100명 추정 |
영향 | |
결과 | 앙부아즈 칙령 발표 프랑스 종교 전쟁의 시작을 알림 |
관련 사건 | |
관련 사건 | 생 바르톨로메오 축일 학살 |
2. 역사적 배경
앙리 2세가 프랑스 왕위를 계승한 이후, 위그노라고 불리는 기독교종교 개혁 지도자 장 칼뱅의 지지자들은 프랑스에서 박해받고 있었다. 샤를 9세의 섭정이었던 카트린 드 메디시스는 생제르맹 칙령(1월 칙령)을 발포하여 칼뱅파와 가톨릭 교회의 공존과 분쟁 중지를 기대했다. 이 칙령은 몇 가지 조건부이기는 했지만, 위그노의 예배를 허용하는 것이었다.[35] 그러나 이것은 가톨릭 신자들의 반발을 초래했다.[35]
2. 1. 종교 개혁과 위그노의 등장
프랑수아 1세 치세부터, 장 칼뱅의 가르침을 따르는 개신교도들인 위그노는 프랑스에서 국가의 지원을 받는 박해에 직면했다.[2] 이러한 박해는 앙리 2세와 프랑수아 2세 치하에서도 계속되었으며, 프랑수아 2세는 1560년에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3] 샤를 9세의 섭정이었던 카트린 드 메디시스는 생제르맹 칙령(1월 칙령)을 발포하여 칼뱅파와 가톨릭 교회의 공존과 분쟁 중지를 기대했다. 이 칙령은 몇 가지 조건부이기는 했지만, 위그노의 예배를 허용하는 것이었다.[35] 그러나 이는 가톨릭 신자들의 반발을 초래했다.[35]2. 2. 프랑스 왕실의 종교 정책
프랑수아 1세 치세부터 존 칼빈의 가르침을 따르는 개신교도들, 즉 위그노들은 프랑스에서 국가의 지원을 받는 박해에 직면했다.[2] 이러한 박해는 그의 두 후계자인 앙리 2세와 프랑수아 2세 치하에서도 계속되었으며, 후자는 1560년에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3] 샤를 9세의 섭정이었던 카트린 드 메디시스는 1월 칙령 (Edict of Saint-Germain영어 또는 생제르맹 칙령)을 발포했다. 이는 프랑스에서 칼뱅파와 가톨릭 교회의 공존과 분쟁의 중지를 기대하며 제안된 것이었다. 이 칙령은 몇 가지 조건부이기는 했지만, 위그노의 예배를 허용하는 것이었다.[35] 그러나 이것은 가톨릭 신자들의 반발을 초래하는 결과를 낳았다.[35] 파리 고등법원이 1562년 3월 6일까지 칙령의 등록을 거부했기 때문에, 바시 공작이 바시에 진입했을 때는 칙령이 발효되지 않았다.[5]2. 3. 기즈 가문의 역할
기즈 가문은 바시 학살 당시 바시 마을과 깊은 봉건적 유대 관계를 맺고 있었다. 바시는 왕실 도시였지만, 기즈 공작의 조카인 메리 스튜어트의 지참금이었기 때문이다.[7] 또한 기즈 가문은 학살이 발생한 개신교 예배당이 위치한 성곽 구역을 소유하고 있었고,[19] 가문의 공작 작위는 바시에서 멀지 않은 조인빌 영지에서 비롯되었다.[14] 이러한 연결은 이후 기즈 가문의 행동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었다.[7]바시는 작은 규모에도 불구하고 초기부터 강력한 위그노 활동을 보였다. 1533년, 기즈 공작의 어머니 부르봉의 앙투아네트는 바시에서 설교하던 남자를 화형시키기도 했다.[8] 그러나 바시 공동체는 트루아의 도움을 받아 성장했고, 1561년에는 120명이 참석한 가운데 첫 공인 예배를 열었다.[8] 이후 공동체는 500명 이상으로 성장했고, 크리스마스 예배에는 900명이 참석하여 위그노의 거점이 되었다.[9][10]
이러한 성장은 기즈 가문의 심기를 건드렸다. 11월에 기즈 공작은 헌병을 파견하여 이단을 진압하려 했지만 실패했다.[11] 마을 신부는 앙투아네트에게 우려를 표했지만, 그녀는 개신교 신자인 네베르 공작의 지지 없이는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9] 로렌 추기경은 주교를 보내 개신교 공동체를 가톨릭으로 되돌리려 했으나, 오히려 굴욕을 당하고 쫓겨났다.[9][10]
3. 바시 학살의 전개
1562년 3월 1일, 기즈 공작 프랑수아는 자신의 영지로 이동하던 중 바시에 들러 미사에 참석하기로 했다. 프랑수아는 위그노들이 헛간을 교회로 사용하며 대규모 집회를 열고 종교 행사를 진행하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위그노의 예배는 도시 성벽 밖에서만 허용되었던 생 제르맹 칙령을 위반한 것이었다.[35][36]
공작 일행 중 일부가 위그노들을 길 밖으로 밀어내려 하자 반발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격화되어, 결국 돌이 날아 공작에게 맞았다. 이에 분노한 공작은 부하들에게 도시를 장악하고 교회를 불태울 것을 명령했다. 이로 인해 62명의 비무장 위그노가 살해되었고, 100명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했다.[37]
3. 1. 기즈 공작의 바시 방문
1562년 초, 프랑스는 내전으로 치닫고 있었다. 기즈 공작은 전쟁이 일어날 경우 위그노 콩데 공을 지지하는 독일 제후들의 연합을 막기 위해 뷔르템베르크 공작을 만나 중립을 대가로 프랑스에서 아우크스부르크 신앙을 장려하겠다고 약속했다.[12] 이후 기즈는 나바라 왕의 요청으로 파리로 돌아가던 중, 그의 어머니 앙투아네트는 그에게 영지 내 이단 확산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며 맞서 싸울 것을 촉구했다.[14]다음 날, 기즈는 200명의 헌병과 함께 조인빌을 출발하여 에클라롱에 들를 예정이었고, 바시를 지나면서 증원 헌병을 데려갈 계획이었다.[14][15] 브루세발 근처에서 그는 미사 시간이 아닌데도 바시의 교회 종소리가 울리는 것을 듣고 분노했다.[16] 그는 귀족들을 소집하여 대책을 논의했고, 강경파의 주도로 바시에 개입하기로 결정했다.[16] 기즈는 미사를 구실로 헌병대를 이끌고 바시의 남문을 통해 들어가 교회로 향했다.[17][18] 그는 바시에서 위그노들이 헛간을 교회로 사용하며 종교 행사를 하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위그노 예배를 도시 성벽 밖에서만 허용한 생 제르맹 칙령에 어긋나는 것이었다.[35][36]
3. 2. 학살의 발발
1562년 초, 프랑스는 내전에 가까워지고 있었다. 기즈 공작은 뷔르템베르크 공작과 만나 중립을 약속받고, 프랑스 부총독인 나바라 왕 앙투안의 요청으로 파리로 돌아가던 중이었다.[13] 기즈는 조인빌 가문의 영지에서 그의 어머니로부터 영지 내 이단 확산에 대한 불만을 듣고, 다음 날 200명의 헌병과 함께 조인빌을 출발했다.[14] 브루세발 근처에서 그는 바시의 교회 종소리가 미사 시간이 아닌 때에 울리는 것을 듣고 분노하여, 강경파 귀족들과 함께 바시에 개입하기로 결정했다.[16]기즈는 헌병대를 이끌고 바시의 남문을 통해 들어가 교회로 향했다.[17] 그는 프로테스탄트 예배당이 마을 교회와 매우 가깝고 자신의 영지 내에 있다는 사실에 더욱 분노했다.[17] 그는 마을의 프로테스탄트 반대파 지도자들을 소집하여 집회 해산을 촉구했다.[19] 그의 부하 드 라 브로스는 두 명의 시동과 함께 헛간에 도착을 알리려 했으나, 문지기들에게 저지당했다. 그들을 제압한 그는 가까이 있는 사람들을 죽이기 시작했다.[20]
기즈의 나머지 일행은 트럼펫을 울리며 공격을 시작했고, 많은 신자들이 지붕의 구멍을 통해 도망쳤으나 일부는 저격수에게 사살되었다. 거리를 따라 도망친 사람들은 묘지에 배치된 아르케부스 사수들과 마주쳤다. 목사는 부상을 입고 체포되었다.[20] 한 시간 후 학살이 멈췄을 때, 500명의 신자 중 50명이 사망했고, 그 중에는 여성 5명과 어린이 1명이 포함되어 있었다.[20]
기즈 공작은 바시에 들러 미사에 참석하던 중, 위그노들이 헛간을 교회로 사용하며 대규모 집회를 여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생 제르맹 칙령에서 위그노 예배를 도시 성벽 밖에서만 허용한 것을 위반한 것이었다.[35][36] 공작 일행이 위그노들을 밀어내려 하자 반발이 일어났고, 돌이 날아 공작에게 맞았다. 분노한 공작은 부하들에게 도시를 장악하고 교회를 불태우라고 명령하여, 62명의 비무장 위그노가 살해되고 100명이 넘는 부상자가 발생했다.[37]
3. 3. 학살의 정당화 시도
개신교 측의 《순교자들의 역사》(Histoire des Martyres)에서는 바시 학살을 가톨릭교도들이 "모두 죽여버리자"라고 외치며 사원에 들어간 계획적인 폭력 행위로 묘사했다.[23] 반면, 가톨릭 측은 기즈 공작이 뷔르템베르크 공작 크리스토프에게 보낸 회고록을 근거로 자신들의 주장을 펼쳤다. 회고록에서 기즈 공작은 사원을 조사하려다 저항을 받았고, 칼만 가지고 있던 자신의 부하들에게 사원 안에서 아르케부스가 발사되었다고 보고했다.[7]4. 학살의 여파와 영향
바시 학살은 1세기 이상 이어진 프랑스 종교 전쟁의 첫 번째 전투를 촉발했다.[38] 이 사건으로 기즈 공작은 가톨릭 신자들에게 영웅으로 칭송받았지만, 프로테스탄트 귀족이었던 콩데 공 루이 1세는 전쟁을 준비했다.[36] 위그노들은 콩데 공을 중심으로 결집하여 왕과 섭정을 "악"의 의회로부터 해방시키겠다고 선언하고,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아우르는 보호령을 설정했으며, 루아르 강을 따라 마을을 점령하고 전략적으로 수비대를 배치했다. 콩데 공은 바시 학살을 칙령이 파기된 증거로 삼아 전쟁의 명분으로 삼았다.[39]
1563년 기즈 공작이 암살되자, 앙부아즈 칙령이 내려져 프로테스탄트 예배에 제한을 가했지만, 신앙의 자유를 인정했다.[40] 그러나 이 칙령은 이전보다 엄격했기에 위그노들에게 환영받지 못했고,[41] 가톨릭 신자들의 반발과 칙령의 미흡한 적용으로 갈등이 해소되지 못하고 1567년 다시 전쟁으로 확대되었다.[41]
4. 1. 프랑스 종교 전쟁의 발발
바시 학살은 프랑스 종교 전쟁(위그노 전쟁)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다.[38] 이 사건으로 기즈 공작은 가톨릭 신자들에게 영웅으로 칭송받았지만, 프로테스탄트 귀족이었던 콩데 공 루이 1세는 궁정을 떠나 전쟁 준비를 시작했다.[36]콩데 공이 이끄는 부르봉 왕가는 자신들이 "악"의 의회로부터 왕과 섭정을 해방하겠다고 선언하고, 프로테스탄트 교회를 아우르는 보호령을 설정했으며, 루아르 강을 따라 마을을 점령하고 전략적으로 수비대를 배치했다. 위그노들은 바시 학살 이전부터 병력 동원을 시작했지만[39], 콩데 공은 이 학살을 칙령이 이미 파기된 증거로 삼아, 전쟁이 시작되었다고 선언하며 원정에 더욱 무게를 실었다.[36]
바시 학살 소식을 접한 콩데 공 루이 1세는 1562년 4월 2일 오를레앙을 점령하고, 며칠 후 반란을 정당화하는 선언문을 발표하여 "기즈 씨 앞에서 바시에서 자행된 잔혹하고 끔찍한 대학살"을 언급했다.[30] 며칠 후 오를레앙에서 열린 칼뱅주의 시노드에서 그는 왕국의 모든 칼뱅주의 교회의 보호자로 선포되었다.[31]
전쟁의 주요 교전은 루앙 포위전, 드뢰 전투 및 오를레앙 포위전에서 발생했다.[32] 루앙 포위전 (1562년 5월~10월)에서 왕실은 도시를 되찾았지만, 나바르 왕은 부상으로 사망했다.[32] 드뢰 전투 (1562년 12월)에서 콩데는 왕실에 의해 포로로 잡혔고, 프랑스 대원수 몽모렌시는 반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1563년 2월, 오를레앙 포위전에서 기즈는 위그노교도 장 드 폴트르 드 메레에게 총을 맞아 사망했다. 직접적인 전투 외에서 사망했기 때문에 기즈 가문은 이를 기즈 공작의 적, 콜리니 제독의 명령에 따른 암살로 간주했다.[33]
4. 2. 종교적 갈등의 심화
바시 학살은 프랑스 전역에 걸쳐 추가적인 종교 폭력을 불러왔다. 1562년 4월 12일, 상스 주민들은 상스 학살에서 100명 이상의 위그노를 학살하고 그 시신을 센 강에 던졌다.[24] 같은 해 초, 카스텔노다리와 바-쉬르-센에서도 학살이 일어났다.[25][26]루앙, 트루아 등의 도시를 점령하려 하거나 점령에 성공한 위그노들은, 자신들의 행동이 바시 교구민들처럼 학살당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고 주장했다.[27][28]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의 극단적인 대립을 심화시켜, 종교적 화해의 가능성을 더욱 요원하게 만들었다.
4. 3. 국제적 파장
바시 학살 소식은 프랑스 전역과 국제적으로 빠르게 퍼져나갔으며, 영국에서 신성 로마 제국에 이르기까지 문맹자를 위한 팜플렛과 목판화가 제작되었다.[21] 특히 문 앞에서 폭력이 시작된 주체가 위그노인지 기즈 측인지에 대한 논쟁은 즉시 개신교와 가톨릭 양측, 그리고 동시대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의견 불일치의 원천이 되었다.[22]개신교 측의 《순교자들의 역사》(Histoire des Martyres)에서는 이 사건을 "모두 죽여버리자"라고 외치며 사원에 들어간 가톨릭교도들의 계획적인 폭력 행위로 묘사했다.[23] 반면, 가톨릭 측 주장의 근거가 된 기즈가 뷔르템베르크 공 크리스토프에게 보낸 회고록에서는, 기즈 측이 사원을 조사하려다 저항을 받았고 칼만 가지고 있던 부하들에게 사원 안에서 아르케부스가 발사되었다고 보고했다.[7]
이전까지 도살장과 칼을 의미했던 '학살(massacre)'이라는 단어는 이 사건을 계기로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21]
5. 역사적 평가와 교훈
바시 학살은 현재까지도 다양한 역사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건이다.
참조
[1]
간행물
"Massacre and Persecution Pictures in Sixteenth Century France"
The Warburg Institute
[2]
서적
Francis I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논문
The Legal Response to Heresy in Languedoc 1500-1560
1973
[4]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Selected Documents
Macmillan
[5]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1562-1629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Selected Documents
Macmillan
[8]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1559-1598
Routledge
[13]
서적
Princes Politics and Religion 1547-98
Hambledon Press
[14]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UP Oxford
[16]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French Religious Wars 1562-98
Osprey Publishing
[19]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Martyrs and Murderers: The Guise Family and the Making of Europe
Oxford University Press
[22]
논문
The Rights of Violence
2012
[23]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Selected Documents
Macmillan Press
[24]
논문
The Rights of Violence
2012
[25]
논문
The Rites of Violence: Religious Riot in Sixteenth-Century France
1973
[26]
서적
A City in Conflict: Troyes during the French Wars of Relig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7]
서적
A City in Conflict: Troyes during the French Wars of Relig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8]
서적
Rouen during the Wars of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French Religious Wars 1562-1598
Osprey Publishing
[30]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Selected Documents
Macmillan
[31]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1562-98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서적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Biography
Castle Books
[33]
서적
The French Wars of Religion 1562-98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간행물
"Massacre and Persecution Pictures in Sixteenth Century France"
The Warburg Institute
[35]
문서
山田 2013
[36]
문서
山田 2013
[37]
서적
History of the Reformation Reformation in Switzerland, France, the Netherlands, Scotland and England
https://books.google[...]
Charles Scribner's Sons; Kessinger Publishing
2011-11-27
[38]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ity: The Reformation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1-11-27
[39]
문서
The French Civil Wars
[40]
문서
山田 2013
[41]
문서
山田 2013
[42]
논문
위그노 전쟁과 개혁파 저항신학
충남대 신학대학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