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문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문정은 대한민국의 고분자 과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UC 버클리,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전하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의 열역학 및 수송 연구를 수행한다. 에너지 저장 및 수송에 효율적인 고분자 물질 개발, 리튬-황 배터리 기술 개발 등에 기여했다.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Journal of Polymer Science, Macromolecules (ACS) 등 저널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미국물리학회 회원, 존 H. 딜론 메달, 젊은 과학자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자 과학자 - 로레인 대스턴
    로레인 대스턴은 합리성, 학문적 연구 기준, 인식론적 범주, 확률과 통계의 역사, 학문적 객관성 등을 연구한 미국의 과학사가로, 하버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시카고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과학사학회 화이자상, 독일 연방 공로 훈장, 조지 사톤 메달, 발잔 상 등을 수상했다.
  • 여자 과학자 - 토크타임 위뫼탈리예바
    토크타임 위뫼탈리예바는 키르기스스탄의 인물로, 물리학을 전공하고 강사, 언론인, 정치인, 국제기구 활동 등 다양한 경력을 거쳐 2005년과 2009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정광화
    정광화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해외 유치 과학자로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 충남대학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원장,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원장을 역임한 물리학자이자 과학기술 행정가이다.
  •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인상 수상자 - 노정혜
    노정혜는 미생물학 분야에서 학문적 업적을 이루고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등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생물학자이자 교육자이며,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및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박이문
    박이문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시인, 문학 평론가로, 서울대학교 등에서 수학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실존주의 문학 평론과 프랑스 문학 번역, 다수의 저서 출간 등의 활동을 하다가 2017년에 사망했다.
박문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문정
출생1977년
국적대한민국
직업화학공학자
근무지포항공과대학교
모교서울대학교
웹사이트박문정 교수 연구실
수상
수상 내역2016년 한화토탈 IUPAC 젊은 과학자상
2017년 미국 물리학회 딜런 메달

2. 학력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 이후 2009년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니타시 P. 발사라 교수 연구실의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2][5]

2. 1. 서울대학교 (2000 - 2006)

박문정은 서울대학교에서 응용화학을 전공하여 2000년에 학사 학위를, 2002년에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동 대학원에서 차국헌 교수의 지도를 받아 2006년 응용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서울대학교 학력
학위취득 연도전공
학사2000응용화학
석사2002응용화학
박사2006응용화학


3. 경력

2006년부터 2009년까지 UC Berkeley와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이후 2009년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2] 2013년 부교수로 승진하여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 및 학술 활동은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

3. 1. 학술 활동

박문정은 2009년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2] 2013년 부교수로 승진했다. 연구는 주로 전하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의 열역학 및 수송 현상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6] 특히 에너지 저장 및 수송 분야에서 더 효율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고분자 물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2][7]

주요 연구 성과로는 충전 속도를 높이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리튬-황 배터리 기술 개발이 있다.[8] 또한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자기 조립 고분자 전해질 설계, 향상된 이온/전하 수송을 위한 유기-유기 나노 하이브리드, 이온성 고분자 기반 화학 센서 분야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9] 이 외에도 인공 근육 제작을 위한 전기 응답 액추에이터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10]

박문정은 다양한 학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주요 저널 편집 활동'''

기간저널직책
2016년 ~ 현재매크로분자 (Macromolecules, ACS)부편집장[11]
2015년 ~ 현재고분자 과학 저널: 고분자 물리학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Physics)편집위원[12]
2013년 ~ 현재응용 고분자 과학 저널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편집위원[13]



'''주요 학회 및 위원회 활동'''

기간활동 내용
2017년 ~ 현재한국과총 과학기술세대간 네트워크 위원회 위원장
2017년 ~ 현재한국과학기술한림원 차세대 회원
2015년 ~ 2017년국제중성자학회 조직위원
2015년 ~ 2016년(사)한국고분자학회 조직위원
2015년 ~ 현재(사)대한화학회 학술위원
2014년 ~ 현재(사)한국고분자학회 평의원
2012년 ~ 현재한-중-일 캠퍼스 아시아 실무위원
2011년 ~ 2012년화학세계 편집위원
2010년 ~ 현재방사선 X-선 분과위원



'''주요 자문 활동'''

기간기관
2010년 ~ 2015년POSCO Energy
2010년 ~ 현재미국 표준과학연구소 NCNR


3. 2. 연구 및 기타 경력

2006년부터 2009년까지 UC Berkeley와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2009년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조교수로 임용되었으며,[2] 2013년 부교수로 승진했다.

박문정의 연구는 주로 전하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의 열역학 및 수송 현상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6] 특히 에너지 저장 및 수송 분야에서 더 효율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고분자 물질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2][7] 대표적인 연구 성과로는 충전 속도를 높이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리튬-황 배터리 기술 개발이 있다.[8] 주요 연구 분야는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자기 조립 고분자 전해질 설계, 이온 및 전하 수송 능력이 향상된 유기-유기 나노 하이브리드, 이온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화학 센서 등이다.[9] 또한, 인공 근육 개발을 위한 전기 응답 액추에이터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10]

주요 학회 및 위원회 활동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내용
2017-현재한국과총 과학기술세대간 네트워크 위원회 위원장
2017-현재한국과학기술한림원 차세대 회원
2015-2017국제중성자학회 조직위원
2015-2016(사)한국고분자학회 조직위원
2015-현재(사)대한화학회 학술위원
2014-현재(사)한국고분자학회 평의원
2012-현재한-중-일 캠퍼스 아시아 실무위원
2011-2012화학세계 편집위원
2010-현재방사선 X-선 분과위원
2010-2015POSCO Energy 자문위원
2010-현재미국 표준과학연구소 중성자 연구센터(NCNR) 자문위원



국제 학술지 편집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학술지직책
2016-현재매크로분자(Macromolecules) (ACS)부편집인[11]
2015-현재고분자 과학 저널(Journal of Polymer Science)편집위원[12]
2013-현재응용 고분자 과학 저널(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편집위원[13]


4. 연구 분야

박문정의 연구 관심사는 전하를 포함하는 고분자 물질의 열역학 및 수송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다.[6] 특히 에너지 저장 및 수송 분야에서 더 효율적이고 예측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고분자 물질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2][7]

주요 연구 성과로는 충전 속도를 높이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는 리튬-황 배터리 기술 개발이 있다.[8] 또한,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다.[9]


  •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고분자 연구
  • 자기 조립 고분자 전해질 설계
  • 향상된 이온/전하 수송을 위한 유기-유기 나노 하이브리드 개발
  • 이온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화학 센서 개발


이 외에도 인공 근육 제작을 위한 전기 응답 액추에이터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10]

학술 활동으로는 매크로분자 저널의 부편집인을 맡고 있으며,[11] 고분자 과학 저널: 고분자 물리학 및 응용 고분자 과학 저널의 편집 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12][13]

5. 수상 내역

"분자 구조와 자기 조립 나노구조가 전하를 띤 고분자의 전기적, 이온 수송,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역할을 밝히는 창의적이고 통찰력 있는 실험에 기여"[14]2017존 H. 딜론 메달 (John H. Dillon Medal)미국물리학회 (APS)[15][2][4]2016제20회 젊은 과학자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과학기술한림원2016한화토탈-IUPAC 젊은 고분자 과학자상
(IUPAC-Hanwha Total Young Polymer Scientists Award)IUPAC Macro 2016[2][3][9]2015제15회 올해의 여성과학자상과학기술정보통신부[2]2015POSCO 기술상 (도전상)포스코2013젊은 과학자상 (Young Scientist Award)John Wiley & Sons-Polymer Society of Korea2011청암과학펠로우십 (신진교수부문)포스코 TJ Park 재단[3]2011우수 강의상 (Best Lectureship)POSTECH2011아시아 우수 젊은 과학자상
(Asia Excellence Award for Young Scientists in Polymer Science)일본 고분자 학회
(The Society of Polymer Science, Japan)[3]2005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한국화학공학회2004최우수 논문상 (Best Paper Award)IUPAC 세계 고분자 학술대회 (프랑스)[3]


참조

[1] 웹사이트 "'인공 근육' 박사 박문정 포항공대 교수의 최근 연구는…" http://weekly.chosun[...] 2020-10-16
[2] 웹사이트 Prize Recipient https://www.aps.org/[...] 2021-03-14
[3] 간행물 Hanwha Total IUPAC Young Scientist Award 2016 2016-12-01
[4] 웹사이트 포스텍 박문정 교수, 미국물리학회 '딜런 메달' https://www.chosun.c[...] 2020-07-22
[5] 웹사이트 http://www.cchem.ber[...] 2021-03-14
[6] 웹사이트 "'수소 자동차' 연료전지 필수 원천기술 개발" http://news.imaeil.c[...] 2010-10-06
[7] 웹사이트 국내 연구진, 고성능 구리이온 검출센서 개발 https://www.hankyung[...] 2013-07-12
[8] 웹사이트 미래부, 2015년 우수과학자포상 통합 시상식 개최 https://www.edaily.c[...] 2015-12-21
[9] 웹사이트 Hanwha-Total IUPAC Young Scientist Award 2016 https://iupac.org/ha[...] 2016-06-28
[10] 웹사이트 저전압에서 사람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액추에이터 개발 https://www.etnews.c[...] 2013-07-30
[11] 웹사이트 Macromolecules https://pubs.acs.org[...] 2021-03-14
[12] 웹사이트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https://onlinelibrar[...] 2021-03-14
[13] 웹사이트 Journal of Polymer Science https://onlinelibrar[...] 2021-03-14
[14] 웹사이트 Fellows nominated in 2021 by the Division of Polymer Physics https://www.aps.org/[...] American Physical Society 2021-10-22
[15] 웹사이트 "'인공 근육' 박사 박문정 포항공대 교수의 최근 연구는…" http://weekly.chosun[...] 2020-1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