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영규 (후백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영규는 후백제의 장군이자 고려 태조 왕건의 측근으로, 후백제 왕 견훤의 사위이다. 전라도 승주 출신으로, 경명왕의 후손이며, 후백제 멸망 과정에서 고려에 투항하여 후삼국 통일에 기여했다. 고려 건국 후 태조로부터 높은 대우를 받았으며, 딸들을 왕건과 정종에게 시집보내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었다. 삼중대광의 칭호를 받았으며, 드라마 《태조 왕건》, 《제국의 아침》,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등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백제의 왕족 - 문공왕후
    문공왕후는 고려 정종의 정비로, 순천 박씨이며, 아버지 박영규와 어머니 국대부인 견훤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고, 정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으며, 안릉에 합장되어 숙절효신경신선목순성정혜안숙문공왕후의 시호를 받았다.
  • 후백제의 왕족 - 문성왕후
    문성왕후는 고려 정종의 제2비로, 박영규의 딸이며, 정종과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으나 생몰년과 능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박영규 (후백제)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박영규
한자 표기朴英規
로마자 표기Bak Yeong-gyu
출생미상
출생지신라
사망미상
사망지고려
배우자견애복
자녀아들 2명 (이름 미상), 동산원부인, 문공왕후, 문성왕후
아버지박언지 강남대군 (朴彦지 江南大君)
가계
본관밀양 박씨
가문순천 박씨
경력
소속 왕조신라, 후백제, 고려
직업후백제의 무신

2. 생애

승평군(昇平郡)의 호족(豪族) 출신으로,[9] 후백제(後百濟) (王) 견훤(甄萱)의 사위이자 장군으로 활동했다. 935년 장인 견훤이 아들 견신검에 의해 금산사에 유폐되자 그의 탈출을 도와 고려(高麗)로 귀부하게 했으며,[3] 이듬해인 936년 자신도 부인 국대부인 견씨(甄氏)와 상의 후 고려(高麗)에 투항 의사를 밝히고 내응을 약속하여 후삼국 통일에 기여했다.[4]

고려 건국 이후에는 태조로부터 좌승(佐丞) 벼슬과 토지 1,000결을 하사받고,[5] 유천궁, 황보제공과 함께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르는 등[6] 고려 조정에서 중용되었다. 또한 태조와는 형제처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며,[7] 자신의 세 딸 중 동산원부인태조에게, 문공왕후문성왕후는 정종에게 시집보내 왕실과 깊은 인척 관계를 맺었다.[7]

2. 1. 후백제 시기

승평군(昇平郡)의 호족(豪族) 출신으로,[9] 전라남도 승주에서 태어났다. 신라 제54대 경명왕의 후손으로도 알려져 있다. 후백제 견훤(甄萱)의 사위가 되어 장군으로 활동하며 그를 섬겼다.

935년 3월, 장인인 견훤이 맏아들 견신검 등이 일으킨 정변으로 왕위에서 쫓겨나 금산사(金山寺)에 유폐되는 사건이 발생했다.[3] 박영규는 같은 해 6월, 견훤이 금산사를 탈출하여 고려(高麗)에 귀부하는 과정을 도왔다.[3]

936년 9월, 박영규는 부인 국대부인 견씨(甄氏)와 상의한 후[4] (부인은 견훤의 딸로 알려져 있다) 고려 왕건에게 사신을 보내 투항 의사를 밝혔다. 그는 왕건이 견신검을 공격할 경우 내부에서 호응하겠다고 약속하며 고려군을 환영할 뜻을 전했다.[4] 왕건은 박영규의 귀부 의사를 크게 기뻐하며 사신을 후하게 대접하여 돌려보냈다.[4] 이후 왕건이 후백제를 공격하여 멸망시킬 때 박영규는 약속대로 내응하여 후삼국 통일에 기여했다.[4]

고려로 귀부한 후, 박영규는 태조로부터 좌승(佐丞) 벼슬과 함께 토지 1,000결(또는 1,000경)[5]을 하사받았다. 그의 두 아들 역시 벼슬을 받았으며, 부인 견씨는 말 35필을 하사받았다.[5] 박영규는 유천궁, 황보제공과 더불어 고려 건국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삼중대광(三重大匡)의 칭호를 받았다.[6]

삼중대광으로서 박영규와 그의 부인은 태조와 형제처럼 지낼 정도로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7]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박영규는 자신의 딸들을 왕실과 혼인시켰다. 맏딸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은 태조의 17번째 부인이 되었고, 다른 두 딸 문공왕후(文恭王后)와 문성왕후(文成王后)는 태조의 아들이자 고려 제3대 왕인 정종(定宗)의 왕비가 되었다.[7]

2. 2. 고려 건국 이후

935년 3월, 장인인 견훤이 아들 견신검에 의해 금산사에 유폐되자, 같은 해 6월 견훤이 탈출하여 고려로 귀부하는 것을 도왔다.[3] 이후 936년 9월, 박영규는 부인 견씨와 상의한 뒤 사신을 고려에 보내 투항 의사를 전하고, 태조후백제를 공격할 경우 내응하겠다고 약속했다.[4] 태조는 이를 매우 기뻐하며 사신을 후하게 대접하여 돌려보냈다.[4]

이후 태조후백제를 공격하여 승리하는 과정에서 박영규는 약속대로 내응하여 후삼국 통일에 기여했다.[4] 고려에 귀부한 뒤 박영규는 태조로부터 좌승 벼슬과 함께 토지 1,000결(頃)을 하사받았으며, 그의 두 아들도 관직을 받았다.[5] 또한 그의 부인 견씨에게는 말 35필이 하사되었다.[5] 박영규는 고려 건국에 기여한 공로로 유천궁, 황보제공과 함께 삼중대광(三重大匡)의 칭호를 받았다.[6]

삼중대광의 지위에 오른 박영규는 태조와 형제처럼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7] 이를 바탕으로 큰딸 동산원부인태조의 17번째 부인으로 시집보냈고, 다른 두 딸 문공왕후문성왕후태조의 아들이자 고려의 제3대 왕인 정종의 왕비가 되었다.[7]

3. 가계


  • 장인 : 견훤 (후백제왕, 재위 : 892년~935년)
  • 장모 : 왕후 박씨
  • * 박영규
  • ** 부인 : 국대부인 견씨 - 견훤의 딸.

아들 : 이름 미상 (순천 박씨)
아들 : 이름 미상 (순천 박씨)
딸 :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 - 고려 태조의 제17비
딸 : 문공왕후(文恭王后) - 정종의 제1비
딸 : 문성왕후(文成王后) - 정종의 제2비

4. 평가

후백제 견훤의 사위이자 장군이었음에도 불구하고, 936년 고려 왕건에게 서신을 보내 견신검을 칠 경우 내응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이 행동은 결과적으로 후백제 멸망과 고려의 후삼국 통일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후백제 멸망 후 고려로부터 우대를 받았으며, 그의 딸 두 명이 고려 제3대 정종의 왕비(문공왕후, 문성왕후)가 되는 등 새로운 왕조에서도 가문의 지위를 확보하였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견훤의 사위인 박영규가 귀부해오다 http://db.history.go[...] 2021-09-01
[2] 서적 朝鮮朝領議政朴元宗研究 https://books.google[...] National Studies Archive 2001
[3] 서적 인물로 읽는 라이벌 한국사: 우리 역사를 바꾼 숙명의 라이벌 28인 https://books.google[...] Apple Books 2015
[4] 웹사이트 「박영규전설」 - 디지털순천문화대전 http://suncheon.gran[...] 2021-09-01
[5] 서적 김갑동교수의태조왕건 https://books.google[...] Ilbit 2000
[6] 서적 이야기 고려왕조실록 (상) https://books.google[...] Taoreum 2009
[7] 서적 朝鮮朝領議政朴元宗研究 https://books.google[...] National Studies Archive 2001
[8] 웹사이트 '달의 연인' 최병모, 계략가 박영규로 본격 활약..브라운관-스크린의 신스틸러 https://m.breaknews.[...] 2016-09-28
[9] 문서 승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