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공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공왕후는 고려 정종의 정비로, 본관은 순천 박씨이며, 아버지는 박영규이고 어머니는 견훤의 딸 국대부인이다. 문성왕후는 문공왕후의 여동생이며, 동산원부인은 시아버지 태조의 후비로 문공왕후의 언니이다. 정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으며, 사망 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사후 정종과 합장되어 안릉에 묻혔고, 숙절효신경신선목순성정혜안숙문공왕후의 시호를 받았다. 한편 태조의 훈요십조와 관련하여 일부 학자들은 문공왕후 등이 왕실과 관련이 있었다는 점을 들어 해당 내용을 허위로 보기도 한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방영된 KBS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 홍리나가 문공왕후 역을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백제의 왕족 - 문성왕후
문성왕후는 고려 정종의 제2비로, 박영규의 딸이며, 정종과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으나 생몰년과 능지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 후백제의 왕족 - 박영규 (후백제)
박영규는 후백제 장군이자 견훤의 사위로, 고려 태조 왕건에게 귀부하여 후백제 멸망에 기여했으며, 딸들이 고려 왕실과 혼인하여 고려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 견훤 - 견훤산성
견훤산성은 경상북도 상주에 있는 테뫼식 산성으로, 견훤이 군사를 양성하고 후백제를 건국했으며, 사각형 형태에 곡성이 설치된 삼국시대 산성이다. - 견훤 - 공산 동수 전투
공산 동수 전투는 927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에게 대패한 전투로, 신라 구원 과정에서 왕건은 견훤의 기습을 받아 신숭겸을 비롯한 많은 장수를 잃었으나, 왕건은 목숨을 건지고 후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고려 정종 (3대) - 946년 백두산 분화
946년 백두산 분화는 946년경에 일어난 대규모 화산 폭발로, 쇄설층이 동해 전역에서 발견될 정도로 강력했으며, 45 메가톤의 황을 분출하고 100km³ 이상의 화산재를 배출했다. - 고려 정종 (3대) - 청주남원부인
청주남원부인은 김긍률의 딸이자 고려 정종의 왕비로, 언니인 청주원부인의 영향으로 왕비가 되었으며, 자세한 생애는 알려지지 않았고 자녀는 없었다.
문공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위 | 고려의 왕후 |
배우자 | 정종 (고려) |
가문 | |
씨족 | 순천 박씨 |
부 | 박영규 |
모 | 견애복 |
생애 | |
출생 | 미상 |
사망 | 미상 |
능묘 | 안릉 |
시호 | 숙절효신경신선목순성정혜안숙문공왕후 (淑節孝愼景信宣穆順聖貞惠安淑文恭王后) |
왕실 | |
재위 | 미상 |
전임 | 의화왕후 |
후임 | 문성왕후 |
2. 생애
본관은 승주이며, 아버지는 삼중대광 박영규, 어머니는 견훤의 딸 국대부인이다[5]. 고려 정종의 정비로 책봉되었으며, 여동생 문성왕후 역시 정종의 왕비가 되었다. 또한 이들 자매는 시아버지인 태조의 제17비 동산원부인과도 친자매 사이이다.
남편 정종과의 사이에서는 자식을 두지 못했다. 언제 사망했는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으나, 사후에는 정종의 정비로서 태묘에 함께 모셔졌고, 정종과 합장되어 능호를 '''안릉'''(安陵)이라 하였다. 여러 차례에 걸쳐 시호가 더해져 최종적으로 '''숙절효신경신선목순성정혜안숙문공왕후'''(淑節孝愼景信宣穆順聖貞惠安淑文恭王后)가 되었다.
한편, 태조가 남긴 《훈요십조》 제8조에는 "차현(車峴) 이남과 금강(錦江) 아래의 사람들에게 벼슬을 주지 말라"는 내용이 있다. 이는 문공왕후의 출신 지역인 옛 후백제 지역에 대한 차별적인 조항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그러나 문공왕후를 비롯한 후백제계 인물들이 왕실 및 중앙 정부와 깊은 관계를 맺었던 점을 들어, 현대의 일부 학자들은 해당 조항이 후대에 조작되었거나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 진위성에 의문을 표하기도 한다[6].
2. 1. 가계
본관은 승주이며, 아버지는 삼중대광 박영규, 어머니는 견훤의 딸 국대부인이다[5]. 정종의 정비이며, 여동생 문성왕후 역시 정종의 왕비가 되었다. 또한 이들 자매는 태조의 제17비인 동산원부인과도 친자매 사이이다.남편 정종과의 사이에서는 자식을 두지 못했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박영규(朴英規) | 삼중대광 |
어머니 | 국대부인 견씨(國大夫人 甄氏) | 견훤의 딸 |
언니 |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 | 태조의 제17비 |
동생 | 문성왕후(文成王后) | 정종의 제2비 |
시아버지, 형부 | 태조(太祖) | 고려 제1대 왕 |
시어머니 |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 | 태조의 제3비 |
남편 | 정종(定宗) | 고려 제3대 왕 |
한편, 태조가 남긴 《훈요십조》 제8조에는 "차현(車峴) 이남과 금강(錦江) 아래의 사람들에게 벼슬을 주지 말라"는 내용이 있다. 이는 문공왕후의 출신 지역인 옛 후백제 지역에 대한 차별적인 조항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그러나 문공왕후, 문성왕후, 동산원부인 등 후백제계 인물들이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중앙 정계와 관련을 맺었던 점을 들어, 현대의 일부 학자들은 해당 조항이 후대에 조작되었거나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그 진위성에 의문을 표하기도 한다[6]. 이는 특정 지역 출신에 대한 차별적 시각이 담긴 조항의 타당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 이어진다.
2. 2. 왕후 책봉과 사망
본관은 승주이며, 아버지는 삼중대광 박영규, 어머니는 견훤의 딸 국대부인이다[5]. 고려 정종의 정비로 책봉되었으며, 여동생 문성왕후 역시 정종의 왕비가 되었다. 또한 이들 자매는 시아버지인 태조의 제17비 동산원부인과도 친자매 관계이다.남편 정종과의 사이에서 자식은 없었다. 언제 사망했는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다. 사망 후에는 정종의 정비로서 태묘에 함께 모셔졌고, 정종과 합장되어 능호를 '''안릉'''(安陵)이라 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시호가 더해져 최종적으로 '''숙절효신경신선목순성정혜안숙문공왕후'''(淑節孝愼景信宣穆順聖貞惠安淑文恭王后)가 되었다.
한편, 태조가 남긴 《훈요십조》 제8조에는 "내가 죽은 후, 차현(車峴) 이남과 금강(錦江) 아래의 사람들에게 벼슬을 주지 말라."는 내용이 있다. 일부 현대 학자들은 문공왕후나 문성왕후, 동산원부인처럼 후백제 지역 출신 인물들이 왕실 및 중앙 정부와 깊은 관련을 맺었던 점을 근거로 들어, 해당 《훈요십조》 내용이 후대에 조작되었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6].
2. 3. 시호
사망 후 정종의 정비로서 태묘에 부묘되고, 정종과 합장하여 그 능호를 '''안릉'''(安陵)이라 하였다. 여러 차례에 걸쳐 시호가 더해졌으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연도 | 왕 | 추가된 시호 | 비고 |
---|---|---|---|
1002년 4월 | 목종 5년 | 숙절(淑節) | |
1014년 3월 | 현종 5년 | 효신(孝愼) | |
1027년 4월 | 현종 18년 | 경신(景信), 선목(宣穆), 순성(順聖) | |
1056년 10월 | 문종 10년 | 정혜(貞惠) | |
1253년 10월 | 고종 40년 | 안숙(安淑) |
태조가 남긴 《훈요십조》에는 “내가 죽은 후, 차현(車峴) 이남과 금강(錦江) 아래의 사람들에게 벼슬을 주지 말라.(제8조)”라는 내용이 있다. 현대의 일부 학자들은 문공왕후나 문성왕후, 동산원부인을 비롯한 여러 인물들이 왕실 및 중앙 정부와 관련이 있었던 점을 근거로 들어 해당 내용을 허위로 여기기도 한다[6].
본관은 승주이며, 아버지는 삼중대광 박영규이고 어머니는 견훤의 딸 국대부인이다[5]. 고려 정종의 첫 번째 왕후로 책봉되었으며, 여동생 문성왕후 역시 정종의 왕비가 되었다. 또한 이들 자매의 언니인 동산원부인은 시아버지이자 형부인 태조의 제17비였다.
2002년부터 2003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 《제국의 아침》에서 배우 홍리나가 문공왕후를 연기했다.[4]
[1]
웹사이트
정종(定宗) 후비 문공왕후 박씨
http://db.history.go[...]
2021-07-01
최종 시호는 '''숙절효신경신선목순성정혜안숙문공왕후'''(淑節孝愼景信宣穆順聖貞惠安淑文恭王后)이다.
3. 훈요십조와 문공왕후
4. 가계
남편 정종과의 사이에서는 자녀를 두지 못했다.관계 이름 비고 본관 승주 박씨 아버지 박영규(朴英規) 후백제 출신, 삼중대광 어머니 국대부인 견씨(國大夫人 甄氏) 견훤의 딸 언니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 태조의 제17비 동생 문성왕후(文成王后) 정종의 제2비 시아버지
형부태조(太祖) 고려 제1대 국왕 시어머니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 태조의 제3비, 정종과 광종의 어머니 남편 정종(定宗) 고려 제3대 국왕
한편, 태조가 남긴 《훈요십조》 제8조에는 차현(車峴, 차령산맥) 이남과 금강(錦江) 아래 지역 출신 인물들의 등용을 경계하는 내용이 있다. 그러나 문공왕후와 그 자매들처럼 후백제 지역(차현 이남) 출신 인물들이 왕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중앙 정계에 진출한 사례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부 현대 학자들은 《훈요십조》 해당 조항의 신빙성이나 실제 적용 여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6]. 이는 특정 지역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담은 《훈요십조》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근거 중 하나로 활용된다.
5. 대중문화 속 문공왕후
참조
[2]
서적
필수역사용어해설사전
https://books.google[...]
타오름
2014-12-22
[3]
서적
韓國佛敎學硏究叢書
https://books.google[...]
불함문화사
2003
[4]
웹사이트
홍리나 안방복귀
http://m.namdonews.c[...]
2002-01-21
[5]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국대부인2〉항목
http://people.aks.ac[...]
2012-06-25
[6]
뉴스
(신복룡교수의 한국사 새로보기)훈요십조와 지역감정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1-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