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카스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카스D는 1950년대 독일에서 의학을 공부한 강신호에 의해 개발된 에너지 드링크이다. 1961년 감기 예방과 숙취 해소를 위한 생약 정제 형태로 처음 출시되었고, 1963년 음료 형태로 변경되었다. 주요 성분은 타우린이며, 미국에서는 보드카와 섞어 마시는 박카스 폭탄 형태로도 소비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박카스D와 박카스F가 제조, 판매되고 있으며, 2013년 기준 미국, 중국 등 28개국에 수출된다. 박카스는 일본의 리포비탄D와 유사한 점이 있어 표절 논란이 있으며, 영화와 게임 등 대중문화에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약외품 - 프로비코
프로비코는 모발 성장 촉진에 기여하는 프로시아니딘, 모발 합성에 필수적인 비오틴, 탈모 예방 및 심혈관계 질환 감소에 효과가 있는 코엔자임 Q10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제품이다. - 자양강장제 - 운지천
운지천은 원래 광고 상품명이었으나,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 후 광고 패러디 이미지가 확산되며 '운지'라는 단어가 특정 인물 비하 은어로 사용되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 대한민국의 음료 상표명 - 칠성사이다
롯데칠성음료에서 생산하는 칠성사이다는 1950년 동방청량음료에서 출시되어 롯데 그룹에 인수된 사이다 제품으로, 다양한 용량으로 판매된다. - 대한민국의 음료 상표명 - 맥콜
맥콜은 일화에서 1982년 출시한 보리 탄산 음료로, 1980년대 큰 인기를 얻었으나 통일교 관련 논란과 경쟁 제품 등장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2000년대 이후에도 꾸준히 판매되며 현재 한국에서 유일하게 판매되는 보리 탄산 음료이다.
박카스디 | |
---|---|
음료 정보 | |
이름 | 박카스·디 |
종류 | 자양강장제 |
제조사 | 동아제약 |
판매사 | 동아제약 |
출시 연도 | 1963년 |
색 | 황색 |
2. 역사
박카스는 1950년대 독일에서 의학을 공부한 강신호에 의해 개발되었다.[9][10] 그는 함부르크 시청 안에서 본 술의 로마 신 바쿠스의 조각상에서 영감을 얻어 제품 이름을 박카스로 지었다.[10] 강신호는 독일 유학 시절 리포비탄-D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박카스는 1961년 감기 예방과 숙취 해소를 위한 생약으로 약국에서 판매되는 정제 (박카스-정) 형태로 처음 출시되었으며,[11] 1963년 음료 형태로 변경되었다.[3][9][10]
타우린이 박카스D의 주요 성분이며,[10] 에너지 드링크가 보드카-레드불과 같은 알코올 음료의 유행하는 음료 믹서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박카스 또한 미국 문화에서 자리를 잡았다. 가장 흔한 음용 방법은 박카스 폭탄으로, 97ml짜리 박카스 한 병을 컵에 붓고, 그 컵에 보드카가 채워진 샷 잔을 떨어뜨려 가능한 한 빨리 마시는 것이다.[5][6][13]
박카스D와 박카스F의 배합은 대한민국에서 둘 다 현재까지 제조, 판매되고 있다. 타우린 2000mg을 함유한 박카스-F는 한국 대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제품이다.[4][12] 2013년 시점에서 박카스D는 미국이나 중국 등 세계 28개국에 수출되었으며, 국가별로는 캄보디아로의 수출이 가장 많다.[9]
2. 1. 개발 배경
박카스는 1950년대 독일에서 의학을 공부한 강신호에 의해 개발되었다.[9][10] 그는 함부르크 시청 안에서 본 술의 로마 신 바쿠스의 조각상에서 영감을 얻어 제품 이름을 박카스로 지었다.[10] 강신호는 독일 유학 시절 리포비탄-D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박카스는 1961년 감기 예방과 숙취 해소를 위한 생약으로 약국에서 판매되는 정제 (박카스-정) 형태로 처음 출시되었으며,[11] 1963년 음료 형태로 변경되었다.[3][9][10]
2. 2. 초기 박카스 (1961~1963)
1950년대 독일에서 의학을 공부한 강신호[9][10]는 함부르크 시청 안에서 본 술의 로마 신 바쿠스의 조각상에서 영감을 얻어 제품 이름을 박카스로 지었다.[3] 박카스는 1961년 감기 예방과 숙취 해소를 위한 '생약'으로 약국에서 판매되는 정제 (박카스-정) 형태로 처음 출시되었다.[3]2. 3. 드링크 형태의 박카스 (1963~)
1950년대 독일에서 의학을 공부한 강신호는 함부르크 시청 안에서 본 술의 로마 신 바쿠스 조각상에서 영감을 얻어 제품 이름을 박카스로 지었다.[10] 1961년 감기 예방과 숙취 해소를 위한 생약으로 약국에서 판매되는 정제 (박카스-정) 형태로 처음 출시된 박카스는, 1963년 강신호에 의해 드링크 형태로 변경되었다.[3][9][10]타우린이 박카스D의 주요 성분이며,[10] 에너지 드링크가 보드카-레드불과 같은 알코올 음료의 유행하는 음료 믹서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박카스 또한 미국 문화에서 자리를 잡았다. 가장 흔한 음용 방법은 박카스 폭탄으로, 3.3oz(약 97ml)짜리 박카스 한 병을 컵에 붓고, 그 컵에 보드카가 채워진 샷 잔을 떨어뜨려 가능한 한 빨리 마시는 것이다.[5][6][13]
박카스D와 박카스F의 배합은 대한민국에서 둘 다 현재까지 제조, 판매되고 있다. 타우린 2000mg을 함유한 박카스-F는 한국 대학생들에게 인기 있는 제품이다.[4][12] 2013년 시점에서 박카스D는 미국이나 중국 등 세계 28개국에 수출되었으며, 국가별로는 캄보디아로의 수출이 가장 많다.[9]
2. 4. 글로벌 시장 진출
박카스는 2013년 기준으로 미국, 중국 등 세계 28개국에 수출되었으며, 그 중 캄보디아로의 수출이 가장 많다.[9] 특히 에너지 드링크가 보드카-레드불과 같은 알코올 음료와 함께 유행하면서, 박카스 또한 미국 시장에서 인기를 얻었다.[5][6] 미국에서는 박카스 3.3온스(약 97ml) 병을 컵에 붓고, 보드카를 채운 샷 잔을 넣어 빨리 마시는 "박카스 폭탄" 방식이 일반적이다.[13]3. 성분
- 물
- 액상 과당
- 설탕
- 타우린
- 이노시톨
- 과라나 추출물
- 로열젤리
- 니코틴아미드
- 피리독신 HCl
- 리보플라빈(비타민 B2) 인산나트륨
- 티아민
- 질산염
- 안식향산 나트륨
- 에탄올
- 무수 구연산
- 소르비톨
- 사과 과즙
- 염화 나트륨
- 천연 에센스 (orange영어, pineapple영어, strawberry영어)
- 합성 향료
약국에서 판매되는 박카스-D는 타우린 2,000mg(용량 100ml)을 함유하고 있으며[2], 마트,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박카스-F는 타우린 1,000mg(대용량 120ml)을 함유하고 있다.[16]


3. 1. 주요 성분
박카스는 정제수, 고과당 옥수수 시럽, 설탕, 타우린, 이노시톨, 과라나 추출물, 로열젤리, 니코틴아미드, 피리독신 HCl, 리보플라빈(비타민 B2) 인산나트륨, 티아민, 질산염, 안식향산 나트륨, 에탄올, 무수 구연산, 소르비톨, 사과 주스, 염화 나트륨, 천연 에센스 (오렌지, 파인애플, 딸기), 인공 향료를 포함한다.[2][16]3. 2. 기타 성분
박카스에는 물, 액상 과당, 설탕, 니코틴아미드, 피리독신 HCl, 리보플라빈 인산나트륨, 티아민, 안식향산 나트륨, 에탄올, 무수 구연산, 소르비톨, 사과 과즙, 염화 나트륨, 천연 에센스 (오렌지, 파인애플, 딸기), 인공 향료 등이 포함되어 있다.[2][16]3. 3. 종류별 성분 차이
박카스는 타우린, 이노시톨, 과라나 추출물, 로열젤리, 니코틴아미드, 피리독신 HCl, 리보플라빈(비타민 B2) 인산나트륨, 티아민, 질산염, 안식향산 나트륨, 에탄올, 무수 구연산, 소르비톨, 사과 주스, 염화 나트륨, 천연 에센스 (오렌지, 파인애플, 딸기), 인공 향료 등의 성분을 포함한다.[2][16]약국에서 판매되는 박카스-D는 타우린 2,000mg(용량 100ml)을 함유하고 있으며[2], 마트,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박카스-F는 타우린 1,000mg(대용량 120ml)을 함유하고 있다.[16]
4. 종류
4. 1. 박카스-D
박카스-D는 타우린 2,000mg을 함유하고 있으며, 용량은 100ml이다. 약국에서 판매된다.
4. 2. 박카스-F
박카스-F는 타우린 1,000mg을 함유하고 있으며, 120ml 용량으로 마트와 편의점에서 판매된다. 대학생 등 젊은 층을 타겟으로 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다.
4. 3. 박카스-A
박카스-A는 카페인이 없고, 30ml의 용량을 가진다.5. 논란
이 음료는, 먼저 존재했던 일본의 음료인 리포비탄D와, 함유물뿐만 아니라 병이나 패키지 디자인이 유사하다[14]。이 유사성에 대해서는, 동아제약이 일본의 리포비탄D를 도용했다는 견해가 널리 퍼져 있다[15]。
5. 1. 리포비탄D 표절 논란
박카스는 일본의 리포비탄D와 함유 성분뿐만 아니라 병, 패키지 디자인이 유사하다.[14] 이러한 유사성 때문에 동아제약이 리포비탄D를 도용했다는 견해가 널리 퍼져 있다.[15]6. 대중문화 속 박카스
봉준호 감독의 2009년 영화 '마더'에서 주인공은 어릴 적 어머니로부터 박카스 병에 담긴 살충제를 받는다. 이재용 감독의 영화 '죽여주는 여자'는 제6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노라마 부문에 상영되었으며, 박카스 할머니라 불리는 노년층의 성매매 문제를 다루고 있다.
온라인 레이싱 게임 드리프트 시티에서는 획득 경험치 및 보상을 증가시켜주는 에너지 드링크를 판매하는 신출귀몰한 아저씨가 등장하는데, 한국판에서는 그 병 디자인이 박카스D와 매우 흡사한 형태이다.
6. 1. 영화
봉준호 감독의 2009년 영화 '마더'에서 주인공은 어릴 적 어머니로부터 박카스 병에 담긴 살충제를 받는다. 이재용 감독의 영화 '죽여주는 여자'는 제66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노라마 부문에 상영되었으며, 박카스 할머니라 불리는 노년층의 성매매 문제를 다루고 있다.6. 2. 게임
온라인 레이싱 게임 드리프트 시티에서는 획득 경험치 및 보상을 증가시켜주는 에너지 드링크를 판매하는 신출귀몰한 아저씨가 등장하는데, 한국판에서는 그 병 디자인이 박카스D와 매우 흡사한 형태이다.7. 음용 방법
참조
[1]
웹사이트
Dong-A Pharmaceutical Co.
http://100.nate.com/[...]
2011-06-10
[2]
웹사이트
KGROCER.com - Ingredients
http://www.kgrocer.c[...]
[3]
뉴스
Bacchus, ein Dauer-Verkaufsschlager mit Kultcharakter
http://german.korea.[...]
Korea.net
2014-11-10
[4]
뉴스
The nation's drink at the pharmacy
http://www.asiae.co.[...]
Asia Economics
2010-04-23
[5]
문서
Bacchus bomb drink
http://krdic.naver.c[...]
[6]
뉴스
New bomb drinks
http://www.cbs.co.kr[...]
No Cut News
2009-06-18
[7]
문서
東亜大塚
https://www.donga-ot[...]
[8]
웹사이트
Dong-A Pharmaceutical Co.
http://100.nate.com/[...]
[9]
웹사이트
韓国の疲労回復ドリンク“バッカス”、「国民ドリンクを超えて世界的ドリンクに」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13-08-09
[10]
웹사이트
Bacchus, ein Dauer-Verkaufsschlager mit Kultcharakter
http://german.korea.[...]
Korea.net
2014-11-10
[11]
웹사이트
약국서 만나는 '국민 드링크'
http://www.asiae.co.[...]
Asia Economics
2010-04-23
[12]
웹사이트
"[제약특집]약국서 만나는 '국민 드링크'"
http://www.asiae.co.[...]
Asia Economics
2010-04-23
[13]
웹사이트
"''막소사주''를 아시나요…폭탄주 세대교체"
http://www.nocutnews[...]
No Cut News
2009-06-18
[14]
웹사이트
比較画像
http://www.newsprime[...]
[15]
웹사이트
박카스에 드리운 ‘日 그림자’, 표절 논란도…
http://www.newsprime[...]
프라임경제 [Prime Economy]
2011-01-25
[16]
웹사이트
KGROCER.com - Ingredients
http://www.kgrocer.c[...]
[17]
웹인용
①동아제약 알린 공신, 박카스 탄생 비화는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