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수정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반수정주의는 마르크스-레닌주의의 한 분파로, 수정주의에 반대하는 사상이다. 이들은 다양한 국제 조직을 결성하여 활동했으며, 호자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이 대표적이다. 반수정주의 진영 내에서도 호자주의는 마오쩌둥 사상과 주체사상을 수정주의로 비판하는 등 갈등이 존재했다. 1980년대 학생운동 쇠퇴와 동구권 붕괴 이후 부침을 겪었으며, 1990년대에는 호자주의와 마오주의가 국제 조직을 결성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자주의 - 엔베르 호자
엔베르 호자는 알바니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국가 지도자로, 알바니아 노동당 제1서기를 역임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스탈린주의에 기반한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독자적인 호자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알바니아를 통치했다. - 호자주의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알바니아 공산당 지도 아래 공산주의 국가로 재편되어 엔베르 호자의 장기 집권, 쇄국 정책, 스탈린주의적 통치, 소련 및 중국과의 관계 변화, 그리고 1990년대 초 민주화 혁명으로 민주주의 국가로 전환된 국가이다. - 마오쩌둥 사상 - 아비마엘 구스만
페루의 마오주의 혁명가 아비마엘 구스만은 센데로 루미노소의 지도자로서 곤살로 사상을 발전시켜 페루 정부에 무장 투쟁을 전개했으나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사망, 그의 사상과 활동은 페루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며 논쟁의 대상이다. - 마오쩌둥 사상 - 휴이 뉴턴
휴이 뉴턴은 미국의 흑인 권리 운동가이자 보비 실과 함께 흑표당을 공동 창립하여 흑인 공동체의 자치권을 주장하고 흑인들의 주거, 고용, 교육 문제 개선을 추구했으나 경찰과의 충돌과 불법 활동으로 논란을 빚었으며, 존 프레이 경관 살해 혐의로 유죄 판결 후 석방, 암살당한 후 그의 유산은 지속적인 논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 반수정주의 - 중소 분쟁
중소 분쟁은 1858년과 1860년 조약에서 비롯된 중국과 소련 간의 이념, 지정학, 경제적 갈등으로, 소련의 탈스탈린화, 중국의 대약진 운동 실패, 타이완 해협 위기, 인도와의 국경 분쟁에 대한 소련의 중립 등으로 심화되었으며, 이념적 차이와 경제적 이해관계 충돌은 국경 분쟁과 외교적 단절, 제3세계 대리 전쟁으로 이어졌고, 중미 관계 개선 후 완화되었으나 소련 붕괴까지 이념적 대립이 지속되었다. - 반수정주의 - 엔베르 호자
엔베르 호자는 알바니아의 공산주의 정치인이자 국가 지도자로, 알바니아 노동당 제1서기를 역임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스탈린주의에 기반한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독자적인 호자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알바니아를 통치했다.
반수정주의 | |
---|---|
반수정주의 | |
개요 | |
반수정주의 | 마르크스-레닌주의 내의 정치적 입장 |
이념적 기반 | |
주요 이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일부) 마오쩌둥 사상 (일부) 호자주의 (일부) |
반대 대상 | 수정주의 탈스탈린주의 사회민주주의 제국주의 자본주의 |
역사적 맥락 | |
기원 |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 이후 소련 공산당의 노선 변화에 대한 반발 |
주요 논쟁 | 계급 투쟁의 지속 필요성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유지 자본주의와의 평화 공존 반대 |
중소 분쟁 | 중국 공산당과 소련 공산당 간의 이념적, 정치적 갈등 (1960년대) |
알바니아의 역할 | 엔베르 호자의 알바니아 노동당은 반수정주의의 주요 옹호자 |
주요 특징 | |
엄격한 이념 고수 |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원칙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고 적용 |
수정주의 비판 |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변질을 초래하는 모든 시도를 비판 |
국제 공산주의 운동 분열 | 소련의 노선에 반대하며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 |
주요 인물 | |
이론가 | 이오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엔베르 호자 |
운동가 | 얼 브라우더 탄 말라카 이현상 체 게바라 |
주요 정당 | |
과거 | 알바니아 노동당 |
현재 |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 목록 참조) |
관련 개념 | |
분파 | 스탈린주의 마오쩌둥 사상 호자주의 주체사상 |
관련 용어 | 반수정주의 수정주의 탈스탈린주의 |
영향 | |
영향 받은 사상 | 극좌 정치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마르크스-레닌주의 수정주의 탈스탈린주의 스탈린주의 마오쩌둥 사상 호자주의 |
2. 관련 단체
반수정주의 이념을 따르는 여러 정당 및 조직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각자의 해석과 노선에 따라 분화되기도 하며, 국제적인 연대를 모색하기도 한다.
2. 1. 국제 조직
마르크스-레닌주의 내 반수정주의 흐름은 여러 분파로 나뉘었으며, 이들은 각자의 이념을 중심으로 국제적인 연대를 모색하며 조직을 결성하였다. 주요 국제 조직과 그 이념은 다음과 같다.정당·조직 | 이념 |
---|---|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조직 국제회의 통일투쟁파 | 호자주의 |
국제공산주의자동맹 마오주의파 |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혁명당·조직 국제조정기구 | 마오쩌둥 사상 (주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비주류) |
마르크스-레닌주의 정당·조직 국제회의 국제회보파 | 마오쩌둥 사상 |
마오쩌둥 사상, 호자주의는 대표적인 반수정주의적 마르크스-레닌주의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같은 반수정주의 진영 사이에서도 여러 갈등이 존재했다. 대표적으로 엔베르 호자는 기타 문건과 『제국주의와 혁명』을 통하여 마오쩌둥 사상과 주체사상을 수정주의라고 비판하였다. 마오쩌둥은 주체사상을 수정주의로 평가한 적은 없지만 문화대혁명 시기에 주체사상은 홍위병들에 의해 수정주의와 합일하는 반동적인 사상이라고 간주되었다.
마오쩌둥 사상과 호자주의는 대표적인 반수정주의적 마르크스-레닌주의로 평가받는다.[1][2] 그러나 같은 반수정주의 진영 내에서도 여러 갈등이 존재했다. 대표적으로 엔베르 호자는 자신의 저서 『제국주의와 혁명』 등 여러 문건을 통해 마오쩌둥 사상과 주체사상을 수정주의라고 비판하였다.[3] 마오쩌둥이 직접 주체사상을 수정주의로 평가한 기록은 없지만, 문화대혁명 시기 홍위병들은 주체사상을 수정주의와 합일하는 반동적인 사상으로 간주하기도 했다.[4]
[1]
서적
Revolution in the Air: Sixties Radicals Turn to Lenin, Mao and Che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8-04-10
3. 진영 내부의 갈등
한편 1980년대에 국제적으로 학생운동이 쇠퇴하면서 반수정주의는 힘을 잃었으나, 1991년 동구권이 붕괴되고 더 정통적이고 본질적인 공산주의에 대한 열망으로 다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호자주의파는 국제 조직을 결성할 정도로 성공했고 이에 마오주의파도 국제적인 단위의 조직을 결성하였다. 현재 전자는 건재히 존재하며 후자는 세력 약화로 다른 마오주의 조직에게 인수되었다.
4. 대한민국 내 반수정주의 운동
한편, 1980년대에 국제적으로 학생운동이 쇠퇴하면서 반수정주의는 전반적으로 힘을 잃었다. 하지만 1991년 동구권 붕괴 이후, 보다 정통적이고 본질적인 공산주의에 대한 열망이 커지면서 다시 대중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다.[5]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호자주의파는 국제 조직을 결성할 정도로 성공했으며, 이에 마오주의파 역시 국제적인 단위의 조직을 결성하였다. 현재 호자주의파 국제 조직은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나, 마오주의파 국제 조직은 세력 약화로 인해 다른 마오주의 조직에 인수되었다.[6]
참조
[2]
서적
The Sino-Soviet Split: Cold War in the Communis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12-16
[3]
서적
Chinese Foreign Policy: Theory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95
[4]
서적
Europe and China in the Cold War: Exchanges Beyond the Bloc Logic and the Sino-Soviet Split
https://books.google[...]
BRILL
2018
[5]
간행물
The Unending Sino-Soviet Conflict
[6]
간행물
CPI (M) between Moscow and Peking
[7]
서적
공산주의 비판노트
대왕사
1989
[8]
문서
"Staff Report" in Progressive Labor Party: Hearings...
[9]
문서
El Marxismo-Leninismo-Maoísmo en Bolivia
Liberación
2006
[10]
웹인용
Brazil Marks 40th Anniversary of Military Coup
https://nsarchive2.g[...]
2019-01-25
[11]
서적
Argentina, 1976: estudios en torno al golpe de estado
https://books.google[...]
El Colegio de Mexico AC
2007-01-01
[12]
웹인용
Communist Party of Canada (Marxist-Leninist)
http://www.cpcml.ca/[...]
2016-04-11
[13]
뉴스
”Vi står starka inför framtiden” Robert Mathiasson nyvald partiordförande (in Swedish only)
http://www.proletare[...]
Proletären
2014-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