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루아의 성 펠릭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루아의 성 펠릭스는 1127년 발루아 지방에서 태어났으며, 재산을 포기하고 은둔 생활을 했다. 그는 프로방스 출신 신학 박사 마타의 요한을 만나 포로 구원을 위한 수도회 설립을 제안받았고, 1198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승인을 받아 삼위일체 수도회를 설립했다. 펠릭스는 프랑스에서 수도회 확장에 기여했으며, 1212년 사망했다. 그는 1262년 시성되었으며, 퀘벡과 뉴욕 등지에 그의 이름을 딴 지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7년 출생 - 남송 효종
    남송 효종은 북송 태조의 후손으로 고종의 양자가 되어 남송의 제2대 황제가 되었으며, 정치 개혁과 경제 안정, 금나라와의 화의를 통해 남송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만년에는 광종과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었다.
  • 1127년 출생 - 의종 (고려)
    인종의 맏아들인 의종은 고려 제18대 왕으로, 즉위 초 왕권 강화를 꾀했으나 잦은 유희와 문신 우대로 무신정변을 초래하여 폐위 후 살해되었으며, 그의 치세는 무신정권 시대로 이어지는 분수령이 되었다.
  • 1212년 사망 - 프세볼로트 3세
    프세볼로트 3세는 유리 돌고루키의 아들이자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대공으로, 재임 기간 동안 대공국을 발전시켜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루스 전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후계 문제로 정치적 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 1212년 사망 - 임유
    임유는 고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문하시랑평장사에 이른 문신으로, 16년간 제고를 맡아 문장과 저술로 이름을 알렸으며 조충, 이규보 등 인재를 발탁했고 사후 희종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양숙이다.
  • 13세기 기독교 성인 - 페르난도 3세
    페르난도 3세는 카스티야와 레온을 통합하고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을 몰아내는 데 기여했으며, 레콩키스타를 추진하여 코르도바와 세비야를 함락하고 1671년 시성되었다.
  • 13세기 기독교 성인 - 루이 9세
    루이 9세는 1214년에 태어나 1270년에 사망한 프랑스 왕으로, 십자군 원정을 이끌고 사법 제도 정비, 화폐 통일 등을 시행했으며, 1297년 시성되어 이상적인 기독교 군주로 평가받는다.
발루아의 성 펠릭스
기본 정보
성 펠릭스 드 발루아
존칭 접두사
이름펠릭스 드 발루아
존칭 접미사OSsT
출생일1127년 4월 16일
사망일1212년 11월 4일
축일11월 4일
공경 대상가톨릭 교회
출생지발루아, 프랑스
사망지세르프루아 수도원, 브루메츠, 피카르디(현재의 도 앤주), 프랑스
칭호해당 없음
시복일해당 없음
시복 장소해당 없음
시복자해당 없음
시성일1262년 5월 1일
시성 장소로마
시성자교황 우르바노 4세
상징뿔 사이에 십자가가 있는 흰 사슴
수호해당 없음
주요 성지세르프루아 수도원, 브루메츠, 도 앤주, 프랑스
폐지일해당 없음
프랑스어 이름

2. 생애

버틀러에 따르면 1127년에 태어난 펠릭스는 발루아 출신으로, 메오 교구의 숲에서 은둔 생활을 했다.[3][4] 훗날 마타의 요한을 만나 포로 구원을 위한 수도회 설립 제안에 동참했다.[3][5]

2. 1. 출생과 은수 생활

버틀러에 따르면 펠릭스는 1127년에 태어났다.[3] 그는 발루아 지방 출신이었기 때문에 '발루아'라는 성을 얻게 되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는 자신의 재산을 모두 버리고 메오 교구의 울창한 숲으로 들어가 오직 기도와 묵상에만 힘쓰며 은둔 생활을 했다.[4] 시간이 흘러 후대의 기록에서는 그가 베르망두아 백작 랄프 1세와 샹파뉴의 엘레오노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추정되는 휴(2세)와 같은 인물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편, 프로방스 출신의 젊은 귀족이자 신학 박사였던 마타의 요한은 나중에 사제가 되었는데, 체르프로이드 숲에 성스러운 은둔자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펠릭스를 찾아가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3] 요한은 펠릭스에게 포로들을 구원하기 위한 수도회를 세우자는 계획을 제안했다.[5] 당시 펠릭스는 70세의 고령이었지만, 요한의 제안에 기꺼이 동의했다.

2. 2. 마타의 요한과의 만남

나중에 사제가 된 젊은 귀족이자 프로방스 출신의 신학 박사 마타의 요한은 체르프로이드에 있는 성스러운 은둔자(펠릭스)에 대한 소식을 듣고 그를 찾아가 지도를 받았다.[3] 요한은 펠릭스에게 포로 구원을 위한 수도회 설립 계획을 제안했다.[5] 당시 펠릭스는 70세였지만, 요한의 제안에 기꺼이 동의했다.

3. 삼위일체 수도회

발루아의 성 펠릭스는 요한 드 마타와 함께 포로 구원을 위한 삼위일체 수도회를 창설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이 새로운 수도회는 1198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다.[6][3] 이후 펠릭스는 수도회 설립과 확장을 위해 주로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기반을 다졌다.[5]

3. 1. 설립 과정

펠릭스와 요한은 한겨울에 로마로 출발하여 1198년 1월에 도착했는데, 이때는 인노첸시오 3세가 교황으로 즉위한 직후였다. 그들은 파리 주교의 추천서를 가지고 있었고, 새 교황은 그들을 친절하게 맞이하여 자신의 궁전에 머물게 했다. 새로운 수도회 설립에 대해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인노첸시오 3세는 1198년 12월 17일 교황 칙서를 통해 포로 구원을 위한 삼위일체 수도회라는 이름으로 이 수도회 설립을 승인했다.[6] 인노첸시오는 요한 드 마타를 총장으로 임명하고, 파리 주교와 생 빅토르 수도원장에게 이 수도회를 위한 규칙 작성을 맡겼으며, 이후 이를 확정했다.[3] 펠릭스는 수도회를 설립하기 위해 프랑스로 돌아갔다. 그는 큰 환영을 받았고, 필리프 2세는 프랑스에서 수도회를 승인하고 상당한 기부를 통해 지원했다.[5]

블루아의 마가렛은 펠릭스가 첫 은둔소를 지었던 숲 20acre를 기증했고, 거의 같은 자리에 그는 수도회의 모원인 유명한 브뤼메 수도원을 세웠다. 40년 안에 수도회는 유럽 전역에 600개의 수도원을 소유하게 되었다. 요한은 로마로 가서 수도회 소속의 집을 세워야 했는데, 그 교회인 산타 마리아 인 나비첼라는 여전히 카엘리우스 언덕에 서 있다. 펠릭스는 프랑스에 남아 수도회의 발전을 위해 힘썼다. 그는 파리에 생 마튀랭 성당에 부속된 집을 세웠는데, 이곳은 나중에 수도회 총장인 로베르 귀갱 아래서 유명해졌다.[5]

펠릭스는 1212년 11월 4일 세르프로와에 있는 동료 삼위일체 수도회원들 사이에서 사망했다.[3]

3. 2. 프랑스에서의 활동

펠릭스와 요한 드 마타는 1198년 1월 로마에 도착하여 당시 새로 즉위한 교황 인노첸시오 3세를 만났다. 파리 주교의 추천서를 통해 교황의 환대를 받은 그들은, 비록 교황이 새로운 수도회 설립에 처음에는 망설였음에도 불구하고, 1198년 12월 17일 교황 칙서를 통해 '포로 구원을 위한 삼위일체 수도회' 설립을 공식적으로 승인받았다.[6] 인노첸시오 3세는 요한 드 마타를 수도회의 초대 총장으로 임명하고, 파리 주교와 생 빅토르 수도원장에게 수도회의 규칙을 제정하도록 위임했으며, 이후 이를 최종 확정했다.[3]

펠릭스는 수도회 설립 임무를 띠고 프랑스로 돌아왔다. 그는 프랑스에서 큰 환영을 받았으며, 특히 국왕 필리프 2세는 수도회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상당한 기부를 통해 재정적으로 지원했다.[5] 블루아의 마가렛은 펠릭스가 처음 은둔소를 지었던 숲 약 20acre를 기증했고, 이 기증받은 땅 위에 수도회의 모원(母院)인 유명한 브뤼메 수도원이 세워졌다. 삼위일체 수도회는 빠르게 성장하여 설립 후 40년 만에 유럽 전역에 약 600개의 수도원을 보유하게 되었다.

한편, 요한 드 마타는 로마로 가서 카엘리우스 언덕에 산타 마리아 인 도미니카 교회를 중심으로 수도회 소속의 집을 설립했다. 펠릭스는 프랑스에 남아 수도회의 전반적인 운영과 확장을 돌보았다. 그는 파리에 생 마튀랭 성당에 부속된 수도회 집을 설립했는데, 이 집은 훗날 수도회 총장 로베르 귀갱의 지도 아래 더욱 명성을 얻게 되었다.[5]

펠릭스는 1212년 11월 4일, 세르프로와에 있는 그의 동료 삼위일체 수도회원들 곁에서 세상을 떠났다.[3]

3. 3. 죽음과 시성

발루아의 성 펠릭스의 시성에 대한 공식적인 교황 공문은 남아있지 않다. 그러나 그가 속했던 삼위일체 수도회의 오랜 전통에 따르면, 1262년 5월 1일 교황 우르바노 4세가 그를 성인으로 선포했다고 전해진다. 역사가 뒤 플레시는 그의 축일이 이미 1215년부터 프랑스 모 로마 가톨릭교구에서 기념되었다고 기록했다.

시간이 흘러 1666년 10월 21일, 교황 알렉산데르 7세는 펠릭스에 대한 오랜 공경을 공식적으로 인정하며 그를 성인으로 확정하였다.[7] 이후 1679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는 그의 축일을 11월 20일로 변경하여 로마 일반 전례력에 포함시켰다. 이는 기존 11월 4일이 카를로 보로메오 성인의 축일이었기 때문이다.[8] 하지만 1969년 전례 개혁 이후, 그의 축일은 다시 그의 ''탄생 축일''(dies natalis, 천상 탄일)로 여겨지는 11월 4일로 복원되었다.[9]

4. 유산

캐나다 퀘벡주에는 그의 이름을 딴 생 펠릭스 드 발루아(Saint-Felix-de-Valois) 마을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뱅크스타운에도 생 펠릭스 드 발루아 교구가 있다.[10]

미국 뉴욕주 클리프톤 스프링스에 있는 생 펠릭스 교회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교회는 현재 로체스터 교구의 성 베드로 로마 가톨릭 교구에 속해 있다. 현재의 교회 건물은 1895년에 지어졌으며, 당시 교구의 이름은 펠릭스 오'핸론 신부에 의해 성 아그네스에서 성 펠릭스로 변경되었다.[11]

4. 1. 기념

발루아의 성 펠릭스에 대한 공식적인 시성 공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의 수도회 전통에 따르면, 그는 1262년 5월 1일 교황 우르바노 4세에 의해 시성되었다고 전해진다. 뒤 플레시의 기록에 따르면 그의 축일은 1215년부터 모 로마 가톨릭교구에서 지켜졌다고 한다.

1666년 10월 21일, 교황 알렉산데르 7세는 그의 오랜 공경심을 인정하여 그를 성인으로 공식 확정했다.[7] 이후 1679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는 펠릭스의 축일을 11월 20일로 옮겼다. 이는 기존의 11월 4일이 1613년부터 카를로 보로메오의 축일이었기 때문에, 로마 일반 전례력에 그의 축일을 포함시키기 위한 조치였다.[8]

1969년, 그의 축일은 다시 원래의 ''탄생 축일''인 11월 4일로 복원되었다.[9]

참조

[1] 서적 Faustinus Husenbeth, Frederick Charles. ''Emblems of Saints: By which They are Distinguished in Works of Art'' https://books.google[...] Longman, Green, Longman, and Roberts 1860
[2] 웹사이트 Saint Felix of Valois - Saint of the Day - November 4 - https://catholicread[...] 2019-06-09
[3] 웹사이트 Butler, Rev. Alban, "Saint Felix of Valois, Confessor", ''Lives of the Saints'', Volume XI, 1886 http://www.bartleby.[...] Bartleby.com 2013-10-20
[4] 웹사이트 "About the Trinitarians", The Trinitarians https://web.archive.[...] 2013-04-27
[5] 웹사이트 O'Kane, Michael. "St. Felix of Valois."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6.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22 Feb. 2013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09-09-01
[6] 웹사이트 Moeller, Charles. "Order of Trinitarians."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2. 22 Feb. 2013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1912-10-01
[7] 웹사이트 Patron Saints Index: "Saint Felix of Valois" https://web.archive.[...] Saints.sqpn.com 2013-10-20
[8] 간행물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9] 간행물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10] 웹사이트 St. Felix de Valois Parish, Bankstown, Australia https://web.archive.[...] 2013-05-26
[11] 웹사이트 St. Felix Catholic Center, Huntington, Indiana https://web.archive.[...] 2017-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