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영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영웅은 1942년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나, 1967년 《창작과 비평》에 「황소의 이야기」를 발표하며 등단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1967년 발표한 장편소설 《분례기》로 초기 민중 소설의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았으며, 1969년 《달》로 제2회 한국창작문학상을 수상했다. 주로 서민과 노동자 계층의 삶을 다루었으며, 농촌과 도시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발표했다. 주요 작품으로 《분례기》, 《달》, 《삶의 이야기》, 《첫눈》 등이 있으며, 2022년 8월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양 방씨 - 방우정
    방우정은 조선 후기 무신으로 홍경래의 난 진압에 참여하여 서정군의 좌초관으로 활약했으며, 난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서정일기》를 저술하여 홍경래의 난 연구에 중요한 사료를 남겼다.
  • 온양 방씨 - 방우영
    방우영은 조선일보의 회장으로서 조선일보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밤의 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영향력이 컸고, 언론 사업 확장과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 언론인이다.
  •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 - 편혜영
    편혜영은 2000년 등단 후 기괴하고 잔혹한 묘사로 현대 사회의 소외와 폭력성을 드러내며 한국일보문학상, 셜리 잭슨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고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소설가이다.
  •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자 - 배수아
    배수아는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공무원으로 재직하다 1993년 소설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번역가로, 파격적인 문체와 독특한 세계관으로 한국문학계에서 주목받으며 한국일보문학상, 동서문학상, 오늘의 작가상 등을 수상하고 국제적으로도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 예산군 출신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예산군 출신 - 이종성 (1924년)
    이종성은 충남방적을 설립하여 국내 최대 섬유류 제조업체로 성장시키고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과 청운여고, 혜전대학, 청운대학교 등의 설립을 통해 교육 사업에도 헌신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방영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출생일1942년 7월 20일
출생지예산군, 충청남도, 대한민국, 일본 제국
사망일2022년 8월 31일
국적대한민국
직업소설가
언어한국어
교육휘문고등학교
활동 기간1967년 - 2022년
장르소설
데뷔 작품분례기
주요 작품분례기
가족
배우자미상
자녀미상
친척미상
수상
수상 내역미상

2. 생애

방영웅은 1942년 7월 20일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예산군에서 태어났다.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7년 《창작과 비평》에 「황소의 이야기」를 발표하며 등단했다.[2]

1967년 장편소설 《똥누는 예절》을 《창작과 비평》에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다. 《똥누는 예절》은 농민들의 삶과 생명력을 토속적인 분위기 속에서 사실적으로 그려 초기 민중 소설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1969년 발표한 《달》은 제2회 한국창작문학상을 수상했다.

방영웅은 2022년 8월 31일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3. 작품 세계

방영웅은 주로 서민과 노동자 계층의 삶을 다루었다.[4] 1960년대 작품들은 주로 농촌 공동체를 배경으로 하는 반면, 1970년대 작품들은 도시를 배경으로 하지만, 그들이 묘사하는 인물들은 기본적으로 비슷하다.[4] 즉, 단순하고 끈기 있는 사람들로, 승리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질긴 들꽃처럼 견뎌내며, 위로할 수 없는 슬픔과 엄청난 역경으로 가득한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다.[4] 특히 그가 그리는 농촌 인물들은 자신들이 평생 알고 지낸 삶 외의 다른 삶을 받아들이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 급변하는 세상에 뒤처져 비극적인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4]

분례기(1967)와 달(1971)에는 어느 정도의 운명론이 감지되지만, 방영웅 작품 전반에는 특정한 희망이 지속된다는 평가를 받는다.[4] 1967년 장편소설 《똥누는 예절》을 『창작과 비평』에 발표하며 등단하였는데, 이 작품은 농민들의 삶과 생명력을 토속적인 분위기 속에서 사실적으로 그려 초기 민중 소설의 특징을 잘 보여주었다. 이후 발표한 《달》과 같은 작품들도 그러한 경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3. 1. 주요 작품

출판 연도작품 제목비고
1968년분례기장편소설, 똥누는 예절|糞禮記한국어로도 알려짐[3][9]
1971년
1974년삶의 이야기|生きてゆく話し한국어
1976년첫눈
1980년박힌 돌 뽑힌 돌|打ち込まれた石、抜かれた石한국어장편소설
1992년금조산|金鳥山한국어장편소설


4. 수상

方榮雄|방영웅중국어은 1969년에 제2회 한국창작문학상을 수상했다.[1]

5. 작품 목록

종류작품명발표년도
장편소설벌래 이야기1968년
장편소설박힌 돌 뽑힌 돌1992년
장편소설금조산1992년
단편소설분례기1968년
단편소설1971년
단편소설삶의 이야기1974년
단편소설첫눈1976년
단편소설박힌 돌 뽑힌 돌1980년
단편소설금조산1982년

[5][9]

5. 1. 장편 소설


  • 《벌래 이야기》 (1968)[5]
  • 《박힌 돌 뽑힌 돌》 (1992)[5]
  • 《금조산》 (1992)[5]

5. 2. 단편 소설


  • 1968년, 분례기[9]
  • 1971년, 《달》
  • 1974년, 《삶의 이야기》
  • 1976년, 첫눈
  • 1980년, 《박힌 돌 뽑힌 돌》
  • 1982년, 《금조산》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2] 뉴스 일제시대 농촌 현실 그린 '분례기' 작가 방영웅씨 별세 https://www.hani.co.[...] Hani 2022-09-01
[3] 서적 Korean Film Directors: Yu Hyun-mok Seoul Selection
[4]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5]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6] 웹사이트 일제시대 농촌 현실 그린 ‘분례기’ 작가 방영웅씨 별세 https://www.hani.co.[...] 2022-08-31
[7] 웹사이트 (115)온양 방씨(溫陽方氏)-64,128명 http://www.seoulecon[...] 2014-11-17
[8] 웹사이트 방영웅 http://people.search[...] 2014
[9]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
[10] 백과사전 글로벌세계대백과
[11] 뉴스 한국일보문학상 40년史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7-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