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혜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편혜영은 대한민국의 소설가로,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이슬털기〉가 당선되어 등단했다. 그는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와 한양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현재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의 작품은 엽기적이고 잔혹한 묘사, 불길하고 전복적인 상상력으로 "불쾌의 미학"으로 불리며, 소외와 종말론적인 세계관을 다룬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집 《아오이가든》, 《사육장 쪽으로》, 《저녁의 구애》와 장편소설 《재와 빨강》 등이 있으며, 한국일보문학상, 이효석문학상, 동인문학상, 이상문학상, 셜리 잭슨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절강 편씨 - 비탈리 펜
한국계 고려인 출신 우즈베키스탄 외교관 비탈리 펜(1948~2024)은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 및 대한민국 주재 외교단장으로 재임하며 한국-우즈베키스탄 관계 발전에 기여했고, 양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 주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절강 편씨 - 편상욱
편상욱은 1994년 YTN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해 1998년 SBS로 이적한 대한민국의 기자로, 경제부, 사회부, 국제부 등을 거쳐 다양한 뉴스 프로그램의 앵커를 맡았으며, SBS 베이징 특파원, 국제부장, 정치부 기자 등을 역임하며 방송기자연합회 이달의 방송기자상, 한국방송인동우회 바른말 보도상, 한국방송대상 앵커상을 수상했다. - 김유정문학상 수상자 - 윤대녕
윤대녕은 1962년 충남 예산 출생으로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 등단하여 1990년대 도시적 감수성을 보여준 소설가이며,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 김유정문학상 수상자 - 이인성 (소설가)
이인성은 실험적인 문체와 독창적인 서술 기법으로 인간의 정체성과 의식의 세계를 탐구하는 한국의 소설가이자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 -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이효석문학상 수상자 - 윤대녕
윤대녕은 1962년 충남 예산 출생으로 단국대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 등단하여 1990년대 도시적 감수성을 보여준 소설가이며,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현재 동덕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편혜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72년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직업 | 소설가 |
국적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학력 | |
학교 |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학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사 |
활동 정보 | |
활동 기간 | 2000년 - 현재 |
장르 | 소설 |
데뷔 작품 | (露払い) |
기타 |
2. 생애 및 경력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이슬털기〉가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007년 단편소설 〈사육장 쪽으로〉로 제40회 한국일보문학상을, 2009년 단편소설 〈토끼의 묘〉로 제10회 이효석문학상을, 2012년 소설집 〈저녁의 구애〉로 제42회 동인문학상을, 2014년 단편소설 〈몬순〉으로 제38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편혜영은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2] 서울예대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에는 회사원으로 일했으며, 그녀의 소설에는 많은 회사원들이 등장한다.[3]2. 2. 등단 및 작품 활동
200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이슬털기〉로 등단했다.[2] 초기 작품은 엽기적이고 잔혹한 묘사와 불길한 상상력으로 "불쾌의 미학"이라 불릴 정도로 독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특징이 있었다. 데뷔작 〈이슬털기〉에서는 자신을 임신시킨 남자가 책임을 회피하자 죽어버리라고 저주하는데, 이 저주가 현실이 된다. 첫 소설집 《아오이가든》은 찢겨진 고양이 배 속의 붉은 피와 내장을 묘사하거나, 악취가 나는 쓰레기 처리장, 전염병이 유행하는 아파트 단지 등 잔혹한 이미지로 가득 차 있다. 두 번째 소설집 《사육장 쪽으로》에서는 잔혹한 묘사가 줄었지만, 어둡고 기괴한 분위기는 여전하며, 공포가 일상에 가까워져 더욱 무섭게 느껴진다.이후 작품에서는 현대 사회의 소외와 종말론적인 세계를 비롯한 여러 주제를 다루며, 기괴한 이미지를 사용했다. 장편소설 《재와 빨강》은 아이러니와 인간의 이중성을 탐구한다.[4]
2007년 단편소설 〈사육장 쪽으로〉로 제40회 한국일보문학상을, 2009년 단편소설 〈토끼의 묘〉로 제10회 이효석문학상을, 2011년 소설집 《저녁의 구애》로 제42회 동인문학상을, 2014년 단편소설 〈몬순〉으로 제38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했다.[2]
2. 3. 교수 활동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2013년부터 재직 중이다.[1]3. 작품 세계
편혜영의 소설은 엽기적이고 잔혹한 묘사, 불길하고 전복적인 상상력으로 "불쾌의 미학"이라고 불릴 정도로 독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특징이 있다.[2]
3. 1. 주제 의식
편혜영의 작품에는 현대 사회의 소외와 종말론적인 세계를 비롯한 여러 주제가 담겨 있으며, 기괴한 이미지들이 자주 등장한다. 장편소설 『재와 빨강』은 아이러니와 인간의 이중성을 탐구한다.[4] 그의 소설은 엽기적이고 잔혹한 묘사, 불길하고 전복적인 상상력으로 "불쾌의 미학"이라 불릴 정도로 독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특징이 있다. 데뷔작인 〈이슬털기〉에서 주인공은 자신을 임신시킨 남자가 그 사실을 회피하는 것에 분노하여 죽어버리라고 저주하지만, 이 저주는 곧 현실이 된다. 첫 소설집 『아오이가든』은 잔혹한 이미지로 가득 차 있다. 찢겨진 고양이의 배 속의 붉은 피와 내장을 노골적으로 묘사하거나, 악취가 진동하는 거대한 쓰레기 처리장이나, 전염병이 유행하는 아파트 단지가 있는 도시를 그리고 있다. 그러한 공간에서 인간은 맨홀에 숨어 살거나, 실험실 해부대에 놓이거나, 구더기가 끓는 시체가 되어 버려진다. 두 번째 소설집 『사육장 쪽으로』에서는 잔혹한 묘사는 줄었지만, 어둡고 그로테스크한 분위기는 변하지 않았다. 그의 소설의 공포는 점점 일상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무서움을 더하고 있다.3. 2. 작품 특징
편혜영의 소설은 엽기적이고 잔혹한 묘사, 불길하고 전복적인 상상력으로 "불쾌의 미학"이라 불릴 정도로 독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특징이 있다.[2] 데뷔작인 이슬털기에서 주인공은 자신을 임신시킨 남자가 그 사실을 회피하는 것에 분노하여 죽어버리라고 저주하지만, 이 저주는 곧 현실이 된다.그의 첫 소설집 아오이가든은 잔혹한 이미지로 가득 차 있다. 찢겨진 고양이의 배 속의 붉은 피와 내장을 노골적으로 묘사하거나, 악취가 진동하는 거대한 쓰레기 처리장이나, 전염병이 유행하는 아파트 단지가 있는 도시를 그리고 있다. 그러한 공간에서 인간은 맨홀에 숨어 살거나, 실험실 해부대에 놓이거나, 구더기가 끓는 시체가 되어 버려진다.[2]
두 번째 소설집 사육장 쪽으로에서는 잔혹한 묘사는 줄었지만, 어둡고 그로테스크한 분위기는 변하지 않았다. 그의 소설의 공포는 점점 일상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무서움을 더하고 있다.[2] 그의 작품에는 현대 사회의 소외와 종말론적인 세계를 비롯한 여러 주제가 담겨 있으며, 기괴한 이미지들이 자주 등장한다. 장편소설 재와 빨강은 아이러니와 인간의 이중성을 탐구한다.[4]
4.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2007년 | 한국일보문학상 | 소설집 《사육장 쪽으로》 |
2007년 | 자랑스런 문화인상 | |
2009년 | 이효석문학상 | 단편소설 〈토끼의 묘〉 |
2010년 |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학부문) | |
2012년 | 동인문학상 | 소설집 《저녁의 구애》 |
2014년 | 이상문학상 | 단편소설 〈몬순〉 |
2015년 | 현대문학상 | |
2017년 | 셜리 잭슨상 | 소설 《홀》 |
5. 저서 목록
편혜영은 소설집, 장편소설, 공동 저서를 출간했다.
- 공동 저서 목록
- 《열 장의 이야기와 다섯 편의 시》 (미디어버스, 2020년)
- 《술과 농담》 (시간의 흐름, 2021년)
- 《놀이터는 24시》 (자이언트북스, 2021년)
- 《망각의 도시》 (현대문학, 2023년)
- 《음악소설집》 (프란츠, 2024년)
5. 1. 소설집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
아오이가든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2023년 |
사육장 쪽으로 | 문학동네 | 2007년, 2021년 |
저녁의 구애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
밤이 지나간다 | 창비 | 2013년 |
소년이로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
어쩌면 스무 번 | 문학동네 | 2021년 |
5. 2. 장편소설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2010년 | 재와 빨강 | 창비 |
2012년 | 서쪽 숲에 갔다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 선의 법칙 | 문학동네 |
2016년 | 홀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 죽은 자로 하여금 | 현대문학 |
5. 3. 공동 저서
- 《열 장의 이야기와 다섯 편의 시》 (미디어버스, 2020년)
- 《술과 농담》 (시간의 흐름, 2021년)
- 《놀이터는 24시》 (자이언트북스, 2021년)
- 《망각의 도시》 (현대문학, 2023년)
- 《음악소설집》 (프란츠, 2024년)
6. 번역 작품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시리즈 | 출판일 |
---|---|---|---|---|
アオイガーデン|아오이 가든일본어 | 김푸나 | 퀀(クオン) | 새로운 한국의 문학 | 2017년 6월 |
モンスーン|몬순일본어 | 강신자 | 백수사 | 엑스 리브리스 | 2019년 8월 |
ホール|홀일본어 | 강방화 | 서사간간방 | 한국 여성 문학 시리즈 | 2018년 10월 |
6. 1. 영어 번역
- O Cuniculus영어, 김소라(Sora Kim-Russell) 역, ''국경 없는 문학(Words Without Borders)'' 수록[5]
- [http://newcms.kmu.ac.kr/sites/actakoreana2/issue_file/180.pdf "말로우 정원"과 "시체들"] (Acta Koreana에서 호스팅하는 PDF 파일)
- To the Kennels영어, AZALEA 2호(2008), 307쪽 수록
- ''Evening Proposal영어'', 박영숙, 글로리아 코스그로브 스미스 역, 달키 아카이브 프레스(Dalkey Archive Press), 2016
- ''The Hole영어'', 김소라(Sora Kim-Russell) 역, 아케이드 퍼블리싱(Arcade Publishing), 2017
- ''City of Ash and Red영어'', 김소라(Sora Kim-Russell) 역, 아케이드 퍼블리싱(Arcade Publishing), 2018
- ''The Law of Lines영어'', 김소라(Sora Kim-Russell) 역, 아케이드 퍼블리싱(Arcade Publishing), 2020[6]
6. 2. 일본어 번역
제목 | 번역자 | 출판사 | 시리즈 | 출판일 |
---|---|---|---|---|
아오이 가든 | 김푸나 | 퀀(クオン) | 새로운 한국의 문학 | 2017년 6월 |
몬순 | 강신자 | 백수사 | 엑스 리브리스 | 2019년 8월 |
홀 | 강방화 | 서사간간방 | 한국 여성 문학 시리즈 | 2018년 10월 |
참조
[1]
웹사이트
Pyun Hye-young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
웹사이트
Words without borders
http://wordswithoutb[...]
[3]
웹사이트
Necessary or true
https://wordswithout[...]
[4]
간행물
Witness to Solitude: Novelist Pyun Hye-young
LIST Magazine
2011-06-01 # Summer를 6월 1일로 가정
[5]
웹사이트
O. Cuniculus
http://wordswithoutb[...]
[6]
웹사이트
The Law of Lines
https://www.skyhorse[...]
[7]
뉴스
제38회 이상문학상 대상에 소설가 편혜영
http://www.yonhapnew[...]
Yonhap
2014-01-13
[8]
웹사이트
2017 Shirley Jackson Award Winners
https://www.shirleyj[...]
2024-04-10
[9]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01-01 # 정확한 날짜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10]
웹사이트
http://www.klti.or.k[...]
2014-01-01 # 정확한 날짜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11]
웹사이트
한국여성문인사전
http://terms.naver.c[...]
2014-01-01 # 정확한 날짜가 없으므로 1월 1일로 가정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총 상금 1억 원 연세-박은관 문학상, 제3회 수상작에 이소정 작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