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배방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방산성은 충청남도 천안과 온양 간 국도 남쪽 성재산 정상부에 위치한 석축 산성이다. 성의 둘레는 약 1500m이며, 백제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성 안에 우물과 군창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성 안에서 백제 토기 조각이 발견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백제 개로왕 때 성배와 성방 남매의 이름을 따서 배방산 복부성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문화유산 - 난중일기
    《난중일기》는 이순신이 임진왜란 중 군중에서 직접 쓴 친필 일기로, 전쟁 상황과 개인적인 소회, 사회상 등이 기록된 7권의 일기이며 국보 제76호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다.
  • 아산시의 문화유산 - 여민루
    여민루는 조선 시대 아산군 관아 입구에 세워진 문루 건물로, 백성의 뜻을 취한다는 의미를 담은 현판이 걸려 있으며,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에 익공 양식의 공포를 갖춘 다락 형식의 건물이다.
  • 충청남도의 기념물 - 당진 신리 다블뤼주교유적지
    당진 신리 다블뤼 주교 유적지는 손자손 생가를 중심으로 형성된 내포 지역 초기 천주교 공소이자 조선교구청으로 운영되었던 역사적 유적지로, 다블뤼 주교를 비롯한 순교자들이 체포되어 순교하였으며 병인박해 순교자 32인의 유해가 안장된 곳이다.
  • 충청남도의 기념물 - 보령 남포읍성
    보령 남포읍성은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조선시대 읍성으로, 왜구 침입 방어를 위해 축조되었으며, 돌과 흙으로 쌓은 성벽과 방어 시설, 그리고 관아 건물이 남아 있어 당시 읍성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 충청남도의 성 - 부여 나성
    부여 나성은 백제 사비 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538년경에 축조된, 둘레 8km의 흙으로 쌓은 성으로, 금강과 자연 지형을 활용한 이중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는 일부 흔적만 남아있다.
  • 충청남도의 성 - 보령 남포읍성
    보령 남포읍성은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조선시대 읍성으로, 왜구 침입 방어를 위해 축조되었으며, 돌과 흙으로 쌓은 성벽과 방어 시설, 그리고 관아 건물이 남아 있어 당시 읍성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배방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배방산성
배방산성
이름배방산성 (排芳山城)
유형충청남도 기념물
지정 번호67
지정일1988년 8월 30일
주소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공수리 산49
면적95,108m2
참고아산 배방산성

2. 위치

충청남도 천안과 온양 사이의 국도 남쪽에 있는 해발 250m의 성재산 정상 부분을 테뫼식으로 돌을 둘러쌓아 만든 산성이다. 산성(山城)은 산의 능선을 따라 흙이나 돌로 쌓은 성을 말한다.[1]

3. 구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성의 둘레가 3,313척, 높이가 13척이며, 성 안에 우물 2개와 군수물자를 비축했던 군창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성 내부에는 여러 곳에 건물터가 남아있다. 성 안에서 백제 토기 조각들이 발견되어, 백제 시대에 쌓은 성으로 추정된다.[1]

성 관련 전설에 따르면, 백제 개로왕 원년(445)에 공수라는 칠순 노인이 성배와 성방이라는 쌍둥이 남매를 데리고 있었는데, 성배가 성방에게 무릎을 꿇었다 하여 두 남매의 이름을 따서 배방산 복부성(伏俯城)이라 했다고 한다. 솥을 엎어놓은 모양이어서 복부성(伏釜城)이라고도 불린다.[1]

3. 1. 성벽

성의 길이는 약 1500m이며, 성벽은 대부분 무너져 돌무지로 보이나 성의 남쪽에 15m 정도의 성벽이 남아 있다. 두께 12m, 길이 0.5m 정도의 자연할석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았고, 안쪽에 석재·잡석을 이용하여 너비 3∼4m를 길이모쌓기(돌의 길이가 표면에 나타나게 가로 쌓는 일)로 하였다.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약간 안쪽으로 경사지게 쌓았는데, 복원한다면 높이는 5∼6m 정도로 추정된다.[1] 성벽은 두께 10~20cm, 너비 40~50cm 정도 되는 납작한 돌을 이용하여 바른층 쌓기로 쌓았으며, 한쪽 벽면은 자연 지형을 그대로 이용하고 한쪽 벽면만 돌을 이용해 쌓은 편축식으로 축성하였다.[1]

3. 2. 시설물

배방산성은 충청남도 천안과 온양간의 국도 남쪽에 있는 해발 250m의 성재산 정상부를 테를 맨 모양으로 돌을 둘러쌓아 만든 산성이다.

성의 길이는 약 1500m이며, 성벽은 대부분 무너져 돌무지로 보이나 성의 남쪽에 15m 정도의 성벽이 남아 있다. 두께 12m, 길이 0.5m 정도의 자연할석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았고, 안쪽에 석재·잡석을 이용하여 너비 3m∼4m를 길이모쌓기(돌의 길이가 표면에 나타나게 가로 쌓는 일)로 하였다.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약간 안쪽으로 경사지게 쌓았는데, 복원한다면 높이는 5m∼6m 정도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성의 둘레 3,313척, 높이 13척이며, 성 안에 2개의 우물과 군수물자를 비축해 두었던 군창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지금도 여러 곳에 건물터가 남아있다.

4. 역사

배방산성은 충청남도 천안과 온양 사이 국도 남쪽에 있는 해발 250m의 성재산 정상부에 테를 두른 듯 돌로 쌓아 만든 산성이다. 성의 길이는 약 1500m이며, 성벽은 대부분 무너져 돌무더기처럼 보이나 남쪽에 15m 정도의 성벽이 남아 있다. 두께 12m, 길이 0.5m 정도의 자연 할석(깬돌)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았고, 안쪽에는 석재와 잡석을 이용하여 너비 3∼4m를 길이모쌓기(돌의 길이가 표면에 나타나게 가로 쌓는 방식)로 하였다.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약간 안쪽으로 경사지게 쌓았는데, 복원한다면 높이는 5∼6m 정도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성의 둘레는 3,313척, 높이는 13척이며 성 안에는 우물 2개와 군수물자를 비축해 두었던 군창이 있었다고 한다.

나말여초(고려 말 조선 초)에 온수군 방운 공이 고려 유금필 장군 막하에서 큰 공을 세워 탕정군 일대를 식읍(나라에서 공신에게 내리던 토지)으로 하사받고 산성 내에 후손들이 세거(대대로 삶)하게 되어 그 일족을 온양 방씨라 하였으며, 산성을 배방산성이라 불렀다고도 한다.[1]

4. 1. 백제 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성의 둘레가 3,313척, 높이가 13척이며, 성 안에 우물 2개와 군수물자를 비축해 두었던 군창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도 여러 곳에 건물터가 남아있다. 성 안에서 백제의 토기 조각들이 발견되고 있어 백제 시대에 쌓은 성으로 추정된다.[1]

전설에 따르면 백제 개로왕 원년(445)에 공수라는 칠순 노인이 성배와 성방이라는 쌍둥이 남매를 데리고 있었는데, 성배가 성방에게 무릎을 꿇었다고 해서 두 남매의 이름을 따서 배방산 복부성(伏俯城)이라 했다고 한다. 또 형태가 솥을 엎어놓은 모양이어서 복부성(伏釜城)이라고도 한다.[1]

5. 전설

전설에 의하면 백제 개로왕 원년(445)에 공수라는 칠순 노인이 성배와 성방이라는 쌍둥이 남매를 데리고 있었는데, 성배가 성방에게 무릎을 꿇었다 해서 두 남매의 이름을 따서 배방산 복부성(伏俯城)이라 했다고 한다. 또 형태가 솥을 엎어놓은 모양이어서 복부성(伏釜城)이라고도 한다.[1]

公須|공수중국어란 칠순 노파가 성배와 성방이라는 쌍둥이 남매를 거느리고 있었다. 노파는 이 둘이 호적수라 매일 다투자 이들 중 한 명이 사라져야 다툼이 사라질 것이라 생각하고 경쟁을 시켰는데, 성배에게는 성을 쌓게 하고 성방에게는 한성에서 검정 황소를 찾아오게 하였다. 성배의 성은 완성이 눈앞에 있었으나 성방을 아꼈던 노파의 방해로 성방에게 경쟁에서 지게 되어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되었다. 성배가 성방에게 무릎을 꿇었다 하여 이 성을 배방산성 혹은 복부성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또한 나말여초에 온수군 방운 공이 고려유금필 장군 막하에서 큰 공을 세워 탕정군 일대에 식읍으로 하사받고 산성 내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어 그 일족을 온양 방씨라 하였으며, 산성을 배방산성이라 불렀다고도 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