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자(본명: 백자)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혜화동 푸른섬 멤버로 활동했으며, 1999년부터는 그룹 우리나라의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2009년부터 솔로 가수로 활동하며 2010년 1집 《가로등을 보다》, 2013년 2집 《서성이네》, 2016년 3집 《화양연화》, 2023년 4집 《가을이좋다더니》를 발매했다. 주요 곡으로는 반미·진보 성향의 노래, 독립군을 기리는 노래, 세월호 참사 추모곡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포크 가수 - 장명선
장명선은 2014년 포크 음악가로 데뷔 후 전자 음악가로 전향하여 키라라에게 사사받았으며, 《A Premature and Meaningless Confession》과 《Angel's Share》 등의 앨범을 발매하며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전자 음악가이다. - 대한민국의 포크 가수 - 이랑 (싱어송라이터)
이랑은 2006년부터 음악 활동을 시작하여 2012년 첫 정규 앨범 《욘욘슨》을 발매하고,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으며, 음악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장흥군 출신 - 임종석
임종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한양대학교 총학생회장과 전대협 의장 출신 학생운동가에서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정무부시장, 문재인 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장 등을 역임했다. - 장흥군 출신 - 위성곤
위성곤은 제주대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을 역임한 후, 제20대, 제21대,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록 가수 - 유회승
유회승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뮤지컬 배우이며, 《PRODUCE 101 시즌 2》에 출연하여 N.Flying의 메인 보컬로 데뷔, 솔로 활동과 뮤지컬 출연, 그리고 대한민국 대중음악상 최우수 OST 부문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록 가수 - 이건주
이건주는 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 CF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배우이자 가수이며, 아역 배우 시절 MBC 방송연기대상 아역상 등을 수상했고, 성인이 된 후에는 'First Album'을 발매하는 등 가수로서도 활동하며 1980년대에는 다수의 CF에 출연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았다.
백자 (가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백자 |
본명 | 백재길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흥 |
직업 | 가수, 작곡가 |
장르 | 팝, 포크, 락 |
활동 시기 | 1997년 ~ |
소속사 | 예나 |
소속팀 | 우리나라 |
관련 활동 | 혜화동 푸른섬 |
웹사이트 |
2. 생애
全羅南道|전라남도중국어 장흥에서 태어났으며,[1]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그룹 '혜화동 푸른섬'의 멤버로 활동했으며, 1999년부터는 그룹 '우리나라'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1] 2009년부터 〈걸음의 이유〉를 발표하며 솔로 가수로도 활동하고 있다.[3] 2010년 1집 《가로등을 보다》, 2012년 비정규 음반 《담쟁이》,[3] 2013년 2집 《서성이네》를 발표했다.[3]
그룹 '우리나라'에서는 〈범민련전사〉, 〈주한미군철거가〉, 〈국가보안법철폐가〉 등 반미·진보 성향의 노래와, 독립군을 기리는 노래로 천리마가 불러 유명한 〈혁명동지가〉, 도종환의 시에 곡을 붙인 〈담쟁이〉, 〈화인〉 등을 불렀다. 이 중 〈화인〉은 세월호 참사 이후 도종환 시인이 쓴 시로 세월호 추모 문화제에서 널리 불리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全羅南道|전라남도중국어 장흥에서 태어났으며,[1]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했다.2. 2. 그룹 활동
1997년부터 1999년까지 그룹 '혜화동 푸른섬'의 멤버로 활동했으며, 1999년부터는 그룹 '우리나라'의 멤버로 활동 중이다.[1]그룹 '우리나라'에서 〈범민련전사〉, 〈주한미군철거가〉, 〈국가보안법철폐가〉 등 반미·진보 성향의 노래와, 독립군을 기리는 노래로 천리마가 불러 유명한 〈혁명동지가〉, 도종환의 시에 곡을 붙인 〈담쟁이〉, 〈화인〉 등을 불렀다. 이 중 〈화인〉은 세월호 참사 이후 도종환 시인이 쓴 시로 세월호 추모 문화제에서 널리 불리고 있다. 그 외 〈범민련 깃발을 지켜가리라〉, 〈너는 부시냐?〉, 〈통일전사의 맹세〉 등이 있다.
2. 3. 솔로 활동
2009년 솔로 가수로 활동하기 시작하면서 〈걸음의 이유〉를 발표했다.[3] 2010년 1집 《가로등을 보다》를 냈고, 2012년 비정규 음반 《담쟁이》를 발표했다.[3] 2013년 2집 《서성이네》를 발표했다.[3]도종환의 시에 곡을 붙인 〈담쟁이〉, 〈화인〉 등을 불렀다. 〈화인〉은 세월호 참사 이후 도종환이 쓴 시로, 세월호 추모 문화제에서 널리 불리고 있다.
3. 음반 목록
백자는 정규 음반 4장, 비정규 음반 2장을 발매했으며, 그룹 '우리나라'와 가수 김현성으로도 활동하며 다양한 음반에 참여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정규 음반
발매 연도 | 음반명 |
---|---|
2010년 | 1집 《가로등을 보다》 |
2013년 | 2집 《서성이네》 |
2016년 | 3집 《화양연화》 |
2023년 | 4집 《가을이좋다더니》 |
3. 2. 비정규 음반
발매일 | 음반명 | 비고 |
---|---|---|
2009년 | 걸음의 이유 | 소품집 |
2012년 | 담쟁이 EP |
3. 3. 참여 음반
백자는 그룹 '우리나라'와 가수 김현성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음반에 참여했다. 그룹 '우리나라'의 음반 목록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金賢成|김현성중국어은 2012년에 백석 시인 탄생 100주년 기념 음반 《보고싶다 정선아》를 발표했다.
3. 3. 1. 그룹 '우리나라'
백자는 2000년 그룹 '우리나라'로 데뷔하여 활동하였다. 다음은 그룹 '우리나라'의 음반 목록이다.발매 연도 | 음반 제목 |
---|---|
2000 | <1집 우리나라> |
2000 | <통일노동자> |
2000 | <누가 감히> |
2001 | <2집 우리나라> |
2002 | <3집 우리 하나되어> |
2003 | <우리나라 세상이야기 1,2> |
2003 | <4집 달려달려> |
2003 | <포장마차에서…> |
2004 | <바람 되어날다> |
2004 | <우리나라 세상이야기 3,4> |
2005 | <독도는 우리의 땅이다> |
2006 | <돌아가리라> |
2007 | <평화의 노래 통일의 춤을> |
2008 | <다시 광화문에서> |
2008 | <5집 삶과 사랑> |
2011 | <그대, 잘 지내시나요> |
2011 | <우리나라 2011 디지털 싱글 Season 2> |
3. 3. 2. 김현성
金賢成|김현성중국어은 2012년에 백석 시인탄생 100주년 기념음반, 《보고싶다 정선아》를 발표했다.참조
[1]
웹인용
백자
http://people.search[...]
2014-02-01
[2]
웹인용
링크
https://entertain.v.[...]
2019-10-18
[3]
웹인용
백자 앨범
http://music.naver.c[...]
201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