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백장미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장미단은 1941년 나치의 안락사 정책에 반대하며 결성된 독일 뮌헨 대학교 학생들의 저항 단체이다. 한스 숄, 조피 숄,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빌리 그라프, 알렉산더 슈모렐, 쿠르트 후버 교수 등이 구성원이었으며, 6종의 전단을 제작하여 나치의 만행을 고발하고 전쟁의 부당함을 알렸다. 이들은 1943년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나, 전후 독일에서 자유와 저항의 상징으로 추앙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장미단 - 소피 숄의 마지막 날들
    소피 숄의 마지막 날들은 백색 장미 단원으로서 나치에 저항하다 체포되어 처형당한 소피 숄의 마지막 순간들을 그린 2005년 독일 영화로, 율리아 옌체가 주연을 맡았으며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과 유럽 영화상 등을 수상하며 비평적 찬사를 받았다.
  • 뮌헨의 역사 - 뮌헨 폭동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당이 1923년 11월 8일부터 9일까지 바이에른 주 정부를 전복하려 시도한 쿠데타인 뮌헨 폭동은 실패로 끝났으나 나치당의 인지도를 높이고 히틀러의 정치적 부상에 기여했으며 나치즘의 잔혹성과 독일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재평가된다.
  • 뮌헨의 역사 - 뮌헨 협정
    뮌헨 협정은 1938년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가 체결하여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데텐란트 지역을 독일에 할양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체코슬로바키아는 협상에 참여하지 못한 채 강제로 수용해야 했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백장미단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 (독일어)Weiße Rose (바이세 로제)
명칭 (영어)White Rose (화이트 로즈)
설립일1942년 6월 27일
설립 장소뮌헨, 나치 독일
해체1943년
창립자한스 숄
알렉산더 슈모렐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앞
뮌헨 루트비히 막시밀리안 대학교 앞 기념비
저항 운동
대상나치 독일
성격비폭력 저항
활동 내용유인물 배포, 낙서
목표나치 정권 전복, 전쟁 종식
관련 사건인민 법정 재판
관련 인물
주요 인물한스 숄
조피 숄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알렉산더 슈모렐
빌리 그라프
쿠르트 후버
관련 인물위르겐 비텐슈타인
트라우테 라프란츠
기젤라 쇙크
프란츠 뮐러
하인리히 볼
폴 하르테크
조직
이념기독교적 가치
개인의 자유
사회 정의
구성원주로 뮌헨 대학교 학생
영향전후 독일 사회의 민주주의 운동
반파시즘 운동
재판
재판 기관인민 법정
판결사형
기타
관련 작품영화 Die Weiße Rose (1982)
오페라 Weiße Rose (1986)

2. 기원

1941년, 나치는 유럽인의 유전자 풀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안락사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한스 숄조피 숄 남매는 나치의 안락사 정책을 비판하는 아우구스트 폰 갈렌 주교의 설교를 들었다. 나치 정책에 경악한 조피 숄은 주교의 허락을 받아 설교문을 복사하여 뮌헨 대학에 배포했다.

게슈타포의 심문 과정에서 한스 숄은 자신들의 가명을 당시 읽고 있던 스페인 소설 《백장미》의 등장인물 이름(유드 네보른, 안네트 둠바흐)에서 따왔다고 진술했다. 이후 한스 숄은 자신들이 제작한 전단의 표제로 '백장미'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게슈타포 심문 중 한스 숄은 '백장미단'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 여러 설명을 제시했다. 19세기 독일 시인 클레멘스 브렌타노의 동명 시에 감정적으로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말했으며, 쿠바 시인 호세 마르티의 시 "나는 하얀 장미를 키운다"(Cultivo una rosa blancaes) 또는 한스 숄과 알렉스 슈모렐이 모두 읽었던 B. 트라벤의 소설 ''백장미''(Die Weiße Rosede)에서 이름을 따왔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그들은 백장미의 상징이 악에 맞선 순수함과 결백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24]

만약 백장미단의 이름이 실제로 트라벤의 소설에서 유래했다면, 한스 숄의 심문 증언은 당시 금서였던 이 책을 제공했던 반나치 서점 주인 요제프 쇠겐을 보호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진술했을 가능성이 있다. 쇠겐은 백장미단 구성원들에게 정보 교환과 때때로 재정적 지원을 위한 안전한 만남의 장소를 제공했으며, 금서들을 가게에 숨겨두고 인쇄 시에도 숨기는 등 도움을 주었다.[25]

3. 구성원 및 지지자

책상에 앉아 책을 읽는 후버
쿠르트 후버, 백장미단 핵심 멤버


백장미단은 뮌헨 대학교의 학생들과 교수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핵심 구성원은 한스 숄, 그의 여동생 조피 숄, 동료 학생들인 알렉산더 슈모렐, 빌리 그라프,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그리고 그들의 스승이었던 철학 및 음악학 교수 쿠르트 후버 등이었다. 한스의 여동생 조피는 나중에 핵심 멤버로 합류했다. 이들 핵심 멤버 중 한스 숄, 조피 숄, 크리스토프 프롭스트는 첫 번째 재판 이후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되었으며, 알렉산더 슈모렐, 빌리 그라프, 쿠르트 후버는 두 번째 재판 이후 사형당했다. 조피 숄은 사형 당시 22세였다.

핵심 구성원 외에도 많은 이들이 백장미단의 활동을 지지하고 도왔다. 여기에는 다음 인물들이 포함된다.[3][4]

  • 오틀 아이허
  • 빌리 하버만 (“그로고”)
  • 테오도어 해커
  • 아넬리제 크노프-그라프
  • 트라우테 라프렌츠
  • 카타리나 쉴데코프
  • 릴로 람도르
  • 위르겐 비텐슈타인
  • 팔크 하르낙
  • 마리-루이제 얀
  • 빌헬름 가이어
  • 만프레트 아이케마이어
  • 요제프 죈겐
  • 하인리히 구터
  • 하인리히 볼링거
  • 빌헬름 볼링거
  • 헬무트 바우어
  • 하랄트 도른
  • 한스 콘라트 라이펠트
  • 기젤라 셰르틀링
  • 루디 알트
  • 미하엘 브링크
  • 릴로 드라이펠트
  • 요제프 푸르트마이어
  • 귄터 암몬
  • 프레드 틸러
  • 볼프강 예거


이들 지지자 대부분은 20대 초반의 젊은이들이었다.

지지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백장미단 활동을 도왔다. 빌헬름 가이어는 알렉산더 슈모렐에게 낙서 캠페인에 사용될 스텐실 제작 기술을 가르쳐주었다. 슈투트가르트의 오이겐 그리밍거는 활동 자금을 지원했다. 그는 1943년 3월 2일 체포되어 같은 해 4월 19일 인민법정에서 반역죄로 10년 형을 선고받고 1945년 4월까지 루드비히스부르크 교도소에 수감되었다. 그의 아내 제니는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학살 수용소에서 1943년 12월 2일경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밍거의 비서였던 틸리 한 역시 자신의 돈을 기부하고, 슈투트가르트와 뮌헨 그룹 사이의 연락책 역할을 하며 봉투, 종이, 복사기 등을 운반했다.

뮌헨 외 다른 지역에서도 백장미단의 영향을 받은 저항 그룹들이 활동했다.

  • 울름: 조피 숄의 어린 시절 친구인 수잔네 히르젤과 그녀의 남동생 한스 히르젤, 그리고 프란츠 요제프 뮐러 등이 포함된 학생 그룹은 백장미단의 전단을 배포했으며, 뮌헨 그룹과 함께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5]
  • 함부르크: 라인홀트 마이어, 알베르트 주어, 하인츠 쿠하르스키, 마르가레타 로테, 브루노 힘프캄프, 루돌프 데크비츠 (주니어), 우르술라 데 보어, 한넬로레 빌브란트, 카를 루트비히 슈나이더, 일제 레디엔, 에바 폰 둠라이셔, 도로테아 질, 아펠레스 소베츠코, 마리아 리펠트 등을 중심으로 백장미 함부르크 저항 그룹이 결성되어 활동했다. 이들은 국가사회주의 정권에 반대하며 백장미단의 전단을 배포하는 활동을 벌였다.[6]


백장미단에 참여한 학생들 중 일부는 프랑스 침공이나 동부 전선에 독일 국방군 소속으로 참전했던 경험이 있었다. 이들은 전쟁의 참상과 나치의 만행을 목격하고 나치즘에 환멸을 느꼈다.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패배는 독일의 패망 가능성을 높였고, 이는 저항 활동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4. 역사적, 지적 배경

백장미단은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에 맞서 활동한 대표적인 비폭력 저항 단체 중 하나로, 주로 뮌헨 대학교의 학생들과 교수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핵심 구성원은 한스 숄과 그의 여동생 조피 숄, 그리고 동료 학생들인 알렉산더 슈모렐, 빌리 그라프,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그리고 철학 교수 쿠르트 후버 등이었다.

이들은 독일 청년 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상당수는 동부 전선 등에서 군 복무를 하며 나치 정권이 저지르는 전쟁 범죄와 비인간적인 통치를 직접 목격했다. 특히 폴란드에서의 유대인 박해와 안락사 정책 등은 이들의 저항 의지를 크게 자극했다. 이러한 경험과 더불어 기독교적 양심, 인문주의 사상, 그리고 괴테, 실러 등 독일 고전 문학과 철학에 대한 깊은 이해는 백장미단 활동의 중요한 지적, 정신적 기반이 되었다. 그룹의 이름 '백장미'는 한스 숄이 읽던 스페인 소설에서 영감을 받아 정해졌다.

백장미단은 1942년 6월부터 1943년 2월까지 총 여섯 차례에 걸쳐 전단을 제작하고 배포하며 나치즘 정권의 허구성과 잔혹함을 고발하고, 독일 국민들의 각성과 저항을 촉구했다. 전단은 전쟁의 참상과 유대인 학살을 비판하며, 관용정의에 기반한 새로운 유럽 건설을 주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초기에는 바이에른, 오스트리아 등 남부 독일을 중심으로 배포되었으나 점차 활동 범위를 넓히려 했다. 그러나 1943년 2월, 여섯 번째 전단을 뮌헨 대학교에서 배포하던 중 발각되어 핵심 멤버들이 게슈타포에 체포되었고, 이후 악명 높은 인민재판소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처형되었다.

4. 1. 1942년의 독일

1941년 나치는 소위 유럽인의 유전자 풀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안락사 정책을 강행하고 있었다. 한스 숄조피 숄 남매는 이러한 나치의 안락사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난한 아우구스트 폰 갈렌 주교의 설교를 접하게 되었다. 나치의 비인도적인 정책에 충격을 받은 조피 숄은 주교의 허락을 받아 설교문을 복사하여 뮌헨 대학에 배포했다.

훗날 게슈타포의 심문을 받을 때, 한스 숄은 자신들의 가명을 유드 네보른과 안네트 둠바흐라고 밝혔는데, 이는 당시 그가 읽던 스페인 소설 《백장미》의 등장인물 이름이었다. 이후 한스 숄은 이 이름을 전단의 표제로 사용하게 된다.

백장미단의 일원이었던 위르겐 비텐슈타인(Jürgen Wittenstein)은 당시 나치 독일 치하에서 평범한 독일인들이 겪었던 삶을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정부, 정확히는 당이 모든 것을 통제했다. 언론, 무기, 경찰, 군대, 사법 제도, 통신, 여행, 유치원에서 대학교까지 모든 수준의 교육, 모든 문화 및 종교 기관까지. 정치적 세뇌는 아주 어린 나이부터 시작되었고, 히틀러 유겐트를 통해 지속되었으며, 궁극적인 목표는 완전한 정신 통제였다. 아이들은 학교에서 히틀러나 나치 이념에 대한 비방을 한 부모조차 고발하도록 권고받았다.[7]

— 조지 J. 비텐슈타인(George J. Wittenstein), 의학박사, "백장미단의 추억", 1997


백장미단의 본격적인 활동은 1942년 가을에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초기 승리 이후 독일 국민들이 점차 전쟁의 손실과 피해를 체감하기 시작하며 나치 정권에게 위태로운 시기였다. 1942년 여름, 독일 국방군은 동부 전선 남부 지역에서 새로운 공세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가을에 접어들며 스탈린그라드와 코카서스 산맥 지역에서 공세가 둔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백장미단의 전단 배포 활동은 나치 당국의 감시망을 피해 이루어졌다.[1]

백장미단은 뮌헨 대학교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핵심 인물은 한스 숄과 그의 여동생 조피 숄이었으며,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빌리 그라프, 알렉산더 슈모렐 등 세 명의 학생과 철학 교수 쿠르트 후버가 주요 구성원으로 활동했다.

이들은 대부분 프랑스 침공이나 동부 전선에 참전했던 경험이 있는 귀환병들이었다. 독일 청년 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한스 숄과 프롭스트는 그 일원이기도 했다. 폴란드 내 유대인 거주 구역의 참상과 동부 전선에서의 잔혹 행위를 직접 목격한 이들은 나치의 전쟁 수행 방식을 용납할 수 없었다.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패배는 독일의 패망을 예감하게 했고, 이는 그들의 저항 의지를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 백장미단은 나치의 유럽 지배를 거부하고 기독교적 가치인 인내와 정의를 추구했다. 그들이 작성한 전단에는 성경, 노자, 아리스토텔레스, 노발리스, 괴테, 실러 등의 사상이 인용되어 있어, 당시 독일 지식인 계층의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초기 전단 배포는 주로 바이에른 주나 오스트리아 등 남부 독일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반전체주의 메시지가 상대적으로 수용되기 쉬울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룹은 1942년 6월부터 7월 사이에 네 종류의 전단을 제작하여 우편 등을 통해 배포했다. 1943년에 들어서 1월에는 다섯 번째 전단 "전 독일인에게의 호소"를 제작하여 각지에서 배포했다. 더 나아가,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1월 말 독일군 항복을 받아, 2월에 여섯 번째 전단 "학우에게"가 제작되었다. 어떠한 전단도 평이한 독일어로 쓰여져 있어, 그룹이 널리 독일 국민에게 호소하려고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1943년 2월, 한스 숄과 조피 숄이 뮌헨 대학교에서 여섯 번째 전단을 배포하다 발각되어 체포되면서 백장미단의 활동은 막을 내렸다.[1] 나치 정권은 이들을 악명 높은 "인민재판소"(Volksgerichtshof)에 세웠다. 인민재판소는 법적 절차를 무시하고 오직 나치 이념에 따라 판결을 내렸으며, 백장미단 구성원들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전후 독일에서는 인민재판소의 판결이 불법으로 규정되었으며, 백장미단 구성원들의 처형은 오늘날 명백한 사법 살인으로 간주된다.[8]

4. 2. 사회적 배경

1941년, 나치는 소위 '유럽인의 유전자 풀 보호'라는 명목 아래 안락사 정책을 강행하고 있었다. 한스 숄조피 숄 남매는 나치즘의 이러한 비인도적인 정책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아우구스트 폰 갈렌 주교의 설교를 접하게 되었다. 특히 나치의 정책에 큰 충격을 받은 조피 숄은 갈렌 주교의 허락을 받아 설교문을 복사하여 뮌헨 대학교 내에 배포하는 행동에 나섰다.[9]

백장미단이라는 이름은 한스 숄이 게슈타포의 심문 과정에서 자신과 동료들의 가명으로 사용했던 이름에서 유래했다. 당시 한스 숄이 읽고 있던 스페인 소설 《백장미》의 등장인물 이름을 빌린 것이었으며, 이후 그는 저항 전단의 표제로 '백장미'를 사용하게 되었다.

백장미단의 핵심 구성원은 뮌헨 대학교 학생들이었다. 한스 숄과 그의 여동생 조피 숄, 알렉산더 슈모렐, 빌리 그라프, 크리스토프 프롭스트가 주축이었고, 그들의 스승이었던 철학 및 음악학 교수 쿠르트 후버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들 외에도 오틀 아이허, 빌리 하버만(“그로고”), 테오도어 해커, 아넬리제 그라프, 트라우테 라프렌츠, 카타리나 쉴데코프, 리젤로테 "릴로" 람도르, 위르겐 비텐슈타인, 팔크 하르낙, 마리-루이제 얀, 빌헬름 가이어, 만프레트 아이케마이어, 요제프 죈겐, 하인리히 구터, 하인리히 볼링어, 빌헬름 볼링어, 헬무트 바우어, 하랄트 도른, 한스 콘라트 라이펠트, 기젤라 셰르틀링, 루디 알트, 미하엘 브링크, 릴로 드라이펠트, 요제프 푸르트마이어, 귄터 암몬, 프레드 틸러, 볼프강 예거 등 많은 이들이 백장미단의 활동을 지원했다.[3][4] 이들 대부분은 20대 초반의 젊은이들이었다.

빌헬름 가이어는 알렉산더 슈모렐에게 낙서 캠페인에 사용될 틴 템플릿 제작법을 가르쳤다. 슈투트가르트의 오이겐 그리밍거는 활동 자금을 지원했다. 그리밍거는 1943년 3월 2일 체포되어 같은 해 4월 19일 "인민 법정"에서 반역죄로 10년 형을 선고받고 1945년 4월까지 루드비히스부르크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그의 아내 제니는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학살 수용소에서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1943년 12월 2일 경). 그리밍거의 비서 틸리 한은 자신의 자금을 기부하고 슈투트가르트와 뮌헨 그룹 사이의 연락책 역할을 수행하며 봉투, 종이, 복사기 등을 운반했다.

또한 울름에서는 조피 숄의 어린 시절 친구인 수잔네 히르젤과 그녀의 남동생 한스 히르첼, 프란츠 요제프 뮐러 등이 학생 그룹을 조직하여 팜플렛 배포에 참여했고, 이들도 뮌헨 그룹과 함께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다.[5] 함부르크에서도 라인홀트 마이어, 알베르트 주어, 하인츠 쿠하르스키, 마르가레타 로테, 브루노 힘프캄프, 루돌프 데크비츠 (주니어), 우르줄라 데 보어, 하넬로레 빌브란트, 카를 루트비히 슈나이더, 일제 레디엔, 에바 폰 둠라이셔, 도로테아 질, 아펠레스 소베츠코, 마리아 리펠트 등을 중심으로 한 학생들이 백장미 함부르크 저항 그룹을 결성하여 나치즘 정권에 반대하고 팜플렛을 배포했다.[6]

핵심 그룹 구성원들은 모두 뮌헨 대학교 학생이라는 학문적 배경을 공유했다. 숄 남매,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빌리 그라프, 알렉산더 슈모렐은 모두 독립적인 사고를 중시하는 부모 밑에서 자랐다. 러시아 태생인 알렉산더 슈모렐은 러시아어가 모국어였으며, 한스 숄과 친구가 된 후 그를 자신의 집에 초대했고, 그곳에서 한스는 1941년 초 크리스토프 프롭스트를 만났다. 알렉산더 슈모렐과 크리스토프 프롭스트는 학창 시절부터 친구였다. 크리스토프의 아버지가 이혼 후 유대인 여성과 재혼했기 때문에, 나치의 뉘른베르크법과 인종 이데올로기는 크리스토프와 알렉산더의 삶에 일찍부터 영향을 미쳤다.[9]

백장미단에 참여한 학생들 중 다수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프랑스 전선이나 동부 전선에 국방군 병사로 참전했던 경험이 있었다. 이들은 독일 청년 운동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지며, 한스 숄과 프롭스트는 해당 운동의 구성원이기도 했다. 그들은 폴란드유대인 거주 구역에서 벌어지는 참상과 동부 전선에서의 잔혹 행위를 직접 목격하면서 전쟁의 부당함을 절감했다. 특히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독일군 패배는 그들에게 독일의 패전을 예감하게 했고, 나치즘 정권에 대한 저항 의지를 더욱 굳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들은 나치의 유럽 지배를 부정하고 기독교의 인내와 정의를 신봉했다. 전단에는 성경, 노자, 아리스토텔레스, 노발리스, 괴테, 실러 등 동서양 고전의 인용이 나타나며, 이는 독일 지식 계급의 특징을 보여준다. 전단은 처음에는 바이에른 주, 오스트리아 등 남부 독일을 중심으로 배포되었는데, 이는 반전체주의 메시지가 남부에서 더 쉽게 받아들여질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4. 3. 독일 청소년 운동과 히틀러 유겐트

1896년 창설된 독일 청소년 운동(Deutsche Jugendbewegung)의 사상과 생각은 20세기 초 독일 청소년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운동은 청소년들이 건강한 삶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자유로운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다양한 조직들이 공유하는 특징은 독립적이고 비순응적인 사고방식을 강조하며, 자연 상태에 대한 낭만적인 동경과 오래된 문화적 전통으로의 회귀였다. 이들은 자연으로의 복귀, 형제애, 공동 모험 등을 중요하게 여겼다. Deutsche Jungenschaft vom 1 November 1929de (약칭 "d.j.1.11.")은 에버하르트 쾨벨이 1929년에 창설한 청소년 운동 조직 중 하나였다. 백장미단의 크리스토프 프롭스트는 독일 청소년 운동의 회원이였고, 빌리 그라프는 불법적인 가톨릭 청소년 조직이었던 Neudeutschland|노이도이칠란트de("새로운 독일")와 Grauer Orden|그라우어 오르덴de("회색 수도회")의 회원이었다.[10]

나치당의 청소년 조직인 히틀러 유겐트와 독일 소녀 연맹(Bund Deutscher Mädel)은 청소년 운동의 일부 요소를 받아들여 회원들에게 보이스카우트 활동과 유사한 모험을 제공했지만, 동시에 나치즘 이념 교육을 강요했다. 백장미단 회원 중 일부는 초기에 나치 청소년 조직에 열정적으로 참여하기도 했다. 한스 숄은 히틀러 유겐트에, 조피 숄은 독일 소녀 연맹에 가입했다. 당시 독일 청소년들에게 이들 조직 가입은 의무였으나, 빌리 그라프, 오틀 아이허, 하인츠 브레너 등 일부는 가입을 거부했다. 조피와 한스의 여동생 잉게 숄은 나치 청소년 조직에 대한 젊은이들의 초기 열정과 부모님의 우려를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9]

"하지만 우리를 미지의 힘으로 이끌고 휩쓸어버리는 또 다른 무언가가 있었다. 깃발을 휘날리며, 시선을 똑바로 앞을 향하고, 북소리와 노래에 맞춰 행진하는 청소년들의 닫힌 대열이었다. 이 동지애의 감각은 압도적이지 않았는가? 우리 모두, 한스와 조피,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히틀러 유겐트에 가입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는 몸과 마음을 다해 그 안으로 들어갔고, 왜 아버지가 승인하지 않고, 왜 행복해하고 자랑스러워하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반대로, 그는 우리에게 매우 불쾌해했다." - 잉게 숄, ''The White Rose''

나치당이 장악하지 않은 다른 청소년 조직들은 1936년에 해산되고 공식적으로 금지되었다. 한스 숄과 빌리 그라프는 금지된 청소년 운동 조직에 가입했다는 혐의로 1937년부터 1938년 사이에 체포되었다. 한스 숄은 1934년 Deutsche Jungenschaft|도이체 융엔샤프트de 1. 11.에 가입했는데, 당시 울름의 다른 히틀러 유겐트 회원들과 함께 이 단체 활동과 히틀러 유겐트 회원 자격을 병행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한스 숄은 또한 1934년에서 1935년 사이, 그가 16세였을 때의 동성 청소년 관계를 이유로 독일의 반동성애법을 위반했다는 혐의도 받았다. 이 주장은 독일 청소년 운동을 연구한 사회학자 에카르트 홀러의 연구[11]와 1937-38년 체포 당시 게슈타포 심문 기록, 그리고 역사학자 조지 모스가 독일 청소년 운동(Bündische Jugend|뷘디셰 유겐트de)의 동성애적 측면을 다룬 연구[12] 등을 통해 뒷받침된다. 모스가 지적했듯이, 남성 청소년들 사이의 이상화된 낭만적 애착은 당시 독일, 특히 Bündische Jugendde 회원들 사이에서 드물지 않았다. 이러한 박해 경험은 한스와 조피 숄이 나치 정권의 희생자들에게 공감하게 만들었고, 그들이 열렬한 히틀러 유겐트 지도자에서 나치 체제에 대한 열정적인 반대자로 변모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25]

4. 4. 종교

백장미단은 윤리적, 도덕적, 종교적 신념에 따라 행동했다. 그들은 인종, 성별, 종교, 나이에 관계없이 모든 배경의 사람들을 지지하고 받아들였다.

단원들은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 빌리 그라프와 카타리나 쉴데코프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고, 알렉산더 슈모렐은 정교회 신자였다. 트라우테 라프렌츠는 인智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활동 자금을 지원한 오이겐 그리밍거는 스스로를 불교 신자로 여겼다. 크리스토프 프롭스트는 처형 직전에 침례교 신자로 세례를 받았다. 그의 아버지 헤르만은 명목상 가톨릭 신자였지만 동양 사상과 지혜를 개인적으로 연구하기도 했다.

특히 한스 숄과 조피 숄 남매는 기독교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들은 일기와 편지에서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13]과 에티엔느 길슨과 같은 기독교 학자들의 저서를 읽었으며, 친구들과 중세 철학에 대한 길슨의 책들을 토론했다.[9] 또한 존 헨리 뉴먼의 설교를 읽었고, 조피는 동부 전선에 있던 남자친구 프리츠 하트나겔에게 뉴먼의 설교집 두 권을 보내기도 했다. 하트나겔은 조피에게 보낸 편지에서 "우리가 누구에 의해 창조되었는지, 그리고 창조주에게 도덕적 의무 관계에 있음을 안다. 양심은 우리에게 선과 악을 구별하는 능력을 준다"고 썼는데, 이는 뉴먼의 설교 "양심의 증언"을 참고한 내용이다.[14]

1941년, 숄 남매는 나치의 안락사 정책을 비판한 아우구스트 폰 갈렌 주교의 설교를 듣고 큰 충격을 받았다. 조피 숄은 주교의 허락을 받아 설교문을 복사하여 뮌헨 대학교에 배포했는데, 이는 백장미단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 중요한 계기 중 하나였다.

백장미단은 전단에서 기독교의 인내와 정의를 강조했으며, 성경뿐만 아니라 노자, 아리스토텔레스, 노발리스, 괴테, 실러 등 다양한 사상가들의 글을 인용하며 나치즘에 저항했다.

4. 5. 멘토와 역할 모델

1941년, 나치 정권은 소위 'T4 작전'이라는 안락사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는 나중에 14f13 작전으로 나치 강제 수용소까지 확대되었다.[16] 당시 가톨릭 주교였던 아우구스트 폰 갈렌은 나치 정권의 노골적인 비판자로서, 이 안락사 정책을 강하게 비난하는 설교를 했다. 한스 숄은 이 설교문을 읽었고, 그의 여동생 조피 숄 역시 나치의 정책에 경악하여 갈렌 주교의 허락을 받고 설교문을 복사하여 뮌헨 대학교에 배포했다.[16] 갈렌 주교의 용기 있는 비판은 숄 남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클레멘스 아우구스트 그라프 폰 갈렌


가톨릭 잡지 ''호흐란트''의 창립자인 카를 무트 역시 백장미단 멤버들에게 영향을 준 인물이다. 1940년 오틀 아이허가 무트를 만났고, 1941년에는 아이허를 통해 한스 숄이 무트를 소개받았다.[17] 한스 숄은 무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가톨릭 신앙에 대한 자신의 관심이 커지고 있음을 드러냈다.[18] 숄 남매는 깊은 종교심을 바탕으로 나치즘에 반대한 무트로부터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그를 통해 유대인 박해가 죄악이며 반기독교적인 행위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19]

뮌헨 대학교의 철학 및 음악학 교수였던 쿠르트 후버는 백장미단의 중요한 멘토였다. 그는 라이프니츠 같은 고전 철학자에 대한 강의 중에 나치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정치적 암시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학생들 사이에서 알려져 있었다. 조피 숄과 빌리 그라프는 그의 강의를 수강했다. 후버는 1942년 6월 한스 숄을 처음 만났고, 같은 해 12월 17일 백장미단의 활동에 직접 참여하기 시작했다.[20] 그는 그룹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했으며, 백장미단의 여섯 번째 전단지를 직접 작성하기도 했다.

백장미단 멤버들은 이러한 멘토들 외에도 독일 청년 운동의 경험, 기독교 신앙, 그리고 성경, 노자, 아리스토텔레스, 노발리스, 괴테, 실러 등 다양한 사상과 문학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는 그들이 단순한 반나치 운동을 넘어 인본주의적 가치와 정의를 추구했음을 보여준다.

4. 6. 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에서의 경험

백장미단의 핵심 멤버 중 한스 쇼르, 알렉산더 슈모렐, 빌리 그라프는 의대생이었다. 이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학업을 중단하고 국방군 의무 부대 소속의 학생 병사로서 동부 전선에서 복무해야 했다.[21] 이 시기의 경험은 그들의 사고방식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나치 정권의 잔혹함에 환멸을 느끼고 저항 운동에 나서게 되는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21]

1942년 여름, 한스, 알렉산더, 빌리는 다른 많은 남성 의대생들과 함께 3개월 동안 러시아 전선에서 복무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전쟁의 참상을 직접 목격했으며, 독일군 병사들이 유대인을 구타하고 학대하는 장면을 보았다. 또한 신뢰할 만한 소식통을 통해 유대인 대량 학살을 포함한 박해의 실상에 대해 듣게 되었다.[22] 특히 오렌부르크에서 태어나 러시아인 유모 손에 자란 알렉산더 슈모렐은 러시아어에 능통하여 현지 러시아인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었다. 그는 이를 통해 다른 독일인들이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동부 전선의 실상과 현지 민간인들의 고통을 백장미단 동료들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9]

빌리 그라프는 동부 전선에서 겪은 참상에 대해 깊은 고뇌를 느꼈다. 그는 누이 아넬리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모든 것을 목격해야 했던 시야를 피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토로하며 전쟁의 비인간성에 대한 괴로움을 표현했다.[23] 이처럼 폴란드의 유대인 거주 구역(게토)에서의 비참한 상황과 동부 전선에서의 참혹한 현실을 직접 목격한 경험은 그들로 하여금 전쟁의 부당함을 절감하게 만들었다. 처음에는 무관심하거나 소극적이었던 태도에서 벗어나, 점차 개인의 신념과 윤리적 기준을 지키는 것을 넘어 직접 행동에 나서야 한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7]

더불어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독일 국방군이 참패하면서 독일의 최종적인 패배가 가까워졌음을 예감하게 되었고, 이는 나치 정권에 대한 저항 의지를 더욱 굳건히 하는 계기가 되었다.

5. 활동과 전단

백장미단은 결성 후 총 6종류의 전단을 작성하여 뮌헨 대학교를 중심으로 배포했다. 이들은 전단을 통해 제2차 세계 대전의 잔혹함과 비인간적인 나치즘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관용과 정의에 기반한 유럽 연합을 주장했다.

동부 전선에서의 참전 경험과 폴란드, 소련에서의 대량 학살을 목격한 한스 숄과 알렉산더 슈모렐은 행동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1942년 6월 말부터 7월 중순까지 이들은 첫 네 개의 전단을 작성했다. 전단에는 성경, 아리스토텔레스, 노발리스뿐만 아니라, 독일 부르주아 계층에게 친숙한 괴테실러의 글이 광범위하게 인용되었다. 이를 통해 독일 지식인들에게 호소하여 나치즘에 대한 저항 의식을 일깨우고자 했다. 제작된 전단은 공중전화 부스의 전화번호부에 놓이거나, 교수와 학생들에게 우편으로 발송되었으며, 다른 대학으로 퍼뜨리기 위해 택배로 보내지기도 했다.[7]

1942년 7월 23일부터 10월 30일까지 빌리 그라프, 한스 숄, 알렉산더 슈모렐은 다시 동부 전선에서 복무하게 되어 활동이 잠시 중단되었다. 그들이 돌아온 1942년 가을, 조피 숄은 오빠 한스가 전단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그룹에 합류했다. 곧이어 빌리 그라프가 정식으로 합류했고, 1942년 12월 말에는 쿠르트 후버 교수가 백장미단의 일원이 되었다.[9]

1943년 1월, 다섯 번째 전단인 ''"모든 독일인에게 보내는 호소!"''(Aufruf an alle Deutsche!de)가 수동 복제기를 이용해 6,000부에서 9,000부가량 제작되었다. 그룹 멤버와 지지자들은 1943년 1월 27일부터 29일까지 자르브뤼켄, 슈투트가르트, 쾰른, , 프라이부르크, 켐니츠, 함부르크, 인스브루크, 베를린 등 여러 도시에 전단을 전달하고 우편으로 발송했다. 조피 숄은 게슈타포 심문에서 1942년 여름부터 백장미단의 목표가 더 넓은 대중에게 다가가는 것이었다고 진술했다. 이에 따라 다섯 번째 전단부터는 그룹의 이름이 '백장미단'에서 '독일 저항 운동'으로 바뀌었고, 문체 또한 지식인 중심의 논리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더욱 직접적이고 선동적인 어조로 변화했다.[26] 학생들은 군 복무 중 전쟁에서 독일이 패배할 것이라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전단에는 ''"히틀러는 전쟁에서 이길 수 없고, 단지 연장할 수 있을 뿐이다."''(Hitler kann den Krieg nicht gewinnen, nur noch verlängern.de)라는 문구를 통해 현실을 직시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민족 사회주의적 비인간주의", 제국주의, 프로이센 군국주의를 영원히 포기할 것을 호소하며, 독자들에게 "언론의 자유, 종교의 자유, 범죄 독재 국가의 임의적인 행동으로부터 개별 시민을 보호하기 위한" 투쟁에서 "저항 운동을 지원하라"고 촉구했다. 이러한 원칙들이 "새로운 유럽의 기초"를 형성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1943년 1월 말,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제6군이 항복하며 나치 독일은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 이 사건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독일 점령 하 유럽 전역의 저항 운동에 큰 영감을 주었다. 동시에 독일 국민의 사기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1943년 1월 13일에는 뮌헨 대학교에서 나치당의 가울라이터인 파울 기슬러가 군 복무를 하지 않는 남학생들을 비난하고 여학생들에게 모욕적인 발언을 하여 학생들의 거센 반발을 사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백장미단 구성원들은 더욱 고무되었다. 스탈린그라드에서의 패배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자, 그들은 여섯 번째이자 마지막 전단을 배포했다. 쿠르트 후버가 초안을 작성하고 한스 숄과 알렉산더 슈모렐이 수정한 이 전단은 이전보다 더 애국적인 어조를 띠었다. ''"동료 학생들에게!"''(Kommilitoninnen! Kommilitonen!de)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는 이 전단은 "우리 민족이 겪어온 가장 경멸스러운 폭군"에 대한 "심판의 날"이 왔음을 선언하며, ''"스탈린그라드의 죽은 자들이 우리에게 호소한다!"''고 외쳤다.[27]

전단 살포 외에도 백장미단은 직접적인 행동에 나섰다. 1943년 2월 3일, 8일, 15일에 알렉산더 슈모렐, 한스 숄, 빌리 그라프는 스텐실을 사용하여 "히틀러 타도"와 "자유"(Freiheitde)와 같은 구호를 뮌헨의 대학교와 다른 건물 벽에 썼다.[9]

백장미단의 전단에는 나치 정권의 부도덕성과 폭력성을 고발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첫 번째 전단에서는 ''"요즘 모든 정직한 독일인이 자신의 정부를 부끄러워하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까? 우리 중 누가 눈에서 베일이 벗겨지고 모든 인간의 척도를 훨씬 뛰어넘는 가장 끔찍한 범죄가 세상에 드러날 때 우리와 우리 자녀에게 닥칠 수치심의 크기에 대해 전혀 인식하고 있습니까?"''라고 물으며 독일 사회의 양심에 호소했다. 두 번째 전단에서는 폴란드에서의 유대인 학살을 언급하며 ''"폴란드를 점령한 이래 30만 명의 유대인들이 이 나라에서 가장 잔혹한 방식으로 살해되었습니다... 독일 국민은 둔하고 어리석은 잠에 빠져 파시스트 범죄자들을 격려하고 방조합니다. 각자는 죄에서 벗어나고 싶어하고, 각자는 가장 평온하고 차분한 양심으로 자신의 길을 계속합니다. 그러나 그는 면책될 수 없습니다. 그는 죄인입니다, 죄인입니다, 죄인입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세 번째 전단에서는 ''"권력을 잡은 자들이 당신의 권리의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공개적으로 그리고 비밀리에 한 단계씩 당신을 강탈하도록 왜 허용합니까? 언젠가는 아무것도, 아무것도 남지 않을 때까지 범죄자와 술꾼이 주재하는 기계화된 국가 시스템만 남을 것입니다. 당신의 정신이 학대에 의해 이미 너무 짓눌려서 이 시스템을 제거하는 것이 당신의 권리, 아니 오히려 당신의 도덕적 의무라는 것을 잊어버렸습니까?"''라며 시민들의 저항을 촉구했다.

백장미단 구성원들은 대부분 뮌헨 대학교 학생들이었으며, 한스 숄과 그의 여동생 조피 숄을 중심으로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빌리 그라프, 알렉산더 슈모렐, 그리고 쿠르트 후버 교수가 활동에 참여했다. 학생 멤버 다수는 프랑스 침공과 동부 전선에 참전했던 독일 국방군 귀환병 출신이었다. 이들은 독일 청년 운동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한스 숄과 프롭스트는 해당 운동의 구성원이기도 했다. 폴란드 내 유대인 게토의 참상과 동부 전선에서의 잔혹 행위를 직접 목격하면서 전쟁의 부당함을 깨달았고,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의 패배를 보며 독일의 패망을 예감했다. 그들은 나치의 유럽 지배를 거부하고 기독교적 관용과 정의를 신봉했다. 전단에 성경, 노자, 아리스토텔레스, 노발리스, 괴테, 실러 등의 사상을 인용한 것은 당시 독일 지식인 계층의 특징을 보여준다. 초기 전단은 주로 바이에른 주와 오스트리아 등 남부 독일 지역에 배포되었는데, 이는 반전체주의 메시지가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남부 지역에서 더 효과적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전단은 평이한 독일어로 작성되어, 백장미단이 특정 계층이 아닌 독일 국민 전체에게 호소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6. 체포, 게슈타포 심문 및 재판

1943년 2월 18일 한스 숄조피 숄이 체포된 뮌헨 대학교 본관의 아트리움


야코프 슈미트 (1947년 2월)


1943년 2월 18일 오전 11시경, 한스 숄조피 숄 남매는 뮌헨 대학교 중앙 건물에서 여섯 번째 전단을 배포하다가 대학교 관리인이자 나치당원이었던 야코프 슈미트에게 발각되었다.[28] 슈미트는 즉시 게슈타포에 신고했고, 대학교 정문이 봉쇄되면서 숄 남매는 현장에서 체포되었다.[29] 이 날은 공교롭게도 요제프 괴벨스총력전 연설이 있었던 날이다. 체포 당시 한스 숄은 크리스토프 프롭스트가 작성한 일곱 번째 전단 초안을 소지하고 있었다. 그는 증거를 없애기 위해 초안을 찢어 삼키려 했으나, 게슈타포는 상당 부분을 회수하여 프롭스트의 필적과 대조하는 데 성공했다.[30] 이로 인해 크리스토프 프롭스트는 2월 20일에 체포되었다.

게슈타포의 주 수사관 로베르트 모어는 처음에는 조피 숄이 결백하다고 생각했으나, 한스 숄이 자백하자 조피는 다른 백장미단 구성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책임을 자신에게 돌렸다. 남아있는 심문 기록을 통해 숄 남매가 프롭스트를 보호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뮌헨 법원 253호실에 있는 백장미단 기념비. 이곳에서 첫 재판이 열렸다.


숄 남매와 프롭스트에 대한 사형 선고문


숄 남매와 프롭스트는 체포된 지 불과 나흘 뒤인 1943년 2월 22일, 악명 높은 나치의 인민재판소(Volksgerichtshof)에서 재판을 받았다. 이 재판소는 법적 절차보다는 나치 이념에 따라 판결을 내리는 정치 재판으로 악명이 높았으며, 사형 선고가 빈번했다. 재판장 롤란트 프라이슬러는 세 사람에게 반역죄 혐의로 유죄를 선고하고 사형을 언도했다. 변호인은 "인간이 이와 같은 뻔뻔한 행위를 하다니 믿기 어렵다. 따라서 피고인들은 인간 이하의 쓰레기다. 어떤 판결이 내려지든 반론할 입장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사실상 변호를 포기했다. 판결문은 그들이 "전시 상황에서 전단을 통해 전쟁 노력과 무기 생산에 대한 사보타주를 요구하고 국민의 국가 사회주의적 삶의 방식 전복을 요구하며, 패배주의적 사상을 전파하고, 지도자를 매우 저속하게 비방함으로써 제국의 적을 돕고 국가의 무장 안보를 약화시켰다"고 명시했다.

세 사람은 판결 당일 뮌헨의 슈타델하임 교도소에서 기요틴으로 처형되었다. 조피 숄(당시 21세)이 가장 먼저, 이어서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마지막으로 한스 숄 순서로 형이 집행되었다. 조피와 크리스토프는 침묵 속에 죽음을 맞이했으나, 한스는 처형 직전 "Es lebe die Freiheit!|에스 레베 디 프라이하이트!de" (자유 만세!)라고 외쳤다. 한스 숄은 처형 전 감방 벽에 괴테의 시 구절 "Allen Gewalten Zum Trutz sich erhalten|알렌 게발텐 춤 트로츠 지히 에어할텐de" (모든 폭력에 굴하지 않고 자신을 지켜라)을 연필로 적었다고 전해진다.[61] 전후 독일에서 인민재판소의 판결은 불법으로 규정되었으며, 이들의 처형은 오늘날 사법 살인으로 간주된다.[8]

한편, 빌리 그라프는 숄 남매가 체포된 1943년 2월 18일에 이미 체포되었고, 알렉산더 슈모렐은 스위스로의 탈출 시도가 실패한 후 뮌헨으로 돌아왔다가 2월 24일에 체포되었다. 쿠르트 후버 교수는 2월 26일에 체포되었으며, 게슈타포는 이때서야 그의 역할을 파악했다.[9]

1943년 4월 19일, 두 번째 백장미단 재판이 열렸다. 이 재판에서는 한스 히르젤, 수잔네 히르젤, 프란츠 요제프 뮐러, 하인리히 구터, 오이겐 그리밍거, 오토 아이허, 테오도어 헤커, 빌리 그라프, 안넬리제 그라프, 하인리히 볼린저, 헬무트 바우어, 팔크 하르나크 등이 기소되었으며, 재판 직전에 트라우테 라프렌츠, 기젤라 셰틀링, 카타리나 쉴데코프가 추가되었다.[4] 이 재판에서 빌리 그라프, 쿠르트 후버, 알렉산더 슈모렐은 사형을 선고받았다. 다른 11명은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팔크 하르나크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29] 슈모렐과 후버는 1943년 7월 13일에 처형되었다. 빌리 그라프는 약 7개월간 독방에 감금되어 다른 조직원들의 이름을 대라는 고문을 받았으나 끝까지 함구했다. 게슈타포는 그의 가족을 체포하겠다고 협박했지만, 그는 결코 동지들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다. 빌리 그라프는 1943년 10월 12일에 처형되었다.

세 번째 재판은 히틀러의 생일인 1943년 4월 20일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어 7월 13일에 열렸다. 프라이슬러 판사는 빌헬름 가이어, 하랄트 도른, 요제프 쇤겐, 만프레트 아이케마이어에게 사형을 선고하려 했으나, 증거 부족과 증인 기젤라 셰틀링의 증언 번복 등으로 인해 요제프 쇤겐(징역 6개월)을 제외한 나머지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 4월 19일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던 트라우테 라프렌츠는 다시 체포되어 수감 생활을 하다가 1945년 4월로 예정된 재판 직전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함부르크에서 백장미단 전단을 복사하고 배포했던 한스 콘라트 라이펠트는 1945년 1월 29일에 처형되었다. 그는 유대인 혈통이라는 이유로 1940년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추방되었었다.[31]

백장미단의 학생들은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인민재판소에서 반역죄로 기소된 약 70명의 미성년자 중 일부였다.[32]

7.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및 해외의 반응

스탈린그라드 패배나치 독일 정권과 전쟁 노력에 대한 독일 내 반대를 촉발할 것이라는 백장미단 구성원들의 희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나치 선전은 이 패배를 이용하여 독일 국민들에게 "총력전"을 받아들이도록 촉구했다. 공교롭게도 1943년 2월 18일, 조피 숄과 한스 숄, 빌리 그라프가 체포된 바로 그날, 나치 선전부 장관 요제프 괴벨스는 스포츠 궁전 연설을 통해 총력전을 선포했고, 청중은 열광적인 박수를 보냈다.

숄 남매와 크리스토프 프로브스트가 체포된 직후, 신문들은 알렉산더 슈모렐을 찾는 수배령을 내렸다. 1943년 2월 22일, 뮌헨의 학생들은 소집되어 자신들 중에서 나온 "반역자"들에 대해 공식적으로 항의하는 자리를 가져야 했다. 게슈타포와 나치 관할 당국은 백장미단 구성원들을 "반역자이자 패배론자"로 규정하는 기록을 남겼다. 2월 23일, 나치당 공식 신문인 ''푀르키셔 베오바흐터''와 뮌헨 지역 신문[33]은 일부 "퇴폐 불량배"의 체포와 처형 소식을 간략하게 보도했다.[34] 그러나 백장미단의 친구와 지지자 네트워크는 상당히 넓었기에, 나치 독일 관리들은 백장미단에 대한 소문이 퍼지는 것을 더 이상 막을 수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까지 추가적인 기소가 이루어졌고, 독일 신문들은 더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고 처벌받았다는 사실을 주로 짧게 보도했다. 1943년 3월 15일 자 친위대 산하 보안국 보고서는 전단에 대한 소문이 독일 국민들 사이에 "상당한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특히 사람들이 전단을 발견했을 때 이전처럼 즉시 나치 당국에 제출하지 않는 경향에 대해 우려를 표했다.[35]

백장미단의 활동은 해외에도 알려지기 시작했다. 1943년 4월 18일, ''뉴욕 타임스''는 뮌헨 학생들의 반대 움직임에 대해 보도했다.[36] 이 신문은 1943년 3월 29일과 4월 25일에도 백장미단의 첫 재판에 관한 기사를 실었다.[37] 비록 저항, 재판, 처형에 대한 모든 정보가 정확하게 기록된 것은 아니었지만, 이는 미국에서 백장미단의 존재가 처음으로 알려진 사례였다.

1943년 6월 27일, 독일 작가이자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토마스 만은 BBC의 월간 반나치 방송 ''"Deutsche Hörer!"'' ("독일 청취자들이여!")를 통해 백장미단 구성원들의 용기를 높이 평가했다. 소련군 역시 백장미단의 자유를 위한 투쟁을 기리는 전단을 발행했는데, 이는 나중에 연구자들에 의해 자유 독일 민족위원회의 소행으로 잘못 추정되기도 했다.[38]

백장미단의 여섯 번째 전단 내용은 스칸디나비아를 통해 크라이사우 서클의 일원이자 독일 변호사인 헬무트 야콥 그라프 폰 몰트케에 의해 영국으로 밀반출되었다. 1943년 7월, 이 전단은 "뮌헨 학생들의 선언"이라는 제목으로 연합군 비행기에 의해 독일 상공에 대량으로 살포되었다.[39][40]

이처럼 백장미단의 활동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내외에 널리 알려졌지만, 다른 저항 운동들과 마찬가지로 독일 국민들 사이에서 전체주의 정권에 대한 광범위하고 적극적인 반대를 이끌어내는 데는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들의 행동은 전쟁 마지막 해 동안 개별적이거나 소규모 저항 활동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41]

8. 연구사

수년간 백장미단 연구는 주로 단원들과 지지자들이 제공한 자료에 의존했다. 여기에는 잉게 쇼울이 1952년에 쓴 기념 서적 "백장미",[42] 현존하는 팸플릿 사본, 한스 쇼울과 조피 쇼울[43], 빌리 그라프[44] 등의 편지와 일기, 그리고 단체 활동을 직접 경험한 다른 사람들의 증언이 포함되었다.[7][45]

1990년대 초 소련과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공산주의 체제가 무너지면서, 게슈타포 심문 기록과 나치 당국의 다른 문서들이 공개되기 시작했다. 이 심문 기록들은 인민법정( Volksgerichtshof|폴크스게리히츠호프de ) 문서의 일부였는데, 소련 붉은 군대에 의해 압수되어 모스크바로 옮겨졌다. 이 문서들은 모스크바의 특별 보관소에 비밀리에 보관되었다. 이후 독일 민주 공화국이 건국되면서, 러시아 태생인 알렉산더 슈모렐 관련 문서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치 문서가 동독 정부로 넘어갔다. 이 문서들은 공산당인 독일 사회주의 통일당의 중앙 문서 보관소와 국가안보부의 문서 보관소에 나뉘어 보관되었다.

독일의 재통일 이후, 이 문서들은 베를린의 독일 연방 문서 보관소로 이관되어 마침내 일반에 공개되었다. 다만, 알렉산더 슈모렐에 관한 문서는 여전히 러시아 국립 군사 문서 보관소에 남아 있지만, 독일어와 러시아어로 번역되어 완전히 출판되었다.[46]

9. 기념 및 유산

뮌헨 호프가르텐에 있는 백장미단 기념 검은색 화강암 기념비


''"게슈비스터-숄 광장"'' – 숄 남매 광장, 독일 뮌헨 대학교 본관 밖


나치 독일이 몰락한 후, 백장미단은 독일 사회에서 폭정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개인적인 영달이나 권력욕 없이 순수한 동기로 행동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47][48][49] 백장미단의 이야기가 널리 알려지면서, 작곡가 카를 오르프가 연합군 심문 과정에서 자신이 백장미단의 창립 멤버라고 (일부 설명에 따르면 거짓으로) 주장하여 석방되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47][48][49] 오르프는 쿠르트 후버 교수와 개인적인 친분은 있었지만, 백장미단 운동에 직접 관여했다는 증거는 없다. 일부 기록에 따르면 오르프는 후버 교수가 체포되자 그와의 관계를 부인했다고도 한다.[62][63]

백장미단 단원들의 희생은 이후 여러 방식으로 기려졌다. 2012년 2월 5일, 알렉산더 슈모렐은 동방 정교회에 의해 새로운 순교자로 시성되었다.

뮌헨 대학교의 중앙 홀 앞 광장은 한스 숄조피 숄 남매의 이름을 따 "게슈비스터-숄 광장"(Geschwister-Scholl-Platz, 숄 남매 광장)으로 명명되었고, 그 맞은편 광장은 "프로페서-후버-광장"(Professor-Huber-Platz, 후버 교수 광장)으로 이름 붙여졌다. 대학교 정문 앞 루드비히슈트라세 양쪽에는 두 개의 큰 분수가 있는데, 하나는 숄 남매에게, 길 건너편의 다른 하나는 후버 교수에게 헌정되었다. 뮌헨뿐만 아니라 독일 전역의 많은 학교, 거리, 광장 등이 백장미단 구성원들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특히 독일 학교 이름 중 가장 흔한 것 중 하나가 "게슈비스터-숄-슐레"(숄 남매 학교)이다.

프랑스 파리 17구에 있는 한 중학교(collège La Rose Blanche)도 백장미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50] 인근 공원에는 한스 숄과 조피 숄을 기리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51]

독일의 주요 문학상 중 하나인 게슈비스터-숄-프라이스(Geschwister-Scholl-Preis, 숄 남매 상)는 1980년 바이에른주 출판 협회와 뮌헨시가 제정하여, 숄 남매가 추구했던 자유, 시민 정신, 도덕적 및 지적 용기와 관련된 뛰어난 출판물을 매년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다. 또한 소행성 7571 바이세 로제는 백장미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2년에는 뮌헨의 연방군 의과대학 강당이 한스 숄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52] 2019년에는 크리스토프 프롭스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연방군의 공동 의무 지원단이 뮌헨 북쪽의 막사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53]

한편, 백장미단 단원들을 재판했던 인민법정의 판사 롤란트 프라이슬러는 1945년 2월 3일 미군의 베를린 공습으로 사망했다. 숄 남매를 체포하는 데 기여했던 뮌헨 대학교 직원 야코프 슈미트는 포상금 3000DEM를 받고 승진했으나, 독일 패전 후 미군에 의해 체포되어 5년 형을 선고받고 공직에서 추방되었다. 슈미트는 복역 중 자신의 행동이 정당한 직무 수행이었다고 주장하며 두 차례 사면을 요청했으나 거부되었고, 1951년 만기 출소했다.

백장미단의 마지막 생존자였던 트라우테 라프렌츠는 재판 직전인 1945년 4월, 수용소가 연합군에 의해 해방되면서 목숨을 건졌다. 전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의사가 되었으며, 2019년 5월 3일 100세 생일을 맞아 백장미단 활동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다.[54] 그녀는 2023년 3월 6일 향년 103세로 사망하여,[55] 백장미단 단원 모두가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64]

2021년에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백장미"라는 이름을 도용한 음모론 단체가 등장했다. 이들은 COVID-19 관련 봉쇄 조치나 백신 접종 등 방역 정책에 반대하며, 자신들의 활동을 나치에 저항했던 본래 백장미단의 비폭력 저항에 비유하려 했다. 이들은 정부가 전체주의적 통제를 하려 한다는 거짓 주장을 퍼뜨렸다.[56][57][58] 이들은 방역 조치 반대 스티커에 "백장미" 이름과 텔레그램 그룹 주소를 적어 공공장소에 붙이는 방식으로 활동했는데, 이는 과거 백장미단이 전단을 배포한 방식과 표면적으로 유사해 보였다. 그러나 인터넷을 활용하여 독일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허위 정보를 퍼뜨리고 조직원을 모았다는 점에서 활동 방식과 범위는 크게 달랐다.[59][60][58][57] 이 음모론 단체는 이름 외에는 본래의 백장미단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마지막 생존자였던 트라우테 라프렌츠나 다른 단원들의 유족 누구도 이들의 활동에 참여하거나 이름 도용에 대해 공개적으로 언급한 바 없다.[57]

또한 2021년 5월 9일, 조피 숄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독일 남서독일방송(SWR)과 바이에른 방송(BR)은 그녀의 삶과 활동을 극화한 프로그램을 공동 제작하여 방송했다. 이와 함께 개설된 인스타그램 계정(@ichbinsophiescholl)은 많은 팔로워를 모으며 큰 관심을 받았다.[65]

참조

[1] 웹사이트 1942/43: The White Rose Resistance Group http://www.en.uni-mu[...]
[2] 서적 Merchants of Despair https://www.google.c[...] Encounter Books
[3] 웹사이트 The Newsletter of the Center for White Rose Studies: Roses at Noon. http://white-rose-st[...] 2011-12-17
[4] 웹사이트 George Wittenstein biography and links http://www.history.u[...]
[5] 웹사이트 The History Place – Points of View: Memories of The White Rose – Part Four http://www.historypl[...]
[6] 서적 Streiflichter aus dem Hamburger Widerstand. 1933–1945. Röderberg-Verlag 1969
[7] 웹사이트 The History Place – Points of View: Memories of The White Rose – Part One http://www.historypl[...]
[8] 간행물 "The Volksgerichtshof was an instrument of state-sanctioned terror, which served one single purpose, which was the destruction of political opponents. Behind a juridical facade, state-sanctioned murder was committed." http://dip21.bundest[...] German Bundestag 1985-01-25
[9] 서적 The White Rose: Munich, 1942–1943
[10] 웹사이트 The White Rose Revolt & Resistance www.HolocaustResearchProject.org http://www.holocaust[...]
[11] 간행물 Hans Scholl zwischen Hitlerjugend und dj.1.11 – Die Ulmer Trabanten Verlag der Jugendbewegung
[12] 서적 Nationalism and Sexualit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3] 서적 At the Heart of the White Rose: Letters and Diaries of Hans and Sophie Scholl Harper & Row
[14] 웹사이트 Learning from the White Rose https://www.firstthi[...] 2023-02-06
[15] 서적 The Nazi Doctors: Medical Killing and the Psychology of Genocide Basic Books
[16] 웹사이트 The White Rose http://www.shoaheduc[...] Shoah Education Project Web
[17] 서적 The White Rose: Munich, 1942–1943 Students Against Tyranny
[18] 서적 At the Heart of the White Rose: Letters and Diaries of Hans and Sophie Scholl Harper & Row
[19] 서적 At the Heart of the White Rose: Letters and Diaries of Hans and Sophie Scholl Harper & Row
[20] 서적 Willi Graf – Briefe und Aufzeichnungen. – Letters and [diary] records Fischer Verlag
[21] 서적 Die "Weiße Rose". Von der Front in den Widerstand. – The "White Rose". From the front to resistance. Aufbau Taschenbuch Verlag
[22] 웹사이트 The White Rose http://www.holocaust[...] 2023-02-06
[23] 서적 Willi Graf – Briefe und Aufzeichnungen Fischer Verlag
[24] 서적 Sophie Scholl & The White Rose One world Publications
[25] 웹사이트 Solving Mysteries: The Secret of "The White Rose" http://www.judnewbor[...] 2023-12-27
[26] 웹사이트 Interrogation Protocols of Sophie Scholl http://www.bpb.de/th[...]
[27] 웹사이트 The White Rose – A Lesson in Dissent https://www.jewishvi[...]
[28] 문서 Gestapo Interrogation Transcripts: Willi Graf, Alexander Schmorell, Hans Scholl, and Sophie Scholl
[29] 서적 A noble treason : the story of Sophie Scholl and the White Rose Revolt against Hitler https://www.worldcat[...] 2012
[30] 문서 2006
[31] 간행물 "Es lebe die Freiheit!" Die Geschichte der Weißen Rose und ihrer Mitglieder in Dokumenten und Berichten – "Let Freedom live! – The history of the White Rose and its members in documents and reports Fischer Verlag
[32] 논문 Faces of Opposition: Juvenile Resistance, High Treason, and the People's Court in Nazi Germany 2013-Autumn
[33] 뉴스 Münchner Neueste Nachrichten 1943-02-23
[34] 서적 Against All Odds: Models of Subversive Spaces in National Socialist Germany. Peter Lang Publishers
[35] 서적 Meldungen aus dem Reich. Die geheimen Lageberichte des Sicherheitsdiensts der SS 1938–1945 = Reports from the Reich – The secret reports of the SS Sicherheitsdienst 1938–1945 Pawlak Verlag
[36] 웹사이트 SIGNS OF STRAIN SEEN IN GERMAN POPULACE https://www.nytimes.[...] 1943-04-13
[37] 뉴스 Nazis Execute 3 Munich Students For Writing Anti-Hitler Pamphlets https://query.nytime[...] 1943-03-29
[38] 문서 '"Senkt die Fahnen über frischen Gräbern deutscher Freiheitskämpfer! – Lower your banners to honor German freedom fighters\' graves!"' State Library of Berlin Collection of Manuscripts
[39] 웹사이트 G.39, Ein deutsches Flugblatt http://www.psywar.or[...] 2013-12-24
[40] 뉴스 White Rose: The Germans who tried to topple Hitler https://www.bbc.com/[...] 2013-02-22
[41] 웹사이트 Memorial to the German Resistance https://www.visitber[...]
[42] 서적 The White Rose: Munich, 1942–1943
[43] 서적 At the Heart of the White Rose: Letters and Diaries of Hans and Sophie Scholl Harper & Row 1987
[44] 서적 Willi Graf – Briefe und Aufzeichnungen – Letters and [diary] records Fischer Verlag 1994
[45] 서적 innenseiten des kriegs – the inside of war Fischer Verlag, Berlin 1998
[46] 서적 Alexander Schmorell. Gestapo-Verhörprotokolle Februar–März 1943. – Gestapo interrogation protocols February–March 1943 Dimur-Verlag, Orenburg 2005
[47] 웹사이트 Thursby on Painter, 'Symphonic Aspirations: German Music and Politics, 1900–1945' https://networks.h-n[...] 2010
[48] 웹사이트 H-German – H-Net http://www.h-net.org[...]
[49] 뉴스 Secret of the White Rose https://www.theguard[...] 2009-01-01
[50] 웹사이트 Accueil https://www.ac-paris[...]
[51] 웹사이트 Jardin Hans et Sophie Scholl https://www.paris.fr[...]
[52] 웹사이트 Gedenkveranstaltung "Weiße Rose und der militärische Widerstand gegen das NS Regime" https://wehrmed.de/f[...] Wehrmedizin und Wehrpharmazie
[53] 웹사이트 Einzigartiger Name für Garchinger Kaserne https://www.merkur.d[...] Münchner Merkur 2018-10-08
[54] 웹사이트 Last surviving member of the White Rose, received the Cross of the Order of Merit First Class on her 100th birthday https://www.alabamag[...] 2019-05-06
[55] 웹사이트 Traute Page Obituary (1919–2023) https://www.legacy.c[...]
[56] 웹사이트 Anger at anti-vax and conspiracy misinformation stickers spotted in Bedford https://www.bedfordi[...] 2021-05-06
[57] 웹사이트 Anti-vaxxers have stolen an anti-Nazi group's identity https://forward.com/[...] 2021-08-25
[58] 웹사이트 Inside the White Rose: the extremist groups looking to capitalise on Covid paranoia https://www.skeptic.[...] 2021-09-06
[59] 웹사이트 Ebay allowing conspiracy theorists to sell stickers spreading misinformation about Covid jab https://inews.co.uk/[...] 2021-12-27
[60] 문서 詩の全文は、»Feiger Gedanken/ Bängliches Schwanken,/ Weibisches Zagen,/ Ängstliches Klagen/ Wendet kein Elend,/ Macht dich nicht frei.// Allen Gewalten/ Zum Trutz sich erhalten,/ Nimmer sich beugen,/ Kräftig sich zeigen,/ Rufet die Arme/ Der Götter herbei.≪ Gedichte fürs Gedächtnis zum Inwendig-Lernen und Auswendig-Sagen
[61] 웹사이트 Dark heart of a masterpiece: Carmina Burana's famous chorus hides a murky Nazi past https://web.archive.[...] The Independent 2008-12-04
[62] 웹사이트 Carl Orff, the composer who lived a monstrous lie https://web.archive.[...] Times Online 2008-12-19
[63] 뉴스 Widerstandskampf: Letzte Überlebende der Weißen Rose ist tot https://www.abendbla[...] 2023-03-23
[64] 서적 Auf gut Deutsch! 2023 Athesia Kalenderverlag 2023-12-12
[65] 문서 Duden : ''Auf gut Deutsch!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