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턴 말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턴 말킬은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투자 이론가로,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및 MBA 학위를,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뱅가드 그룹 이사, 예일 경영대학원 학장, 웰스프론트 최고 투자 책임자 등을 역임했으며, 저서 ''월스트리트의 랜덤 워크''를 통해 랜덤 워크 이론을 널리 알렸다. 말킬은 펀더멘털 분석과 심리적 요소를 중시하는 투자 학파, 기술적 분석을 비판하며, 성공적인 주식 투자를 위한 3가지 규칙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융경제학자 - 아모스 트버스키
아모스 트버스키는 인지 편향 연구를 통해 인지과학과 행동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이스라엘의 인지심리학자이자 수리심리학자이다. - 금융경제학자 - 대니얼 카너먼
대니얼 카너먼은 1934년 텔아비브에서 태어난 심리학자이자 행동 경제학자로, 판단과 의사 결정에 대한 연구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 3월에 사망했다. - 미국의 경제학자 - 허먼 데일리
허먼 데일리는 정상 상태 경제 이론의 선구자이자 지속 가능한 경제 후생 지수(ISEW) 개발에 기여한 경제학자로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경제학자 - 한스헤르만 호페
한스-헤르만 호페는 독일 출신의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 극단적인 자유지상주의와 무정부 자본주의를 주장하며, 민주주의 비판과 사유 재산 중심의 이념 제시, 극단적인 이민 제한 주장 등으로 논란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조지 W. 부시
조지 W. 부시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텍사스 주지사를 거쳐 제43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감세 정책과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응으로 논란을 겪었다. - 하버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 - 이한빈 (1926년)
대한민국의 관료, 교육자, 학자 이한빈은 서울대 영문과 졸업 후 하버드 MBA를 취득하고 재무부 예산국장, 차관, 주스위스 대사, 숭전대학교 총장, 아주공과대학 학장,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하며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교수, 인간개발연구원 회장으로 활동했고, 「행정학원론」, 「사회변동과 행정」 등의 저서를 남겼다.
버턴 말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버튼 고든 말킬 |
원어 이름 | Burton Gordon Malkiel |
출생일 | 1932년 8월 28일 |
국적 | 미국 |
직업 | 경제학자, 작가 |
학력 | |
학교 | 보스턴 라틴 학교 |
학위 | 하버드 대학교 (BA, MBA) 프린스턴 대학교 (PhD) |
경력 | |
직책 |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부 학장 |
소속 | |
소속 기관 | 프린스턴 대학교 |
2. 생애 및 경력
버턴 말킬은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와 MBA를,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6] 이후 학계, 공직, 금융계를 넘나들며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부 학부장, 예일 경영대학원 학부장, 대통령 경제 자문 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으며,[9] 뱅가드 그룹 이사로 28년간 재직하기도 했다.[9] 현재는 투자 관리 회사 리서치 어필리에이츠의 자문 위원[5] 및 금융 자문사 웰스프론트의 최고 투자 책임자(CIO)로 활동하고 있다.[9]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1949년 보스턴 라틴 스쿨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1953년)와 경영학 석사(MBA) 학위(1955년)를 받았다. 이후 "금융 시장 구조의 문제"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 논문을 제출하여 1964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6]1954년 첫 번째 부인인 주디스 애서턴 말키엘과 결혼하여 아들 조나단을 두었다. 주디스 말키엘이 1987년 사망한 후, 1988년 낸시 바이스 말키엘(1987년부터 2011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 학장 역임)과 재혼했다. 1955년부터 1958년까지는 미국 육군에서 중위로 복무했다.
학위 취득 후 학계와 공직, 금융계를 오가며 활동했다.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부 학부장(1974년~1975년, 1977년~1981년), 대통령 경제 자문 위원회 위원(1975년~1977년), 예일 경영대학원 학부장(1981년~1988년)을 역임했다. 또한 아메리카 증권 거래소 이사와 뱅가드 그룹 이사(28년간 재직)로 활동했으며, 로버트 D. 아노트의 투자 관리 회사인 리서치 어필리에이츠의 자문 위원회 위원으로도 참여했다.[9] 현재는 소프트웨어 기반 금융 자문사인 웰스프론트(Wealthfront)의 최고 투자 책임자(CIO)를 맡고 있다.[9]
말키엘은 수학적, 통계적 분석을 카지노 게임과 경마 베팅에 적용하는 것을 취미로 삼고 있다.[5]
2. 2. 주요 경력
말키엘은 1949년 보스턴 라틴 스쿨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1953년)와 경영학 석사(MBA, 1955년)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55년부터 1958년까지 미국 육군에서 중위로 복무했다. 학계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 1964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금융 시장의 구조 문제"라는 논문으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6]그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직책 | 소속 기관 |
---|---|---|
1974년 ~ 1975년 | 경제학부 학부장 | 프린스턴 대학교 |
1975년 ~ 1977년 | 위원 | 대통령 경제자문위원회 |
1977년 ~ 1981년 | 경제학부 학부장 | 프린스턴 대학교 |
1981년 ~ 1988년 | 학부장 | 예일 경영대학원 |
(재직 기간 미상) | 이사 | 아메리카 증권 거래소 |
(28년간 재직) | 이사 | 뱅가드 그룹 |
(현재) | 자문 위원 | 리서치 어필리에이츠[5] |
(현재) | 최고 투자 책임자(CIO) | 웰스프론트[9] |
2. 3. 개인사
1949년 보스턴 라틴 스쿨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1953)와 MBA 학위(1955)를 받았다. 처음에는 비즈니스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했으나, 학문적인 경제학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 1964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금융 시장 구조의 문제"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6]1954년 첫 번째 부인 주디스 애서턴 말키엘과 결혼하여 아들 조나단을 두었다. 1987년 주디스가 사망한 후, 이듬해인 1988년 낸시 바이스 말키엘과 재혼했다. 낸시 바이스 말키엘은 1987년부터 2011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 학장을 지냈다. 또한 말키엘은 1955년부터 1958년까지 미국 육군에서 중위로 복무한 경력이 있다.
현재 로버트 D. 아노트의 투자 관리 회사인 리서치 어필리에이츠의 자문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의 취미는 수학적, 통계적 분석을 적용하는 카지노 게임과 경마 베팅이다.[5]
3. 투자 철학
버턴 말킬은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서 학문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제 투자 세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자신만의 투자 철학을 구축했다.
그는 여러 저서를 통해 투자 이론을 대중에게 알렸으며,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대표적인 예로 1977년 ''Journal of Finance''에 발표한 "폐쇄형 투자 회사 주식의 가치 평가" 논문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폐쇄형 펀드가 실제 보유 자산의 순가치(Net Asset Value, NAV)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현상, 즉 '폐쇄형 펀드 퍼즐'에 대해 분석하며 시장 가격과 본질 가치 사이의 괴리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말킬의 투자 철학은 그의 다양한 경험에 기반한다. 그는 월가의 투자 은행에서 증권 분석가로 일했으며, 대규모 자산을 운용하는 보험 회사의 재무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이러한 실무 경험은 그에게 시장의 작동 방식과 투자자들의 심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했다. 동시에 그는 경제학자로서 이론적 분석 능력을 갖추었고, 개인 투자자의 관점에서 실제 투자 결정에 대한 고민을 더했다.
그의 투자 철학은 실제 투자 자문 활동에도 반영되었다. 그는 세계 최대 규모의 뮤추얼 펀드 회사 중 하나인 뱅가드 그룹의 이사로 28년간 활동하며 장기 투자와 분산 투자를 강조하는 뱅가드의 철학에 기여했다.[7] 2005년 이사직에서 은퇴한 후에도 뱅가드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의 대표 저서인 ''월스트리트의 랜덤 워크''에서도 뱅가드를 자주 언급한다.[7] 또한, 2008년에 설립되어 100억달러 이상의 자산을 운용하는 자동 투자 자문 서비스 Wealthfront의 최고 투자 책임자(CIO)를 맡아, 저비용 분산 투자를 통한 자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8]
말킬은 증권 분석의 주요 학파들의 이론과 과거 시장의 역사적 사례, 다양한 분석 기법들을 깊이 있게 고찰한 후, 주식 투자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을 제시했다. 그의 투자 철학은 시장 예측의 어려움을 인정하는 랜덤 워크 이론, 전통적인 투자 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역사적 버블 사례 분석을 통한 투자 심리의 중요성 강조, 그리고 궁극적으로 합리적인 주식 투자 원칙 수립으로 이어진다.
3. 1. 랜덤 워크 이론
랜덤 워크 이론은 "과거의 움직임으로부터 사물의 미래 움직임이나 방향성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개념을 의미한다. 이를 주식 시장에 적용하면, 주가가 단기적으로 어느 방향으로 변화할지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는 뜻이 된다. 극단적인 비유로, 눈을 가린 원숭이에게 신문의 시세란을 향해 다트를 던지게 하여 선택한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더라도, 전문가가 주의 깊게 선택한 포트폴리오와 비교했을 때 운용 성과에서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3. 2. 2대 투자 학파 비판
투자의 세계에는 크게 두 가지 주요한 생각의 흐름, 즉 학파가 존재한다.첫 번째는 펀더멘털 가치 학파(Firm-Foundation Theory)이다. 이 학파는 투자 대상에는 '펀더멘털(본질) 가치'라고 불리는 절대적인 가치가 있으며, 현재 상황을 분석하고 미래를 신중하게 예측함으로써 이 가치를 추정할 수 있다고 본다. 자산의 시장 가격이 이 펀더멘털 가치보다 낮으면 매수 기회로, 높으면 매도 기회로 판단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시장은 결국 효율적으로 움직이며, 일시적으로 가격이 잘못 매겨진 상태(저평가 또는 고평가)는 시간이 지나면 제자리를 찾아간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생각은 경제학자들뿐만 아니라, 그레이엄과 도드의 저서 "증권 분석"의 영향으로 한 세대 동안 월가의 증권 분석가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이 이론을 바탕으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인물로는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워렌 버핏이 있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증권 분석가들이 주식의 펀더멘털 가치를 추정하는 데 힘쓰고 있다.
두 번째는 모래성 이론(Castles-in-the-Air Theory)이다. 이 학파는 투자자의 심리적 요인과 군중 심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경제학자 케인스는 이 이론의 핵심을 "전문 투자자는 자산의 본질 가치를 찾는 데 에너지를 쏟는 것이 아니라, 다른 투자자들이 미래에 어떻게 행동할지, 그리고 강세장에서 희망적인 관측이 어떻게 모래성처럼 부풀려지는지를 분석하는 데 집중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이론은 다소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더 멍청한 사람 이론'(greater fool theory)이라고도 불린다. 즉, 어떤 자산의 가격이 본질 가치보다 훨씬 높게 형성되더라도, 나중에 자신보다 '더 멍청한' 사람에게 더 높은 가격으로 팔 수만 있다면 문제가 없다는 생각이다.
3. 3. 역사적 사례 분석
말킬은 투자 심리와 시장의 비합리성을 설명하기 위해 여러 역사적 사례를 분석했다. 그는 특히 군중 심리가 어떻게 자산 가격을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부풀리는지에 주목했는데, 이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 '모래성 이론'이다. 경제학자 케인스는 이 이론의 핵심을 "전문 투자자는 본질 가치를 찾는 것이 아니라, 대중 투자자가 미래에 어떻게 행동할지, 강세장이 지배하는 국면에서 희망적 관측이 어떻게 모래성을 쌓아 올리는지를 분석하는 데 에너지를 쏟는다"라고 표현했다. 이 이론은 때로 "더 멍청한 사람 이론"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자산 가격이 아무리 비싸더라도 자신보다 더 높은 가격에 사줄 사람(더 멍청한 사람)을 찾을 수 있다면 투자가 정당화된다는 심리를 꼬집는 말이다. 말킬은 그의 저서에서 이러한 투자 행태가 어떻게 버블을 형성하는지 보여준다.=== 네덜란드 튤립 버블 ===
1593년, 한 식물학자가 터키에서 네덜란드로 튤립 구근을 들여온 것이 광풍의 시작이었다. 처음에는 희귀하고 비싼 식물이었지만, 점차 네덜란드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특히 '모자이크병'이라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튤립은 독특한 무늬를 만들어냈는데, 네덜란드 사람들은 이를 '비자르'라 부르며 매우 귀하게 여겼다. 아름다운 무늬를 가진 튤립 구근일수록 높은 가격이 매겨졌고, 곧 확실한 돈벌이가 되는 투자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처음에는 신중했던 사람들조차 주변 사람들이 튤립 투자로 막대한 이익을 얻는 것을 보면서 투기에 뛰어들었다. 1634년부터 1637년 사이 버블은 절정에 달했고, 사람들은 토지나 보석 같은 귀중품을 팔아 튤립 구근을 사려고 혈안이 되었다.
그러나 1637년 1월, 구근 가격이 한 달 만에 20배나 폭등하자 불안감이 커지기 시작했다. 일부 투자자들이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튤립을 팔기 시작했고, 이는 연쇄적인 가격 하락을 유발하며 시장을 패닉 상태로 몰아넣었다. 네덜란드 정부가 나서서 가격 하락을 막으려 했지만 소용없었고, 결국 튤립 구근 가격은 폭락하여 휴지 조각이나 다름없게 되었다. 이 버블 붕괴는 네덜란드 경제에 긴 불황을 가져왔으며, 투기 초기에 이익을 보고 빠져나왔던 사람들조차 경제 침체의 여파를 피할 수 없었다.
=== 일본의 버블 경제 ===
1980년대 일본에서는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서 엄청난 버블이 형성되었다. 1955년부터 1990년까지 일본의 평균 지가는 약 75배나 폭등했다. 1990년 당시 일본의 지가 총액은 약 20조달러로 추산되었는데, 이는 전 세계 토지 가치의 20%에 해당하며, 전 세계 주식 시가총액의 두 배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였다.
지가 상승과 더불어 주가 역시 폭등했다. 1955년부터 1990년까지 일본 주가는 100배나 상승했으며, 1989년 최고점에서는 일본 주식 시가총액이 미국 전체의 1.5배, 전 세계 주식 시가총액의 45%를 차지할 정도였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가격 상승의 배경에는 "일본 땅값은 절대 떨어지지 않는다"와 "주가는 항상 오른다"는 근거 없는 믿음, 즉 '신화'가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주가와 지가를 정당화할 만한 경제적 근거는 부족했다. 결국 1989년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을 계기로 버블은 터지기 시작했고, 주가와 지가는 대폭락을 맞이했다. 말킬은 일본의 사례를 통해 투자자들이 어떻게 역사적 교훈과 경제의 기본 원칙(펀더멘털)을 무시하고 "이번에는 다르다"는 착각에 빠져 어리석은 실수를 반복하는지를 지적하고 있다.
3. 4. 성공적인 주식 투자를 위한 3가지 규칙
첫 번째 규칙은 장기적인 이익 성장률이 기대되는 성장주를 찾는 것이다. 성장주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렵지만, 이것이 바로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지속적인 성장은 이익과 배당의 증가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해당 종목의 주가수익률 상승도 가져온다.두 번째 규칙은 주가가 펀더멘털 가치 이상으로 평가된 종목을 매수하지 않는 것이다. 매우 높은 주가수익률이 매겨진 주가에는 이미 성장이 완전히 반영되어 있다. 만약 그러한 상황에서 예상대로 되지 않는다면, 이익 감소와 주가수익률 하락으로 이중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성장주가 과거와 비교하여 현재 어느 정도 평가받고 있는지, 적어도 튤립 광풍 시점에 다다랐는지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세 번째 규칙은 투자자가 "모래 위에 지은 누각"과 같은 스토리를 그릴 수 있는 종목을 찾는 것이다. 주식을 거래하는 사람은 욕망이나 도박 본능, 스스로 내린 시세 판단의 적절성에 대한 희망과 불안에 의해 움직인다. 그러한 심리적 측면에 맞춰, 매수를 검토하고 있는 종목에 대한 스토리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스토리가 펀더멘털에 기반한 것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4. 저서
여러 권의 저서 외에도 그는 "폐쇄형 투자 회사 주식의 가치 평가" (''Journal of Finance'', 1977)와 같은 영향력 있는 논문을 저술했다. 이 논문은 폐쇄형 펀드 회사가 일반적으로 자산의 순가치보다 낮은 시장 가치로 거래되는 이유에 대한 문제를 다루었다.
연도 | 제목 | 공저자 | 출판사 | ISBN |
---|---|---|---|---|
1962년 | "기대, 채권 가격, 그리고 이자율의 기간 구조" |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 ||
1966년 | "이자율의 기간 구조: 기대와 행동 패턴" |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
1969년 | "증권 옵션 시장에서의 전략과 합리적 결정" | 리처드 E. 퀀트 | MIT 프레스 | 0-262-13056-4 |
1973년 | "월 스트리트의 랜덤 워크: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시대를 초월한 전략" | W.W. 노턴 | 0-393-05500-0 | |
1976년 | "불확실한 시대의 위험 관리: 기금 기관 분석" | 폴 B. 퍼스텐버그 | 프린스턴 대학교 | |
1980년 | "인플레이션 제압 투자 가이드: 1980년대를 위한 승리 전략" | W.W. 노턴 | 0-393-01355-3 | |
1982년 | "기대와 주가 구조" | J.G. 크래그 | 시카고 대학교 출판부 | 0-226-11668-9 |
1982년 | "승리 투자 전략" | W.W. 노턴 | 0-393-30031-5 | |
1998년 | "글로벌 헐값 사냥: 신흥 시장에서의 투자자 이익 가이드" | J.P. 메이 | 사이먼 & 슈스터 | 0-684-83518-5 |
1999년 | "더 많은 돈을 벌어라 (더 편히 잠들라): 인덱스 펀드 솔루션" | 리처드 E. 에반스 | 사이먼 & 슈스터 | 0-684-85250-0 |
2003년 | "효율적 시장 가설과 그 비판" | 경제 정책 연구 센터, 프린스턴 대학교 | ||
2003년 | "랜덤 워크 투자 가이드: 재정적 성공을 위한 10가지 규칙" | W.W. 노턴 | 0-393-05854-9 | |
2008년 | "월 스트리트에서 만리장성까지: 투자자들이 중국의 호황 경제에서 이익을 얻는 방법" | 패트리샤 A. 테일러 | W.W. 노턴 | 978-0-393-06478-0 |
2010년 | "투자의 요소" | 찰스 D. 엘리스 | 존 와일리 & 선스 | 978-0-470-52849-5 |
2011년 | "월 스트리트의 랜덤 워크. 새로운 세기를 위한 최고의 투자 전략" | W.W. 노턴 | 978-0-393-32040-4 | |
2019년 | "월스트리트의 랜덤 워크(원제: A Random Walk Down Wall Street)" (12판) | 이데 쇼스케 | 닛케이BP (일본) | 978-4532358235 |
참조
[1]
웹사이트
Print This Article News Malkiel Named CIO of Online, ETF-Only RIA
http://www.indexuniv[...]
Index Universe
2012-11-20
[2]
웹사이트
Professor Burton Malkiel: Why I Joined Rebalance
http://www.rebalance[...]
Rebalance
2013-08-09
[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10-19
[4]
Youtube
Investment Opportunities in China
https://www.youtube.[...]
2007-07-16
[5]
기타
Burton Malkiel: 'I Am Not a Big Fan of ESG Investing'
https://www.mornings[...]
Morningstar: The Long View
2020-08-05
[6]
서적
Problems in the Structure of Financial Markets
https://catalog.prin[...]
1964
[7]
간행물
Burton Malkiel, Vanguard director, takes "random walk" down memory lane
https://personal.van[...]
In The Vanguard
2005-Summer
[8]
웹사이트
Our financial engine is built on brainpower
https://www.wealthfr[...]
2019-04-20
[9]
웹사이트
Burton Gordon Malkiel
https://www.bloomber[...]
ブルームバーグ (企業)
2021-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