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사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사창은 조선 말기 근대식 무기 제조를 위해 건립된 기기창 소속 건물이다. 1883년 5월 착공하여 1884년 5월 16일에 준공되었으며, 청나라 건물을 모방하여 북악 아래 삼청동에 위치하였다. 무기 제조, 수선, 보관을 위한 건물로, 1984년 해체 보수공사 때 발견된 상량문을 통해 건립 배경과 의도를 알 수 있다. 건축 양식은 중국과 서양의 절충식으로, 벽돌조 구조에 진회색 벽돌과 화강암을 사용했으며, 건축사적 가치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4년 작품 - 서울 진관사 영산회상도
서울 진관사 영산회상도는 1884년 제작된 불화로 석가모니가 설법하는 장면을 묘사하며, 왕실 상궁의 발원으로 조성되어 조선 왕실의 불교 후원 전통을 보여주는 19세기 말 불화의 특징을 나타낸다. - 1884년 작품 - 서울 진관사 십육나한도
서울 진관사 십육나한도는 1804년에 제작된 조선 후기 불화로, 석가모니불의 제자인 16나한을 묘사하여 섬세한 인물 묘사와 유려한 필선, 개성적인 나한들의 표현으로 조선 후기 불교 회화의 수준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아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어 현재 진관사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 조선의 군사 - 병마절도사
- 조선의 군사 - 장용영
장용영은 조선 정조 때 국왕 호위를 위해 설치된 특수 군영으로, 숙위 체계 강화를 위해 설립되어 궁궐 숙위 및 국왕 호위 임무를 수행하며, 조직 확대, 독자적인 재정 운영, 체계적인 무예 훈련을 통해 강화되었으나, 정조 사후 재정 부담과 정치적 상황 변화로 폐지되었다. - 서울 종로구 - 삼청공원
삼청공원은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위치한 공원으로, 북한산과 북악산 자락의 울창한 숲, 약수터, 산책로 등을 갖춘 시민 휴식 공간이자 1940년 경성부 최초 공원 중 하나이며, 감사원, 총리공관 등 주요 기관과 인접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이다. - 서울 종로구 - 세종로공원
세종로공원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위치하며, 조선 시대 관아와 한성전보총국이 있던 곳으로, 1992년 지하 주차장 완공과 함께 한글글자마당 등 다양한 기념 조형물이 조성되어 있다.
번사창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기기국 번사창 |
로마자 표기 | Gigiguk Beonsachang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28-1 한국금융연수원 내 |
참고 사항 | 1883년 5월 착공 1884년 5월 16일 준공 1984년 해체 보수 |
문화재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지정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51 |
지정일 | 1982년 12월 17일 |
면적 | 보호구역: 토지 1필지(총 690.3m2) |
수량 | 4.9평 1동 |
시대 | 조선시대 |
문화재청 ID | 21,00510000,11 |
![]() |
2. 건립 배경 및 연도
1984년 해체 보수공사 때 발견된 이응익이 쓴 상량문에 의하여 번사창의 건립 의도와 건축 연도가 밝혀졌다.
상량문의 내용을 통하여 번사창의 기능은 무기의 제조ㆍ수선ㆍ저장고였음을 알 수 있었다.
번사창은 청나라의 건물을 모방하였으며, 북악 아래 삼청동 명당에 자리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번사창은 조선시대 말 근대식 무기를 제작하던 관아인 기기국 소속의 기기창 건물로서, 1883년 5월 착공하여 1884년 5월 16일 준공되었다. 이 때는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8년 후로, 조선은 군대의 근대화를 위해 새 제도를 강구하고 근대식 군사훈련과 무기 제조에 힘쓰던 때였다.
1881년 7월 김윤식이 인솔하는 청년학도들이 청나라의 권고에 따라 천진에 영선사로 파견되었다. 이들의 주 임무는 신식 기기의 학습이었다. 유학생은 38명으로, 공학도 20명과 공장(工匠) 18명이었다. 그들은 청에서 건설되는 학당과 공장에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제도법과 화본에 의한 모형 제조법 등을 배웠다. 이들은 4인의 천진 공장(工匠)들과 함께, 과학서적, 기기의 형, 설계도, 기기 등을 가지고 귀국했다. 《윤치호일기(尹致昊日記)》에는 번사창의 건립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조선시대에 병기ㆍ기치등을 만드는 관청인 군기감이 1884년에 새로 창설된 기기국과 합병됨에 따라 이 무기고를 건축하게 된 것이다.
2. 1. 건립 배경
1884년 해체 보수공사 때 발견된 이응익이 쓴 상량문에 의하여 번사창의 건립 의도와 건축 연도가 밝혀졌다.상량문의 내용을 통하여 번사창의 기능은 무기의 제조ㆍ수선ㆍ저장고였음을 알 수 있었다.
번사창은 청나라의 건물을 모방하였으며, 북악 아래 삼청동 명당에 자리하였음을 상량문은 밝히고 있다. 번사창은 조선시대 말 근대식 무기를 제작하던 관아인 기기국 소속의 기기창 건물로서, 1883년 5월 착공하여 1884년 5월 16일 준공되었다. 이 때는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8년 후로 군대의 근대화를 위해 새 제도를 강구하고 근대식 군사훈련과 무기 제조에 힘쓰던 때였다.
1881년 7월 김윤식이 인솔하는 청년학도들이 청나라의 권고에 따라 천진에 영선사로 파견되었다. 이들의 주 임무는 신식 기기의 학습이었다. 유학생은 38명으로, 공학도 20명과 공장(工匠) 18명이었다. 그들은 청에서 건설되는 학당[2]과 공장[3]에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제도법과 화본에 의한 모형 제조법 등을 배웠다. 이들은 4인의 천진 공장(工匠)들과 함께, 과학서적, 기기의 형, 설계도, 기기 등을 가지고 귀국했다. 《윤치호일기(尹致昊日記)》에는 번사창의 건립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조선시대에 병기ㆍ기치등을 만드는 관청인 군기감이 1884년에 새로 창설된 기기국과 합병됨에 따라 이 무기고를 건축하게 된 것이다.
2. 2. 건축 연도 및 과정
1984년 해체 보수공사 때 발견된 이응익이 쓴 상량문에 의하여 번사창의 건립 의도와 건축 연도가 밝혀졌다.상량문의 내용을 통하여 번사창의 기능은 무기의 제조ㆍ수선ㆍ저장고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번사창은 청나라의 건물을 모방하였으며, 북악 아래 삼청동 명당에 자리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번사창은 조선시대 말 근대식 무기를 제작하던 관아인 기기국 소속의 기기창 건물로서, 1883년 5월 착공하여 1884년 5월 16일 준공되었다. 이 때는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8년 후로 군대의 근대화를 위해 새 제도를 강구하고 근대식 군사훈련과 무기 제조에 힘쓰던 때였다.
1881년 7월 김윤식이 인솔하는 청년학도들이 청나라의 권고에 따라 천진에 영선사로 파견되었다. 이들의 주 임무는 신식 기기의 학습이었다. 유학생은 38명으로, 공학도 20명과 공장(工匠) 18명이었다. 그들은 청에서 건설되는 학당[2]과 공장[3]에서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제도법과 화본에 의한 모형 제조법 등을 배웠다. 이들은 4인의 천진 공장(工匠)들과 함께, 과학서적, 기기의 형, 설계도, 기기 등을 가지고 귀국했다. 《윤치호일기(尹致昊日記)》에는 번사창의 건립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조선시대에 병기ㆍ기치등을 만드는 관청인 군기감이 1884년에 새로 창설된 기기국과 합병됨에 따라 이 무기고를 건축하게 된 것이다.
3. 건축 양식 및 구조
번사창은 기기국 소속 기기창의 여러 건물 중 하나로 추정되는 단층 창고형 건물이다. 설계와 시공은 조선인이 담당하였다.
규모는 지상 1층, 대지면적 5,710평, 전체 길이 33m, 폭 8.5m, 연면적 217.58m2이다. 구조는 벽돌조로, 외장재는 진회색 벽돌과 일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장대석과 사괴석으로 토대를 쌓고 회색 벽돌로 벽체를 쌓았으며, 적벽돌로 견치형 띠를 둘렀다. 건물 벽면은 이중 벽돌쌓기로 지어졌고, 벽돌 크기는 가로 25cm, 세로 5cm이다. 이 벽돌을 강회로 정교하게 쌓아 올렸다.
왕대공 지붕틀을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맞배지붕을 이었으며, 지붕에는 무기 제조 시 발생하는 열과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고측창을 부분적으로 설치하였다. 지붕 기와는 한식기와이다. 주 출입구는 화강석대 위에 화강암 기둥을 세우고 아치문을 내었고, 부 출입구는 화강석대 위에 흑색 벽돌로 아치를 틀어 아치문을 설치하였다. 창문은 수평아치가 대부분이나 세그멘탈 아치를 일부 사용하였다.
번사창은 조선시대 말에 건립된 중국과 서양의 절충식 건물로서 건축사적인 가치가 높다.
3. 1. 건축 양식
번사창은 기기국 소속 기기창의 여러 건물 중 하나로 추정되는 단층 창고형 건물이다. 설계와 시공은 조선인이 담당하였다.규모는 지상 1층, 대지면적 5,710평, 전체 길이 33m, 폭 8.5m, 연면적 217.58m2이다. 구조는 벽돌조로, 외장재는 진회색 벽돌과 일부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장대석과 사괴석으로 토대를 쌓고 회색 벽돌로 벽체를 쌓았으며, 적벽돌로 견치형 띠를 둘렀다. 건물 벽면은 이중 벽돌쌓기로 지어졌고, 벽돌 크기는 가로 25cm, 세로 5cm이다. 이 벽돌을 강회로 정교하게 쌓아 올렸다.
왕대공 지붕틀을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맞배지붕을 이었으며, 지붕에는 무기 제조 시 발생하는 열과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고측창을 부분적으로 설치하였다. 지붕 기와는 한식기와이다. 주 출입구는 화강석대 위에 화강암 기둥을 세우고 아치문을 내었고, 부 출입구는 화강석대 위에 흑색 벽돌로 아치를 틀어 아치문을 설치하였다. 창문은 수평아치가 대부분이나 세그멘탈 아치를 일부 사용하였다.
번사창은 조선시대 말에 건립된 중국과 서양의 절충식 건물로서 건축사적인 가치가 높다.
3. 2. 구조적 특징
번사창은 조선인이 설계하고 시공하였다. 기기국 소속 기기창에는 모래 뒤치는 곳, 나무 비계 만드는 곳, 금속 주형 제조소, 창고 등 여러 동(棟)의 건물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번사창은 그 건물들 중 하나로 추정된다.번사창의 규모는 지상 1층, 대지면적은 5,710평, 전체 길이 33m, 폭 8.5m, 연면적 217.58m2(66평)으로 단층 창고형 건물이다. 중국ㆍ서양 절충식의 양식으로 되어 있으며, 구조는 벽돌조로 되어 있고, 외장재는 진회색 벽돌과 일부 화강암으로 되어 있는 조적조 건물이다. 장대석과 사괴석으로 토대를 쌓고, 그 위에 회색 벽돌로 벽체를 쌓고, 적벽돌로 견치형 띠를 둘렀다. 건물 벽면은 이중 벽돌쌓기로 지어졌으며, 벽돌 크기는 가로 25cm, 세로 5cm로 요즘 것들과는 다르다. 이 벽돌을 강회로 정교하게 쌓아 올렸다. 그 위에 왕대공 지붕틀을 일정 간격으로 세우고 맞배지붕을 이었다. 지붕에는 부분적으로 고측창을 두었는데, 이는 무기 제조시 발생하는 열과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지붕 기와는 한식기와이다. 주 출입구는 화강석대 위에 화강암 기둥을 세우고 아치문을 내었으며, 부 출입구는 화강석대 위에 흑색 벽돌로 아치를 틀어 아치문을 설치하였다. 창문은 수평아치가 대부분이나 세그멘탈 아치를 일부 사용하였다. 이 건물은 조선시대 말에 건립된 중국과 서양의 절충식 건물로서, 그 건축사적인 가치가 높다.
4. 역사적 의의 및 평가
4. 1. 역사적 의의
4. 2. 중도진보적 관점에서의 평가
5. 사진
참조
[1]
간행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51호 보호구역 확대 지정 고시
서울특별시장
2015-05-14
[2]
문서
수뢰학당(水雷學堂), 수사학당(水師學堂)
[3]
문서
천진 기기창(天津機器廠)
[4]
문서
강화유수
[5]
문서
이조참판
[6]
문서
예조참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