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아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벌아목은 벌목의 두 아목 중 하나로, 톱벌류(Symphyta)를 제외한 벌, 개미, 기생벌 등을 포함한다. 침을 가진 침벌류(Aculeata)와 기생벌류(Parasitica)로 나뉘며, 분자 분석을 통해 기생성은 여러 번 진화하고 소실되었음이 밝혀졌다. 주요 그룹에 대한 계통 발생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으며, 꿀벌, 말벌, 개미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과와 상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벌아목 - 기생벌
기생벌은 곤충의 다양한 단계에 기생하여 숙주를 죽이거나 약화시키는 벌목 곤충으로, 기생 방식과 숙주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나뉘며 생태계에서 해충 방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벌아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Apocrita |
명명자 | 게르슈테커, 1867년 |
아목 | 하치목 |
하위 그룹 |
2. 하위 분류
벌아목은 전통적으로 크게 두 개의 하위 그룹, 즉 침벌류(Aculeata)와 기생벌류(Parasitica)로 나뉜다. 침벌류는 꿀벌, 말벌, 개미 등 침을 가진 벌들을 포함하며, 기생벌류는 다른 곤충에 기생하는 다양한 벌들을 아우른다.
그러나 최근의 분자 분석 연구는 이러한 전통적 분류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 예를 들어, 기생벌류는 실제로는 다계통군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기생벌류로 묶이던 그룹들이 단일 공통 조상에서 유래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6][7][8][9] 연구에 따르면, 기생이라는 생활 방식 자체는 벌아목 진화 과정에서 단 한 번 나타났으며, 이후 여러 계통에서 이차적으로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9]
벌아목은 벌목의 다른 주요 그룹인 잎벌류(Symphyta) 내에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잎벌류는 벌아목을 포함하지 않으면 자연스러운 그룹이 되지 못하는 측계통군으로 간주된다. 벌아목 내부 및 다른 벌목 그룹과의 정확한 계통 관계는 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이며,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부분들이 있다.[6][7][8][9][10][11][12][13]
분자 계통 연구(Peters et al., 2017 등)는 벌아목 내 주요 상과(Superfamily)들의 관계를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예를 들어, 기생성 생활을 하는 그룹들 사이에서는 맵시벌상과(Ichneumonoidea)와 가는먹좀벌상과(Ceraphronoidea)가 가까운 관계를 보이며, 혹벌상과(Cynipoidea), 납작먹좀벌상과(Platygastroidea), 좀벌상과(Chalcidoidea), 먹좀벌상과(Proctotrupoidea) 등이 '원시배벌류'(Proctotrupomorpha)라는 큰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벌류(Aculeata)는 이러한 기생성 그룹들과 자매 그룹 관계에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9][10][11][12][13] 침벌류 내에서는 청벌상과(Chrysidoidea)가 비교적 초기에 분기했으며, 말벌상과(Vespoidea)와 꿀벌상과(Apoidea, 개미 포함) 등이 이후에 분기한 복잡한 관계를 보인다.[9]
2. 1. 침벌류 (Aculeata)
침벌하목 또는 침벌류(la)는 벌목에 속하는 곤충 그룹으로, 이름처럼 침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꿀벌, 말벌, 개미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침벌류는 다음과 같은 상과(Superfamily)를 포함한다.
2. 2. 기생벌류 (Parasitica)
기생벌류는 다른 곤충에 기생하는 벌목 곤충의 한 그룹이다. 일부 종은 해충의 천적으로서 생물학적 방제에 활용되기도 한다. 기생벌하목(Parasitica|파라시티카la)에 속하는 상과는 다음과 같다.- 가는먹좀벌상과 (Ceraphronoidea)
- 좀벌상과 (Chalcidoidea)
- 혹벌상과 (Cynipoidea)
- 호리벌상과 (Evanioidea)
- 맵시벌상과 (Ichneumonoidea)
- Megalyroidea
- Mymarommatoidea
- 납작먹좀벌상과 (Platygastroidea)
- 먹좀벌상과 (Proctotrupoidea)
- Stephanoidea
- 갈고리벌상과 (Trigonaloidea)
3. 계통 분류
벌아목은 매우 많은 과를 포함하는 큰 그룹이다. 전통적으로 다수의 기생벌 과를 묶어 '기생성(Parasitica)' 그룹으로 분류하기도 했으나, 분자 분석 결과 이는 측계통군 또는 다계통군임이 밝혀졌다.[6][7][8][9][10][11][12][13] 기생이라는 생활 방식 자체는 벌목 내에서 단 한 번 진화한 것으로 보이며, 오늘날 대부분의 벌아목 과에서 발견되지만 여러 계통에서 이차적으로 기생 습성을 잃어버린 경우도 존재한다.[6][7][8][9][10][11][12][13]
벌아목은 벌목의 다른 주요 그룹인 잎벌류 내에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로 인해 잎벌류 전체는 측계통군으로 간주된다.[6][7][8][9][10][11][12][13] 벌아목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가슴과 배 사이에 잘록한 '허리'가 있다는 점이다. 벌아목 내의 정확한 계통 관계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6][7][8][9][10][11][12][13]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9][10][11][12][13], 벌아목은 크게 보아 올바른벌상과(Orussoidea, 기생성 잎벌)와 자매군 관계일 가능성이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초기 분기 그룹들과 이후 진화한 침벌류(Aculeata)로 나눌 수 있다. 초기 분기 그룹에는 스테파노스상과(Stephanoidea), 이천문벌상과(Ichneumonoidea), 참나무혹벌상과(Cynipoidea), Proctotrupoidea, 디아프리오상과(Diaprioidea), Platygastroidea, 좀벌상과(Chalcidoidea) 등 다수의 기생성 벌들이 포함된다. 이들은 과거 '기생성(Parasitica)' 그룹으로 묶였던 주요 구성원들이다.
침벌류(Aculeata)는 암컷의 산란관이 침으로 변형된 그룹으로, 청벌상과(Chrysidoidea, 금좀벌 포함)가 비교적 초기에 분기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말벌상과(Vespoidea, 말벌, 토기장이벌 등 포함), 개미상과(Formicoidea, 개미), 그리고 벌상과(Apoidea, 꿀벌, 맵시벌, 모래벌 등 포함) 등으로 다양하게 분화되었다. 벌상과 내에는 Sphecidae(땅벌), Crabronidae(땅벌류 포함), 그리고 꿀벌류(Anthophila) 등이 속한다. Pompiloidea(털개미, 거미벌), Thynnoidea, Tiphioidea, Scolioidea 등도 침벌류 내의 주요 상과들이다.
이처럼 벌아목의 계통 분류는 분자 데이터의 축적과 함께 계속해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과거의 형태 기반 분류와는 다른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참조
[1]
논문
Ueber die Gattung Oxybelus Latr. und die bei Berlin vorkommenden Arten derselben
https://www.biodiver[...]
1867
[2]
서적
Evolution of the Ins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
논문
Evolution of the hymenopteran megaradiation
http://www.escholars[...]
[4]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Elsevier
[5]
웹사이트
Parasitoid Wasps (Hymenoptera)
https://extension.um[...]
University of Maryland
2016-06-06
[6]
논문
Phylogenomic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Stinging Wasps and the Origins of Ants and Bees
[7]
논문
Simultaneous analysis of basal Hymenoptera (Insecta), introducing robust-choice sensitivity analysis
2003
[8]
웹사이트
Symphyta
http://susanne.schul[...]
2016-11-28
[9]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he Hymenoptera
[10]
논문
Phylogenomic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Stinging Wasps and the Origins of Ants and Bees
[11]
논문
Simultaneous analysis of basal Hymenoptera (Insecta), introducing robust-choice sensitivity analysis
2003
[12]
웹사이트
Symphyta
http://susanne.schul[...]
2016-11-28
[13]
논문
Evolutionary History of the Hymenoptera
[14]
간행물
A checklist to the wasps of Peru (Hymenoptera, Aculeata).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