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너 포르스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너 포르스만은 독일의 의사로, 1929년 세계 최초로 인간 심장 카테터 삽입술을 시행했다. 그는 자신의 팔에 요도 카테터를 삽입하여 정중 피정맥을 통해 심장까지 도달시키는 실험을 직접 수행했다. 이 발견으로 심장 질환 진단 및 연구에 기여했으며, 1956년 앙드레 프레데릭 쿠르낭, 디킨슨 W. 리차즈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나치당 당원으로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의관으로 복무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의사 -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
프리드리히 율리우스 로젠바흐는 독일의 의사이자 미생물학자로, 상처 감염 질환에서 미생물의 역할을 규명하고 미생물이 감염의 원인임을 밝힌 1884년 저서와 파상풍, 단독 등의 감염 질환 및 수은 독성 연구, 카르볼산이 화농성 감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문으로 알려져 있다. - 독일의 의사 - 에른스트 크레치머
에른스트 크레치머는 체형과 성격의 연관성을 연구한 독일의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로, 네 가지 체질 유형을 제시하고 특정 성격 특성 및 정신 질환과의 관련성을 주장했으며, 지속적 식물 상태를 최초로 기술하고 조현병과 조울증 감별 진단 개발에 기여했다. - 대연방공로십자성현장 수훈자 -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는 살로테 투포우 3세의 아들로 태어나 통가의 총리를 지냈고, 1965년부터 2006년까지 통가의 국왕으로 재임하며 1970년 통가의 완전한 독립을 이끌어냈다. - 대연방공로십자성현장 수훈자 - 아돌프 부테난트
아돌프 부테난트는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나치 정권과의 연루 논란을 겪었고 막스 플랑크 연구소 소장과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독일의 노벨상 수상자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독일의 노벨상 수상자 - 귄터 그라스
1999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귄터 그라스는 『양철북』을 비롯한 단치히 삼부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나치즘의 영향을 다룬 독일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조각가이며, 무장친위대 복무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치 과거 청산과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하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베르너 포르스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베르너 테오도어 오토 포르스만 |
출생지 | 독일 제국 베를린 |
사망지 | 서독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국적 | 독일 |
학력 및 경력 | |
분야 | 의학 |
모교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
주요 업적 | 연구 |
수상 | |
수상 | 노벨 생리학·의학상(1956년) |
수상 정보 | 195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심장 카테테르 법에 관한 발견, 및 혈액 순환계에 생기는 병리학상의 변화에 관한 발견 |
2. 생애
베르너 포르스만은 1904년 8월 29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아스카니셴 김나지움/Askanisches Gymnasiumde을 졸업한 후, 베를린 대학교에 입학하여 의학을 공부했으며, 1929년 국가고시에 합격했다.[1]
1929년, 베르너 포르스만은 에버스발데에서 근무하면서 최초로 인간 심장 카테터 삽입술을 시행했다.[3] 그는 카테터를 심장에 직접 삽입하여 약물 투여, 방사선 불투과성 염료 주입, 혈압 측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2] 당시에는 심장에 대한 침습적인 시술이 치명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포르스만은 자신의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직접 실험을 감행했다.[2]
그는 부서장의 지시를 어기고 수술 간호사 게르다 디첸의 도움을 받아 실험을 진행했다. 포르스만은 디첸을 수술대에 묶고 자신에게 시술하는 척하며 실제로는 자신의 팔에 국소 마취 후 요도 카테터를 정중 피정맥에 삽입했다.[3] 이후 형광 투시경의 안내에 따라 카테터를 오른쪽 심실강까지 60cm 밀어 넣었고, 이는 엑스레이 필름에 우심방에 위치한 카테터의 모습으로 기록되었다.[3]
에버스발데의 수석 임상의는 처음에는 분노했지만, 엑스레이 결과를 확인한 후 포르스만의 발견을 인정했다. 그는 포르스만에게 이 방법을 사용하여 말기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도록 허락하기도 했다.[3] 포르스만은 베를린 샤리테 병원에서 페르디난트 자우어브루흐 밑에서 무보수 직책을 얻었으나, 자우어브루흐는 그의 논문을 본 후 승인 없이 실험을 진행했다는 이유로 해고했다.[4] 자우어브루흐는 "그런 식으로 수술을 시작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4]
이후 포르스만은 비뇨기과로 전향하여 여러 병원에서 근무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의관으로 복무했으며, 종전 후에는 시골 의사로 활동하다가 바트 크로이츠나흐에서 비뇨기과 의사로 개업했다.[1][2]
포르스만의 논문은 앙드레 프레데릭 쿠르낭과 디킨슨 W. 리차즈에 의해 심장 질환 진단 및 연구에 활용되었다. 1954년, 포르스만은 베를린 독일 과학 아카데미에서 라이프니츠 메달을 받았으며, 1956년에는 쿠르낭, 리차즈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 노벨상 수상 후, 그는 마인츠 대학교와 코르도바 국립 대학교의 명예 교수가 되었고, 여러 학회의 임원 및 회원으로 활동했다.[1]
2. 1. 초기 생애
베르너 포르스만은 1904년 8월 29일 베를린에서 태어났다. 아스카니셴 김나지움/Askanisches Gymnasiumde을 졸업한 후, 베를린 대학교에 입학하여 의학을 공부했으며, 1929년 국가고시에 합격했다.[1]2. 2. 심장 카테터 삽입술
1929년, 베르너 포르스만은 에버스발데에서 근무하면서 최초로 인간 심장 카테터 삽입술을 시행했다.[3] 그는 카테터를 심장에 직접 삽입하여 약물 투여, 방사선 불투과성 염료 주입, 혈압 측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2] 당시에는 심장에 대한 침습적인 시술이 치명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포르스만은 자신의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직접 실험을 감행했다.[2]그는 부서장의 지시를 어기고 수술 간호사 게르다 디첸의 도움을 받아 실험을 진행했다. 포르스만은 디첸을 수술대에 묶고 자신에게 시술하는 척하며 실제로는 자신의 팔에 국소 마취 후 요도 카테터를 정중 피정맥에 삽입했다.[3] 이후 형광 투시경의 안내에 따라 카테터를 오른쪽 심실강까지 60cm 밀어 넣었고, 이는 엑스레이 필름에 우심방에 위치한 카테터의 모습으로 기록되었다.[3]
에버스발데의 수석 임상의는 처음에는 분노했지만, 엑스레이 결과를 확인한 후 포르스만의 발견을 인정했다. 그는 포르스만에게 이 방법을 사용하여 말기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도록 허락하기도 했다.[3] 포르스만은 베를린 샤리테 병원에서 페르디난트 자우어브루흐 밑에서 무보수 직책을 얻었으나, 자우어브루흐는 그의 논문을 본 후 승인 없이 실험을 진행했다는 이유로 해고했다.[4] 자우어브루흐는 "그런 식으로 수술을 시작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4]
이후 포르스만은 비뇨기과로 전향하여 여러 병원에서 근무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군의관으로 복무했으며, 종전 후에는 시골 의사로 활동하다가 바트 크로이츠나흐에서 비뇨기과 의사로 개업했다.[1][2]
포르스만의 논문은 앙드레 프레데릭 쿠르낭과 디킨슨 W. 리차즈에 의해 심장 질환 진단 및 연구에 활용되었다. 1954년, 포르스만은 베를린 독일 과학 아카데미에서 라이프니츠 메달을 받았으며, 1956년에는 쿠르낭, 리차즈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 노벨상 수상 후, 그는 마인츠 대학교와 코르도바 국립 대학교의 명예 교수가 되었고, 여러 학회의 임원 및 회원으로 활동했다.[1]
2. 3. 나치당 활동과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32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당의 당원이었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그는 군의관이 되었으며, 소령 계급까지 올라갔다.[1] 그는 포로가 되어 미국 포로 수용소에 갇혔다가 1945년에 석방되었다.[1][2]2. 4. 전후 활동
1929년, 에버스발데에서 근무하던 포르스만은 최초로 인간 심장 카테터 삽입술을 시행했다.[3] 그는 자신의 팔꿈치 부위에 마취를 하고 요도 카테터를 정중 피정맥에 삽입했다.[3] 카테터를 오른쪽 심실강으로 60cm까지 밀어 넣었고, 이는 우심방에 놓여 있는 카테터를 보여주는 엑스레이 필름에 기록되었다.[3]에버스발데의 수석 임상의는 처음에는 분노했지만, 엑스레이를 보고 포르스만의 발견을 인정했다.[3] 포르스만은 베를린 샤리테 병원에서 페르디난트 자우어브루흐 밑에서 무보수 직책을 얻었지만, 자우어브루흐는 그의 논문을 본 후 해고했다.[4] 이후 여러 병원을 전전하다 1933년 비뇨기과 전문의인 엘스베트 엥겔 박사와 결혼 후 심장학을 포기하고 비뇨기과를 시작했다.[1]
1932년부터 1945년까지 나치당의 당원이었다.[1]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자 군의관으로 복무하여 소령 계급까지 올라갔고, 미국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1945년 석방되었다.[1] 석방 후 벌목꾼으로 일하다가 아내와 함께 검은 숲에서 시골 의사로 일했다.[1][2] 1950년 바트 크로이츠나흐에서 비뇨기과 의사로 개업했다.[1][2]
그의 논문은 앙드레 프레데릭 쿠르낭과 디킨슨 W. 리차즈에 의해 읽혔고, 그들은 그의 기술을 심장 질환 진단 및 연구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1] 1954년, 베를린 독일 과학 아카데미에서 라이프니츠 메달을 받았다.[1] 195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은 쿠르낭, 리차즈, 포르스만에게 수여되었다.[1]
노벨상 수상 후, 마인츠 대학교의 외과 및 비뇨기과 명예 교수 직책을 받았다.[1] 1961년에는 코르도바 국립 대학교의 명예 교수가 되었다.[1] 1962년에는 독일 외과 학회의 집행 위원이 되었다.[1]
2. 5. 노벨상 수상과 이후
1956년, 베르너 포르스만은 앙드레 프레데릭 쿠르낭, 디킨슨 W. 리차즈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 그는 카테터를 심장에 직접 삽입하여 약물 투여, 방사선 불투과성 염료 주입, 혈압 측정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2] 당시에는 심장에 대한 침습적 시술이 치명적일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포르스만은 직접 자신에게 실험하여 이를 증명했다.[2]1929년 에버스발데에서 근무하던 포르스만은 세계 최초로 인간 심장 카테터 삽입술을 시행했다.[3] 그는 자신의 팔꿈치 부위에 마취 후 요도 카테터를 정중 피정맥에 삽입, 우심방까지 밀어 넣었다.[3] 이는 엑스레이 필름에 기록되었다.[3]
에버스발데의 수석 임상의는 처음에는 분노했으나, 엑스레이를 확인한 후 포르스만의 발견을 인정했다.[3] 그는 포르스만에게 이 방식으로 말기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하는 카테터 삽입술을 허용하기도 했다.[3] 포르스만은 베를린 샤리테 병원에서 페르디난트 자우어브루흐 밑에서 무보수 직책을 얻었으나, 승인 없이 실험을 진행했다는 이유로 해고되었다.[4] 자우어브루흐는 "그런 식으로 수술을 시작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4] 이후 그는 심장학을 포기하고 비뇨기과를 시작했다.[1]
포르스만은 나치당 당원으로 활동했으며,[1]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군의관으로 복무, 소령 계급까지 올랐다.[1] 종전 후 미국 포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석방, 바트 크로이츠나흐에서 비뇨기과 의사로 개업했다.[1][2]
노벨상 수상 후, 포르스만은 마인츠 대학교 외과 및 비뇨기과 명예 교수가 되었다.[1] 1961년에는 코르도바 국립 대학교 명예 교수가 되었으며,[1] 1962년에는 독일 외과 학회 집행 위원이 되었다.[1] 미국 흉부 내과 학회 회원, 스웨덴 심장 학회 명예 회원, 독일 비뇨기과 학회/Deutsche Gesellschaft für Urologiede 및 독일 아동 복지 협회 회원으로도 활동했다.[1]
3. 가족
베르너 포르스만은 엘스베트와 결혼하여 슬하에 여섯 자녀를 두었다.[1][2] 자녀는 클라우스 포르스만(1934년생), 크누트 포르스만(1936년생), 뢰르크 포르스만(1938년생), 볼프 포르스만(1939년생, 최초로 심방 나트륨 이뇨 펩타이드를 분리), 베른트 포르스만(1940년생, 최초의 임상 체외 충격파 쇄석술 개발에 기여), 레나테 포르스만(1943년생)이다.[1][2]
그는 1979년 6월 1일 독일 솦하임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으며,[2] 그의 아내는 1993년에 사망했다.
4. 사망
베르너 포르스만은 1979년 6월 1일 독일 솦하임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2] 그의 아내는 1993년에 사망했다.
5. 수상 경력
1956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Werner Forssmann – Biography
http://nobelprize.or[...]
Nobel Foundation
2008-12-22
[2]
웹사이트
Werner Forssmann
http://www.nndb.com/[...]
NNDB
2009-03-31
[3]
학술지
Werner Forssmann: A German Problem with the Nobel Prize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Werner Forssmann
http://www.utmb.edu/[...]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2008-12-22
[5]
웹사이트
わが身にカテーテルを通す
http://www.jhf.or.jp[...]
日本心臓財団
2013-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