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이다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다오는 중국의 시인, 작가, 편집자이며, 1949년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육체 노동자로 일했으며, 1970년대 초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 1978년 지하 문학 잡지 《오늘》을 창간하고, 몽롱시파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며 젊은 세대의 지지를 얻었다. 1989년 톈안먼 민주화 운동 이후 망명하여 여러 국가에서 객원 연구원, 교수로 활동했으며, 2006년 중국으로 돌아와 홍콩 중문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그의 시 "대답"은 중국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되었으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시집, 소설, 산문집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교수 - 윌리엄 서스턴
    윌리엄 서스턴은 3차원 다양체 연구에 기여하고 기하화 추측을 제창했으며, 필즈상을 수상하고 수학 교육 및 대중화에도 힘쓴 수학자이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교수 - 데이비드 슬론 윌슨
    데이비드 슬론 윌슨은 집단 선택 이론을 옹호하며 진화론적 관점에서 다양한 학문을 융합하는 미국의 진화생물학자이자 작가로서, 빙엄턴 대학교의 진화 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 행동과 사회 현상을 진화론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여러 저서를 통해 진화론적 관점을 사회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인 - 빙신
    빙신은 셰 완잉이라는 본명을 가진 중국의 저명한 작가로, 다양한 문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특히 아동 문학에 대한 기여로 독자적인 스타일을 창시했고 타고르와 지브란의 작품을 중국에 소개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시인 - 리더취안
    리더취안은 중국의 정치인이자 사회운동가로서, 반제국주의 운동에 투신했으며 펑위샹과의 결혼으로도 알려져 있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초대 위생부 부장을 역임하며 공공 보건 시스템 구축에 기여했고, 중화전국부녀연합회 회장을 맡아 여성 권익 신장에도 힘썼다.
  • 중국의 반체제자 - 팡리즈
    팡리즈는 중국의 저명한 천체물리학자이자 민주화 운동가로서, 중국 우주론 연구의 선구자였으나 톈안먼 사건 이후 망명하여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인권 운동을 지속했다.
  • 중국의 반체제자 - 우얼카이시
    우얼카이시는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학생운동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현재 대만에 거주하며 정치 평론가 및 텔레비전 앵커로 활동하면서 중국 귀환 호소, 대만 독립 지지 등 정치 활동을 펼치며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베이다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Bei Dao in Tallinn, 2010
2010년 탈린의 베이 다오
본명자오전카이
출생일1949년 8월 2일
출생지베이징
국적중국 (1949–1989)
무국적 (1989–2009)
미국 (2009년부터)
직업시인
작가
교수
사용 언어표준 중국어
작품 활동
활동 기간1978년–현재
장르
소설
에세이
사조미스티 시인
수상
수상 내역구겐하임 펠로우십 (1998년)
스트루가 시의 밤 황금 화관상 (2015년)

2. 생애

베이다오는 1949년 8월 2일 베이징에서 태어났다.[115]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중국 고전 시가를 암송하도록 배웠고, 집에서는 정통 서적 외에도 금서도 읽었다.[116] 베이징 제4중학교[117] 재학 중 1966년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면서 학업을 중단하고 건설 현장에서 10년 넘게 육체 노동자로 일했다.[114] 문화 대혁명 초기에는 홍위병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118] 1970년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118]

1978년, 멍커 등과 함께 지하 문학 잡지 『오늘』을 창간하여 주편을 맡았다. 『오늘』은 1980년 폐간되었으나, 1990년 노르웨이에서 복간되었다.[114] 1986년 『베이다오 시집』을 출판했고, 몽롱시파[119]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다.[120] 에디트 쇠데르그란 등 북유럽 시 번역도 담당했다.[121]

1987년 영국 더럼 대학교 객원 연구원을 지냈고, 1988년 말 귀국하여 1989년 정치범 석방 요구 공개 서한을 발표했다.[114] 같은 해 미국으로 출국, 독일을 거쳐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교에 적을 두었다.[122] 1990년 PEN America영어 자유 집필상을 수상, 그 상금으로 『오늘』을 복간했다.[114][115] 같은 해 일본에서 열린 중일 국제 예술제에 참가했다. 1991년까지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122]

1992년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 객원 작가가 되었고,[122] 1993년 미국으로 이주, 동미시간 대학교 객원 교수를 거쳐 1994년 미시간 대학교 국제 센터 소속 외국인 예술가가 되었다.[122] 1995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122]

2000년 파리 퐁피두 센터 소속 외국인 예술가가 되었고, 미국 Beloit College영어에서 교편을 잡았다.[122] 이후 뉴욕 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앨라배마 대학교, 노트르담 대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122] 2008년부터 홍콩 중문 대학교 인문 강좌 교수로 재직 중이다.[122]

그의 시 「대답」은 4·5 천안문 사건부터 우한에서 내부 고발을 한 리원량 추모까지, 중국 민주화 운동의 찬가가 되었다.[115]

2. 1. 가족 및 초기 생애 (1949-1965)

베이다오는 1949년 8월 2일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태어났다.[2] 그는 보험 임원이었던 아버지 자오지니안(2003년 사망)과 의사였던 어머니 자오 메이 리(결혼 전 성씨: 쑨) 사이의 세 자녀 중 장남이었다.[3]

베이다오는 명문가 출신이었다. 그의 부계는 강희제 통치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의 조상 자오빙옌은 후난성의 지방 장관이자 법무부 차관을 지냈다. 태평천국 운동 당시 그의 증조부인 자오징시안은 2년 넘게 반군 포위로부터 후저우를 방어한 것으로 유명해졌다. 함풍제는 그의 죽음을 알게 되자 칭찬 조서를 내리고, 가족에게 배상금을 지급하도록 명령했으며, 후저우에 가족 사당을 세우고, 자오징시안의 생애를 《국사》에 기록했다. 베이다오의 증조부는 광둥 제조국 국장이었고, 상하이 제조국 국장으로 은퇴했다. 그러나 중국의 전쟁과 내분으로 인해 가문 재산은 쇠퇴했고, 그의 아버지 자오지니안이 어렸을 때 그의 할아버지는 그림과 두루마리를 팔아 근근이 생활했다.[4]

반면 베이다오의 모계는 제국을 전복하는 데 역할을 했다. 그의 외할아버지 쑨하이샤는 쑨원이 설립한 중국동맹회 회원이었다. 쑨원은 훗날 제국 이후 중국의 임시 총통이 되었다. 우창 봉기 당시 쑨하이샤는 주요 전신국을 점령한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그는 후베이성에 중등학교를 설립하고, 청두 통신국 국장을 역임한 후 상하이 통신국을 지휘했다.[5]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베이다오의 이모 중 한 명은 마오쩌둥의 아내인 장칭의 개인 간호사였다.[6] 그의 삼촌 중 한 명은 우한 부시장이었고,[7] 다른 한 명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공식적으로 허용된 8개 정당 중 하나인 중국 치공당 부주석이었다.[8]

베이다오의 아버지는 독학으로 은행 취업 시험에 합격했다.[9] 그는 나중에 중국인민보험공사 공동 창립자이자 정치 정당인 중국 민주 촉진회(CAPD) 선전 부서기를 역임했다.[10] 베이다오의 부모는 상하이에서 결혼하여 시인 출생 1년 전에 베이징에 정착했다.[11] 그들은 자금성과 접해 있고 중산층과 상류층 거주지로 알려진 베이징 시청구에 살았다. 베이다오는 그의 가장 유명한 거주자인 정화 제독의 이름을 딴 산부라오("세 가지는 늙지 않는다") 후퉁에서 자랐다.[12]

부모의 직업적 지위에도 불구하고 베이다오는 평탄한 어린 시절을 보내지 못했다. 마오쩌둥의 "대약진 운동" 정책으로 인해 베이다오의 아버지는 새로 설립된 중앙 사회주의 학원[13] 학술 업무를 관리하도록 배정받았고, 가족은 중국 대기근을 겪었다. 회고록 《도시 문, 열어라》에서 베이다오는 당시 기억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굶주림은 점차 우리 삶을 삼켰다. 부종은 흔해졌다. 모두가 서로에게 하는 평소 인사는 "밥 먹었니"에서 "부종 왔니"로 바뀌었고, 그러고는 바지 자락을 걷어 올리고 서로 손가락으로 상대방의 질병 정도를 시험했다.[14]


많은 중국 청년처럼 베이다오는 중국 소년 선봉대에 가입했다.[15] 그는 베이징 제13중학교에 다녔는데, 그곳에서 선생님들은 그의 글쓰기를 칭찬했다.[16] 그는 이후 엘리트 학교인 베이징 제4고등학교에 입학 시험에 합격했다. 그러나 1966년 베이다오가 16세였을 때, 마오쩌둥이 학교를 폐쇄한 문화 대혁명을 시작하면서 졸업하지 못했다.[17]

2. 2. 문화 대혁명 (1966-1976)

1949년 8월 2일 베이징에서 태어났다.[115]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중국 고전 시가를 암송하도록 배웠으며, 집에서는 정통 서적 외에도 금서도 읽었다.[116] 베이징 제4중학교[117] 재학 중 1966년 문화 대혁명이 시작되면서 학업을 중단하고 건설 현장에서 10년 넘게 육체 노동자로 일했다.[114] 문화 대혁명 초기에는 홍위병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118] 1970년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118]

2. 3. 1976년 천안문 사건과 그 이후 (1976-1988)

1976년 4월, 저우언라이 총리 사망 이후 발생한 천안문 사건(1차 천안문 사태)에 참여했고, 이 사건에서 영감을 받아 대표작 '대답'을 썼다.[115] 1978년, 시인 멍커 등과 함께 문학 잡지 오늘을 창간했다.[114] 1980년 '오늘'이 정부에 의해 금지될 때까지 시와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1980년대 초, 서구 시인들의 작품을 중국어로 번역하고 기자로 활동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1983년 그의 시가 영어로 번역되어 해외에 소개되기 시작했다. 1985년 단편 소설집 '파도'가 홍콩 중문대학 출판사에서 출판되었고, 1986년에는 시 전집이 중국어로 출판되었다.[114]

2. 4. 1989년 천안문 민주화 운동과 망명 (1989-2006)

1988년 말, 베이다오는 중국으로 돌아와 정치범 석방을 요구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114] 1989년 4월에는 초청을 받아 미국으로 출국했다. 같은 해, 그의 시 「대답」은 1976년 베이징에서 일어난 4·5 천안문 사건 시위부터 2021년 1월 우한에서 내부 고발을 한 의사 리원량의 추모까지, 중국 민주화 운동의 찬가가 되었다.[115]

1990년 PEN America영어의 자유 집필상 (Freedom to Write Award)을 수상, 그 상금으로 『오늘』을 오슬로에서 복간하여 이후 편집장을 맡았다.[114][115] 같은 해, 망커, 황루이와 함께 일본에서 열린 중일 국제 예술제에 참가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다. 1991년까지 덴마크오르후스 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고, 1992년에는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교의 객원 장기 체류 작가가 되었다.[122] 1993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동미시간 대학교의 객원 교수가 되었고, 이듬해 1994년 미시간 대학교 국제 센터 소속 외국인 예술가가 되었다.[122] 1995년 캘리포니아주로 이주,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객원 교수를 2년 역임했다.[122]

2000년 파리퐁피두 센터 소속 외국인 예술가가 되었고, 미국 위스콘신주의 Beloit College영어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대학교 소속의 장기 체류 시인이 되었다.[122] 그 후 뉴욕 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데이비스, 앨라배마 대학교, 노트르담 대학교에서도 교편을 잡았다.[122]

2. 5. 홍콩 및 최근 활동 (2006-현재)

2008년부터 베이다오는 홍콩 중문 대학교 인문 강좌 교수가 되었다.[122] 그는 글쓰기와 가르치는 일 외에도 사진을 찍어 베이징의 홍콩 현대 미술관에서 사진전을 열었으며,[75] 파리의 Galerie Paris Horizon에서 그림 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2012년에 뇌졸중을 겪은 후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76]

베이다오는 에세이 모음집에서 앨런 긴즈버그, 수전 손택, 브레이튼 브레이텐바흐,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게리 스나이더 등과 같은 저명한 문학가들과의 우정을 언급했다.

3. 작품 세계

베이다오의 글은 그의 개인적인 이야기로 인해 정치적인 시각으로 자주 해석되었지만, 그는 "진정한 저항은 시가 정치로부터 분리되어 국가의 언어를 버리고 역사의 악순환에서 벗어나는 데에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해석에 반대했다.[95] 그는 언론인과 평론가들이 자신을 정치적 인물로 묘사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했다.[37]

하지만 베이다오의 작품에 대한 저명한 학자인 보니 S. 맥두걸은 그의 작품과 정치 사이의 미묘한 관계에 주목하며 "베이다오 시의 중심 힘은 잔혹하고 획일적이며 부패한 사회의 압력에 대한 그의 복잡한 반응이었다… 궁극적으로 전복적인 비정치적 방식으로 그의 개성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다.[96] 시인이자 역사가인 줄리안 게비르츠는 베이다오를 "항상 정치적인 시인은 아니지만 정치적 결과를 낳는 시인"이라고 표현했다.[97]

3. 1. 형식

베이다오는 주로 자유시 형식을 사용하며, 전통적인 시 형식에서 벗어나 실험적인 시도를 했다. 그는 "자유시의 일반적인 범주 내에서 새로운 형식적 장치를 찾으려고 노력했다…전통적이지만 불필요한 문법적 형식과 구두점은 강렬하게 압축된 이미지 사이에서 사라지고, 주어, 시제, 수는 파악하기 어렵고, 전환은 불분명하며, 순서와 논리는 독자에 의해 제공된다"라고 평가받았다.[100] 이처럼 압축적인 이미지와 비논리적인 전개를 통해 독자에게 능동적인 해석을 요구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베이다오는 '몽롱시'라는 명칭을 얻었으며, 일부 비평가들은 그의 시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02]

3. 2. 주제

베이다오의 글은 그의 개인적인 이야기로 인해 정치적인 시각으로 자주 해석되었지만, 그는 "진정한 저항은 시가 정치로부터 분리되어 국가의 언어를 버리고 역사의 악순환에서 벗어나는 데에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해석에 반대했다.[95] 그는 언론인과 평론가들이 자신을 정치적 인물로 묘사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했다.[37] 그러나 베이다오의 작품에 대한 저명한 학자인 보니 S. 맥두걸은 그의 작품과 정치 사이의 미묘한 관계에 주목하며 "베이다오 시의 중심 힘은 잔혹하고 획일적이며 부패한 사회의 압력에 대한 그의 복잡한 반응이었다… 궁극적으로 전복적인 비정치적 방식으로 그의 개성을 주장했다"고 언급했다.[96]

베이다오는 중국 문학의 규범을 전복하기 위해 형식적인 면에서 실험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옌안 문예 좌담회에서 제시된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기대와는 달리, 그는 전통적인 시 형식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자유시의 범주 내에서 새로운 형식적 장치를 찾으려고 노력했다.[100] 그의 시는 강렬하게 압축된 이미지 사이에서 문법적 형식과 구두점이 사라지고, 주어, 시제, 수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전환은 불분명하고, 순서와 논리는 독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징을 지닌다.[100] 이러한 실험적인 접근 방식은 "복잡한 중첩과 교차, 갑작스러운 병치와 균열, 무작위성과 춤을 추는 패턴의 시"를 만들어냈다.[101]

이러한 시적 형식 때문에 베이다오는 중국 비평가들로부터 "안개" 시인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서구의 일부 비평가들도 그의 작품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102] 그러나 맥두걸은 베이다오의 시가 "검열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모호한 것이 아니라 모든 형태의 억압으로 인한 고통이 너무 강렬해서 전통적인 형용사로는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103]

베이다오의 형식에 대한 접근 방식은 그의 주요 주제적 관심사인 개성 탐구를 반영한다. 그의 작품은 "내면과 외부 세계,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개인적인 것과 공식적인 것, 꿈결 같은 것과 일상적인 것, 고전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의 복잡한 상호 엮임"으로 묘사된다.[104] 그는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와 동양의 민담과 같이 상반되는 것을 병치함으로써 "다중적이고, 분화되지 않으며, 불확정적인" 진실에 도달하고자 했다.[102] 즉, 세상의 복잡성을 포용함으로써 개성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베이다오의 또 다른 반복적인 주제는 언어, 특히 정치적 영역에서의 언어 회복이다. 문화 대혁명의 선언문, 슬로건, 선전은 억압과 폭력의 위협과 함께 무해한 이미지를 불길한 상징으로 바꾸어 놓았다.[106] 베이다오는 이러한 정치적으로 오염된 언어를 되찾고 "시를 위한 독립적인 공간"을 창조하고자 했다.[107] 그는 특정 단어의 정치적 전유를 명시적으로 거부하고, 짧고 파악하기 어려운 시 형식을 통해 개인적인 경험을 반영하고 세상에 대한 정치적 설명을 도전함으로써 이를 수행했다.[108]

3. 3. 영향

베이다오는 초기 작품에 안개 시인들의 중요한 선구자로 여기는 중국 시인 궈루성(별명: 스즈)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109] 그는 젊은 시절, 정부의 규제와 짧은 교육으로 인해 서양 문학에 대한 접촉은 제한적이었다. 인터뷰에서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 라파엘 알베르티,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안토니오 마차도,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오십 만델슈탐, 특히 독일어 시인 파울 첼란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42]

4. 수상 내역

연도수상 내역국가출처
1990년PEN/바바라 골드스미스 자유 투고상미국[77]
1990년투홀스키상스웨덴[78],[123]
1996년미국 예술 문학 아카데미 명예 회원미국[79]
1998년구겐하임 창작 예술 펠로우십미국[80]
2002년아르가나 국제 시 문학상모로코[81]
2005년자네트 쇼켄 문학상독일[82]
2010년창원 K.C. 국제 문학상대한민국[83]
2011년브라운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미국[84]
2014년치카다상스웨덴[85]
2015년스트루가 시 축제의 황금 화환상북마케도니아[86],[124]
2020년바바라 필즈-시오티스상그리스[87]
2021년야카모치 메달일본[88]
2022년아르투아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프랑스[89]


5. 주요 작품 목록

베이다오는 시집, 소설, 산문집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은 개인적인 경험과 정치적인 현실 사이의 긴장을 탐구하며, 언어의 회복과 복잡성의 수용을 주요 주제로 다룬다.

종류작품 목록
시집
소설
산문집
번역
어린이를 위한 책 (편집)



Letters from the City of the Sun|태양의 도시에서 온 편지영어 (1983년)은 영문으로 출판된 책으로, 이전에 출판된 자료를 모아 출간되었다. At the Sky's Edge|하늘 가장자리에서영어(1996)는 Forms of Distance|거리의 형태영어와 Landscape Over Zero|영점 너머의 풍경영어을 재발행한 것이며, Endure|인내영어 (2011)는 이전에 출판되었던 작품의 새로운 번역을 모아놓은 것이다.

5. 1. 시집


  • Letters from the City of the Sun|태양의 도시에서 온 편지영어, 1983년
  • 八月的睡夢者|8월의 몽유병자중국어, 1986년; August Sleepwalker영어, 1988년, 1990년
  • Old Snow|오래된 눈영어, 1991년
  • Forms of Distance|거리의 형태영어, 1994년
  • Landscape Over Zero|영점 너머의 풍경영어, 1995년
  • Unlock|열쇠영어, 2000년
  • The Rose of Time: New and Selected Poems|시간의 장미: 신작 및 선정 시영어, 2010년
  • The Shortcut|샛길영어, 2024년


영문으로 출판된 두 권의 책은 이전에 출판된 자료를 모아 출간되었다. At the Sky's Edge|하늘 가장자리에서영어(1996)는 Forms of Distance|거리의 형태영어와 Landscape Over Zero|영점 너머의 풍경영어을 재발행한 것이며, Endure|인내영어 (2011)는 이전에 출판되었던 작품의 새로운 번역을 모아놓은 것이다.

  • 회답, 1976년 (1976년 4.5 톈안먼 사건에 즈음하여 지어졌으며, 1978년 《오늘》 창간호에 게재, 1979년 공식 간행물 《시칸》에 전재)[118]
  • 꽃다발, 1978년
  • 끝 또는 시작, 1980년
  • 잠자는 골짜기여, 1981년
  • 백일몽, 1986년
  • 천애에서, 1993년
  • 영도 이상의 풍경, 1996년

5. 2. 소설


  • 波|파중국어 (1979년)
  • ''파도'' (중국 출판: 1985년, 영어 출판: 1989년, 1990년)

5. 3. 산문집


  • 《푸른 집》 (수필, 영어 출판: 2000년)
  • 《한밤의 문》 (수필, 영어 출판: 2005년)
  • 《푸른 등》 (수필, 중국어 출판: 2008년)
  • 《도시의 문, 열어라》 (자서전, 중국어 출판: 2010년, 영어 출판: 2017년)
  • 《실패의 책》 (2004년)
  • 《성문 개방》 (2010년)

5. 4. 번역


  • 북유럽 현대 시선 1987년
  • 슈더르그란 시선 1987년

5. 5. 어린이를 위한 책 (편집)

베이다오는 CITIC 출판사에서 출판하는 "For Children" 시리즈의 편집자이다.

  • ''어린이를 위한 시'' (베이다오 선정)
  • ''어린이를 위한 에세이'' (리투오와 베이다오 선정)
  • ''어린이를 위한 고대 중국 시'' (예지아잉 선정, 쉬빙 그림)
  • ''어린이를 위한 동물 우화'' (황용위 저, 그림)
  • ''어린이를 위한 한자 왕국'' (세실리아 린드크비스트 저, Svenska|스웨덴어sv에서 번역: 리즈이)

참조

[1] 웹사이트 People http://www.arts.cuhk[...] 2019-06-24
[2] 웹사이트 Bei Dao ! Academy of American Poets https://poets.org/po[...] 2019-06-24
[3] 서적 City Gate, Open Up New Directions
[4] 서적 City Gate, Open Up
[5] 서적 City Gate, Open Up
[6] 서적 City Gate, Open Up
[7] 서적 City Gate, Open Up
[8] 서적 City Gate, Open Up
[9] 서적 City Gate, Open Up
[10] 서적 City Gate, Open Up
[11] 서적 City Gate, Open Up
[12] 서적 City Gate, Open Up
[13] 서적 City Gate, Open Up
[14] 서적 City Gate, Open Up
[15] 서적 City Gate, Open Up
[16] 서적 City Gate, Open Up
[17] 서적 City Gate, Open Up
[18] 웹사이트 CUHK Professor Bei Dao Conferred Honorary Doctorate by Brown University ! CUHK Communications and Public Relations Office http://www.cpr.cuhk.[...] 2019-06-24
[19] 서적 City Gate, Open Up
[20] 서적 City Gate, Open Up
[21] 서적 City Gate, Open Up
[22] 서적 City Gate, Open Up
[23] 서적 City Gate, Open Up
[24] 웹사이트 Red Guards ! Chinese political movement https://www.britanni[...] 2019-06-24
[25] 서적 Midnight's Gate New Directions
[26] 학술지 An Interview with {{as written|Visti|ng [sic]}} Artist Bei Dao: Poet in exile 1994-09-01 # 추정 날짜 (Fall 1994)
[27] 서적 City Gate, Open Up
[28] 서적 City Gate, Open Up
[29] 서적 Waves New Directions
[30] 서적 The Rose of Time: New and Selected Poems New Directions
[31] 서적 City Gate, Open Up
[32] 서적 City Gate, Open Up
[33] 서적 City Gate, Open Up
[34] 서적 City Gate, Open Up
[35] 서적 City Gate, Open Up
[36] 웹사이트 Chinese to observe anniversary of 1976 Tiananmen Square riot https://www.upi.com/[...] 2019-06-24
[37] 웹사이트 AGNI Online: Reclaiming the Word: A Conversation with Bei Dao by Steven Ratiner http://agnionline.bu[...] 2019-06-24
[38] 웹사이트 Presidential Lectures: Bei Dao - Bei Dao and his Audiences https://prelectur.st[...] 2019-06-24
[39] 서적 Waves
[40] 서적 The Columbia Companion to Modern East Asian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3
[41] 서적 City Gate, Open Up
[42] 웹사이트 Presidential Lectures: Bei Dao: Interviews https://prelectur.st[...] 2019-06-24
[43] 학술지 Problems and Possibilities in Translating Contemporary Chinese Literature 1991
[44] 서적 The August Sleepwalker New Directions
[45] 서적 Midnight's Gate
[46] 서적 Midnight's Gate
[47] 서적 Midnight's Gate
[48] 서적 Midnight's Gate
[49] 서적 Midnight's Gate
[50] 뉴스 China Denounces Petition Drive For Political Prisoners' Amnesty https://www.nytimes.[...] 2019-06-24
[51] 서적 Midnight's Gate
[52] 웹사이트 Berliner Künstlerprogramm http://www.berliner-[...] 2019-06-24
[53] 서적 Midnight's Gate
[54] 웹사이트 Gu Cheng https://www.ndbooks.[...] 2019-06-24
[55] 뉴스 On The Outs in Beijing https://www.nytimes.[...] 2019-06-24
[56] 서적 Midnight's Gate
[57] 서적 Midnight's Gate
[58] 뉴스 Why authors need a refuge https://www.theguard[...] 2019-06-24
[59] 뉴스 China Blocks Visit of its Famed Poet https://www.washingt[...] 2019-06-24
[60] 서적 Midnight's Gate
[61] 웹사이트 Reluctant hero https://www.scmp.com[...] 2019-06-24
[62] 웹사이트 The Beloit Residencies: Lois and Willard Mackey Chair in Creative Writing Beloit College https://www.beloit.e[...] 2019-06-24
[63] 서적 City Gate, Open Up
[64] 서적 Midnight's Gate
[65] 서적 Midnight's Gate
[66] 웹사이트 Past Coal Royalty and Bankhead Visitors – Creative Writing Program https://cw.english.u[...] 2019-06-24
[67] 웹사이트 Revolution, exile prove fertile ground for poetry https://news.nd.edu/[...] 2019-06-24
[68] 웹사이트 Emeriti, Former & Visiting Writers // Department of English // University of Notre Dame https://english.nd.e[...] 2019-06-24
[69] 웹사이트 Bei Dao Awarded Highest Honour in Poetry http://www.iso.cuhk.[...] 2019-06-24
[70] 웹사이트 Bei Dao: Today's Chinese literature is uninspired http://www.chinadail[...] 2019-06-24
[71] 서적 City Gate, Open Up
[72] 웹사이트 9. Poems for Children – selected by Bei Dao https://chinesebooks[...] 2019-06-24
[73] 웹사이트 Dwelling Poetically in Hong Kong, by Bei Dao https://www.worldlit[...] 2019-06-24
[74] 웹사이트 Hong Kong Poetry Festival Foundation https://hkpff.com/ 2019-06-24
[75] 웹사이트 Bei Dao artist ARTLINKART Chinese contemporary art database http://www.artlinkar[...] 2019-10-27
[76] 웹사이트 On Bei Dao's Visual Art https://www.theparis[...] 2023-11-14
[77] 웹사이트 PEN/Barbara Goldsmith Freedom to Write Award https://pen.org/penb[...] 2019-06-24
[78] 웹사이트 Tucholskypriset pristagare https://www.svenskap[...] 2019-06-24
[79] 웹사이트 "Bei Dao" –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https://artsandlette[...] 2019-06-24
[80] 웹사이트 John Simon Guggenheim Foundation Bei Dao https://www.gf.org/f[...] 2019-06-24
[81] 웹사이트 An Evening of Poetry https://aaww.org/cur[...] 2019-06-24
[82] 웹사이트 2005 Bei Dao – jeanette-schocken-preis http://jeanette-scho[...] 2019-06-24
[83] 간행물 Professor Bei Dao Listed Top Poet https://www.iso.cuhk[...] 2010-12-04
[84] 웹사이트 Brown confers 10 honorary doctorates https://news.brown.e[...] 2019-06-24
[85] 웹사이트 Bei Dao Awarded Swedish Prize http://www.iso.cuhk.[...] 2019-06-24
[86] 웹사이트 Chinese poet Bei Dao is the winner of the "Golden Wreath" 2015 http://svp.org.mk/ch[...] 2019-06-24
[87] 웹사이트 6th Athens World Poetry Festival: Poetry Against All Odds https://greeknewsage[...] 2021-09-30
[88] 웹사이트 Bei Dao Awarded the 2nd Yakamochi Medal in Japan https://www.arts.cuh[...] 2021-07-03
[89] 웹사이트 L'université d'Artois a fêté son 30e anniversaire ! Université d'Artois https://www.univ-art[...] 2022-09-30
[90] 웹사이트 Hong Kong-based poet Bei Dao wins prestigious poetry prize https://www.scmp.com[...] 2019-06-24
[91] 웹사이트 The end of freedom of expression in Hong Kong https://www.dw.com/e[...] 2020-03-06
[92] 웹사이트 A Room with a (Beloit) View https://magazine.bel[...] 2019-06-24
[93] 웹사이트 1996 Neustadt Prize Laureate - Assia Djebar https://www.worldlit[...] 2019-06-24
[94] 웹사이트 Puterbaugh Festival https://www.worldlit[...] 2019-06-24
[95] 서적 Midnight's Gate
[96] 서적 The August Sleepwalker
[97] 웹사이트 Bei Dao's Beijing https://www.poetryfo[...] 2019-06-24
[98] 웹사이트 Commemorating Mao's "Yan'an Talks" https://www.artsjour[...] 2019-06-24
[99] 서적 The August Sleepwalker
[100] 서적 The August Sleepwalker
[101] 서적 At the Sky's Edge: Poems 1991-1996 New Directions
[102] 간행물 Paradoxy and Meaning in Bei Dao's Poetry http://www.cwliterat[...] 2007
[103] 서적 The August Sleepwalker
[104] 서적 At the Sky's Edge
[105] 서적 The August Sleepwalker
[106] 서적 Bridge Across Broken Time: Chinese and Jewish Cultural Memory Yale University Press
[107] 학술지 Distances of Poetry: An Introduction to Bei Dao https://muse.jhu.edu[...] 2007-04-30
[108] 서적 Bridge Across Broken Time
[109] 웹사이트 Presidential Lectures: Bei Dao - Bei Dao on Today https://prelectur.st[...] 2019-06-24
[110] 웹사이트 德国汉学家顾彬:莫言讲的是荒诞离奇的故事 http://book.sina.com[...] 新浪网 2018-05-22
[111] 웹사이트 青海宣传部长:从没有因从事政治工作而痛苦 http://news.ifeng.co[...] 凤凰网 2018-05-22
[112] 웹사이트 专访诗人部长吉狄马加 http://www.infzm.com[...] 南方人物周刊 2018-05-22
[113] 서적 北島(ペイタオ)詩集 書肆山田
[114] 서적 北島(ペイタオ)詩集 書肆山田 2009-01
[115] 웹사이트 Bei Dao https://pen.org/advo[...] 2015-09-24
[116] 서적 北島(ペイタオ)詩集 書肆山田
[117] 문서 日本の高校に当たる。
[118] 서적 北島(ペイ・タオ)詩集 土曜美術社
[119] 문서 北島の詩は人々に共感をもって迎えられたが、旧態の詩壇は「表現の朦朧は思想の朦朧」として厳しく批判し、北島らの詩は朦朧詩と呼ばれた。
[120] 서적 億万のかがやく太陽 : 中国現代詩集 書肆山田 1988-04
[121] 서적 北島(ペイ・タオ)詩集 土曜美術社 1988-01
[122] 서적 北島(ペイタオ)詩集 書肆山田
[123] 웹사이트 Tucholskypriset pristagare https://www.svenskap[...] 2023-08-10
[124] 웹사이트 Bei Dao https://svp.org.mk/e[...] 2023-08-10
[125] 서적 ブラックボックス https://ci.nii.ac.jp[...] 書肆山田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