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대학의학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이징대학 의학부는 1902년 베이징 대학에 의학부로 처음 설립되었다. 1908년 자금 지원 중단으로 폐교되었다가 1912년 중화민국 수립 후 재개교했다. 서양 의학 교육을 제공하고 영국식 교육 시스템을 도입한 중국 최초의 교육 기관으로, 1923년 베이징 의과대학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1952년 베이징 대학에서 분리되었고, 1954년 국가 중점 대학으로 지정되었다. 2000년 베이징 대학과 재합병하여 현재는 베이징대학 건강과학센터로 운영되고 있다. 베이징대학 의학부는 8개 전문 분야의 교육 과정을 제공하며, 57개의 박사 학위 프로그램과 6개의 박사 후 과정을 운영한다. 또한, 11개의 스쿨, 1개의 연구소, 1개의 부서를 운영하며, 15개의 병원이 교육 병원 역할을 한다. 2022년 기준 임상 의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생명 과학 연구의 질적 수준도 높게 평가받고 있다. 동문으로는 중난산, 투유유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의과대학 - 베이징 셰허 의학원
베이징 셰허 의학원은 1906년 영국과 미국 선교 단체들이 설립한 협화의학당에서 시작되어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발전, 국유화와 문화 대혁명을 거쳐 칭화 대학과의 협력으로 운영되며 중국 최고 수준의 부속 병원을 가진 명문 의학 교육 기관이다. - 중국의 의과대학 - 양저우 대학
양저우 대학은 1992년에 여러 교육 기관이 통합되어 설립된 장쑤성의 종합 대학으로, 통저우 사범학교와 통하이 농학당을 전신으로 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고 장쑤성 인민정부와 교육부의 공동 건설 대학으로 지정되었다. - 베이징 대학 - 루쉰
루쉰은 20세기 중국의 소설가, 사상가, 문학 평론가로서 중국 근대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사회의 모순과 인간의 어두운 면을 파헤치는 작품을 통해 중국 사회의 혁신을 촉구했고, 대표작으로는 《광인일기》, 《아Q정전》 등이 있다. - 베이징 대학 - 마오둔
마오둔은 중국 근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자 중국 공산당의 중요 인물로서,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을 통해 중국 현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문화 정책을 이끌고 그의 업적을 기리는 마오둔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1912년 개교 - 결성초등학교
1911년 사립보광학교로 개교한 결성초등학교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교명이 변경되었고, 1981년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여 2017년까지 총 6,912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초등학교이다. - 1912년 개교 - 여산초등학교
여산초등학교는 1907년 사립 여산호산학교에서 시작하여 효성학교로 통합, 여산공립보통학교로 개편 후 교명 변경과 여산남초등학교, 여산서초등학교 합병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개나리, 느티나무, 까치를 상징으로 9,714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다.
베이징대학의학부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명칭 | 베이징대학 의학부 |
중국어 명칭 | 北京大学医学部 |
로마자 표기 | Běijīng Dàxué Yīxuébù |
영어 명칭 |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 Center (PUHSC) |
설립 연도 | 1912년 (국립 베이징 의학원) |
유형 | 공립 대학 |
총장 | 차오이 |
교직원 수 | 9,448명 (2022년) |
학생 수 | 9,412명 (2022년) |
위치 | 중국 베이징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이전 명칭 | 국립 베이징 의학원 (国立北京医学专门学校) 베이징 의학원 (北京医学院) |
연혁 | 1912년: 국립 베이징 의학원 설립 1952년: 베이징 대학 의학부로 명칭 변경 1985년: 베이징 의과대학으로 독립 2000년: 베이징 대학과 통합, 베이징 대학 의학부로 재편 |
구성 | |
학부 | 기초 의학원 약학원 공공 위생 학원 간호 학원 구강 의학원 제1임상의학원 제2임상의학원 제3임상의학원 종양 학원 베이징 대학 국제 골관절 연구 센터 베이징 대학 뇌 연구 센터 |
부속 병원 | 베이징 대학 제1병원 베이징 대학 인민병원 베이징 대학 제3병원 베이징 대학 구강병원 베이징 대학 종양병원 베이징 대학 제6병원 베이징 대학 수술 센터 베이징 대학 국제병원 베이징 대학 항톈 임상 의학원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설립 초기

베이징대학 의학부는 1902년 베이징 임페리얼 칼리지(후에 베이징 대학)의 의학부로 처음 설립되었다.[1] 그러나 1908년 정부 자금 지원 중단으로 폐교되었다. 이후 1912년 10월 26일, 청나라가 중화민국에 양위한 뒤 베이징 시의 같은 지역에서 다시 문을 열었다.
이곳은 서양 의학을 가르치고 영국 의학 교육 시스템을 따라 의사를 양성하는 중국 최초의 국립 교육 기관이었다. 임상 의학 졸업생에게 수여되는 전문 학위는 스코틀랜드 시스템의 'MD'와 동등한 수준으로 인정받았다. 1923년에는 베이징 의과대학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1952년 베이징 대학에서 분리되었으며, 1954년 베이징 의과대학은 국무원에 의해 6대 국가 중점 대학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2] 이후 2000년 베이징 대학과 다시 합병하여 현재는 베이징대학 건강과학센터로 불린다.[1]
2. 2. 발전 과정
베이징대학 의학부는 1902년 베이징 임페리얼 칼리지(후에 베이징 대학)의 의학부로 처음 설립되었다.[1] 그러나 1908년 정부의 자금 지원이 중단되면서 폐교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청나라가 중화민국에 양위한 뒤인 1912년 10월 26일, 베이징의 같은 지역에서 다시 문을 열었다. 이곳은 중국 최초로 서양 의학을 가르치고 영국식 의학 교육 시스템을 따라 의사를 양성하는 교육 기관이었다. 임상 의학 졸업생에게는 스코틀랜드 시스템의 'MD'와 동등한 전문 학위가 수여되었다. 1923년에는 베이징 의과대학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1952년에는 베이징 대학에서 분리되어 독립적인 기관이 되었다. 1954년, 베이징 의과대학은 국무원에 의해 6대 국가 중점 대학 중 하나로 지정되어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2] 오랜 분리 기간을 거쳐 2000년에 다시 베이징 대학과 합병하였으며, 현재는 베이징대학 건강과학센터로 불리고 있다.[1]
3. 교육 과정
베이징대학 의학부는 기초 의학, 임상 의학, 예방 의학, 치의학, 약학, 간호학, 의학 실험 진단, 생의학 영어 등 8개 전문 분야에서 다양한 과정을 제공한다. 57개의 박사 학위 프로그램과 6개의 박사 후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927명의 박사 과정 학생과 388명의 유학생이 재학 중이다.[3]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20개의 학문 분야를 육성하고 있다. 또한 1개의 국가 중점 실험실, 10개의 부처급 중점 실험실, 23개의 공동 연구 센터, 20개의 대학 수준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의학부의 조직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명칭 | 연관 병원/기관 |
---|---|---|
스쿨 | 기초 의학 스쿨 | - |
약학 스쿨 | - | |
공중 보건 스쿨 | - | |
간호 스쿨 | - | |
치의학 스쿨 | - | |
제1 임상 의학 스쿨 | 베이다 병원 | |
제2 임상 의학 스쿨 | 인민 병원 | |
제3 임상 의학 스쿨 | 제3 병원 | |
종양학 스쿨 | 베이징 종양 병원 | |
베이징대학 선전 의학 스쿨 | - | |
베이징대학 원격 의료 교육 스쿨 | - | |
연구소 | 정신 건강 연구소 | 제6 병원 |
부서 | 인문 및 기초 과학 부서 | - |
4. 연구
베이징대학 의학부는 기초 의학, 임상 의학, 예방 의학, 치의학, 약학, 간호학, 의학 실험 진단, 생의학 영어 등 8개 전문 분야에서 다양한 과정을 제공한다. 57개의 박사 학위 프로그램과 6개의 박사 후 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927명의 박사 과정 학생과 388명의 유학생이 재학 중이다.[3]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적으로 인정받은 20개의 학문 분야를 육성하고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연구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4]
구분 | 개수 |
---|---|
국가 중점 실험실 | 1개 |
부처급 중점 실험실 | 10개 |
공동 연구 센터 | 23개 |
대학 수준 연구소 | 20개 |
구분 | 명칭 |
---|---|
스쿨 | 기초 의학 스쿨 |
약학 스쿨 | |
공중 보건 스쿨 | |
간호 스쿨 | |
치의학 스쿨 | |
제1 임상 의학 스쿨 (베이다 병원) | |
제2 임상 의학 스쿨 (인민 병원) | |
제3 임상 의학 스쿨 (제3 병원) | |
종양학 스쿨 (베이징 종양 병원) | |
베이징대학 선전 의학 스쿨 | |
베이징대학 원격 의료 교육 스쿨 | |
연구소 | 정신 건강 연구소 (제6 병원) |
부서 | 인문 및 기초 과학 부서 |
5. 부속 기관
베이징대학 의학부는 11개의 스쿨, 1개의 연구소, 1개의 부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베이징 시내 15개 병원이 교육 병원 역할을 한다.[4]
구분 | 명칭 | 비고 |
---|---|---|
스쿨 | 기초 의학 스쿨 | |
약학 스쿨 | ||
공중 보건 스쿨 | ||
간호 스쿨 | ||
치의학 스쿨 | ||
제1 임상 의학 스쿨 | 베이다 병원 | |
제2 임상 의학 스쿨 | 인민 병원 | |
제3 임상 의학 스쿨 | 제3 병원 | |
연구소 | 정신 건강 연구소 | 제6 병원 |
스쿨 | 종양학 스쿨 | 베이징 종양 병원 |
베이징대학 선전 의학 스쿨 | ||
베이징대학 원격 의료 교육 스쿨 | ||
부서 | 인문 및 기초 과학 부서 |
6. 국제적 위상
베이징대학의학부의 임상 의학은 2022년 기준 타임스 고등 교육 세계 대학 랭킹에서 중국 3위, 전 세계 24위에 꾸준히 랭크되어 있다.[5]
생명 과학 연구의 높은 질로 인해, 베이징대학의학부는 네이처 인덱스 2022 연례 테이블에서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지역 1위, 전 세계 23위를 기록했다.[6]
치과 및 구강 과학, 공중 보건, 간호학 분야는 세계 대학 학술 랭킹에서 각각 세계 43위, 51위, 76위를 기록했다.[7][8][9] 또한 임상 의학 분야는 U.S. 뉴스 & 월드 리포트에서 전 세계 69위를 기록했다.[10]
7. 동문
- 중난산 -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발견에 기여하였다.
- 투유유 - 주요 항말라리아제인 아르테미시닌(청호소) 발견에 기여한 공로로 201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하였으며, 2011년에는 알버트 래스커상 임상 의학상을 수상하였다.
- 차오지에
- 수 치엔 - 2011년 미국 국가 과학 훈장을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 Center
https://e.bjmu.edu.c[...]
2022-11-02
[2]
서적
The Global Academic Rankings Game: Changing Institutional Policy, Practice, and Academic Lif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3-02
[3]
웹사이트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 Center
https://e.bjmu.edu.c[...]
2022-11-02
[4]
웹사이트
Peking University Health Science Center
https://e.bjmu.edu.c[...]
2022-11-02
[5]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 by subject: clinical and health
https://www.timeshig[...]
2022-11-02
[6]
웹사이트
2022 tables: Institutions - life sciences - academic {{!}} Annual tables {{!}} Nature Index
https://www.nature.c[...]
2022-11-05
[7]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http://www.shanghair[...]
2022-11-02
[8]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http://www.shanghair[...]
2022-11-02
[9]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Global Ranking of Academic Subjects
http://www.shanghair[...]
2022-11-02
[10]
웹사이트
Best Global Universities for Clinical Medicine
https://www.usnews.c[...]
2022-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