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베트남-앙골라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트남-앙골라 관계는 1970년대 초 앙골라 독립 전쟁 시기부터 시작되었다. 베트남은 앙골라의 MPLA를 지지했으며, 1975년 앙골라 인민 공화국을 승인했다. 베트남 전쟁은 앙골라 내전에 소련과 미국의 개입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앙골라는 중국 및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공산당을 지지했다. 양국은 1978년 무역 협정을 체결하고, 1983년 협력 협정을 체결했으며, 1979년부터 2004년까지 여러 차례 경제 협정을 체결했다. 상호 고위급 방문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앙골라의 양국 관계 - 대한민국-앙골라 관계
    대한민국-앙골라 관계는 1992년 수교 이후 경제 개발 협력을 진행해 왔으며, 2024년에는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 베트남의 양국 관계 - 덴마크-베트남 관계
    덴마크-베트남 관계는 1970년대 베트남 전쟁 이후 덴마크가 베트남 난민을 수용하며 시작되어 경제 협력, 무역, 문화 교류를 통해 발전해왔으며, 덴마크는 베트남의 경제 발전과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빈곤 감소에 기여하고 있다.
  • 베트남의 양국 관계 - 베트남-싱가포르 관계
    베트남-싱가포르 관계는 14세기부터 무역과 외교를 통해 발전해 왔으며, 냉전 시기에는 대립하기도 했지만 1990년 이후 관계가 정상화되어 포괄적 협력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활발한 무역 및 문화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베트남-앙골라 관계
앙골라 - 베트남 관계
관계 유형양국 관계
일반 정보
국가앙골라
국가베트남
외교 관계
수립1975년
경제 협력
주요 협력 분야석유
가스
농업
어업
교육
보건
베트남 대사관
위치앙골라
상세 정보주 앙골라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대사관

2. 초기 관계

1974년 2월,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NLFSV)은 앙골라 독립 전쟁의 첫 번째 전투인 카상제 공격을 칭찬하며 양측의 연대 가능성을 시사했다.[2] 이듬해인 1975년 1월, NLFSV의 지도자 응우옌 흐우 토는 알보르 협정 서명 이후 앙골라의 주요 해방 운동 세력인 MPLA, FNLA, UNITA의 지도자들에게 "가장 따뜻한 인사"를 보내며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2]

같은 해 10월 말, 베트남 공산당의 공식 기관지인 ''인민''은 MPLA를 사실상 지지하는 입장을 밝히며, "제국주의 세력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종차별주의자들"의 개입을 비판했다.[2] 이러한 지지 표명은 아고스티뉴 네투 대통령이 앙골라의 독립을 선언한 바로 다음 날인 1975년 11월 12일, 베트남 총리 팜 반 동이 앙골라 인민 공화국을 공식적으로 승인하는 것으로 이어졌다.[2] 이는 베트남이 신생 독립국 앙골라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했음을 보여준다.

3. 베트남 전쟁의 영향

베트남 전쟁소련미국 모두 냉전에서 승리하기 위해 또다시 논쟁적인 내전에 휘말리는 것을 꺼리게 만들었기 때문에, 앙골라 내전에 대한 외국의 개입을 억제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CBS의 뉴스 캐스터 월터 크롱카이트는 "이번에는 실수를 막는 데 작은 역할을 하려고 노력하면서"라는 메시지를 방송으로 전하며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했다.[3]

정치국 내부에서는 1976년 2월, MPLA의 계속되는 공세를 소련이 어느 정도까지 지원할 것인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 외무부 장관 안드레이 그로미코와 총리 알렉세이 코시긴은 MPLA에 대한 지원을 줄이고 서방 세계와의 데탕트를 유지하는 데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입장을 대변했다. 그러나 당시 소련의 최고 지도자였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는 이러한 반대 의견을 누르고 MPLA 지원 지속을 관철시켰다. 그 결과, MPLA의 지도자 아고스티뉴 네투가 제1차 반란 15주년에 비동맹 정책을 공개적으로 재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과 MPLA의 동맹 관계는 계속 유지되었다.[4]

4. 중국 및 러시아와의 관계

앙골라가 외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공산당을 계속 지지한 것은 중화인민공화국소련과의 관계에 악영향을 미쳤다. 1975년부터 1979년까지 앙골라 대통령을 지낸 아고스티뉴 네투는 1979년 2월 중국의 베트남 침공을 비난했다.[5] 네투는 암살 시도 이후 소련 지도부를 불신하게 되어, 1976년 7월 쿠바 지도자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 하바나에서 앙골라, 쿠바, 베트남을 "주요 반제국주의 핵심"이라고 칭했다.[6]

5. 고위급 방문 및 조약

양국 간 고위급 인사들의 상호 방문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앙골라에서는 조제 에두아르두 두스 산투스 대통령이 1987년 4월에 베트남을 방문했으며, 외무부 장관 파울루 조르지는 1979년에, 외무부 장관 조앙 베르나르두 지 미란다는 2004년 5월에, 국회 의장 호베르투 지 알메이다는 2004년 10월에 각각 베트남을 찾았다.[1]

베트남 측에서도 주요 인사들이 앙골라를 방문했다. 국가 평의회 부의장 응우옌 흐우 토는 1978년 10월에, 각료회의 부의장 보 응우옌 지압 장군은 1980년 12월에, 외무부 장관 응우옌 만 캄은 1995년 3월에, 국가 주석 쩐 득 르엉은 2002년 10월에 앙골라를 방문하여 양국 관계 발전에 기여했다.[1]

양국의 집권당인 민족해방인민운동(MPLA)과 베트남 공산당은 1983년 5월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또한 양국 정부는 1978년 5월 무역 협정을 시작으로, 1979년, 1984년, 1995년, 1996년, 2002년, 2004년에 걸쳐 다양한 경제 협정을 체결하며 협력 관계를 강화해왔다.[1]

참조

[1] 웹사이트 Vietnam – Angola Relations http://www.vietnamem[...] Embassy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in Angola 2008-01-04
[2] 서적 Why Vietnam Invaded Cambodia: Political Culture and the Causes of War
[3] 간행물 The Battle Over Angola http://www.time.com/[...] 1975-12-29
[4] 간행물 Angola's Three Troubled Neighbors http://www.time.com/[...] 1976-02-16
[5]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the GDR in Africa
[6] 서적 The Global Cold War: Third World Interventions and the Making of Our Times
[7] 서적 Why Vietnam Invaded Cambodia: Political Culture and the Causes of War https://archive.org/[...]
[8] 뉴스 Angola's Three Troubled Neighbors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76-02-16
[9] 서적 The Global Cold War: Third World Interventions and the Making of Our Times
[10] 웹인용 Vietnam – Angola Relations http://www.vietnamem[...] Embassy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in Angola 2008-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