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로디노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로디노 전투는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중 모스크바 서쪽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러시아군은 미하일 쿠투조프의 지휘 하에 나폴레옹의 프랑스군과 격전을 벌였으나, 프랑스군의 포병 우세와 나폴레옹의 예비군 투입 거부로 인해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양측 모두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고 러시아군은 철수했으며, 나폴레옹은 모스크바를 점령했지만 러시아의 항복을 받아내지 못했다. 이 전투는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에 묘사되었으며, 러시아에서 애국심을 고취하는 상징으로 여겨진다. 전투 결과는 양측 모두에게 전략적 패배로 이어졌고, 프랑스군은 러시아의 혹독한 겨울 속에서 궤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2년 9월 - 1812년 9월 5일 일식
  • 러시아 원정의 전투 - 발루티노 전투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 중 스몰렌스크 근처에서 벌어진 발루티노 전투는 나폴레옹의 러시아군 포위 섬멸 시도가 러시아군의 저항과 프랑스 지휘관들의 소극적 움직임으로 실패하며 프랑스군의 사상자를 늘리고 나폴레옹의 원정 전망을 어둡게 한 전투이다.
  • 러시아 원정의 전투 - 타루티노 전투
    1812년 러시아의 타루티노 인근에서 러시아군이 요아킴 뮈라가 이끄는 프랑스군을 기습하여 승리한 타루티노 전투는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의 전환점이 되어 러시아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퇴각을 가속화했으며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에도 묘사된 러시아 문화에 영향을 미친 전투이다.
  • 1812년 러시아 - 러시아 원정
    러시아 원정은 1812년 나폴레옹 1세가 러시아 제국을 침공한 사건으로, 프랑스는 러시아 굴복과 대륙 봉쇄령 관철을 목표로 했으나 러시아군의 저항과 추위로 대참패하여 유럽 패권에 타격을 입고 러시아 민족주의 부상에 영향을 주었다.
  • 1812년 러시아 - 타루티노 전투
    1812년 러시아의 타루티노 인근에서 러시아군이 요아킴 뮈라가 이끄는 프랑스군을 기습하여 승리한 타루티노 전투는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의 전환점이 되어 러시아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나폴레옹의 모스크바 퇴각을 가속화했으며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에도 묘사된 러시아 문화에 영향을 미친 전투이다.
보로디노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전투 이름보로디노 전투
다른 이름모스크바 강 전투
러시아어 명칭Бородинское сражение
프랑스어 명칭Bataille de la Moskowa
전투 날짜1812년 9월 7일 (구력 8월 26일)
전투 장소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주 모자이스크 지구, 보로디노 근처
관련 전쟁프랑스 러시아 침공
교전 세력
교전국 1프랑스 제1제국
바르샤바 공국
나폴레옹 이탈리아 왕국
나폴리 왕국
바이에른 왕국
베스트팔렌 왕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작센 왕국
헤센 대공국
교전국 2러시아 제국
지휘관
교전국 1 지휘관나폴레옹 1세
루이알렉상드르 베르티에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루이니콜라 다부 (부상)
오귀스트장가브리엘 드 콜랭쿠르 (전사)
에두아르 모르티에
미셸 네
샤를 보나미 (부상, 포로)
에마뉘엘 드 그루시 (부상)
외젠 드 보아르네
조아킴 뮈라
유제프 포니아토프스키
장앙도슈 쥐노
요한 폰 틸만
교전국 2 지휘관미하일 쿠투조프
미하일 안드레아스 바클라이 드 톨리
표트르 바그라티온 (전사)
카를 빌헬름 폰 톨
알렉세이 예르몰로프
니콜라이 투치코프 (전사)
레빈 아우구스트 폰 베니히센
카를 구스타프 폰 바고부트
니콜라이 라옙스키
미하일 밀로라도비치
드미트리 도흐투로프
마트베이 플라토프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오스테르만톨스토이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103,000–135,000명
교전국 2 병력125,000–160,000명
피해 규모
교전국 1 피해28,000–35,000명 (사망, 부상, 포로)
교전국 1 장군 피해50명 (12명 사망, 38명 부상)
교전국 2 피해40,000–53,000명 (사망, 부상, 포로)
교전국 2 장군 피해27명 (4명 사망, 23명 부상)
결과
전투 결과프랑스군의 승리 (전술적), 러시아군의 전략적 철수
추가 결과프랑스군의 모스크바 점령
이미지 정보
1812년 9월 7일, 모스크바 전투 (루이 프랑수아 르죈의 그림, 1822년)

2. 배경

1812년, 나폴레옹은 러시아를 굴복시키고 대륙 봉쇄령을 강화하기 위해 러시아 원정을 시작했다. 미하일 쿠투조프가 이끄는 러시아군은 모스크바에서 서쪽으로 130km 떨어진 보로디노에서 프랑스군과 맞섰다. 쿠투조프는 프랑스군을 정면 공격으로 무찌르려 했으나, 나폴레옹은 전투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병력 파병을 거부했다. 결국 양측 군대는 기진맥진해졌고, 쿠투조프는 밤중에 후퇴했다.

러시아군 총사령관 미하일 바르클레이 드 톨리는 초토화 전술을 실행하며 후퇴했으나, 정치적 압력으로 해임되고 미하일 쿠투조프가 취임했다. 쿠투조프는 스몰렌스크에서 모스크바로 이어지는 도로상의 보로디노에서 프랑스군과 맞서 싸우기로 결정하고, 9월 3일부터 "라예프스키 측면 요새"와 "바그라티온 돌출부"를 구축하며 방어 준비를 했다.

2. 1.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1812년 6월 24일, 나폴레옹은 대육군(Grande Armée)을 이끌고 니만 강을 건너 러시아 침공을 개시했다. 러시아군은 수적으로 열세였기 때문에, 미하일 바르클레이 드 톨리는 지연 전술을 채택하여 시간을 벌면서 적에게 최대한의 피해를 입히는 전략을 사용했다. 바르클레이 드 톨리는 파비우스 전술을 이용한 심도 방어를 통해 계속 동쪽으로 후퇴하면서 전투를 회피했다.

러시아 내에서는 바르클레이 드 톨리의 후퇴 전략에 대한 불만이 높아졌고, 결국 알렉산드르 1세는 그를 해임하고 미하일 쿠투조프를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쿠투조프는 바르클레이의 전략이 옳았음을 이해했지만, 차르와 러시아 군대, 그리고 러시아는 더 이상의 후퇴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는 병사들과 국가의 사기를 유지하기 위해 전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쿠투조프는 8월 30일 즈자츠크까지 동쪽으로 전장을 찾아 나섰고, 프랑스군과 러시아군의 비율은 3:1에서 5:4로 줄어들었다. 나폴레옹 군대의 주력은 28만 6천 명으로 러시아에 진입했지만, 전투가 벌어질 무렵에는 기아와 질병으로 인해 대부분 감소했다.[2]

바실리 베레시차긴의 ''보로디노 고지 부근의 나폴레옹 1세''(1897)


쿠투조프의 군대는 보로디노 마을 근처에 방어선을 구축했다.[3] 보로디노 평야는 너무 개방되어 있었고 러시아 중앙과 좌익을 보호할 만한 자연 장애물이 너무 적었지만, 스몰렌스크-모스크바 도로를 모두 막고 있었고, 더 나은 장소가 없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4] 9월 3일부터 쿠투조프는 방어선을 참호로 강화했는데, 여기에는 중앙 우익에 있는 라예프스키 요새(Nikolay Raevsky의 이름을 딴)와 좌익에 있는 세 개의 화살촉 모양의 개방된 "바그라티온 육각형"(Pyotr Bagration의 이름을 딴)이 포함되었다.[5]

새로운 스몰렌스크 고속도로(나폴레옹의 예상 진격로) 남쪽에 걸쳐 있던 러시아군의 초기 방어선은 셰바르디노 마을 근처 언덕에 세워진 오각형의 토루로 좌익이 고정되어 있었다.[6] 러시아 장군들은 곧 좌익이 너무 노출되어 취약하다는 것을 깨달았다.[1] 따라서 러시아 방어선은 이 지점에서 후퇴했지만, 토루는 그대로 유지되었고 쿠투조프는 프랑스군의 진격을 지연시키기 위해 단순히 요새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역사가 드미트리 부투를린은 이것이 프랑스군의 진격 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관측 지점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고한다. 위트너와 래치를 비롯한 많은 역사가들은 당시 무기의 사정거리 밖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군의 우익을 위협하기 위한 요새로 사용되었다고 보고했다.[6]

러시아 제1군의 참모총장인 알렉세이 예르몰로프는 그의 회고록에서 프랑스군이 예상보다 빨리 도착했을 때 러시아군 좌익이 위치를 이동하고 있었다고 적었다. 따라서 셰바르디노 전투는 러시아군 좌익의 재배치를 보호하기 위한 지연 작전이 되었다. 토루의 건설과 그 목적은 오늘날까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다.[6]

9월 5일, 튀렌의 뢰슈타인 공작 조아킴 뮈라의 프랑스군이 코노브니친의 러시아군과 대규모 기병 충돌을 벌이면서 충돌이 시작되었고, 러시아군은 결국 측면이 위협받자 콜로르조이 수도원으로 후퇴했다. 다음 날 전투가 재개되었지만, 코노브니친은 부왕 외제느 드 보아르네의 제4군단이 도착하여 측면을 위협하자 다시 후퇴했다. 러시아군은 셰바르디노 토루로 후퇴하여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뮈라는 낭수티의 제1기병군단과 몽브룅의 제2기병군단을 이끌고, 콩팡의 루이-니콜라 다부의 제1보병군단 사단의 지원을 받아 토루를 공격했다. 동시에 요제프 포냐토프스키 공의 폴란드 보병이 남쪽에서 이곳을 공격했다. 쿠투조프가 직접 후퇴 명령을 내릴 때까지 러시아군이 후퇴를 거부하면서 전투는 매우 치열했다.[2] 프랑스군은 4,000~5,000명의 사상자를 내고 토루를 점령했으며, 러시아군 사상자는 6,000명에 달했다.[7] 작은 토루는 파괴되었고 양측의 전사자들로 뒤덮였다.[8]

서쪽에서의 예상치 못한 프랑스군의 진격과 셰바르디노 토루의 함락은 러시아군의 진형을 혼란에 빠뜨렸다. 방어선의 좌익이 무너졌기 때문에 러시아군은 동쪽으로 후퇴하여 우티차 마을을 중심으로 임시 방어선을 구축했다. 따라서 러시아군의 좌익은 측면 공격에 취약해졌다.[9]

2. 2. 러시아군의 방어 준비

Бородинское сражениеru톨스토이의 Война и мир|보이나 이 미르ru, 전쟁과 평화에서도 클라이맥스 중 하나로 묘사되고 있다.[31] 러시아 제국과 그 계승국인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연방에서는 애국심을 고취하는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다.[31] 1839년에는 황제 니콜라이 1세가 친림하여 기념비 완공식이 거행되었고, 1912년에는 박물관(현재의 보로디노 국립 군사 역사 박물관)이 설립되었다.[31] 2012년 가을에는 200주년 기념 행사가 실시되었고, 2022년 5월 19일에는 재현 이벤트가 개최되었다.[31]

2. 3. 셰바르디노 전투

새로운 스몰렌스크 고속도로(나폴레옹의 예상 진격로) 남쪽에 걸쳐 있던 러시아군의 초기 방어선은 셰바르디노 마을 근처 언덕에 세워진 오각형 토루(흙으로 쌓은 보루)를 중심으로 좌익이 고정되어 있었다.[1] 러시아 장군들은 곧 좌익이 너무 노출되어 취약하다는 것을 깨달았다.[1] 따라서 러시아군은 이 지점에서 방어선을 뒤로 물렸지만, 토루는 그대로 유지되었고, 쿠투조프는 프랑스군의 진격을 늦추기 위해 이곳을 지켰다고 말했다. 역사학자 드미트리 부투를린은 이곳이 프랑스군의 진격 방향을 파악하기 위한 관측 지점으로 사용되었다고 보았다. 그러나 위트너와 래치를 비롯한 많은 역사가들은 당시 무기의 사정거리 밖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군 우익을 위협하기 위한 요새로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1]

러시아 제1군의 참모총장인 알렉세이 예르몰로프는 그의 회고록에서 프랑스군이 예상보다 빨리 도착했을 때 러시아군 좌익이 위치를 옮기고 있었다고 적었다. 따라서 셰바르디노 전투는 러시아군 좌익의 재배치를 돕기 위한 지연 작전이었다. 토루의 건설과 그 목적은 오늘날까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거리이다.[1]

9월 5일, 튀렌의 뢰슈타인 공작 조아킴 뮈라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코노브니친의 러시아군과 대규모 기병 전투를 벌이면서 충돌이 시작되었다. 러시아군은 결국 측면이 위협받자 콜로르조이 수도원으로 후퇴했다. 다음 날 전투가 재개되었지만, 코노브니친은 부왕 외제느 드 보아르네의 제4군단이 도착하여 측면을 위협하자 다시 후퇴했다. 러시아군은 셰바르디노 토루로 후퇴하여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뮈라는 낭수티의 제1기병군단과 몽브룅의 제2기병군단을 이끌고, 콩팡이 지휘하는 루이-니콜라 다부의 제1보병군단 사단의 지원을 받아 토루를 공격했다. 동시에 요제프 포냐토프스키 공의 폴란드 보병이 남쪽에서 이곳을 공격했다. 쿠투조프가 직접 후퇴 명령을 내릴 때까지 러시아군이 후퇴를 거부하면서 전투는 매우 치열했다.[2] 프랑스군은 4,000~5,000명의 사상자를 내고 토루를 점령했으며, 러시아군 사상자는 6,000명에 달했다.[27] 작은 토루는 파괴되었고 양측의 전사자들로 뒤덮였다.[28]

서쪽에서 예상치 못한 프랑스군의 진격과 셰바르디노 토루의 함락은 러시아군의 진형을 혼란에 빠뜨렸다. 방어선 좌익이 무너지면서 러시아군은 동쪽으로 후퇴하여 우티차 마을[29]을 중심으로 임시 방어선을 구축했다. 이로 인해 러시아군 좌익은 측면 공격에 취약해졌다.

3. 양측 군대

페터 폰 헤스(Peter von Hess)의 ''보로디노 전투'', 1843년. 중앙에는 부상당한 바그라티온이 보인다.


보로디노 전투 당시 러시아군은 1802년부터 시작된 군사 개혁의 영향을 받아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비록 개혁이 완전히 정착되지는 못했지만, 프로이센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조직 구성이 도입되었다.[31]

역사가 알렉산더 미카베리제(Alexander Mikaberidze)에 따르면, 프랑스군은 당시 최고의 군대였다.[13] 앙시앵 레짐의 유산과 프랑스 혁명의 편제, 나폴레옹의 개혁이 융합된 프랑스군은 1799년까지 유럽을 지배해 온 군사력이었다. 프랑스군의 각 군단은 사실상 독자적으로 작전할 수 있는 소규모 군대였다.[13]

칼 폰 클라우제비츠에 따르면, 러시아 좌익은 약간 높은 지대에 있었지만, 이는 사소한 문제였으며 방어에 큰 이점을 제공하지 못했다. 러시아 우익의 위치 때문에 프랑스군에게 좌익이 명백한 선택으로 보였다.[34] 보로디노에서 러시아군의 방어선은 우익의 모스크바 강에서 시작하여 지류인 콜로차 강(가파른 강둑이 방어에 도움이 됨)을 따라 좌익의 우티차 마을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단절된 참호로 구성되었다.[35] 러시아 좌익과 중앙(콜로차 강 프랑스 측)을 따라 숲이 우거져 있어 프랑스군의 배치와 통제가 어려워 방어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러시아 중앙은 라예프스키 요새로 방어되었는데, 이는 12파운드포 19문을 갖춘 대규모 개방형 후방 참호로 콜로차 강둑까지 시야가 확보되어 있었다.

쿠투조프는 프랑스군이 그의 방어선을 우회하여 뉴 스몰렌스크 도로를 통해 모스크바로 진격할 것을 매우 우려하여[34], 이미 강력하고 프랑스군이 공격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우익에 더 강력한 제1군을 바클레이 휘하에 배치했다. 바그라티온 휘하 제2군은 좌익을 사수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셰바르디노의 함락으로 러시아 좌익이 붕괴되었지만, 쿠투조프는 장군들의 반복적인 재배치 요청에도 불구하고 초기 배치를 변경하지 않았다.[35]

전투가 시작되어 러시아군에게 공격이 아닌 방어전이 되었을 때, 압도적인 포병 전력은 공격받지 않을 우익에 낭비되었고, 프랑스군의 포격이 전투 승리에 큰 도움이 되었다.[35] 칼 빌헬름 폰 톨 대령 등은 이러한 배치에서의 실수를 은폐하려고 시도했고, 후대의 역사가들의 시도는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 클라우제비츠 또한 톨의 배치가 너무 좁고 깊어 포격으로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러시아군의 방어선은 길이가 약 8km 정도였으며, 우익에는 제1군 8만 명, 좌익에는 제2군 3만 4천 명이 배치되었다.

3. 1. 러시아군

1802년부터 러시아군 개혁이 시작되어 각 대대에 4개 중대가 있는 3개 대대의 연대가 창설되었다. 아우스터리츠, 프리틀란트, 에일라우 전투에서의 패배는 중요한 추가 개혁으로 이어졌지만, 프랑스와의 세 차례 전쟁, 스웨덴과의 두 차례 전쟁, 오스만 제국과의 두 차례 전쟁에서의 지속적인 전투로 인해 이러한 개혁이 완전히 시행되고 정착될 시간이 없었다.[31] 1806년에 사단제가 도입되었고, 1812년에는 군단이 설립되었다.[31] 조직 구성에는 프로이센의 영향이 보인다. 보로디노 전투 당시 러시아군은 1805년~1807년에 프랑스군과 싸웠던 군대와는 크게 달라져 있었다.

보로디노 전투에 참가한 러시아군은 보병 대대 180개, 기병 중대 164개, 코사크 연대 20개, 포병 중대 55개(포 637문)로, 총 병력은 155,200명이었다.[32]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았지만, 지역에는 1만 명의 코사크와 3만 3천 명의 러시아 민병대가 있었다. 전투 후 민병대는 해체되어 고갈된 정규 보병 대대에 증원군을 제공했다. 러시아군의 포 637문 중 300문은 예비대로 보관되었고, 이 중 상당수는 전투에 투입되지 않았다.[33]

3. 2. 프랑스군

프랑스군은 보병 대대 214개, 기병 중대 317개, 포 587문으로 총 128,000명의 병력이었다.[11] 이 중 근위대는 보병 대대 30개, 기병 중대 27개, 포 109문, 총 18,500명이었으나 전투에 투입되지는 않았다.[12] 당시 프랑스군은 최고의 군대로 평가받았지만,[13] 반도 전쟁에서의 병력 소모와 에일라우 전투, 아스페른 전투, 바그람 전투 등에서의 손실로 인해 아우스터리츠 전투 이후 쇠퇴하고 있었다.[13]

4. 전투 과정

미하일 쿠투조프가 이끄는 러시아군은 모스크바 서쪽 130km 지점의 보로디노 근처에서 프랑스군과 맞서기 위해 요새를 구축하고 병력을 배치했다. 러시아군 방어선은 모스크바강에서 시작하여 지류인 콜로차 강을 따라 좌익의 우티차 마을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단절된 참호로 구성되었다. 숲 지형은 프랑스군의 배치와 통제를 어렵게 하여 러시아군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러시아군 중앙은 라예프스키 요새로 방어되었는데, 이곳은 12파운드포 19문을 갖춘 대규모 참호였다.

1812년 9월 7일 오전 6시, 프랑스군은 러시아군 좌익을 향해 공격을 시작했다. 외젠의 제4군단이 라예프스키 요새를 공격했으나 큰 피해를 입고 저지당했다. 다른 프랑스 군단들의 공격도 러시아군의 저항에 부딪혀 진격이 멈췄다. 오전 10시경, 전투는 양측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소모전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프랑스군에서는 네이가 부상당했고, 러시아군에서는 바그라티온이 치명상을 입었다.

정오 무렵, 뮈라는 보병과 기병의 합동 공격으로 바그라티온 돌출부를 점령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인접한 고지에서 맹렬한 포격을 가해 프랑스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뮈라는 근위대 투입을 요청했지만, 나폴레옹은 이를 거부했다. 오후 3시, 프랑스군은 라예프스키 요새를 다시 공격하여 코랑쿠르의 기병 연대가 돌입, 요새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코랑쿠르는 전사했지만, 요새는 프랑스군의 수중에 들어갔다.[30]

러시아군의 1선 진지는 함락되었지만, 바르클레이가 지휘하는 우익 부대가 후방에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하여 프랑스군의 추가 진격을 막았다. 러시아군의 방어 태세는 무너지지 않았다. 오후 5시경, 양측 군대는 탄약이 고갈되어 전투가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프랑스군은 3만 3천 명, 러시아군은 4만 4천 명의 사상자를 냈다. 쿠투조프는 러시아군에게 철수를 명령했다.

전투 당일 오전 7시 30분경, 마트베이 플라토프의 돈 코사크 부대가 콜로차 강을 건너 프랑스군 좌익 후방을 기습했다. 이 기습으로 외젠은 공격을 중단하고 군단을 철수해야 했다. 코사크 기병의 기습은 라예프스키 요새에 대한 프랑스군의 공격을 지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

나폴레옹은 러시아군의 이전 전선을 정찰했지만, 먼지와 안개로 인해 정확한 배치를 파악하지 못했다. 쿠투조프는 러시아 근위대에게 방어선을 유지하라고 명령했고, 근위대는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프랑스군의 포격 속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으며 버텼다.[2] 나폴레옹은 멀리서 러시아 군대가 집결한 것을 보고 추가 공격을 하지 않았다.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알렉산드르 1세는 러시아군의 부적절한 배치가 방어에 큰 걸림돌이었다고 지적했다. 쿠투조프는 다음 날 나폴레옹을 몰아낼 것이라고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군대가 전투를 계속할 상태가 아니었다. 쿠투조프는 후퇴하여 군대를 재건하고, 약화된 프랑스군을 보급 기지에서 더 멀리 이동하게 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9월 8일, 러시아군은 전장에서 철수했다.

4. 1. 바그라티온의 flèches 공방전

오후 2시, 나폴레옹은 다부의 부하인 브루시에, 모랑, 제라르 사단에게 대규모 정면 공격을 명령했다. 이와 함께 샤스텔의 경기병 사단은 좌측, 제2 예비 기병대는 우측에 배치되어 요새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2]

러시아군은 리하초프의 제24사단을 전투에 투입했다. 리하초프는 “형제들이여, 우리 뒤에는 모스크바가 있다!”라고 외치며 병사들을 독려했고, 이들은 용감하게 싸웠다. 그러나 프랑스군이 대포 사거리 안으로 너무 가까이 접근했고, 러시아 포병들은 공격자들에 맞서 치열한 근접 방어전을 벌였다.[2] 콜랭쿠르 장군은 와티에의 기병 사단에 돌격을 명령했다. 바클레이는 외젠의 돌격 준비를 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병력을 이동시키려 했으나, 프랑스 포병은 병력이 집결하는 순간부터 포격을 시작했다. 콜랭쿠르는 와티에의 기병대를 이끌고 요새 후면의 틈을 공격했으나, 러시아군의 집중적인 소총 사격에 격퇴당하고 전사했다.[2]

틸만 장군은 8개의 작센 기병대와 2개의 폴란드 기병대 중대를 이끌고 요새 후면을 공격했다. 그의 부하 장교와 상사들은 말을 요새의 포루로 밀어 넣어 방어군을 혼란에 빠뜨렸고, 이 틈을 타 프랑스 기병과 보병이 요새를 점령할 수 있었다.[2] 양측 모두 지쳐서 포병만이 활동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투는 거의 끝났다.[2] 오후 3시 30분, 제24사단 대부분의 병력과 함께 라예프스키 요새는 함락되었고, 리하초프 장군은 프랑스군에게 포로로 잡혔다.[2] 그러나 프랑스군의 추가 돌파 시도는 러시아 근위 기병대의 저지로 막혔다. 근위 기병대의 돌격으로 프랑스군의 공격이 격퇴되었다.

4. 2. 라예프스키 요새 전투

오후 2시, 나폴레옹은 제라르 사단 등의 부대가 대규모 정면 공격을 개시하고, 샤스텔의 경기병 사단이 좌측, 제2 예비 기병대가 우측에 배치되는 가운데 라예프스키 요새에 대한 공격을 재개했다.[2]

프랑스 기병대가 라예프스키 요새로 돌격하는 모습


러시아군은 리하초프의 제24사단을 투입했고, 이들은 “형제들이여, 우리 뒤에는 모스크바가 있다!”는 구호 아래 용감하게 싸웠다. 그러나 프랑스군이 대포 사거리 안으로 너무 가까이 접근했고, 러시아 포병들은 공격자들에 맞서 치열한 근접 방어전을 벌였다.[2] 콜랭쿠르 장군은 와티에의 기병 사단에 돌격을 명령했다. 바클레이는 외젠의 돌격 준비를 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병력을 이동시키려 했으나, 프랑스 포병은 병력이 집결하는 순간부터 포격을 시작했다. 콜랭쿠르는 와티에의 기병대를 이끌고 요새 후면의 틈을 공격했으나, 러시아군의 집중적인 소총 사격에 격퇴당하고 전사했다.

틸만 장군은 8개의 작센 기병대와 2개의 폴란드 기병대 중대를 이끌고 요새 후면을 공격했고, 그의 부하 장교와 상사들은 말을 요새의 포루로 밀어 넣어 방어군을 혼란에 빠뜨리고 프랑스 기병과 보병이 요새를 점령할 수 있도록 했다. 양측 모두 지쳐서 포병만이 활동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투는 거의 끝났다. 오후 3시 30분, 제24사단 대부분의 병력과 함께 라예프스키 요새는 함락되었고, 리하초프 장군은 프랑스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그러나 프랑스군의 추가 돌파 시도는 러시아 근위 기병대의 저지로 막혔다. 근위 기병대의 돌격으로 프랑스군의 공격이 격퇴되었다.

4. 3. 북쪽 측면에서의 코사크 기병 기습

Удиноru 기습은 9월 7일 오전 7시 30분경, 마트베이 플라토프가 지휘하는 돈 코사크 부대가 콜로차 강을 건너 프랑스군 좌익 후방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다.[2] 코사크 부대는 프랑스군 보급 마차와 부대를 공격하여 혼란을 야기했다. 이 공격으로 인해 외젠은 공격을 중단하고 자신의 군단을 철수시켜야 했다.[2] 코사크 기병의 갑작스러운 기습은 라예프스키 요새에 대한 프랑스군의 공격을 지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4. 우티차 전투

Ути́цаru는 러시아군 진영의 남쪽 끝에 위치한 마을로, 옛 스몰렌스크 도로를 따라 자리잡고 있었다. 이곳은 보로디노 전투에서 러시아군의 잠재적인 약점으로 인식되었지만, 덤불이 무성한 험준한 지형 덕분에 경보병을 배치하기에 적합했다. 숲은 울창했고 지면은 습지였으며, 다수의 러시아 Jäger|예거de가 배치되었다.[1]

러시아군의 Никола́й Тучко́в|니콜라이 투치코프ru 장군은 약 2만 3천 명의 병력을 지휘했지만, 그중 절반은 창과 도끼로 무장한 훈련받지 않은 Ополчение|오폴체니예ru(민병대)여서 전투 배치가 불가능했다.[1] Józef Poniatowski|포냐토프스키pl는 훈련받고 전투 의욕이 높은 약 1만 명의 병력을 지휘했지만, 그의 첫 번째 시도는 순조롭지 않았다. 예거의 저항으로 인해 대규모 병력과 포병이 숲을 통과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Ельня|엘냐ru로 후퇴한 후 동쪽으로 이동해야 했다.[1]

투치코프는 제1 그레나디어 사단을 전열로 배치하고, 제3 사단을 대대 열병식 형태로 배후에 배치했다. 공격받는 요새를 방어하기 위해 4개 연대가 파견되었고, 또 다른 2개의 예거 연대가 우티차 숲에 배치되어 방어력이 약화되었다.

폴란드 부대는 우티차 마을과 우티차 고분(курган|쿠르간ru)의 통제권을 다투었고, 첫 번째 시도에서 이들을 점령했다. 투치코프는 이후 8시까지 프랑스군을 고분과 마을에서 몰아냈고, 이 반격을 지휘하다가 치명상을 입었다.[1] Jean-Andoche Junot|장 앙도슈 주노프랑스어 장군이 이끄는 베스트팔렌(Westfalen) 부대가 공격에 참여하여 다시 우티차 마을을 점령했고, 후퇴하는 러시아군에 의해 마을은 불타올랐다.[1]

마을 점령 후, 러시아군과 폴란드군은 하루 종일 소규모 충돌과 포격을 계속했지만 큰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무성한 덤불이 포냐토프스키의 작전을 크게 방해했지만, 결국 그는 러시아군 좌익을 다른 러시아군으로부터 떼어놓을 뻔했다.[4] Баркла́й-де-То́лли|바클라이ru 장군은 Коновницын|코노브니친ru의 지원을 받는 Багговут|바고부트ru를 파견하여 지원했다.[4] 바고부트는 부상당한 투치코프를 대신하여 러시아군 좌익을 지휘했다. 폴란드군의 어떠한 진전도 더 이상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5]

4. 5. 나폴레옹의 근위대 투입 거부

오후 3시경, 러시아군은 심각한 위기에 처했지만, 프랑스군도 지쳐 추가 공격을 할 힘이 없었다. 양측 모두 지친 상태에서, 뮈라참모총장인 오귀스탱 다니엘 벨리아르 장군은 러시아 전선이 뚫렸고, 모자이스크로 가는 길이 보인다며 마지막 공격으로 승리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2] 피에르 다뤼 장군, 기욤-마티외 뒤마 장군, 원수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도 근위대 투입을 건의했다.

그러나 근위대 투입이 큰 피해를 가져올 것을 우려한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원수는 반대했다. 황제의 aide-de-camp인 장 라프 장군이 부상당한 채로 근위대 투입을 권했지만, 나폴레옹은 "절대 그럴 수 없다. 근위대를 희생하고 싶지 않다. 근위대 없이도 승리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나폴레옹은 청년 근위대 사령관 에두아르 모르티에 원수에게 전진도 후퇴도 말고 전장을 지키며 400문의 대포로 포격하라고 명령했다.

나폴레옹은 러시아군의 이전 전선을 살펴봤지만, 먼지와 안개 때문에 러시아군의 배치를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쿠투조프는 러시아 근위대에게 방어선을 유지하라고 명령했고, 근위대는 오후 4시부터 6시까지 프랑스군의 포격 속에서 막대한 사상자를 내며 버텼다.[2] 나폴레옹은 멀리서 군대가 집결한 것만 보고 추가 공격을 하지 않았다. 이러한 근위대 투입 거부는 나폴레옹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전쟁론의 저자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알렉산드르 1세는 러시아군의 부적절한 배치가 방어에 큰 걸림돌이었다고 지적했다. 루드비히 폰 볼초겐에 따르면, 쿠투조프는 다음 날 나폴레옹을 몰아낼 것이라고 선언했지만, 실제로는 군대가 전투를 계속할 상태가 아니었다. 쿠투조프는 후퇴하여 군대를 재건하고, 약화된 프랑스군을 보급 기지에서 더 멀리 이동하게 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9월 8일, 러시아군은 전장에서 철수했고, 나폴레옹은 모스크바를 점령했지만 러시아는 항복하지 않았다.

쿠투조프는 모스크바 성벽 앞에서 다시 싸울 것이라고 선언했고, 포클론나야 고라 근처에 전투 지역이 선정되었다. 그러나 러시아군은 증원을 받지 못했고, 모스크바를 고수하는 것은 위험했다. 쿠투조프는 9월 13일 필리 마을에서 회의를 소집, 격렬한 논쟁 끝에 후퇴를 결정했다.[2]

5. 전투의 결과 및 영향

미하일 쿠투조프가 이끄는 러시아군은 보로디노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맞서 완강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밤중에 후퇴했다. 이 전투로 나폴레옹은 모스크바에 무혈 입성할 수 있었으나, 프랑스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 나폴레옹 자신도 이 전투를 "가장 무서운 전투"였다고 회고했다.[3]

보로디노 전투는 나폴레옹에게 전술적인 승리를 가져다주었지만, 러시아에는 전략적, 도덕적 승리였다.[4] 쿠투조프는 전장에서 후퇴하여 병력을 재건했고,[5] 모스크바를 점령한 프랑스군은 러시아 제국군의 저항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6][7][8][9][10]

쿠투조프는 모스크바를 지키는 대신 후퇴를 선택했고, 이는 필리 회의에서 결정되었다.[2] 모스크바는 프랑스군을 유인하기 위한 미끼였으며, 나폴레옹은 불타고 버려진 도시에서 알렉산드르 1세의 항복을 기다렸지만 받지 못했다.

겨울이 시작되자 나폴레옹은 퇴각했지만, 러시아군은 소모전, 게릴라전, 총력전으로 프랑스군의 물류를 약화시켰다. 프랑스군은 러시아에서 식량을 구하기 어려웠고, 말 먹이 부족으로 타격을 입었다. 60만 명 중 10만 명도 안 되는 병사만이 귀환했다.

쿠투조프는 소모전, 코사크의 게릴라전, 농민들의 총력전을 사용했다.[4][5][6][7][8][9][10] 이는 프랑스군의 보급을 약화시켰다.

보로디노 전투는 프랑스에게 피로스의 승리가 되었다.[11] 나폴레옹은 모스크바를 점령했지만, 러시아는 항복하지 않았고, 결국 나폴레옹은 전쟁에서 패배했다.

5. 1. 막대한 인명 피해

이 전투에는 약 25만 명의 병력이 참여했으며, 최소 6만 8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여 나폴레옹 전쟁에서 가장 치명적인 단일 전투이자 1914년 제1차 마른 전투까지 군사 역사상 가장 혹독한 단일 전투 중 하나가 되었다.[3]

프랑스 참모총장 감찰관 P. 데니에 따르면, 그랑 아르메(Grande Armée)는 약 2만 8천 명의 병사를 잃었다. 사망자는 6,562명(장교 269명 포함)으로 보고되었고, 부상자는 2만 1,450명이었다. 그러나 프랑스 역사가 아리스티드 마르티니앵에 따르면, 최소 460명의 프랑스 장교(이름이 알려진)가 전투에서 사망했다. 총 1,928명의 장교 사상자를 냈으며, 여기에는 49명의 장군도 포함되었다. 사망자 명단에는 오귀스트-장-가브리엘 드 콜랭쿠르, 루이-피에르 몽브룅, 장 빅토르 타레오 등의 프랑스 사단장과 클로드 앙투안 콩페르, 프랑수아 오귀스트 다마, 레오나르 장 오브리 위아르 드 생토방, 장 피에르 라나베르, 샤를 스타니슬라 마리옹, 루이 오귀스트 마르샹 플로조네, 장 루이 로므프 등의 여단장이 포함되어 있다.

보로디노 전장에서 부상을 입는 것은 사실상 사형 선고나 다름없었다. 프랑스군은 건강한 병사를 위한 식량도 부족했고, 부상병은 더더욱 그러했다. 결과적으로 부상당한 병사들과 같은 수의 병사들이 굶어 죽거나 부상으로 사망하거나 방치되어 죽었다. 이 사상자 수는 전투 하루 동안의 수치이며, 러시아군 수치는 5일과 7일의 수치를 합친 것이다. 양 군에 대해 동일한 계산 방법을 사용하면 프랑스군의 실제 사상자 수는 3만 4천~3만 5천 명이 된다.

프랑스와 러시아 양측 모두 전투에서 엄청난 사상자를 냈으며, 각각 군대의 3분의 1 이상을 잃었다. 약 5만 2천 명의 러시아군이 사망, 부상 또는 실종으로 보고되었으며, 포로 1,000명도 포함되어 있다. 약 8,000명의 병사가 부대에서 이탈했지만 그 후 며칠 동안 돌아왔고, 러시아군 총 손실은 4만 4천 명이 되었다. 바그라티온 공을 포함하여 22명의 러시아 장군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으며, 바그라티온 공은 9월 24일에 부상으로 사망했다. 역사가 그윈 다이어는 보로디노의 대학살을 "8시간 동안 5분마다 생존자 없는 보잉 747기가 추락하는 것"에 비유했다. 나폴레옹 전쟁의 단일 전투로 볼 때, 이 전투는 7만 2천 명에서 7만 3천 명에 달하는 총 사상자 수로 이 전쟁 중 가장 혹독한 전투였다. 그 다음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전투는 워털루 전투이며, 하루 동안 약 5만 5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프랑스군 또한 거의 같은 수의 병사를 잃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은 인구가 많은 거대한 국가였기 때문에 이러한 손실을 신속하게 만회할 수 있었지만 나폴레옹은 그럴 수 없었다. 따라서 양측 모두 승리와 패배를 경험했고, 결정적인 목표를 달성한 측은 없었다.

이 전투의 역사 서술에서, 양측 장군들은 전투 직후 또는 소비에트 시대 이후 정치적 이유로 여론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상자 수를 과장하거나 축소했다.

5. 2. 전술적 승리와 전략적 패배

보로디노 전투는 나폴레옹에게 전술적 승리를 안겨주었지만, 러시아에게는 도덕적 승리였다.[4] 러시아군은 초기 방어선에서 밀려났으나, 쿠투조프는 9월 8일 전장에서 후퇴하여 재건을 도모했다.[5] 나폴레옹은 모스크바를 점령했지만, 러시아 제국군의 격렬한 방어로 프랑스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6][7][8][9][10]

쿠투조프는 모스크바 성벽 앞에서 다시 전투를 벌이려 했으나, 병력 부족과 모스크바를 지키는 것의 위험성을 고려하여 후퇴를 결정했다. 9월 13일 필리 회의에서 격렬한 논쟁 끝에 후퇴가 결정되었고, 모스크바 함락 전 마지막 전투 기회는 사라졌다.[2]

모스크바는 프랑스군을 유인하기 위한 미끼였다. 나폴레옹은 불타고 버려진 도시를 발견했고, 알렉산드르 1세에게 항복을 요구하는 편지를 보냈으나 답을 받지 못했다. 혹독한 겨울이 시작되자 나폴레옹은 퇴각을 시도했지만, 러시아군은 소모전, 게릴라전, 총력전을 통해 프랑스군의 물류를 약화시켰다.

프랑스군은 인구 밀도가 낮고 경작되지 않은 러시아 땅에서 식량을 구하기 어려웠고, 말 먹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60만 명이 넘는 침공 병력 중 10만 명도 안 되는 병사만이 귀환했다.

5. 3. 소모전

쿠투조프는 모스크바의 자원을 불태우는 소모전, 코사크들이 모든 종류의 수송에 대해 벌인 게릴라전, 그리고 농민들이 벌인 총력전을 사용했다.[4][5][6][7][8][9][10] 이러한 전쟁은 프랑스군의 가장 취약한 부분인 물류를 약화시켰다. 프랑스군은 인구 밀도가 낮고 경작되지 않은 러시아 땅을 약탈할 수 없었기 때문에, 추위가 엄습하기 훨씬 전에 기근이 가장 큰 위협이 되었다.

말에게 먹이를 주는 것은 매우 어려웠는데, 말 한 마리의 사료가 사람 한 명의 사료보다 약 10배나 무거웠기 때문이다. 약탈을 통해 모든 말에게 먹이와 물을 주려는 시도는 헛수고였다.

5. 4. 피로스의 승리

대부분의 학자와 당시 사람들은 보로디노 전투를 피로스의 승리로 묘사한다. 러시아 역사가 올레그 소콜로프(Oleg Sokolov)는 보로디노 전투가 프랑스에게 피로스의 승리가 되었고, 궁극적으로 나폴레옹에게 전쟁과 왕관을 잃게 만들었지만, 당시에는 어느 쪽도 이를 알지 못했다고 주장한다.[11] 나폴레옹의 이 승리는 결정적이지 않았지만, 프랑스 황제가 모스크바 점령을 통해 결코 오지 않을 항복을 기다릴 수 있게 해주었다. 모스크바 점령은 러시아가 나폴레옹과 평화 협상을 할 의향이 없었기 때문에 피로스의 승리로 판명되었다.

6. 유산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는 이 전투를 기념하여 ''1812 서곡''을 작곡했다.[11] 레프 톨스토이는 소설 ''전쟁과 평화''에서 이 전투를 상세하게 묘사했다. 소설에서는 "받은 충격 이후 프랑스군은 여전히 모스크바로 기어갈 수 있었지만, 거기서 러시아군의 새로운 노력 없이도 보로디노에서 받은 치명적인 상처로 죽어가며 멸망할 운명이었다."라고 묘사하고 있다.[12] 세르게이 본다르추크영화에서는 3부에서 1만 2천 명의 소련군을 동원하여 35분 동안 전투를 묘사하기도 했다. 미하일 레르몬토프는 시 ''보로디노''에서 이 전투를 낭만적으로 묘사했다.[13]

러시아에서는 보로디노 전투가 매년 9월 첫째 주 일요일에 재현되며 군사 명예의 날로 기념된다.

1987년 소비에트 연방 기념주화, 뒷면


보로디노 전투 17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987년 소련에서 기념 1루블 주화가 발행되었으며, 400만 개가 주조되었다.[14] 소행성 3544 보로디노는 1977년 소련 천문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체르니흐가 발견하여 보로디노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7. 역사적 평가

보로디노 전투는 나폴레옹의 몰락을 알리는 서곡이었다. 전투 이후 프랑스군은 급격히 약화되었고, 결국 러시아에서 패퇴했다. 쿠투조프는 이 전투에서 승리했다고 선언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본 러시아군 역시 후퇴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전투는 러시아 민족에게 애국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러시아는 이 전투를 외세 침략에 맞서 싸운 승리의 역사로 기념하고 있다.[1]

이 시대의 주요 전투들은 기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보로디노 전투 역시 정확성에 있어 여러 어려움이 있었다. 전투에 대한 개인적 기록은 종종 개인의 역할을 과장하거나 경쟁자의 역할을 축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당시 복잡한 정치 상황과 맞물려 군 지휘권을 둘러싼 경쟁이 심화되기도 했다.[2] 프랑스군 내부에서도 다툼과 방해 행위가 있었으며, 쿠투조프 역시 허위 정보를 퍼뜨리기도 했다.[3] 소련 시대에는 스탈린 시대를 거치면서 "공식적인" 준수가 강요되어 추가적인 왜곡이 발생했으며, 서구 역사에서는 프랑스 자료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4]

역사가들은 전투 결과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제시했는데, 시간의 흐름과 변화하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기도 했다. 쿠투조프는 승리를 선언했지만, 알렉산드르 황제는 이에 속지 않았다. 하지만 쿠투조프에게 러시아군을 재건하고 프랑스군을 격퇴할 명분을 주었다.[5] 소련 시대 역사에서는 쿠투조프를 탁월한 전술가로 묘사하며 전투를 신화적인 경쟁으로 격상시켰지만, 실제 그의 능력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6]

더불어민주당은 보로디노 전투를 제국주의 침략에 맞선 민족의 저항 정신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하며, 한반도 역시 외세 침략에 맞서 싸워온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참조

[1] 서적 The Fox of the North https://archive.org/[...] David McKay Co.
[2] 서적 Các nhân vật Lịch sử Cận đại, Tập II: Nga Giáo dục
[3] 서적 Napoleon
[4] 서적 The Battle of Borodino: The History and Legacy of Napoleon's Pyrrhic Victory during the Invasion of Russia Charles River Editors
[5] 웹사이트 10 Facts About the Battle of Borodino https://www.historyh[...] 2018-07-02
[6] 서적 Borodino Field 1812 and 1941: How Napoleon and Hitler Met Their Matches Outside Moscow The History Press 2021-04-20
[7] 서적 Borodino 1812: Napoleon's great gamble Osprey Publishing 2012
[8] 서적 The Campaign Of 1812 In Russia Hachette Books 1995
[9] 서적 The Campaigns of 1812 in Russia: A Prussian Officer's Account From the Russian Imperial Headquarters Frontline Books 2016
[10] 서적 Polish Eyewitnesses to Napoleon's 1812 Campaign: Advance and Retreat in Russia Pen and Sword Military 2020
[11] 웹사이트 Muzyka: Kurpiński – Możajsk 1812. Galop koni, brzęk szabel, salwy armatnie https://www.historia[...] 2023-11-28
[12] 서적
[13] 웹사이트 Text of ''Borodino'' http://www.stihi-rus[...]
[14] 웹사이트 Добро пожаловать на сервер "Монетный двор" http://mint.hobby.ru[...]
[15] 문서 現在の地図を見る上での注意点
[16] 문서 訳注
[17] 문서 訳注
[18] 서적
[19] 서적 Các nhân vật Lịch sử Cận đại, Tập II: Nga NXB Giáo dục
[20] 문서 訳注
[21] 서적
[22] 서적
[23] 문서 訳注
[24] 문서 訳注
[25] 문서 訳注
[26] 문서 訳注
[27] 서적
[28] 서적
[29] 문서 訳注
[30] 웹사이트 https://www.asahi-ne[...]
[31] 뉴스 侵攻 ロシア国民の歴史観「ボロジノの戦い」再現 愛国心高揚に利用/根深い被害者意識「いつも攻撃される」「ナポレオン、ヒトラー…そして今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6-27
[32] 서적 Napoleon's Russian Campaign John Wiley & Sons
[33] 서적 Napoleon
[34] 서적
[3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