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스니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니아는 보스나강 주변의 지역을 지칭하는 역사적 지명으로,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 영토의 약 80%를 차지한다. 1080년대부터 보스니아 공작의 영지로 시작하여, 14세기 말에는 보스니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병합, 유고슬라비아 왕국 편입 등의 역사를 거쳤다. 지리적으로는 디나르 알프스 산맥에 위치하며, 여러 지역으로 구분된다. 보스니아 지역은 헤르체고비나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지역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세 시대부터 그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리 - 발칸반도
    발칸반도는 유럽 남동부의 반도로 아드리아해, 지중해, 흑해에 접하며 다뉴브강, 사바강, 쿠파강 이남 지역을 지칭하고, 다양한 국가들이 위치하며 역사적,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유럽의 화약고'라고도 불린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지리 - 보산스카크라이나
    보산스카 크라이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서부의 역사적 지역으로,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 간 충돌 지역이었으며, 보스니아 전쟁으로 인구 변화와 인권 유린을 겪었고 현재 여러 지역으로 분할되어 바냐 루카 등의 도시를 포함한다.
  • 본토 - 덴마크
    덴마크는 유틀란트 반도와 섬들로 이루어진 북유럽 입헌 군주국으로, "덴인의 땅"이라는 뜻의 국명을 가지며, 바이킹 시대를 거쳐 선진 복지 국가로 발전하여 EU와 NATO 회원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높은 삶의 질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국가이다.
  • 본토 - 프랑스 본토
    프랑스 본토는 유럽 대륙에 위치한 프랑스 공화국의 주요 영토로, 프랑스 전체 면적과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해외 영토와의 불평등한 관계를 반영한다는 비판으로 대체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보스니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보스니아 지역 업데이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두 현대 지역 간의 대략적인 경계 - 보스니아 (짙은 갈색으로 표시)와 헤르체고비나 (밝은 갈색으로 표시)
기본 정보
고유 명칭Bosna
Босна
지역 유형지역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주요 도시사라예보
반야루카
정부
단위
단위 선호미터법
면적
총 면적39,021 km²
고도
인구
인구약 300만 명
인구 기준 시점2013년
인구 밀도auto
인구 통계보스니아인
시간대
시간대CET
UTC 오프셋+1
시간대 (서머타임)CEST
UTC 오프셋 (서머타임)+2
기타 정보

2. 역사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노스 7세가 쓴 《제국의 경영》에는 사라예보 근처 보스나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보소나'(Bosona)라는 작은 지방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여기서 보스니아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1080년대부터 보스니아 공작의 영지가 되었고, 14세기 말에는 헤르체고비나와 함께 보스니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463년부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이슬람교의 영향을 받았다. 19세기에는 보스니아 각지에서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봉기가 일어났다. 1878년 베를린 회의 결과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었고, 1908년에는 정식으로 합병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소멸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14세기 말 보스니아의 트르트코 1세 치하에서 보스니아 왕국은 오늘날 보스니아 대부분의 영토와 훗날 헤르체고비나로 알려지게 될 지역을 포함했다. 1463년 야이체를 마지막으로 보스니아 왕국은 오스만 제국에 멸망했다.[5]

오스만 제국은 보산스코 크라지슈테를 통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로 확장했고, 1462/1463년 이후 보스니아 산자크와 헤르체고비나 산자크로 변모했다. 베르슬라비치 그라바르스키 가문의 프란요 백작과 이바니시 베르슬라비치의 저항 이후, 1527년 최초의 오스만 행정구역인 보스니아 에얄레트가 형성되었다.

18세기 큰 터키 전쟁 이후 에얄레트는 오늘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거의 일치하는 지역을 포함하게 되었다. 1833년 알리 파샤 리즈반베고비치 치하에서 헤르체고비나 에얄레트가 일시적으로 분리되었으나, 1853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라는 이름을 얻었다. 1864년 행정 개혁 이후 보스니아 빌라예트로 명명되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878년 전국을 점령했고, 1908년 보스니아 위기를 일으켜 공식적으로 병합할 때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 통치라는 명칭으로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다.

2. 1. 선사 및 고대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노스 7세 황제가 쓴 《제국의 경영》(De Administrando Imperio)에는 사라예보 근처 보스나강 주변의 작은 지방 '보소나'(Bosona)가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보스니아라는 이름이 유래했다.[4] 보스니아 중앙부는 신석기 시대 농부들이 살았고, 카칸 문화와 부트미르 문화가 존재했다. 최초의 인도유럽인들은 에네올리틱 부체돌 문화의 구성원으로 추정된다.[2]

청동기 시대에는 철기 시대 중앙 보스니아 문화 집단과 글라시나츠 문화가 있었고, 이후 다에시티아테스 일리리아 부족이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3] 바다뉴 동굴(기원전 16,000년 - 12,000년)과 다닐로 문화(기원전 4700년 – 3900년) 유적이 발견되었다.

일리리아인일리리아가 있었지만, 로마 공화정에 멸망하고 일리리아 속주(기원전 167년 - 10년)가 설치되었다. 이후 황제령 달마티아(기원전 32년 - 6세기)와 황제령 판노니아로 분할되었다. 로마 제국이 동서로 분열된 후, 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죽자 슬라브인들이 침입했다.

2. 2. 중세

비잔티움 제국의 콘스탄티노스 7세 황제가 쓴 외교 서적인 《제국의 경영》(De Administrando Imperio)에 따르면 사라예보에는 보스나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작은 지방인 '보소나'(Bosona)가 있다는 기록이 남아 있는데, 보스니아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되었다. 1080년대부터 보스니아 공작의 영지가 되었고 14세기 말에는 헤르체고비나와 함께 보스니아 왕국의 지배를 받게 된다.

보스니아 중앙부는 신석기 농부들이 거주했는데, 이들은 카칸 문화에 속했으며, 나중에 부트미르 문화라는 또 다른 신석기 문화에 의해 대체되었다. 최초의 인도유럽인들은 에네올리틱 부체돌 문화의 구성원으로 여겨진다.[2]

청동기 시대에는 이 지역에 철기 시대 중앙 보스니아 문화 집단과 글라시나츠 문화가 거주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나중에 다에시티아테스 일리리아 부족이 이 지역에서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3]

이 지역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1154년 보스니아 국가의 최초로 기록된 독립적인 통치자이자 총독인 반 보리치가 임명될 때까지 부족하다.

''De Administrando Imperio''는 현대 사라예보와 비소코 지역의 보스나 강 주변에 위치한 작은 세르비아 주파인 ''보소나''(χωρίον Βόσοναel)를 묘사하고 있다.[4]

1080년대에 알려진 최초의 통치자인 보스니아 공작 스테판 치하에서 이 지역은 보스나 강, 브르바스 강, 네레트바 강의 상류 지역에 걸쳐 있었다.

보스니아 왕국의 확장


14세기 말 보스니아의 트르트코 1세 치하에서 보스니아 왕국은 오늘날 보스니아의 대부분의 영토와 나중에 헤르체고비나로 알려지게 될 지역을 포함했다. 이 왕국은 1463년 오스만 제국에 독립을 잃었다. 정복 당시 보스니아 서쪽 끝 도시는 야이체였다.[5]

6세기 말에서 7세기에 걸쳐 현재 주민의 조상인 슬라브인들이 정착했다. 보스니아 공국(600년 – 1137년).

12세기 이후 보스니아는 헝가리의 지배하에 들어가지만, 헝가리의 지배는 명목상이었고, 실제로는 보스니아의 귀족들이 총독을 의미하는 "반"이라는 칭호를 사용하여 지배하였다. 1322년에 반이 된 Stephen II, Ban of Bosnia|슈테판 코트로마니치영어 시대에는 헤르체고비나를 그 영토에 포함시켰다.

14세기 후반 Tvrtko I of Bosnia|슈테판 트르트코 1세영어 시대에 최전성기를 맞이하여, 1377년에는 칭호도 그때까지의 "반"에서 "왕"으로 바뀌고, 명실상부한 왕국이 되었다(보스니아 왕국, 1377년 - 1463년).

2. 3. 오스만 제국 시대

1428년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 된 보스니아 왕국은 1463년 국왕 슈테판 토마셰비치가 폐위되면서 오스만 제국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되었다.[5] 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 지역은 보스니아 주(1580년 – 1867년) 또는 보스니아 주(1867년 – 1908년)로 불렸으며, 인근의 헤르체고비나 주(1833년 – 1851년), 즈보르니크 현과 함께 하나의 주를 형성했다. 보스니아에서는 예전에 기독교 보고밀파 신앙이 성행했지만, 오스만 제국의 통치하에 점차 이슬람으로 개종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현재 보슈냐크(산자크 참조)라 불리는 집단의 원형이 형성되었다. 다만, 보고밀파 신자 모두가 무슬림이 된 것은 아니며, 정교회나 가톨릭교회로 개종한 사람들도 상당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현재 보스니아에서는 보고밀파 신앙은 사라졌다.

오랜 세월 오스만 제국의 통치는 많은 개종자를 만들어냈지만, 보스니아에는 정교도와 가톨릭 기독교인도 많이 존재했고, 유대교도 공동체도 있었다. 사회 계층으로는 무슬림(이슬람교도)은 지주가 많았고, 기독교인은 소작농이 많았다. 이처럼 여러 종교가 혼재된 상황이었지만, 오스만 제국 지배하에서는 종교별 공동체(밀레트)에 의한 자치가 인정되었던 탓에 종교적 갈등은 비교적 적었고, 각 종교는 공존 관계에 있었다. 다만, 지주와 소작농의 경제적 갈등이 종교적 갈등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었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인 1804년, 현대의 세르비아 중부에서 제1차 세르비아 봉기가 발발했다. 1809년에는 그라디슈카 지역에서 보스니아 주(1580년 – 1867년)의 반 오스만 제국 봉기인 얀치치의 봉기(Машићка бунаsr)가 일어나, 세르비아인의 경제종교 권리가 박탈되었다. 1831년에는 보스니아 봉기(1831년 – 1833년)라는 대규모 반란이 발생했다.

1875년 헤르체고비나 봉기가 발발하고, 그에 따른 몬테네그로-오스만 전쟁과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결과로 산스테파노 조약이 체결되어 보스니아에 자치권이 부여되었다. 그러나 이후 베를린 회의에서 몬테네그로 공국과 세르비아 왕국의 독립이 인정된 반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 통치령(Condominium of Bosnia and Herzegovina영어, 1878년 - 1918년)을 군사 점령하게 되었다. 점령 초기, 무슬림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저항이 일어났지만, 점령군은 1878년 말까지 이를 진압했다. 1878년 이후 오스만 제국의 명목상 주권 하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시정권을 행사하는 체제가 1908년까지 이어졌지만, 지역 내에 많은 세르비아인이 거주한다는 이유로 세르비아 왕국은 보스니아에 대한 영유권을 계속 주장했다.

2. 4.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1878년 베를린 회의의 결과에 따라 보스니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되었고, 1908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정식으로 합병되었다.[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 통치령은 제국 재무대신(공동 재무대신)의 관할 아래 놓여졌고, 무슬림 지주 세력을 유지하는 정책이 채택되었다. 1908년 10월 6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동 통치령은 헤르체고비나와 함께 공식적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합병되었다(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합병). 합병 후에도 점령 시대와 마찬가지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고 공동 재무대신의 관할 아래 놓여 있었지만, 1910년에는 제국 내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헌법이 적용되고 선거가 실시되었다.

발칸 전쟁(1912년 - 1913년)이 발발했고, 이후 제1차 세계 대전까지 무슬림들이 오스만 제국 영토로 이주하는 “무하지르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전후에는 세르비아 민족주의가 고조되었다. Mlada Bosna의 가브릴로 프린치프사라예보 사건(1914년)을 일으켜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다.

2. 5. 제1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왕국

제1차 세계 대전은 보스니아 영유권을 둘러싼 오스트리아와 세르비아 간의 분쟁에서 비롯되었는데, 전쟁에서 패배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붕괴되었다.[5] 1918년 10월 29일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 왕국(구 세르비아 왕국)이 성립되었고, 1918년 12월 1일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달마티아 왕국과 함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도 이 왕국의 영토로 편입되어 세르비아인·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 왕국(1918년 - 1943년, 1929년부터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탄생했다.[5]

2. 6.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39년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크로아티아인들의 불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크로아티아 자치주 설립을 시도했다. 1941년 4월 1일,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자들이 자그레브에서 봉기하여 "크로아티아 독립국(1941년 - 1945년)" 건국을 선포했다. 같은 달, 발칸 전선 (제2차 세계 대전)의 일환으로 나치 독일의 유고슬라비아 침공이 시작되어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붕괴되고 보스니아는 나치 괴뢰 국가인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병합되었다. 중앙 세르비아에는 나치 괴뢰 국가인 세르비아 구국 정부(1941년 - 1944년)가 수립되었다. 같은 해, 우스타샤에 대항하는 세르비아 저항 조직인 체트니크가 결성되었으나, 11월에는 세르비아 구국 정부와 협력 관계를 맺고 티토파르티잔 부대와 크로아티아인들과 싸웠다.[5]

1943년 11월 25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해방 국가반파시스트위원회가 설립되었다. 1943년 11월 29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이 건국되었다. 1945년 4월 6일, 티토에 의해 사라예보가 나치 점령에서 해방되었다. 독일의 항복과 함께 크로아티아 독립국도 붕괴되어 독립은 취소되었고, 보스니아도 유고슬라비아로 돌아갔으며, 1945년 4월 26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인민 공화국)이 되었다. 1946년에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이 되었다.[5]

2. 7. 보스니아 내전과 독립

1990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1990년-1992년)이 수립되었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 분쟁이 발발하였고,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였다.

1992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은 자국 내 세르비아인에 대한 공격을 미국에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보스니아는 미국의 독립계 홍보 회사인 Ruder Finn|루더 핀영어을 고용하여 언론이 좋아할 만한 이야기를 잇달아 흘렸다. 예를 들어, 몇몇 시체 영상을 바탕으로 "민족 청소"라는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변전소 울타리 앞에 서 있는 마른 남성의 사진을 근거로 "강제 수용소"라고 주장하며, "나치에 의한 민간인 대량 학살과 같은 잔혹 행위"라는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실제로 1994년 4월 10일부터 4월 11일까지 미국 주도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에 의한 세르비아계 세력에 대한 소규모 공습이 실시되었다. 열화우라늄탄의 피해를 입은 쪽은 세르비아 측이었다. 1994년 8월, 재공습이 이루어졌고, 11월 21일과 23일에 NATO에 의한 세 번째 공습이 있었다.

지미 카터의 중재로 1995년 1월 1일부터 4개월간의 휴전이 이루어졌다.

1995년 스레브레니차 학살(7월 13일 - 7월 22일)이 발생했다. 미국 주도의 NATO 공습(1995년 8월 30일 - 9월 20일)이 실시되었다. 12월 14일, 데이턴 협정에 따라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세르비아인의 스릅스카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3. 지리

보스니아는 주로 디나르 알프스 산맥에 위치하며, 파노니아 평원의 남쪽 경계까지 이어진다. 사바 강과 드리나 강은 각각 북쪽과 동쪽 경계를 이룬다.[1]

보스니아 지역의 면적은 약 39021km2이며,[1]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 영토의 약 80%를 차지한다. 보스니아 지역과 헤르체고비나 지역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가 없다. 비공식적으로 헤르체고비나는 이반 플라니나 산맥의 남쪽에 위치한다. 또 다른 비공식적인 정의에 따르면, 헤르체고비나는 네레트바 강과 트레비슈니차 강의 유역을 포함한다.

3. 1. 하위 지역

보스니아는 주로 디나르 알프스 산맥에 위치하며, 파노니아 평원의 남쪽 경계까지 이어진다. 사바 강과 드리나 강은 각각 북쪽과 동쪽 경계를 이룬다.[1]

보스니아 지역의 면적은 약 39021km2이며, 현재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가 영토의 약 80%를 차지한다. 보스니아 지역과 헤르체고비나 지역 사이에는 명확한 경계가 없다.

보스니아의 하위 지역
위치명칭
동부포드리니예(Podrinje)
북서부보산스카 크라이나(Bosanska Krajina)
중부중부 보스니아(Central Bosnia)
북단포사비나(Posavina)
북동부셈베리야(Semberija)
서부트로폴예(Tropolje)


4. 지역 정체성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에서 보스니아 지역은 이웃 헤르체고비나와는 구별되는 전통적인 지역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보스니아 지역 정체성은 10세기 초, 콘스탄티누스 7세 포르피로게네토스가 '보스니아'를 특정 지역으로 언급하면서 이미 입증되었다.[1] 보스니아의 지역 정체성 발전은 중세 전반에 걸쳐 계속되었고,[2] 1463년 오스만 정복자들이 보스니아 산자크를 건설하여 지역 이름을 부여하면서 15세기에도 인정받았다. 이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었다. 오스만 통치 말기(1878년)까지 지역적 '보스니아 정체성'은 보스니아 일반 주민 내의 전통적인 민족 및 종교적 차이를 초월하는 독특한 지역 정체성의 표식이 되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1878~1918) 및 유고슬라비아(1918~1992) 통치 기간에도 동일한 지역적 '보스니아 정체성' 개념이 유지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Land area (sq. km) - Bosnia and Herzegovina Data https://data.worldba[...] 2021-05-06
[2]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출판사 정보 부족) 1997
[3] 논문 Bijeli Hrvati u banskoj Hrvatskoj i županijska Hrvatska http://hrcak.srce.hr[...] Museum of Croatian Archaeological Monuments 2010-12
[4] 서적 Teritorijalni razvoj bosanske države u srednjem vijeku Glas SKA 1935
[5] 서적 The Muslims of Bosnia-Herzegovina, the Historic Development from Middle Ages to the Dissolution of Yugoslavia https://books.googl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