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양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양읍은 충청북도 제천시에 속한 읍으로, 조선시대 제천현 근우면과 근좌면 지역에서 유래했다. 1917년 봉양면으로 통합된 후, 1995년 봉양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16개의 법정리와 34개의 행정리를 관할하며, 농업을 기반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하고 있다. 봉양읍에는 중앙선, 충북선 철도역과 중앙고속도로 제천 나들목이 있으며, 자양영당, 배론성지, 백련사 등의 문화 유산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읍·면 - 북이면 (청주시)
    북이면은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에 위치한 면으로, 일제강점기 청주군 북이면으로 설치된 후 청원군을 거쳐 청주시 청원구로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여러 차례 행정구역 변경을 겪어 현재 26개의 법정리와 51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 충청북도의 읍·면 - 남이면 (청주시)
    남이면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에 위치한 면으로, 20개의 법정리와 39개의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사무소는 척산리에 있고, 조선시대 청주군 지역이 1914년 일제 행정구역 개편으로 통합되어 청원군 남이면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남이초등학교와 갈원초등학교가 있다.
  • 1995년 설치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1995년 설치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봉양읍
지도
기본 정보
이름봉양읍
한자 표기鳳陽邑
영문 표기Bongyang-eup
광역시도충청북도
시군구제천시
봉양읍사무소
면적144.85
세대3,693
세대 조사2023년 12월
인구6,672
인구 조사2023년 12월
법정리16법정리
행정리34
158
읍사무소주포로 83 (주포리)
홈페이지봉양읍행정복지센터

2. 역사

봉양읍의 역사는 조선시대 제천현 근우면과 근좌면 지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옛 관아가 있던 곳이었기에 고제천(古堤川)이라고도 불렸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근우면은 13개 리(장평리, 신리, 천남리, 왕암리, 미당리, 명도리, 명암리, 학산리, 옥전리, 구학리, 팔송리, 봉양리, 주포리), 근좌면은 6개 리(연박리, 원박리, 공전리, 구곡리, 마곡리, 삼거리)로 나뉘었다.[1]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근우면사무소(근좌면과 공동사무소)가 봉양리(내사리)에서 주포리 63-2로 이전했다.[2] 1917년 9월 25일, 근우면과 근좌면이 합쳐져 봉양면(19개 법정리)이 되었다.[3] 이후 1980년 4월 1일 제천군 일부가 제원군으로 개칭되었고,[4] 1983년 2월 15일에는 천남리, 왕암리, 신리가 제천시로 이관되어 봉양면은 16개 법정리가 되었다.[5] 1991년 1월 1일 제원군은 다시 제천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6] 1995년 1월 1일 제천군이 제천시로 개편되면서,[7] 같은 해 3월 2일 봉양면은 봉양읍으로 승격하였다.[8] 봉양읍의 행정구역 변화는 주변 지역과의 관계 변화 및 지역 발전 과정을 반영한다. 특히, 1983년 일부 지역의 제천시 편입은 봉양읍의 행정적 위상 변화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 1. 조선시대

조선시대 봉양읍 지역은 제천현 근우면과 근좌면 지역이었으며, 예전 관아가 있던 곳이라 하여 고제천(古堤川)이라고도 불렸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근우면은 13개 리(장평리, 신리, 천남리, 왕암리, 미당리, 명도리, 명암리, 학산리, 옥전리, 구학리, 팔송리, 봉양리, 주포리), 근좌면은 6개 리(연박리, 원박리, 공전리, 구곡리, 마곡리, 삼거리)로 나뉘었다.[1]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근우면사무소(근좌면과 공동사무소)가 봉양리(내사리)에서 주포리 63-2로 이전하였다.[2] 1917년 9월 25일에는 근우면과 근좌면이 합쳐져 봉양면(鳳陽面)이 되었다(19법정리).[3] 이후 1980년 4월 1일 제천군 일부가 제원군(堤原郡)으로 개칭되었고,[4] 1983년 2월 15일에는 천남리, 왕암리, 신리가 제천시로 이관되었다(16법정리).[5] 1991년 1월 1일 제원군은 다시 제천군(堤川郡)으로 개칭되었으며,[6] 1995년 1월 1일 제천군 등이 제천시로 개편되었다.[7] 마지막으로 1995년 3월 2일 봉양면은 봉양읍으로 승격하였다.[8]

2. 2. 일제강점기

조선시대 제천현 근우면과 근좌면 지역으로, 옛 관아가 있던 곳이라 하여 고제천(古堤川)이라고도 불렸다.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으로 근우면은 13개 리(장평리, 신리, 천남리, 왕암리, 미당리, 명도리, 명암리, 학산리, 옥전리, 구학리, 팔송리, 봉양리, 주포리), 근좌면은 6개 리(연박리, 원박리, 공전리, 구곡리, 마곡리, 삼거리)로 개편되었다.[1] 같은 해 12월 19일에는 근우면사무소(근좌면과 공동사무소)가 봉양리(내사리)에서 주포리 63-2로 이전했다.[2] 1917년 9월 25일, 근우면과 근좌면은 통합되어 봉양면이 되었다(19개 법정리).[3] 1980년 4월 1일 제천군 일부가 제원군으로 개칭되었고,[4] 1983년 2월 15일에는 천남리, 왕암리, 신리가 제천시로 이관되었다(16개 법정리).[5] 1991년 1월 1일 제원군은 다시 제천군으로 개칭되었으며,[6] 1995년 1월 1일 제천군 등이 제천시로 개편되었다.[7] 마지막으로 1995년 3월 2일, 봉양면은 봉양읍으로 승격하였다.[8]

2. 3. 현대

1980년 4월 1일, 제천군은 제원군으로 개칭되었다.[4] 그러나 1983년 2월 15일, 봉양면의 천남리, 왕암리, 신리 지역이 제천시로 이관되는 변화가 있었다.[5] 이로 인해 봉양면은 16개 법정리가 되었고, 이후 1991년 1월 1일에는 제원군이 다시 제천군으로 개칭되었다.[6] 마침내 1995년 1월 1일, 제천군은 제천시로 개편되었고,[7] 같은 해 3월 2일 봉양면은 봉양읍으로 승격되었다.[8]

3. 행정구역

== 행정구역 ==

봉양읍의 행정구역은 1914년 당시 구학리, 주포리, 장평리, 신리, 천남리, 왕암리, 미당리, 명도리, 봉양리, 명암리, 학산리, 옥전리, 팔송리 등 13개 리였으며, 연박리, 원박리, 공전리, 구곡리, 마곡리, 삼거리 등 6개 리가 추가로 편입되었다. 1983년 2월 15일에는 신리, 천남리, 왕암리가 제천시로 편입되었고, 2023년 현재는 법정리 16개, 행정리 34개를 관할하고 있다. 봉양읍은 대한민국 지방자치법의 읍 승격 조건인 인구 2만 명 이상 및 도시 형태를 충족하지 못하지만, 읍이 없는 도농복합형태의 시의 경우 인구가 가장 많은 1개 면을 읍으로 승격시킬 수 있는 특례 조항에 따라 읍으로 승격되었다. 주포리와 미당리 지역의 아파트 단지 건설로 인구가 일시적으로 증가하기도 했으나, 충청북도 농어촌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 12월 31일 기준 인구는 6,672명(남자 3,412명, 여자 3,260명), 세대수는 3,693세대이다.

3. 1. 관할 리 현황

1914년 당시 봉양읍의 관할 행정구역은 구학리, 주포리, 장평리, 신리, 천남리, 왕암리, 미당리, 명도리, 봉양리, 명암리, 학산리, 옥전리, 팔송리 등 13개 리였습니다. 여기에 연박리, 원박리, 공전리, 구곡리, 마곡리, 삼거리 등 6개 리가 흡수되면서 확대되었습니다. 하지만 1983년 2월 15일, 신리, 천남리, 왕암리 3개 리가 제천시로 편입되었고, 2023년 현재 봉양읍은 법정리 16개, 행정리 34개를 관할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2007년 기준 각 리의 면적, 세대수, 인구를 나타내며, 괄호 안의 숫자는 2007년 당시의 수치임을 의미합니다. 2023년 현재 행정리 구분 또한 함께 표기하였습니다.

법정리한자명면적(1,000m²)세대(호, 2007년)인구(명, 2007년)행정리(2023년)
주포리周浦里1,4045931,593주포1리, 주포2리, 주포3리, 주포4리
장평리長坪里9,049256561장평1리, 장평2리
미당리美堂里6,4956491,712미당1리, 미당2리, 미당3리, 미당4리, 미당5리, 미당6리
명도리明道里9,082135334명도1리, 명도2리
봉양리鳳陽里2,793135324봉양리
명암리明岩里21,55188205명암리
학산리鶴山里9,928137271학산리
옥전리玉田里13,471111237옥전1리, 옥전2리
구학리九鶴里11,932173404구학1리, 구학2리
팔송리八松里2,539103260팔송리
연박리硯朴里9,880260564연박1리, 연박2리
원박리院朴里8,040143299원박리
공전리公田里8,827146356공전1리, 공전2리, 공전3리
구곡리九曲里12,099150357구곡1리, 구곡2리, 구곡3리
마곡리馬谷里4,10055144마곡리
삼거리三巨里13,659142270삼거1리, 삼거2리
144,8513,2767,88916개 법정리, 34개 행정리


3. 2. 인구

봉양읍은 인구 1만 명에 미달하는 소규모 읍이다. 대한민국 지방자치법은 읍 승격 조건으로 인구 2만 명 이상과 도시 형태를 갖출 것을 규정하지만, 읍이 없는 도농복합형태의 시의 경우 인구가 가장 많은 1개 면을 읍으로 승격시킬 수 있는 특례 조항이 있다. 봉양읍은 이러한 특례에 따라 읍으로 승격되었다. 주포리와 미당리 지역 아파트 단지 건설로 인구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시기도 있었으나, 충청북도 농어촌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 12월 31일 기준, 봉양읍의 인구는 6,672명(남자 3,412명, 여자 3,260명)이며, 세대수는 3,693호이다.

4. 산업·경제

봉양읍은 농업을 기반으로 한 지역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농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나, 최근에는 농업 외에도 다양한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봉양읍의 지리적 특성을 활용한 관광 산업이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하지만 젊은 인구 유출과 농촌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농업 분야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 봉양읍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농업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관광 산업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의 농촌 지원 정책과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봉양읍의 경제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젊은 층의 유입을 위한 정책 지원과 지역 특산품 개발을 통한 소득 증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민주당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기대된다.

4. 1. 산업

봉양읍 주포리 농공단지에는 조립 및 제조업체 4개가 입주해 있다. 2010년까지는 미당리와 제천시 왕암동 일대에 한방산업단지를 포함한 제천 제2산업단지(제2바이오밸리) 조성 계획이 있었다. 또한, 구곡리와 마곡리 일대에는 2013년까지 골프장, 스키장, 연수단지 등을 포함하는 웰빙휴양타운 조성이 계획되었다.

5. 교통

봉양읍의 교통은 철도와 도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철도의 경우, 중앙선의 연교역, 구학역, 봉양역과 충북선의 공전역, 봉양역이 있다. 특히 충북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어 이용 편의성이 높아졌다. 도로 교통에 대한 정보는 추가적인 자료가 필요하다.

5. 1. 도로 교통

봉양읍에는 중앙고속도로가 지나며, 제천 나들목(IC)이 있다. 국도로는 원주시, 제천시, 단양군을 잇는 국도 제5호선과 충주시, 제천시, 영월군을 연결하는 국도 제38호선이 있다. 국도 제38호선은 해발 453m의 박달재를 넘어가는데, 1996년 제천 방향 하행선 2차선, 2000년 충주 방향 상행선 2차선이 개통되어 왕복 4차선 규모의 박달재터널이 완성되었다. 이로 인해 충주와 제천 간 교통이 크게 편리해졌다. 이 외에도 지방도 제2호선, 제9호선, 제10호선, 제15호선, 제21호선, 제22호선, 제24호선 등이 봉양읍 전역을 연결하고 있다.

5. 2. 철도 교통

봉양읍에는 중앙선연교역, 구학역, 봉양역충북선공전역, 봉양역이 있다. 충북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6. 문화·자연

봉양읍에는 다양한 문화 및 자연 유산이 존재한다. 충청북도기념물 제37호인 자양영당은 봉양읍 공전리에 위치하며, 구학리에는 충청북도기념물 제118호인 배론성지가 자리하고 있다. 명암리의 백련사에는 시도유형문화재 제217호인 제천백련사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소중히 모셔져 있다. 이 외에도 탁사정과 박달재[朴達峙]는 제천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인기있는 휴양 시설 및 명소이다. 특히 공전역 주변은 영화 박하사탕의 촬영지로 잘 알려져 있어, 영화 팬들에게도 의미있는 장소이다.

7. 기관

봉양읍에는 봉양읍행정복지센터, 봉양읍 주민자치센터와 같은 행정기관과 제천경찰서 봉양지구대, 제천소방서 봉양119안전센터(구 봉양소방파출소)와 같은 치안 및 소방기관이 있다. 주민 편의시설로는 봉양도서관, 봉양우체국, 봉양농업협동조합 등이 있으며, 봉양역, 공전역, 구학역, 연교역 등의 철도역이 소재해 있다.

8. 교육

봉양읍에는 1개의 고등학교, 1개의 중학교, 2개의 초등학교가 있다. 고등학교는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팔송리 360)가 있으며, 중학교는 봉양중학교(장평리 864-1)가 있다. 초등학교는 봉양초등학교(연박리 921)와 왕미초등학교(미당리 757)가 있다.

과거에는 봉양읍에 여러 분교가 있었으나 대부분 폐교되었다. 봉양초등학교 봉남분교(마곡리 540)는 1999년 폐교되어 현재 제천예술인마을 문화학교로 활용되고 있으며, 학전분교(옥전리 180)와 명암분교(명암리 605-4)는 1995년에 폐교되었다. 공전초등학교(공전리 274)는 1999년 2월 10일 봉양초등학교에 통폐합되었으며, 현재는 대안학교 교사로 활용되고 있다. 남당초등학교 삼선분교(삼거리 538)는 1993년 폐교되었고, 남당초등학교 본교는 제천시 영천동 760에 위치한다.

9. 관련 사진



참조

[1] 법률 충청북도령 제2호 s:다이쇼 3년 조선총독부 충청북도령[...] 1914-03-09
[2] 고시 충청북도고시 제66호 제천군근우면송학면사무소위치 1914-12-19
[3] 법률 충청북도령 제5호 s:1917년 조선총독부 충청북도령 [...] 1917-09-22
[4] 법률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79-12-29
[5]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6] 법률 충청북도제원군등4개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0-12-31
[7]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8] 조례 봉양읍설치에관한조례 1995-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