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은사 칠성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은사 칠성도는 1886년 봉은사 판전에 봉안되었다가 1942년 북극보전으로 옮겨진 불화이다.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일광보살, 월광보살, 28수, 칠원성군, 태상노군, 삼태, 육성 등 다양한 존상들이 묘사되어 있다. 특히 흰 소가 끄는 마차 위에 앉은 치성광여래의 도상은 19세기 후반 서울, 경기 지역 칠성도의 특징을 보여준다. 섬세한 인물 묘사와 유려한 필치, 짜임새 있는 구성을 갖춘 이 불화는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한국 불교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6년 작품 - 서울 봉은사 괘불도
서울 봉은사 괘불도는 1743년 제작된 조선 시대 불화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여러 불교 인물들을 묘사한 대형 괘불이며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72호로 지정, 19세기 후반 서울·경기 지역 괘불의 특징을 보여주는 중요한 불교 미술 자료이다. - 1886년 작품 - 담배 피는 해골
- 봉은사 - 봉은사 삼장보살도
봉은사 삼장보살도는 1892년에 제작되어 봉은사에 봉안된 불화로, 천장보살을 중심으로 지지보살과 지장보살 및 권속들이 묘사되었고, 민두호가 시주하여 제작되었으며, 강한 음영법과 세밀한 필선이 특징으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봉은사 - 봉은사 삼세불도
봉은사 삼세불도는 봉은사 대웅전에 봉안된 1892년 제작의 대규모 불화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삼세불, 육보살, 팔나한 등을 묘사하고 붉은색을 주조색으로 화려하게 채색되었다.
봉은사 칠성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봉은사 칠성도 |
한자 표기 | 奉恩寺 七星圖 |
국가 | 서울특별시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233 |
지정일 | 2007년 9월 27일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3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 | 미상 |
참고 | 미상 |
면적 | 미상 |
수량 | 1폭 |
전승지 | 미상 |
전승자 | 미상 |
![]() | |
설명 | 미상 |
웹사이트 | 미상 |
문화재청 | 21,02330000,11 |
2. 조성 배경 및 연혁
이 불화는 1886년 4월 판전의 후불탱화(비로자나불화), 산신도와 함께 조성되어 판전에 봉안되었다가 1942년 북극보전으로 이안된 것이다.[1] 화주(化主)는 등운 수은(騰雲 修隱)이 맡았고, 인권대시주(引勸大施主)는 청신녀(淸信女) 경인생(庚寅生) 오청정월(吳淸淨月)이 맡아 조성하였다.[1] 오청정월은 1892년 대웅전의 삼세불화와 삼장보살도, 감로왕도 제작 때 인권대시주를 맡았으며, 1912년 대웅전 삼존불상의 개금 때도 인권화주(引勸化主)를 맡은 것으로 보아 19세기 후반 봉은사의 중요한 단월(檀越) 중 한 사람이었다.[1]
이 불화는 북극보전에 산신도, 독성도와 함께 봉안되어 있는 칠성도로, 1886년 4월 판전의 후불탱화(비로자나불화), 산신도와 함께 조성되어 판전에 봉안되었다가 1942년 북극보전으로 옮겨졌다.[1]
이 불화에서 치성광여래는 흰 소가 끄는 마차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는 힌두교에서 태양이 백우거(白牛車)를 타고 우주를 한 바퀴 돌면 1년이 된다는 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중국과 한국에서는 일찍부터 백우거를 탄 치성광여래 도상이 나타났지만, 조선 후기에는 치성광여래가 수미단 위에 결가부좌한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
[1]
간행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 지정
서울특별시장
2007-09-27
화기(畵記)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1]
光緖十二年丙戌四 月日奉安于奉恩寺 神七星幀奉爲 緣化秩 證明 帍夆應奎 漢隱正俊 幻隱允定 誦呪比丘啓天 金魚 慶船應釋 東昊震徹 賢調 慧照 供司比丘若訥 鐘頭比丘 法能 別座比丘信永 都監淸霞包舍 化主騰雲修隱 施主秩 乾命戊子生李氏 坤命癸亥生金氏 兩位 乾命辛亥生李在淳 坤命癸丑生洪氏 兩位 乾命丙寅生黃延壽 坤命丙寅生李氏 兩位 引勸大施主 淸信女庚寅生吳氏 淸淨月중국어[1]
화기에는 조성 연대, 봉안 장소, 제작 주체, 시주자 등이 기록되어 있다.[1]
3. 도상 및 양식 특징
치성광여래는 흰 소가 끄는 마차 위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하고 있다. 둥근 얼굴에 육계가 뾰족하며, 오른손은 가슴 부근으로 들어 올려 손가락을 마주 잡고 왼손은 무릎 위에 놓아 금륜(金輪)을 들고 있다. 소가 끄는 마차에 앉아있는 치성광여래의 도상은 힌두교에서 태양이 백우거(白牛車)를 타고 우주를 한 바퀴 돌면 1년이 된다는 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중국과 한국 등에서는 일찍부터 백우거를 타고 있는 치성광여래의 도상이 성립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치성광여래가 대부분 우차(牛車)를 타지 않고 수미단 위에 결가부좌한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청룡사 칠성도(1868년), 서울 미타사 칠성도(1874년), 동학사 칠성도(19세기 후반), 서울 안양암 칠성도(1930년) 등 19세기 후반에 조성된 칠성도 중에는 백우거가 묘사된 경우가 있어 전통적인 도상을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봉은사 칠성도 또한 그러한 도상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1]
치성광여래 아래에는 해와 달을 신격화한 일광보살(일광변조소재보살)과 월광보살(월광변조소재보살)이 몸을 구부린 채 각각 붉은 해와 흰 달이 그려진 보관을 쓰고 본존을 향해 합장하였으며, 그 옆에서는 두 명의 동자가 향로와 과일을 공양하고 있다. 치성광여래의 두광과 신광 옆에는 머리에 별이 그려진 관을 쓴 28수가 좌우 14구씩 묘사되었으며, 그 옆으로 왼쪽(향우측)에 4구, 오른쪽에 3구 등 칠성여래가 큼직하게 묘사되었다. 칠성여래는 녹색의 두광을 두르고 정면 혹은 측면을 향하고 있는데 둥근 얼굴에 뾰족한 육계 등 치성광여래와 동일한 모습이다. 칠성여래 아래에는 붉은 관복을 입고 별이 그려진 관을 쓴 문신 모습의 칠원성군이 시립하였는데, 왼쪽의 한 성군은 면류관을 쓰고 있어 아마도 시왕 중 다섯 번째 염라대왕이 면류관을 쓴 것을 따른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이들 옆으로는 좌우 각 2명의 동자가 높게 번을 쳐들고 있다. 칠성여래의 위쪽으로는 태상노군과 필성, 그리고 화면 상단 좌우에는 각각 삼태와 육성이 배치되어 있다. 태상노군의 정수리가 유난히 높은 것이 눈에 띈다. 채색은 적색과 녹색, 청색, 황색 등이 주조를 이루지만 적색과 청색의 사용이 두드러져 보인다.[1]
이 불화는 전체적으로 인물 묘사가 섬세하고 곧은 철선을 사용하여 유려한 필치를 보여주며, 많은 인물들을 표현하면서도 위로 올라갈수록 인물의 크기를 작게 그리고, 치성광여래를 향하여 인물들을 배치함으로써 상단의 본존에게 시선을 집중시키는 효과를 얻고 있다. 특히 백우거에 앉아있는 치성광여래의 도상은 다른 지역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도상이지만 서울 미타사 삼성각 칠성도(1874년), 정수사 칠성도(1878년) 등에서 볼 수 있어, 이 불화가 19세기 후반 서울, 경기 지역 칠성도상을 충실하게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1]
4. 도상의 특징과 서울, 경기 지역 칠성도와의 비교
그러나 청룡사 칠성도(1868년), 미타사 칠성도(1874년), 동학사 칠성도(19세기 후반), 안양암 칠성도(1930년) 등 19세기 후반에 조성된 일부 칠성도에서는 백우거가 묘사되어 전통적인 도상을 계승하고 있다. 봉은사 칠성도 역시 이러한 도상에 속한다.[1]
특히, 백우거에 앉아 있는 치성광여래 도상은 다른 지역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미타사 칠성도(1874년), 정수사 칠성도(1878년) 등에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봉은사 칠성도가 19세기 후반 서울, 경기 지역 칠성도상을 충실하게 계승했음을 알 수 있다.[1]
참조
[2]
간행물
서울특별시 지정 문화재 지정명칭 변경
http://event.seoul.g[...]
서울특별시장
2009-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