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고등수산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고등수산학교는 일제강점기인 1941년 4월에 개교하여 1945년 해산된 수산 전문 교육 기관이다. 조선총독부의 지원으로 설립되어 어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했으며,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기도 했다.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해산되었으며, 이후 부지는 대한민국 정부에 접수되어 국립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부경대학교 - 부산수산대학교
1941년 부산고등수산학교로 개교한 부산수산대학교는 부산대학교와의 통합 및 분리, 그리고 부산공업대학교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부경대학교로 출범한 대학으로, 일제강점기부터 국립대학 체제 변화, 종합대학교 승격, 그리고 정부의 대학 통합 정책 등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 국립부경대학교 - 부산공업대학교
부산공업대학교는 1924년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학교를 거쳐 1993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나 1996년 부경대학교로 통합되었다. - 부산대학교 - 마이피누
마이피누는 부산대학교 학생 자치 단체가 운영한 익명 기반 커뮤니티 사이트로,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대학생들에게 큰 영향력을 가졌으나, 여러 사건과 논란을 겪었다. - 부산대학교 -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은 한의학의 과학화, 산업화, 세계화를 목표로 2006년에 설립이 결정되어 2008년 개원한 전문대학원이며, 석사, 석·박사 통합,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한의학과와 한의과학과를 운영한다. - 일본의 구제전문학교 - 경성법학전문학교
일제강점기 조선의 법조인 양성 기관인 경성법학전문학교는 1895년 법관양성소에서 시작하여 경성전수학교를 거쳐 1922년 관립으로 승격되었으며, 해방 후 서울대학교 법학대학의 전신이 되었다. - 일본의 구제전문학교 - 경성여자사범학교
경성여자사범학교는 1935년 설립되어 1946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통합된 대한민국의 옛 교육 기관이며, 1943년 전문학교로 승격되어 경성여자사범대학으로 변경되었다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병합되었다.
부산고등수산학교 | |
---|---|
기본 정보 | |
![]() | |
교훈 | 진리, 창조, 봉사 |
개교 | 1941년 4월 1일 (부산고등수산학교) |
폐교 | 1944년 3월 31일 |
유형 | 고등 교육 기관 |
학교 유형 | 고등 수산 학교 |
위치 | 대한민국 부산 |
좌표 | 35°08′52″N 129°06′06″E |
역사 | |
1941년 4월 1일 | 부산고등수산학교로 개교 |
1944년 3월 31일 | 폐교 (징병에 의한 학생 감소) |
1946년 5월 | 부산수산중학교로 재개교 |
1947년 9월 | 부산수산전문학교로 승격 |
1948년 5월 | 국립 부산수산대학으로 승격 |
1996년 | 부산공업대학교와 통합, 부경대학교로 교명 변경 |
같이 보기 | |
관련 | 부경대학교 국립 해양대학교 |
2. 연혁
2. 1. 부산고등수산학교 시대 (1941년 - 1944년)
1930년대 후반, 한반도는 정어리 풍어로 어업이 활기를 띠었으나, 조선 내 수산 교육 기관은 부족했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의 어업 발전을 위해 수산 지도자 육성이 필요하다고 판단, 도쿄 수산강습소에 준하는 교육 기관 설립을 추진하였다.1939년 여름, 조선총독부는 고등수산학교 설립 준비 위원회를 설치하고, 1941년 4월 개교를 목표로 학교 설립을 결정하였다. 1941년 3월 28일, 조선총독부 제 학교 관제 개정을 통해 부산고등수산학교 설치가 확정되었다. (칙령 제281호) 1941년 4월 1일, 부산고등수산학교 규정이 공포되었다. (조선총독부령 제97호) 본과 (수업 연한 4년)에 어로학과, 제조학과, 양식학과가 설치되었다.
1941년 5월 15일, 개교식 및 제1회 입학식이 거행되었다. 어로 21명, 제조 22명, 양식 9명이 입학하였다. 1944년 1월 4일, 학과명이 어로과, 제조과, 양식과(추후 어업증식과로 개칭)로 개칭되었다. (조선총독부령 제5호) 1944년 2월 11일, 대동아수산연구소가 설치되었으나, 실제 활동은 미미했다.
2. 2. 부산수산전문학교 시대 (1944년 - 1945년)
1944년 4월 6일, 칙령 제236호에 따라 '''부산수산전문학교'''로 개칭되었다. 강당이 완공되었으며, 9월 17일에는 연습선 경양환이 돗토리에서 회항하였다. 경양환은 총 톤수 71.47톤, 160마력의 목조선이었다. 9월 30일에는 전시 조치에 따라 제1기 졸업생이 반년 앞당겨 배출되었다.1945년 3월, 경양환은 부산과 여수 간의 실습 항해를 실시하였는데, 이는 경양환의 유일한 실습 항해였다. 4월에는 원양어업과(5년제)가 설치되었으며, 원양어업과 입학자는 해군 예비원으로 취급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하면서 학교는 해산되었다.
3. 해방 이후
1945년 8월 30일, 부산수산전문학교의 교직원과 학생들은 경양환(耕洋丸)을 통해 일본으로 귀환하였다. 경양환은 부산 - 하기 간 수송을 실시하였으며, 10월 1일 제3편으로 인양이 완료되었다. 경양환은 인양 완료 후 한국 측에 인도되었지만, 이후 행방불명되었다.
1945년 9월, 미국군이 진주하면서 학교 시설은 미군에 접수되었다. 1945년 9월 30일에는 부산수산전문학교 제2기생과 제3기생이 조기 졸업하였다. 1945년 10월, 학교 부지와 시설은 대한민국 정부에 접수되었다. 이후 국립부산수산대학(현 부경대학교)으로 이어졌다.
1945년 12월 1일, 부산수산전문학교의 4, 5기생은 일본 수산강습소로 전입학이 허가되었다. 1946년 5월 5일, 일본 농림성은 수산강습소 시모노세키 분소를 설치하였다. 구 부산수산전문학교의 제4기생·제5기생은 시모노세키 분소 소속이 되었으며, 교지는 시모노세키시 요시미정의 구 해군 방비대 터 (현 수산대학교 캠퍼스)였다. 이후의 역사는 수산대학교를 참조하면 된다.
4. 역대 교장
다나카 고노스케는 1941년 5월부터 1946년 5월까지 부산고등수산학교의 초대 교장을 역임하였다.
5. 학교 부지
부산수산전문학교는 대한민국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구 부산부 대연동)에 위치했다. 현재는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가 자리 잡고 있다.
6. 동창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