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크 카라지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크 카라지치(Vuk Karadžić)는 세르비아의 언어 개혁가이자 민속학자이다. 그는 세르비아의 구어에 기반한 문어 개혁을 통해 세르비아어의 문법을 확립하고, 키릴 문자를 현대화하여 세르비아어의 표준을 세웠다. 카라지치는 세르비아의 민요, 민화를 수집하고 연구하여 세르비아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세르비아어 사전 편찬 및 민속 문화 연구에도 힘썼다. 그의 업적은 세르비아어와 문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세르보크로아트어의 표준을 마련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부크 카라지치는 로즈니차 인근 트르시치(Tršić) 마을에서 태어났다. 1804년 오스만 제국에 저항하는 반란(제1차 세르비아 봉기)에 가담했고, 이후 베오그라드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부크 카라지치는 로즈니차 인근 트르시치 출신으로, 1804년 오스만 제국에 저항하는 반란에 가담했고, 이후 베오그라드 대학교에 재학했다. 페슈트, 노비사드에서 치료 중 다리를 쓸 수 없게 되어 의지에 의존하게 되었지만, 1814년 《세르비아어 문법》을 발표하며 구어에 기초한 문어 개혁을 통해 세르비아어 문법을 확립했다. 1818년에는 최초의 세르비아어 사전인 《세르비아어 사전》을 출간했고, 1824년에는 야코프 그림이 그의 저서 《세르비아 민요》를 독일어로 번역하기도 했다.
2. 생애
페슈트와 노비사드에서 치료를 받던 중 다리를 다쳐 나무 의지에 의존해야 했다. 1810년 세르비아로 돌아왔으나, 1813년 오스만 제국이 반란을 진압하면서 빈으로 망명했다. 빈에서 예르네이 코피타르를 만나 슬라브학을 접하고 세르비아어 시와 민요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1814년 《세르비아어 문법》을 발표하여 구어에 기초한 문어 개혁을 통해 세르비아어 문법을 확립했다. 같은 해와 1815년에는 《세르비아 민요》 2권을 발표했다. 1818년에는 최초의 세르비아어 사전인 《세르비아어 사전》을 출간했다. 1824년에는 야코프 그림이 그의 저서 《세르비아 민요》를 독일어로 번역했다.
1821년부터 1833년까지 《세르비아 민화》, 《세르비아 민중 시가》를 발표했고, 1826년에는 세르비아 최초의 학술 연감 《다니차》(Danica, "금성")를 발표했다.
카라지치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던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를 세르비아어 구어에 맞게 개혁했다. 1850년 빈 문학 협정에 세르비아 대표로 서명하여 세르보크로아트어 표준 확립에 기여했다.
1864년 빈에서 사망했으며, 1897년 그의 유해는 베오그라드로 옮겨져 성 미카엘 대성당 (베오그라드) 앞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부크 카라지치는 오스만 제국 치하 세르비아 변방의 마을인 로즈니차 근처 트르시치에서 세르비아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8] 그의 가족은 드로브냐치 (Petnjica, Šavnik)에서 정착했으며 그의 어머니는 현재의 몬테네그로인 Nikšić의 오즈리니치에서 태어났다. 영아 생존율이 낮았기 때문에 마녀와 악령이 그를 해치지 못하도록 부크("늑대")라는 이름을 받았다.[8]
당시 이 지역에서 유일하게 글을 읽고 쓸 수 있었던 친척 예브타 사비치 초트리치에게서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 이후 트로노샤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소년 시절에는 펜 대신 갈대, 잉크 대신 화약 용액을 사용하여 서예를 배웠고, 제대로 된 글쓰기 종이가 없어 탄약 포장지를 사용하기도 했다. 당시 이 지역은 정규 학교 교육이 널리 보급되지 않았고, 아버지는 처음에 그가 오스트리아로 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 수도원에 있는 동안 학업 대신 가축을 돌보도록 강요받았기 때문에, 아버지는 그를 집으로 데려왔다.
1804년,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제1차 세르비아 봉기가 일어났다. 카라지치는 19세였지만, 스렘스키 카를로브치의 김나지움에 입학하기에는 너무 늙었다.[10] 입학에 실패한 후,[9] 페트리냐로 가서 몇 달 동안 라틴어와 독일어를 배웠다. 이후 혁명 세르비아 치하의 베오그라드에서 학자 도세테이 오브라도비치를 만나 학업 지원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실망한 카라지치는 야다르로 가서 야코브 네나도비치의 서기로 일했고, 얼마 후 예브타 사비치 초트리치의 세관원으로 독립 전쟁 (1804-1813) 기간 동안 일했다. 베오그라드의 그랑데 에콜이 설립된 후, 카라지치는 그 학생 중 한 명이 되었다.[11]
1808년, 베오그라드 대학에서 청강했지만, 지병인 류머티즘이 악화되어 중단하고 왼쪽 다리를 쓰지 못하게 되었다.[51]
1813년 세르비아가 오스만 제국에 다시 정복되자, 정세가 불안정한 고국을 떠나 빈으로 갔다. 이후 몇 차례 귀국했지만, 빈에서 결혼하여 생애의 대부분을 이곳에서 보냈다.[52][53]
2. 2. 세르비아 봉기 참여와 망명
1804년 세르비아인들이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여 일으킨 반란(제1차 세르비아 봉기)에 가담했고, 나중에 베오그라드 대학교에 재학하게 된다.[11] 1808년 개강한 베오그라드의 대학에서 청강을 받았지만, 지병인 류머티즘이 악화되어 중단했고, 왼쪽 다리를 쓰지 못하게 되었다.[51]
페슈트, 노비사드에서 치료를 받던 도중에 다리를 쓸 수 없게 되면서 나무로 만든 의지(義肢)에 의존하게 된다. 1810년에는 세르비아로 귀환했지만, 1813년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인들의 반란을 진압하면서 세르비아를 떠나 빈으로 탈출했다. 이후 몇 차례 귀국했지만, 빈에서 결혼하여 생애의 대부분을 이곳에서 보냈다.[52][53] 오스트리아 빈에서 슬라브학을 처음 접한 뒤부터 세르비아어로 쓴 시와 민요를 수집했다.
2. 3. 빈에서의 활동과 결혼
1813년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를 다시 정복하자, 카라지치는 빈으로 피신했다. 그곳에서 슬라브학에 관심을 가진 언어학자 예르네이 코피타르를 만나 큰 영향을 받았다. 코피타르의 도움으로 카라지치는 세르비아어와 그 정서법 개혁에 힘쓰게 된다. 사바 므르칼(Sava Mrkalj)도 그의 언어학적 작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2]
1814년과 1815년에 카라지치는 ''세르비아 민요'' 두 권을 출판했고, 이후 계속해서 증보하여 총 9권까지 출판했다. 이 민요집은 유럽과 미국의 문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괴테는 이 민요들을 "솔로몬의 ''아가''와 비교할 만하다"고 극찬했다.[13]
1824년 카라지치는 자신의 민요집 한 권을 야코프 그림에게 보냈고, 그림은 특히 스카다르의 건설에 매료되어 독일어로 번역했다. 그림은 이 작품을 호메로스 시에 비견하며 "모든 국가와 모든 시대의 가장 감동적인 시 중 하나"라고 평했다. 샤를 노디에, 프로스페르 메리메, 라마르틴, 제라르 드 네르발, 클로드 포리엘 등 프랑스 낭만주의 학파 창시자들과 알렉산드르 푸시킨(러시아), 요한 루드비히 루네베르그(핀란드) 등 많은 작가들이 카라지치의 민요를 번역하고 칭송했다.[13]
1834년 가을, 카라지치는 몬테네그로를 방문했고, 겨울에는 코토르만에 머물렀다. 1835년 봄에 다시 몬테네그로로 돌아온 카라지치는 그곳에서 리산 출신의 작가 지망생 부크 브르체비치를 만났다. 브르체비치는 이후 카라지치의 헌신적인 협력자가 되어 민요와 이야기를 수집하여 빈으로 보냈다.[15][16] 보카 코토르스카 출신의 사제 부크 포포비치 또한 카라지치의 열성적인 협력자로서 민족지학, 민속학, 어휘 자료 수집에 힘을 보탰다.[16] 이후 밀란 Đ. 밀리체비치를 포함한 다른 협력자들도 카라지치의 작업에 합류했다.
카라지치는 1818년부터 아나 마리아 크라우스와 결혼하여 생애가 끝날 때까지 함께 했다. 부부는 슬하에 13명의 자녀를 두었으나, 그중 두 명만이 부모보다 오래 살았다.[18]
1850년에는 오스트리아 당국의 요청에 따라 빈 문학 협정 체결식에 세르비아 대표로 서명하면서 세르보크로아트어의 표준 확립에 기여했다.
2. 4. 세르비아 귀환과 사망
1810년 세르비아로 돌아왔지만, 1813년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인들의 반란을 진압하면서 세르비아를 떠나 오스트리아 빈에서 슬라브학을 접하고 세르비아어 시와 민요를 수집했다.[12]
1814년 《세르비아어 문법》을 발표하여 구어에 기초한 문어 개혁을 통해 세르비아어 문법을 확립했다. 같은 해와 1815년에는 《세르비아 민요》 2권을 발표했다. 1818년에는 세르비아어 최초의 사전인 《세르비아어 사전》을 출간했다. 1824년에는 야코프 그림이 《세르비아 민요》를 독일어로 번역했다.[13]
1821년부터 1833년까지 《세르비아 민화》, 《세르비아 민중 시가》를 발표했고, 1826년에는 세르비아 최초의 학술 연감 《다니차》(Danica, "금성")를 발표했다. 그 밖에 세르비아 민속, 민요에 대한 저서를 발표했다.[14]
카라지치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은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를 세르비아어 구어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키릴 문자로 대체했다. 1850년 빈 문학 협정 체결식에서 세르비아 대표로 서명하여 세르보크로아트어 표준을 확립했다.
1830년대까지 노래를 수집했다. 1834년 가을 몬테네그로에 도착하여 코토르만에서 겨울을 보내고 1835년 봄에 돌아왔다. 리산 출신 문학 지망생 부크 브르체비치를 만나 협력 관계를 맺고 민요와 이야기를 수집했다.[15][16]
카라지치 작품 대부분은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에서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공작 통치 기간 동안 출판이 금지되었다.[17] 오브레노비치는 작품 내용이 애국심과 자유, 독립에 대한 열정을 불러일으켜 대중이 터키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도록 할 수 있다고 보았다.
1818년부터 아나 마리아 크라우스와 결혼하여 13명의 자녀를 두었지만, 두 명만이 부모보다 오래 살았다.[18]
1864년 빈에서 사망했다. 딸 미나 카라지치와 아들 디미트리에 카라지치를 남겼다. 1897년 유해는 베오그라드로 이장되어 도스테제이 오브라도비치 무덤 옆, 성 미카엘 대성당 (베오그라드) 앞에 안장되었다.[19]
3. 세르비아어 개혁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서유럽과 동유럽 대부분의 국가들은 언어 개혁 시기를 겪었다. 독일의 요한 크리스토프 고체트와 요한 크리스토프 아델룽, 노르웨이의 아스문 올라브손 빈예, 이바르 오센, 크누드 크누드슨, 스웨덴의 카를 구스타프 아프 레오폴드, 이탈리아의 알레산드로 만초니, 스페인의 안드레스 벨로, 그리스의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러시아의 야코프 그로트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카라지치는 1821년부터 1833년까지 《세르비아 민화》, 《세르비아 민중 시가》를 발표했고, 1826년에는 세르비아 최초의 학술 연감인 《다니차》(Danica, "금성"이라는 뜻)를 발표하는 등 세르비아 민속, 민요에 대한 저서를 남겼다.
19세기 초 슬라브-세르비아어 문어는 정교회와 관련된 많은 단어와 러시아 교회 슬라브어에서 차용한 단어를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카라지치는 이를 포기하고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기반으로 새로운 문어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그는 자신의 방언을 헤르체고비나 방언이라고 불렀는데, "세르비아어는 헤르체고비나와 보스니아에서 가장 순수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사용된다"고 썼다. 카라지치는 그 땅을 방문한 적이 없었지만, 그의 가족의 뿌리와 언어는 헤르체고비나에서 유래했다.[22]
카라지치의 언어 표준화 노력은 그 세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세르비아는 1878년 완전히 독립된 국가를 이루었고, 베오그라드와 노비사드를 기반으로 번성하는 국가 문화를 이루었다. 빈 문학 협약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는 이 시점에 그들의 두 문화적 수도와 대다수의 세르비아 인구의 고유한 언어인 에카비아 발음을 개발했다. 부크 카라지치는 동남 유럽 전역의 남슬라브 언어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세르비아 본토의 세르비아 저널은 그의 언어 표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크로아티아에서 언어학자 토미슬라브 마레티치는 카라지치의 작업을 크로아티아어 문법의 기초로 인정했다.[23]
카라지치는 슈토카비아 방언을 사용하는 모든 남슬라브족이 세르비아인이거나 세르비아 기원이라고 생각했으며, 그들 모두가 세르비아어를 사용한다고 여겼다(이러한 생각의 결과에 대해서는 대세르비아주의#부크 카라지치의 범세르비아주의 참조). 그는 개인적으로 세르비아인을 정교회, 가톨릭, 이슬람교의 세 가지 다른 종교(zakonasr)를 가진 사람들로 간주했으며, 지역 전통의 일반적인 유사성을 언급하며, 이는 지역 종교, 그리고 가톨릭과 이슬람의 경우 외세의 영향으로 인해 다를 뿐이라고 말했다.[24][25][26] 그러나 카라지치는 나중에 이러한 견해를 포기했다고 썼는데, 그가 보기에 당시의 크로아티아인들이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그는 정교회를 기반으로 한 세르비아 민족과 가톨릭을 기반으로 한 크로아티아 민족의 정의로 전환했다.[27]
카라지치는 언어 개혁 외에도 민속 문학에 기여했으며, 농민 문화를 기반으로 삼았다. 그는 농민 출신이었기 때문에, 민요, 이야기, 속담 모음에 활용하기 위해 농민들의 구전 문학을 수집했다.[28] 카라지치는 농민 생활을 낭만적으로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세르비아 문화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겼다. 그는 어린 시절에 배우고 기억으로 적어둔 100개 이상의 서정시와 서사시를 포함하여 여러 권의 민속 산문과 시를 수집했다. 그는 또한 구어 세르비아어 사전을 처음으로 출판했다. 그의 작업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거의 없었고, 때로는 가난하게 살았지만, 마지막 9년 동안은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공으로부터 연금을 받았다.[29] 어떤 경우에는 카라지치가 구전 문학을 기록하여 민속 시를 수집했을 뿐만 아니라, 스렘의 다른 수집가들이 쓴 필사본 가곡집에서 이를 베꼈다는 사실을 숨기기도 했다.[30]
그의 작업은 세르비아 국 identity와 역사에서 코소보 신화의 중요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1][6] 카라지치는 코소보 전투와 관련된 전통적인 서사시를 수집하여 소위 "코소보 순환"을 발표했는데, 이는 신화 변형의 최종 버전이 되었다.[31][32] 그는 주로 구전 노래를 출판했는데, 특히 마르코 왕자의 영웅적인 행위와 코소보 전투 관련 사건들을 언급하며, 마치 가수가 변화나 추가 없이 노래를 부르는 것과 같았다.[33] 카라지치는 프루슈카 고라의 수도원 근처에서 라자르 공에 대한 시를 대부분 수집했는데, 이는 세르비아 정교회의 소재지가 세르비아인의 대이동 이후 그곳으로 옮겨졌기 때문이다.[34]
3. 1. 세르비아어 문어 개혁
부크 카라지치는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세르비아어 문어 개혁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는 요한 크리스토프 아델룽의 모델과 얀 후스의 체코어 알파벳을 바탕으로 엄격한 음소 원칙에 따라 세르비아 문학 언어를 개혁하고 세르비아 키릴 문자를 표준화했다.[20] 카라지치는 세르비아어를 현대화하고 세르비아어 및 러시아어 교회 슬라브어와 거리를 두게 했으며, 일반 민간 언어에 더 가깝게 만들었다.[20]
카라지치는 '''「말하는 대로 쓰고, 쓴 대로 말한다」'''는 원칙을 내세워, 세르비아의 구어(주로 슈토 방언[55])에 기반하여 기존 키릴 문자에서 불필요한 18자를 제거하고, 6개의 새로운 문자(ј љ њ ћ ђ џ)를 추가했다.[52]
1814년에는 《세르비아어 문법》을 발표하여 구어에 기초한 문어 개혁을 통해 세르비아어의 문법을 확립했다. 1818년에는 최초의 세르비아어 사전인 《세르비아어 사전》을 출간했다.[13]
카라지치의 개혁은 초기에는 교회 상층부와 보수적인 지식인들의 반대에 부딪혔지만, 1847년 구어 번역 신약성서 출판을 계기로 상황이 바뀌었다.[51] 이를 통해 세르비아어는 "하나의 소리에 하나의 문자"와 "언문일치"에 기반한 정자법을 확립하게 되었다.[52]
카라지치는 1850년 오스트리아 당국의 요청에 따라 빈 문학 협정에 세르비아 대표로 서명하여 세르보크로아트어 표준 확립에 기여했다.[52]
크로아티아어에서도 류데비트 가이에 의해 문어 개혁이 이루어져 크로아티아어의 라틴 알파벳(가이식 라틴 알파벳)이 확정되었다. 이 문자는 카라지치가 제창한 키릴 알파벳 30자와 일대일로 대응한다. 이러한 업적들은 서로 호응하여[56] 이후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통일로 이어지는 길을 열었고,[54]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52]
문화적 배경이 다른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에 통일 언어가 수용된 것은, 남슬라브족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던 당시 사회 정세와도 일치하는 측면이 있었다.[55]
3. 2. 세르비아어 사전 편찬
카라지치는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던 세르비아어 키릴 문자를 세르비아어 구어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키릴 문자로 대체했다. 그는 '''「말하는 대로 쓰고, 쓴 대로 말한다」'''는 대원칙을 내걸고, 세르비아의 구어(주로 슈토 방언[55])에 기반하여 부자연스러운 키릴 알파벳 18자를 제거하고, 6개의 새로운 문자(ј љ њ ћ ђ џ)를 만들었다.[52]
처음에는 교회 상층부나 보수파 지식인들의 반대에 직면했지만, 1847년 구어 번역 신약성서 출판을 계기로 정세는 개혁파로 기울었다.[51] 이로 인해 세르비아어의 "하나의 소리에 하나의 문자"와 "언문일치"에 기반한 정자법이 확립되었다.[52]
크로아티아 측에서도 류데비트 가이에 의한 문어 개혁이 진행되어, 크로아티아어의 라틴 알파벳(가이식 라틴 알파벳)이 확정되었다. 이 문자는 카라지치가 제창한 키릴 알파벳 30자와 1대1로 대응한다. 이러한 공적이 서로 호응하여[56] 이후 세르보크로아트어 통일로 이어지는 길을 열었고,[54]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52]
1850년에는 오스트리아 당국의 요청에 따른 빈 문학 협정 체결식에서 세르비아 대표로 서명하면서 세르보크로아트어의 표준을 확립했다.
또한, 문화적 측면이 다른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에 통일 언어가 받아들여진 것은, 남슬라브족에 의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던 당시 사회 정세와 일치한 측면도 있다.[55]
3. 3. 빈 문학 협정
1850년 오스트리아 당국의 요청에 따라 빈 문학 협정이 체결될 때 카라지치는 세르비아 대표로 서명했다. 이 협정은 세르보크로아트어의 표준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19] 18세기 러시아 정교회의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을 크게 받은 세르비아어 문어는 카라지치가 '''「말하는 대로 쓰고, 쓴 대로 말한다」'''는 대원칙을 내걸고 세르비아의 구어(주로 슈토 방언[55])에 기반하여 개혁했다. 부자연스러운 키릴 알파벳 18자를 제거하고, 6개의 새로운 문자(ј љ њ ћ ђ џ)를 만들었다.[52] 처음에는 교회 상층부나 보수파 지식인들의 반대에 직면했지만, 1847년 구어 번역 신약성서 출판을 계기로 정세는 개혁파로 기울었다.[51] 이로 인해 세르비아어는 "하나의 소리에 하나의 문자"와 "언문일치"에 기반한 정자법이 확립되었다.[52] 크로아티아 측에서도 류데비트 가이에 의한 문어 개혁이 진행되어 크로아티아어의 라틴 알파벳(가이식 라틴 알파벳)이 확정되었다. 이 문자는 카라지치가 제창한 키릴 알파벳 30자와 1대1로 대응한다. 이러한 공적이 서로 호응하여[56] 이후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통일로 이어지는 길을 열었고,[54]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52]
또한, 문화적 측면이 다른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에 통일 언어가 받아들여진 것은, 남슬라브족에 의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던 당시 사회 정세와 일치한 측면도 있다.[55]
4. 민속 문화 연구
부크 카라지치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슬라브학을 접한 뒤부터 세르비아어로 쓴 시와 민요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1814년 《세르비아어 문법》을 발표하여 구어에 기초한 문어 개혁을 통해 세르비아어 문법을 확립했다. 같은 해와 1815년에는 《세르비아 민요》라는 두 권의 책을 발표했다. 1818년에는 최초의 세르비아어 사전인 《세르비아어 사전》을 출간했다.
1821년부터 1833년까지 《세르비아 민화》, 《세르비아 민중 시가》를 발표했고, 1826년에는 세르비아 최초의 학술 연감인 《다니차》(Danica, "금성"이라는 뜻)를 발표했다. 그 외에도 세르비아의 민속과 민요에 대한 다양한 저서를 발표했다.
카라지치는 민족지학적 기록 외에도 인체의 물리적 측면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 부위에 대한 풍부한 용어를 문학 언어에 도입했으며, 환경과 거주자 간의 관계, 영양, 생활 조건, 위생, 질병 및 장례 관습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제시했다.[4]
4. 1. 세르비아 민요와 민화 수집
1814년과 1815년, 부크 카라지치는 《세르비아 민요》라는 두 권의 책을 발표했다. 이후 이 책은 4권, 6권, 9권으로 늘어났다. 확장판에서 이 민요들은 유럽과 미국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괴테는 그 중 일부를 "솔로몬의 아가와 비교할 만한 훌륭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13]1824년, 카라지치는 그의 민요집 한 권을 야코프 그림에게 보냈고, 그림은 특히 스카다르의 건설에 매료되었다. 이 노래는 카라지치가 올드 라슈코에서 녹음한 것이다. 그림은 그것을 독일어로 번역했고, 이 노래는 여러 세대에 걸쳐 주목받고 존경받았다.[13] 그림은 호메로스 시에 비유하며, ''스카다르의 건설''을 "모든 국가와 모든 시대의 가장 감동적인 시 중 하나"라고 칭송했다. 프랑스의 낭만주의 학파 창시자인 샤를 노디에, 프로스페르 메리메, 라마르틴, 제라르 드 네르발, 클로드 포리엘은 이 노래들 중 상당수를 번역했다. 또한 알렉산드르 푸시킨, 요한 루드비히 루네베르그, 사무엘 로즈네이, 카지미에시 브로드진스키, 월터 스콧, 오언 메러디스, 존 보링 등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었다.
카라지치는 1830년대까지 노래를 계속 수집했다.[14] 1834년 가을 몬테네그로에 도착했고, 코토르만에서 겨울을 보낸 후 1835년 봄에 돌아왔다. 그곳에서 리산 출신의 부크 브르체비치를 만났다. 브르체비치는 카라지치의 협력자가 되어 민요와 이야기를 수집하여 비엔나로 보냈다.[15][16] 보카 코토르스카 출신의 사제 부크 포포비치도 카라지치를 위해 민족지학적, 민속학적, 어휘적 자료를 수집했다.[16] 나중에 밀란 Đ. 밀리체비치를 포함한 다른 협력자들도 카라지치와 함께했다.
카라지치의 작품 대부분은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에서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공작의 통치 기간 동안 출판이 금지되었다.[17] 오브레노비치는 카라지치의 작품이 애국심과 자유, 독립에 대한 열정을 불러일으켜 대중이 터키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도록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는 오스만 제국과의 평화를 위협할 수 있었다. 그러나 몬테네그로에서는 Njegoš의 인쇄소가 운영되었다. 카라지치의 작품은 러시아 제국에서 높은 찬사와 인정을 받았으며, 1826년 전 러시아 황제로부터 연금을 받았다.
카라지치는 농민 문화를 기반으로 민속 문학에 기여했다. 그는 농민들의 구전 문학을 수집하여 민요, 이야기, 속담 모음에 활용했다.[28] 그는 100개 이상의 서정시와 서사시를 포함하여 여러 권의 민속 산문과 시를 수집했다. 그는 또한 구어 세르비아어 사전을 처음으로 출판했다. 그는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공으로부터 연금을 받았다.[29] 카라지치는 구전 문학을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스렘의 다른 수집가들이 쓴 필사본 가곡집에서 이를 베꼈다는 사실을 숨기기도 했다.[30]
그의 작업은 세르비아 국 identity와 역사에서 코소보 신화의 중요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1][6] 카라지치는 코소보 전투와 관련된 전통적인 서사시를 수집하여 소위 "코소보 순환"을 발표했는데, 이는 신화 변형의 최종 버전이 되었다.[31][32] 그는 주로 구전 노래를 출판했는데, 특히 마르코 왕자의 영웅적인 행위와 코소보 전투 관련 사건들을 언급했다.[33] 카라지치는 프루슈카 고라의 수도원 근처에서 라자르 공에 대한 시를 대부분 수집했다.[34]
4. 2. 세르비아 민족지 연구
카라지치는 민족지학적 기록과 함께 인체의 물리적 측면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신체 부위에 대한 풍부한 용어를 문학 언어에 도입했는데, 이 용어들은 현재 과학과 일상 언어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다.[4] 그는 무엇보다도 환경과 거주자 간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제시했으며, 영양, 생활 조건, 위생, 질병 및 장례 관습에 대한 내용도 포함했다. 이처럼 부크 카라지치의 상당한 기여는 그다지 유명하거나 연구되지 않았다.[4]5. 평가와 유산
부크 카라지치는 유럽 전역에서 존경받았다. 빈 제국 과학 아카데미,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러시아 제국 과학 아카데미 등 다양한 유럽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36] 여러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7]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 프로이센 왕,[36] 다닐로 1세 훈장,[38]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훈장을 받았으며, 유네스코는 1987년을 부크 카라지치의 해로 선포했다.[17] 또한 자그레브 시의 명예 시민으로도 임명되었다.[39]
문학 역사가 요반 데레티치는 "그의 50년간의 끊임없는 활동 동안, 그는 과학 아카데미 전체가 해낸 것만큼의 업적을 달성했다."라고 평가했다.[35]
부코프 사보르 문화 행사는 1933년 9월 17일, 부크 카라지치의 개축된 생가 개관일에 트르시치에서 시작되어 매년 9월에 열리고 있으며, 2만~3만 명의 방문객이 참석한다.[40] 1964년 카라지치 서거 100주년을 맞아 학생 노동 여단이 부코프 사보르 조직에 필요한 무대와 원형극장을 건설했고, 학생들의 부코프 사보르도 열렸다. 1987년 트르시치는 문화 역사 기념물로 전면 개편되었고, 카라지치의 집에서 트로노샤 수도원까지의 도로가 건설되었다. 카라지치의 생가는 1979년에 특정 중요 문화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세르비아 공화국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41] 최근에는 트르시치에서 농촌 관광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의 삶을 바탕으로 한 TV 드라마가 세르비아 라디오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다. 그의 초상은 세르비아 학교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국가 부크 카라지치 훈장을 수여했다.[42]
부크 재단은 세르비아와 세르비아 디아스포라에서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의 유산을 유지하고 있다.[43][44] 세르비아의 초등학교 또는 중고등학교 학생 중 학년말에 모든 과목에서 최고 성적을 받은 학생에게는 "부크 카라지치 졸업장"이 수여되며, 이 학생들은 "부코바츠"로 불린다.[45]
5. 1. 세르비아 민족 정체성 형성에 기여
부크 카라지치는 엄격한 음소 원칙에 따라 요한 크리스토프 아델룽의 모델과 얀 후스의 체코어 알파벳을 바탕으로 세르비아 문학 언어를 개혁하고 세르비아 키릴 문자를 표준화했다.[20] 카라지치의 세르비아 문학 언어 개혁은 세르비아어를 현대화하고 세르비아어 및 러시아어 교회 슬라브어와 거리를 두게 했으며, 일반 민간 언어에 더 가깝게 만들었다. 예를 들어, 카라지치는 일반적인 세르비아어에 해당하는 글자가 없는 이전의 기호와 문자를 버리고, 세르비아어 표기를 더 간단하게 만들기 위해 6개의 키릴 문자를 도입했다.[20] 또한 신약성서를 세르비아어로 번역했으며, 이 번역본은 1847년에 출판되었다.19세기 초의 슬라브-세르비아어 문어는 정교회와 관련된 많은 단어와 러시아 교회 슬라브어에서 차용된 많은 단어를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카라지치는 이 문어를 포기하고 자신이 사용하던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기반으로 새로운 문어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 일부 세르비아 성직자와 다른 언어학자들은 그에게 반대했는데, 예를 들어 현대 노비사드 주변 지역을 기반으로 한 세르비아 성직자들은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의 문법과 어휘를 현대 언어의 기반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거의 외국어와 같은 것으로 간주했다.[21] 그러나 카라지치는 자신의 언어 표준이 대중적인 언어에 더 가깝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이해하고 쓸 수 있다고 주장하며 성공적으로 밀어붙였다. 그는 자신의 방언을 헤르체고비나 방언이라고 불렀는데, "세르비아어는 헤르체고비나와 보스니아에서 가장 순수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사용된다"고 썼다. 카라지치는 그 땅을 방문한 적이 없었지만, 그의 가족의 뿌리와 언어는 헤르체고비나에서 유래했다.[22] 궁극적으로 부크 카라지치의 아이디어와 언어 표준은 그의 성직자 및 과학적 반대자들을 이겼다. 주로 다니치치와 함께 1850년 비엔나 문학 협약의 주요 세르비아 측 서명자였으며, 이는 오스트리아 당국의 권유로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기반을 마련했다. 카라지치 자신은 이 언어를 "세르비아어"라고만 언급했다.
언어 표준화에 대한 부코비안의 노력은 그 세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지속되었다. 그 전에 세르비아는 완전히 독립된 국가(1878년)를 이루었고, 베오그라드와 노비사드를 기반으로 번성하는 국가 문화를 이루었다. 비엔나 협약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는 이 시점에 그들의 두 문화적 수도와 대다수의 세르비아 인구의 고유한 언어인 에카비아 발음을 개발했다. 부크 카라지치는 동남 유럽 전역의 남슬라브 언어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세르비아 본토의 세르비아 저널은 그의 언어 표준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크로아티아에서 언어학자 토미슬라브 마레티치는 카라지치의 작업을 크로아티아어 문법의 기초로 인정했다.[23]
카라지치는 슈토카비아 방언을 사용하는 모든 남슬라브족이 세르비아인이거나 세르비아 기원이라고 생각했으며, 그들 모두가 세르비아어를 사용한다고 여겼다(이러한 생각의 결과에 대해서는 대세르비아주의#부크 카라지치의 범세르비아주의 참조). 이는 당시에도, 그리고 오늘날에도 언어학자와 역사가들에 의해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슈토카비아#슈토카비아 방언의 모국어 화자의 민족적 소속 참조). 그는 개인적으로 세르비아인을 정교회, 가톨릭, 이슬람교의 세 가지 다른 종교를 가진 사람들로 간주했으며, 지역 전통의 일반적인 유사성을 언급하며, 이는 지역 종교, 그리고 가톨릭과 이슬람의 경우 외세의 영향으로 인해 다를 뿐이라고 말했다.[24][25][26] 그러나 카라지치는 나중에 이러한 견해를 포기했다고 썼는데, 그가 보기에 당시의 크로아티아인들이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 그는 정교회를 기반으로 한 세르비아 민족과 가톨릭을 기반으로 한 크로아티아 민족의 정의로 전환했다.[27]
5. 2. 국제적 인정
카라지치는 유럽 전역에서 존경받았다. 빈 제국 과학 아카데미,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러시아 제국 과학 아카데미를 포함한 다양한 유럽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6] 여러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37]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 프로이센 왕,[36] 다닐로 1세 훈장[38] 및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유네스코는 1987년을 부크 카라지치의 해로 선포했다.[17] 자그레브 시의 명예 시민으로 임명되었다.[39]문학 역사가 요반 데레티치는 "그의 50년간의 끊임없는 활동 동안, 그는 과학 아카데미 전체가 해낸 것만큼의 업적을 달성했다."라고 카라지치의 업적을 요약했다.[35]
5. 3. 한국에의 시사점
부크 카라지치의 업적은 현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언어 개혁과 문화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한 그의 노력은 주목할 만하다.문학 역사가 요반 데레티치는 "그의 50년간의 끊임없는 활동 동안, 그는 과학 아카데미 전체가 해낸 것만큼의 업적을 달성했다."라고 평가했다.[35]
카라지치는 유럽 전역에서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그는 빈 제국 과학 아카데미,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러시아 제국 과학 아카데미 등 다양한 유럽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6] 그는 여러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37] 러시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 프로이센 왕,[36] 다닐로 1세 훈장,[38]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유네스코는 1987년을 부크 카라지치의 해로 선포했다.[17] 카라지치는 자그레브 시의 명예 시민으로도 임명되었다.[39]
부코프 사보르 문화 행사는 1933년 9월 17일, 부크 카라지치의 개축된 생가 개관일에 트르시치에서 시작되었다. 그 이후 매년 9월에 열리고 있으며, 2만~3만 명의 방문객이 참석한다.[40] 카라지치 서거 100주년(1964년)을 맞아 청소년 활동 "트르시치 64"의 학생 노동 여단이 부코프 사보르 조직에 필요한 무대와 원형극장을 건설했고, 학생들의 부코프 사보르도 열렸다. 1987년 트르시치는 문화 역사 기념물로 전면 개편되었다. 또한, 카라지치의 집에서 트로노샤 수도원까지의 도로가 건설되었다. 카라지치의 생가는 1979년에 특정 중요 문화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세르비아 공화국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41] 최근에는 트르시치에서 농촌 관광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많은 가족들이 가구들을 손님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건물로 개조하고 있다. 그의 삶을 바탕으로 한 TV 드라마가 세르비아 라디오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다. 그의 초상은 세르비아 학교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국가 부크 카라지치 훈장을 수여했다.[42]
부크 재단은 세르비아와 세르비아 디아스포라에서도 부크 스테파노비치 카라지치의 유산을 유지하고 있다.[43][44] 세르비아의 초등학교(6~7세에서 14~15세) 또는 중고등학교(14~15세에서 18~19세) 학생은 학년말에 모든 과목에서 최고 성적을 받으면, 최종 학년 말에 "부크 카라지치 졸업장"을 수여받으며, 최고 성적을 거둔 학생의 엘리트 그룹 구성원에게 주어지는 이름인 "부코바츠"로 알려져 있다.[45]
6. 주요 저서
- Mala prostonarodna slaveno-serbska pesnaricasr, 빈(Vienna)], 1814
- Pismenica serbskoga jezikasr, 빈, 1814
- Narodna srbska pjesnarica IIsr, 빈, 1815
- O Vidakovićevom romanusr, 1817
- Srpski rječniksr (''세르비아어 사전'') 독일어 및 라틴어와 병행, 빈, 1818
- O Ljubibratićevim prevodimasr, 1820
- Narodne srpske pripovjetkesr, 빈, 1821, 보충판 1853
- Narodne srpske pjesme I-Vsr, 빈 및 라이프치히(Leipzig)], 1823–1864
- Luke Milovanova Opit nastavlenja k Srbskoj sličnorečnosti i slogomjerju ili prosodiisr, 빈, 1823
- Mala srpska gramatikasr, 라이프치히, 1824
- Žizni i podvigi Knjaza Miloša Obrenovićasr, 상트페테르부르크(Saint Petersburg)], 1825
- Žitije Ajduk-Veljka Petrovićasr, 1826
- Danica I-Vsr, 빈, 1826–1834
- Žitije Đorđa Arsenijevića, Emanuelasr, 부다(Buda)], 1827
- Prvi srpski bukvarsr, 1827
- Miloš Obrenović, knjaz Srbije ili gradja za srpsku istoriju našega vremenasr, 부다, 1828
- Prva godina srpskog vojevanja na daijesr, 1828
- Kao srpski Plutarh, ili žitija znatni Srbaljasr, 1829
- Druga godina srpskog vojevanja na daijesr, 1834
- Narodne srpske poslovice i druge različne, kao i one u običaj uzete riječisr, 체티네(Cetinje)], 1836
- Montenegro und die Montenegriner: ein Beitrag zur Kenntnis der europäischen Türkei und des serbischen Volkesde, 슈투트가르트(Stuttgart)] 및 튀빙겐(Tübingen)], 1837
- Odgovori Jovanu Hadžiću – Milošu Svetiću na njegove Sitnice jezikoslovnesr (1839) 및 Utukesr (1843, 1847)
- Odgovor na laži i opadanja u «Srpskom ulaku»sr, 1844
- Pisma Platonu Atanackovićusr, 빈, 1845
- Kovčežić za istoriju, jezik i običaje Srba sva tri zakonasr ("세 종교의 세르비아인들의 역사, 언어 및 전통의 사례"), 빈, 1849
- Primeri Srpsko-slovenskog jezikasr, 빈, 1857
- Praviteljstvujušči sovjetsr, 빈, 1860
- Srpske narodne pjesme iz Hercegovinesr, 빈, 1866
- Život i običaji naroda srpskogsr, 빈, 1867
- Nemačko srpski rečniksr, 빈, 1872
- Sunce se djevojkom ženisr(젊은 여자가 결혼하는 해)
번역:
- Novi zavjetsr(신약), 빈, 1847

;언어학 관련 저작
제목 | 출판년도 | 비고 |
---|---|---|
Pismenica serbskoga jezika po govoru narodasr (세르비아어 문법) | 1814년 | |
Srpski rječniksr (세르비아어 사전) | 1818년, 1852년(제2판) |
;민속학 관련 저작
제목 | 출판년도 | 비고 |
---|---|---|
Mala prostonarodna slaveno-serbska pjesnaricasr (슬라브-세르비아 민중 시가집) | 1814년 | |
Narodna srbska pjesnaricasr (세르비아 민중 시가집) | 1815년 | |
Srpska narodna pripovijetkesr (세르비아 민화) | 1821년 | |
Narodne srpske pjesmesr (세르비아 민중 시가 1-4) | 1823년, 1833년 | |
Narodne srpske poslovicesr (세르비아 속담집) | 1836년 | |
Život i običaj naroda srpskogsr (세르비아 상민의 생활과 관습) | 1867년 (사후 간행) |
;학술 연감 문집
: 중세 세르비아의 성자전, 구전 문학, 지리 등을 게재.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of Conflicts, Disputes, and Flashpoints in Eastern Europe, Russia, and the Successor States
https://books.google[...]
Longman
2019-09-28
[2]
서적
Imagining Europe Europe and European Civilisation as Seen from its Margins and by the Rest of the World,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9-09-28
[3]
서적
Censorship: A Worl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Fitzroy Dearborn
2001
[4]
웹사이트
Jezička reforma Vuka Karadžića i stvaranje srpskog književnog jezika.pdf
https://www.academia[...]
[5]
웹사이트
Vuk Stefanović Karadžić Serbian language scholar
https://www.britanni[...]
2019-12-05
[6]
웹사이트
The Cultural Collaboration between Jacob Grimm and Vuk Karadžić. A fruitful Friendship Connecting Western Europe to the Balkans
https://www.academia[...]
[7]
웹사이트
Vuk Stefanović Karadžić Biografija
https://www.biografi[...]
2019-09-27
[8]
웹사이트
Vuk Stefanovic Karadzic
http://www.loznica.r[...]
2021-05-12
[9]
웹사이트
Историја Sremski Karlovci
http://sremskikarlov[...]
2019-09-27
[10]
웹사이트
Koreni obrazovanja u Srbiji
https://www.vreme.co[...]
2019-09-27
[11]
웹사이트
Biografija: Vuk Stefanović Karadžić
https://www.biografi[...]
2018-04-19
[12]
웹사이트
Jezička reforma Vuka Karadžića i stvaranje srpskog književnog jezika.pdf
https://www.academia[...]
[13]
서적
The Walled-Up Wife: A Casebook
https://archive.org/[...]
Univ of Wisconsin Press
[14]
웹사이트
Vuk St. Karadžić i Šiđani (Sremske novine br. 2915 od 11.1.2017)
https://www.academia[...]
[15]
웹사이트
Vuk Karadzic – Vuk Vrcevic, Srpske narodne pjesme iz Hercegovine
https://www.scribd.c[...]
2019-09-27
[16]
웹사이트
Вук Караџић препродао стотине старих српских књига странцима
https://patriot.rs/v[...]
2019-09-27
[17]
웹사이트
Vuk Stefanović Karadžić – Reformator Srpskog Jezika I Velikan Srpske Književnosti Jelena Kostić
https://www.svetnauk[...]
2019-09-27
[18]
웹사이트
RTS:: Svet poznatih:: Žene koje su obeležile život Vuka Stefanovića Karadžića
https://rts.rs/lat/m[...]
2024-10-08
[19]
웹사이트
Vuk Stefanovic Karadzic
http://www.loznica.r[...]
2019-09-27
[20]
웹사이트
Azbuka (ćirilica) – Opšte obrazovanje
https://www.opsteobr[...]
2022-08-03
[21]
서적
Bosnian, Croatian, Serbian, a Grammar: With Sociolinguistic Commentary
https://books.google[...]
Univ of Wisconsin Press
2006-08-15
[22]
논문
The Land of the People
http://dx.doi.org/10[...]
Cornell University Press
2022-08-03
[23]
학술지
Iz bliske prošlosti hrvatskoga jezika, O hrvatskim vukovcima
https://hrcak.srce.h[...]
2022-08-03
[24]
서적
Bogoslav Šulek i njegov filološki rad
Česká asociace slavistů
2016
[25]
학술지
Croats and Serbs through the Lens of Vuk Karadžić's Serbian Language Reform and Ilija Garašanin's Serbian National Program
https://www.academia[...]
2018-07
[26]
학술지
The Role of Vuk Karadžić in the History of Serbian Nationalism (In the Context of European Linguistics in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https://www.academia[...]
2018-07
[27]
서적
Kroatien: Landeskunde – Geschichte – Kultur – Politik – Wirtschaft – Recht
[28]
웹사이트
SYNTAX OF VERB FORMS IN SERBIAN FOLK PROVERBS BY VUK STEFANOVIĆ KARADŽIĆ
https://www.academia[...]
[29]
웹사이트
Životni put Vuka Karadžića po godinama (Biografija)
https://www.mojedete[...]
2019-09-27
[30]
서적
Prilozi za književnost, jezik, istoriju i folklor
https://books.google[...]
Државна штампарија Краљевине Срба, Хрвата и Словенаца
2012-01-19
[31]
학술지
Kosovo Myths: Karadžić, Njegoš, and the Transformation of Serb Memory
http://www.yorku.ca/[...]
2013-10-22
[32]
서적
From Collective Memories to Intercultural Exchanges
LIT Verlag Münster
[33]
학술지
Challenges in Comparative Oral Epic
http://archive.journ[...]
[34]
학술지
From Myth to Territory: Vuk Karadžić, Kosovo Epics and the Role of Nineteenth-Century Intellectuals in Establishing National Narratives
[35]
서적
Sowing the Word: The Cultural Impact of the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 1804–2004
https://books.google[...]
Sheffield Phoenix Press
[36]
웹사이트
Serbia.com – Vuk Karadzic
http://www.serbia.co[...]
2019-09-27
[37]
웹사이트
Riznica srpska — Vuk i jezik
https://web.archive.[...]
2014-03-05
[38]
서적
Slava i čast: Odlikovanja među Srbima, Srbi među odlikovanjima
Službeni Glasnik
[39]
논문
Review of the Book ''Jezik i nacionalizam''
https://web.archive.[...]
2012-08-02
[40]
웹사이트
Вуков сабор
https://loznica.rs/v[...]
2024-12-18
[41]
웹사이트
Споменици културе у Србији, Родна кућа Вука Караџића
http://spomenicikult[...]
2019-09-27
[42]
웹사이트
Država bez odlikovanja
http://www.politika.[...]
2019-12-04
[43]
웹사이트
Vukova zaduzbina
http://www.loznica.r[...]
2019-09-27
[44]
서적
Revolution and Order: Serbia After October 2000
https://books.google[...]
IFDT
2001
[45]
웹사이트
Правилник-о-дипломама-за-изузетан-успех-ученика-у-основној-школи
http://www.mpn.gov.r[...]
[46]
웹사이트
Дела Вука Караџића
https://vukova-zaduz[...]
2024-12-11
[47]
서적
Montenegro und die Montenegriner: Ein Beitrag zur Kenntniss der europäischen Türkei und des serbischen Volkes
https://books.google[...]
Verlag der J. G. Cotta'schen Buchhandlung
[48]
웹사이트
Дела Вука Караџића
https://vukova-zaduz[...]
2024-12-11
[49]
웹사이트
Jezička reforma Vuka Karadžića i stvaranje srpskog književnog jezika.pdf
https://www.academia[...]
[50]
서적
The Grammar of the Serbian Language
[51]
서적
世界文学大事典 1
集英社
[52]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平凡社
[53]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54]
서적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55]
서적
世界のことば・辞書の辞典
[56]
서적
言語学大辞典
三省堂
[57]
서적
世界文学大事典 5
集英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