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부집단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 집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군 집단으로,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페도르 폰 보크 원수의 지휘 하에 창설되었다. 이후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와 함께 C 집단군에서 재편성되어 빌헬름 폰 레프 원수의 지휘 하에 레닌그라드를 목표로 발트 3국과 북러시아에서 전투를 벌였다. 1944년에는 나르바 전투 등에 참여했으며, 1945년 1월 쿠를란트 포켓에 갇힌 후 쿠를란트 집단군으로 개칭되었고, 같은 날 동프로이센에서 중앙 집단군을 개명하여 새로운 북부 집단군이 창설되었다. 새로운 북부 집단군은 쾨니히스베르크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1945년 4월 2일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집단군 - B 집단군
    B 집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집단군으로, 폴란드 침공, 프랑스 침공, 독소전쟁, 이탈리아 및 서부 전선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차례 재편성 및 해체 과정을 거쳐 연합군에 항복하며 종결되었다.
  • 독일의 집단군 - 중부 집단군
    중부 집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주요 집단군으로,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와 함께 창설되어 소련군 격파와 모스크바 점령을 목표로 전개되었으나, 모스크바 전투 실패 이후 1944년 궤멸적인 피해를 입고 북부 집단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39년 설립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39년 설립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북부집단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군사 정보
명칭북부집단군
원어 명칭Heeresgruppe Nord (헤레스그루페 노르트)
소속[[파일:Heer - decal for helmet 1942.svg|16px]] 육군 ([[파일:Balkenkreuz.svg|16px]] 국방군)
규모1943년 9월 10일: 총 919,520명
지휘관
주요 지휘관페도어 폰 보크
빌헬름 리터 폰 레프
게오르크 폰 퀴흘러
발터 모델
게오르크 린데만
요하네스 프리스너
페르디난트 쇠르너
로타르 렌둘리크
발터 바이스
활동 기간
창설1939년 9월 2일
해체1939년 10월 10일
재창설1941년 6월 20일
재편1945년 1월 25일 (쿠를란트 집단군)
최종 해체1945년 5월

2. 연혁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와 함께 북부 집단군은 C 집단군에서 재편성되어 동프로이센에 배치되었다. 빌헬름 폰 레프 원수가 초대 사령관을 맡았으며, 레닌그라드를 주요 목표로 발트 3국과 북러시아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7]

북부 집단군은 붉은 군대의 저항과 라세이니아이 전투 등의 반격에도 불구하고, 탈린 등 주요 목표를 달성하고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시작했다. 레닌그라드 포위전(1941년 ~ 1944년) 동안 북부 집단군은 레닌그라드를 장기간 포위하여 민간인들에게 극심한 고통을 안겨주었다. 1941년 9월에는 스페인 청색 사단이 북부 집단군에 배속되기도 했다.

1944년, 소련군의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전략 공세 작전으로 포위가 해제되었고, 북부 집단군은 쿠를란트 반도에 고립되어 쿠를란트 집단군으로 개칭되었다.

1945년 1월 25일, 동프로이센에서 중앙 집단군이 북부 집단군으로 개칭되었으나, 4월 2일 해체되었다. 북부 집단군(구 중앙 집단군)은 쾨니히스베르크 주변의 점점 더 작은 지역으로 몰렸고, 1945년 4월 9일 쾨니히스베르크 함락 후에도 잔당들은 할리겐바일단치히 교두보에서 저항을 계속했다.

북부 집단군은 나르바 전투, 동프로이센 공세, 동포메라니아 공세 등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2. 1. 창설과 폴란드 침공 (1939년)

페도르 폰 보크, 1939년 9월 북부 집단군 사령관


북부 집단군 참모는 1939년 8월 26일에 창설된 제2군 사령부를 모체로 9월 2일에 정식으로 편성되었다.[2][3] 페도르 폰 보크가 북부 집단군의 초대 사령관이 되었다.[2]

폴란드 침공 당시 북부 집단군은 제3군 (게오르크 폰 퀴힐러 지휘)과 제4군 (귄터 폰 클루게 지휘)을 휘하에 두었다. 또한, 예비대로 제10기갑사단, 제73보병사단, 제206보병사단, 제208보병사단 등 4개 사단을 보유했다.[4]

1939년 9월 1일 아침, 제3군은 동프로이센에서 폴란드 중부 방향으로 남쪽으로 진격했고, 제4군은 포메라니아에서 단치히 회랑으로 공격을 시작했다.

폴란드 전역에서 제3군의 주요 전투로는 그루지옹츠 전투, 므와바 전투, 로잔 전투, 웸자 전투, 비즈나 전투, 브제스트리토프스키 전투 등이 있었다.[5] 제4군의 주요 전투로는 투홀라 숲 전투, 베스터플라테 전투, 헬 반도 전투, 그디니아 전투 등이 있었다.[6]

1939년 9월 1일 전투 서열[5][6]
집단군군단사단
북부 집단군 (페도르 폰 보크)제3군 (게오르크 폰 퀴힐러)제21군단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제228보병사단 (한스 수트너)
제21보병사단 (쿠노-한스 폰 보트)
제1군단 (발터 페첼)제11보병사단 (막스 보크)
제61보병사단 (지크프리트 하이니케)
켐프 기갑사단 (베르너 켐프)
보드리히 군단 (알베르트 보드리히)제1보병사단 (요아힘 폰 코르츠플라이쉬)
제12보병사단 (루트비히 폰 데어 라옌)
브란트 부대 (프리츠 브란트)뢰첸 보병 여단 (오토-에른스트 오텐바흐)
골다프 보병 여단 (노틀레)
군 예비대제217보병사단 (리하르트 발처)
Grenzschutz-Abschnittskommando 15
제4군 (귄터 폰 클루게)제19군단 (하인츠 구데리안)제2보병사단 (파울 바더)
제20보병사단 (모리츠 폰 빅토린)
제3기갑사단 (레오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제2군단 (아돌프 슈트라우스)제3보병사단 (발터 리헬)
제32보병사단 (프란츠 뵘)
제3군단 (쿠르트 하세)제50보병사단 (콘라트 조르셰)
네체 여단
연합 국경 경비대Grenzschutz-Abschnittskommando 1
Grenzschutz-Abschnittskommando 2
Grenzschutz-Abschnittskommando 12
군 예비대제23보병사단 (발터 그라프 폰 브로크도르프-아렐펠트)
제218보병사단 (볼데마르 프라이헤어 폰 그로테)
집단군 예비대제10기갑사단 (페르디난트 샬)
제73보병사단 (프리드리히 폰 라베나우)
제206보병사단 (후고 횔)
제208보병사단 (모리츠 안드레아스)



폴란드 침공이 완료된 후, 북부 집단군은 서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1939년 10월 10일에 B 집단군으로 개칭되었다.

2. 2. 바르바로사 작전과 동부 전선 (1941년 ~ 1945년)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와 함께 북부 집단군은 C 집단군에서 재편성되어 동프로이센에 배치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빌헬름 폰 레프 원수였으며, 레닌그라드를 주요 목표로 발트 3국과 북러시아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7]

북부 집단군의 초기 주요 작전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부대목표
제18군쾨니히스베르크에서 벤츠필스 - 옐가바
제4 기갑 집단프스코프
제16군카우나스, 다우가프필스
집단군 부대집단군 신호 연대 537, 집단군 신호 연대 639 (2차 대열)



붉은 군대의 완강한 저항과 라세이니아이 전투와 같은 여러 번의 실패한 반격에도 불구하고, 북부 집단군은 탈린 등 모든 작전 목표를 달성하고 레닌그라드에 접근하여 레닌그라드 포위전을 시작했다.

레닌그라드 포위전 (1941년 ~ 1944년)은 북부 집단군이 레닌그라드를 장기간 포위하면서 민간인들에게 극심한 고통을 안겨준 비인도적인 행위였다. 1941년 9월에는 스페인 청색 사단이 북부 집단군에 배속되기도 했다.

1944년, 소련군의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전략 공세 작전으로 인해 포위가 해제되었고, 북부 집단군은 쿠를란트 반도에 고립되어 쿠를란트 집단군으로 개칭되었다.

1945년 1월 25일, 동프로이센에서 중앙 집단군이 북부 집단군으로 개칭되었으나, 4월 2일 해체되었다. 북부 집단군(구 중앙 집단군)은 쾨니히스베르크 주변의 점점 더 작은 지역으로 몰렸고, 1945년 4월 9일 쾨니히스베르크가 함락된 후에도 잔당들은 할리겐바일단치히 교두보에서 저항을 계속했다.

북부 집단군은 나르바 전투, 동프로이센 공세, 동포메라니아 공세 등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3. 주요 지휘관

북부집단군 주요 지휘관
순서이름계급취임일퇴임일비고
1페도어 폰 보크원수1939년 8월 27일1941년 6월 20일
2빌헬름 폰 레프원수1941년 6월 21일1942년 1월 17일
3게오르크 폰 퀴흘러원수1942년 1월 17일1944년 1월 9일
4발터 모델원수1944년 1월 9일1944년 3월 31일
5게오르크 린데만상급대장1944년 3월 31일1944년 7월 4일
6요하네스 프리스너상급대장1944년 7월 4일1944년 7월 23일
7페르디난트 쇠르너원수1944년 7월 23일1945년 1월 27일
8로타르 렌둘릭상급대장1945년 1월 27일1945년 3월 12일
9발터 바이스상급대장1945년 3월 12일1945년 4월 2일


4. 편성

바르바로사 작전 준비 과정에서 북부 집단군은 1941년 6월 22일 C군 집단에서 재편성되었다. 빌헬름 폰 레프 원수가 지휘했으며, 동프로이센에 주둔했다.[7]

1941년 6월 22일 당시, 북부 집단군의 예하 부대와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부대목표
제18군쾨니히스베르크에서 벤츠필스 - 옐가바
제4기갑군프스코프
제16군카우나스, 다우가프필스
집단군 직속 부대
사령부 제537통신 연대
사령부 제639통신 연대 (제2 부대)



집단군의 전략적 목표는 레닌그라드였으며, 전술적 목적은 발트 3국의 영토와 북러시아에서 중부 집단군의 측면 (서드비나 강과 다우가프필스-홀름의 집단군 경계 사이) 확보였다. 국방군의 발트 해 공세 작전이 시작되자 집단군은 리투아니아벨라루스 북부에 전개되었다.

4. 1. 1939년 폴란드 침공

폴란드 침공 당시 북부 집단군은 게오르크 폰 퀴힐러가 이끄는 제3군과 귄터 폰 클루게가 이끄는 제4군을 휘하에 두었다.[4] 또한, 제10기갑사단, 제73보병사단, 제206보병사단, 제208보병사단을 예비대로 보유했다.[4]

1939년 9월 1일 아침, 제3군은 동프로이센에서 폴란드 중부 방향으로 남쪽으로 진격했고, 제4군은 포메라니아에서 단치히 회랑으로 공격을 시작했다.

폴란드 전역에서 제3군의 주요 전투로는 그루지옹츠 전투, 므와바 전투, 로잔 전투, 웸자 전투, 비즈나 전투, 브제스트리토프스키 전투 등이 있었다.[5] 제4군의 주요 전투로는 투홀라 숲 전투, 베스터플라테 전투, 헬 반도 전투, 그디니아 전투 등이 있었다.[6]

1939년 9월 1일 북부집단군의 전투 서열은 다음과 같다.[5][6]

1939년 9월 1일 전투 서열
집단군군단사단
북부 집단군 (페도르 폰 보크)제3군 (게오르크 폰 퀴힐러)제21군단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제228보병사단 (한스 수트너)
제21보병사단 (쿠노-한스 폰 보트)
제1군단 (발터 페첼)제11보병사단 (막스 보크)
제61보병사단 (지크프리트 하이니케)
켐프 기갑사단 (베르너 켐프)
보드리히 군단 (알베르트 보드리히)제1보병사단 (요아힘 폰 코르츠플라이쉬)
제12보병사단 (루트비히 폰 데어 라옌)
브란트 부대 (프리츠 브란트)뢰첸 보병 여단 (오토-에른스트 오텐바흐)
골다프 보병 여단 (노틀레)
군 예비대제217보병사단 (리하르트 발처)
Grenzschutz-Abschnittskommando 15
제4군 (귄터 폰 클루게)제19군단 (하인츠 구데리안)제2보병사단 (파울 바더)
제20보병사단 (모리츠 폰 빅토린)
제3기갑사단 (레오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제2군단 (아돌프 슈트라우스)제3보병사단 (발터 리헬)
제32보병사단 (프란츠 뵘)
제3군단 (쿠르트 하세)제50보병사단 (콘라트 조르셰)
네체 여단
연합 국경 경비대Grenzschutz-Abschnittskommando 1
Grenzschutz-Abschnittskommando 2
Grenzschutz-Abschnittskommando 12
군 예비대제23보병사단 (발터 그라프 폰 브로크도르프-아렐펠트)
제218보병사단 (볼데마르 프라이헤어 폰 그로테)
집단군 예비대제10기갑사단 (페르디난트 샬)
제73보병사단 (프리드리히 폰 라베나우)
제206보병사단 (후고 횔)
제208보병사단 (모리츠 안드레아스)


4. 2.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

바르바로사 작전을 준비하면서, 북부 집단군은 1941년 6월 22일 C 집단군에서 개편되었다. 북부 집단군은 빌헬름 리터 폰 리프 원수[7]가 지휘했으며, 동프로이센에 배치되었다. 이 집단군의 전략적 목표는 레닌그라드였으며, 작전 목표는 발트 3국 영토와 서부 드비나 강과 다우가프필스-홀름 집단군 경계 사이의 북러시아에서 중부 집단군의 북쪽 측면 기동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국방군의 발트 해 공세 작전이 시작되자 이 집단군은 리투아니아와 북부 벨로루시에 투입되었다.

1941년 6월 22일 당시, 북부 집단군의 예하 부대와 목표는 다음과 같았다.

부대목표
제18군쾨니히스베르크에서 벤츠필스 - 옐가바
제4기갑군프스코프
제16군카우나스, 다우가프필스
집단군 직속 부대
사령부 제537통신 연대
사령부 제639통신 연대 (제2 부대)


4. 3. 1944년 발트 방어 작전

1944년 3월, 북부집단군에는 다음 부대가 포함되었다.[1]

  • 나르바 군집단
  • 제16군
  • 제18군


이후, 이들 부대는 발트해 공세에서 소련군에 맞서 싸웠다.[1]

4. 4. 1945년 동프로이센

북부 집단군(구 중앙 집단군)은 쾨니히스베르크 전투에 파견되었다. 1945년 4월 9일, 쾨니히스베르크는 결국 붉은 군대에 항복했지만, 집단군의 잔존 세력은 마모노보그단스크의 교두보에서 유럽에서의 전쟁이 끝날 때까지 저항을 계속했다.[8]

1945년 2월 당시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삼란트 집단군
  • 제4군

5. 더 보기

레닌그라드 포위전은 1944년까지 계속되었으며, 소련군의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전략 공세로 종료되었다.[1]

참조

[1] 문서 Obkdo. d. H. Gr. Nord IVa, Az. 62 g. Kdos. Nr. 2095/43 g. Kdos. Verpflegungsstärke nach dem Stand vom 10.9.43. Bundesarchiv-Militärarchiv (BA-MA) RH 19 III/648, fol. 105.
[2] 서적 Die Landstreitkräfte: Namensverbände – Die Luftstreitkräfte (Fliegende Verbände) – Flakeinsatz im Reich 1943–1945 Verlag E. S. Mittler
[3] 서적 Die Landstreitkräfte 001–005 Verlag E. S. Mittler
[4] 서적 Poland 1939: The Birth of Blitzkrieg Osprey Publishing
[5] 서적 Die Landstreitkräfte 001–005 Verlag E. S. Mittler
[6] 서적 Die Landstreitkräfte 001–005 Verlag E. S. Mittler
[7] 서적 Operation Barbarossa 1941 (2): Army Group North https://books.google[...] Osprey
[8] 서적 Die Militärische Niederwerfung der Wehrmacht Deutsche Verlags-Anstal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