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영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영천역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역으로, 영천시의 북쪽에 위치하여 역명이 유래되었다. 중앙선과 대구선을 잇는 영천삼각선의 분기점이며,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977년 신호장으로 개설되어, 1990년 여객 취급을 개시하고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으나, 2004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2021년 분기점으로 격하되었으며, 2024년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신호장으로 환원될 예정이다. 중앙선과 영천삼각선이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선 - 가천역
가천역은 경부선과 대구선이 지나는 경상북도 경산시의 철도역으로, 화물 운송에 집중하다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후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다. - 영천시의 건축물 - 영천시외버스터미널
영천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하며 천일고속의 서울경부행 고속버스와 충청권 및 영남권 각지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영천 시내버스도 읍면 지역으로 연결된다. - 영천시의 건축물 - 영천 조양각
영천 조양각은 금호강 벼랑 위에 있는 누각으로, 고려 공민왕 때 처음 세워졌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재건되었으며, 영천지방 문화의 상징이자 영남 7대 누각 중 하나이다. - 1977년 개업한 철도역 - 오송역
오송역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고속철도 환승역이자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충북선이 연결되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주요 정부기관이 인근에 위치해 있다. - 1977년 개업한 철도역 - 모리구치역 (오사카부)
모리구치역은 오사카부 모리구치시에 위치한 게이한 전기 철도 게이한 본선의 역으로,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게이한 본선과 게이한 나카노시마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고, 러시아워 시간대에 교토 방면 시발 열차가 운행된다.
북영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모국어 표기 | 북영천역 |
로마자 표기 | Bugyeongcheon Station |
위치 | 경상북도 영천시 장수로 135 (임시 역사)경상북도 영천시 장수로 61 (원 역사) |
운영 정보 |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종류 | 신호장 |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역관리단 영천관리역 |
역사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1선 |
개업일 | 1977년 3월 1일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1 | 중앙선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1 | 청량리 기점 294.2 km |
이전 역 1 | 군위 |
이전 역과의 거리 1 | 26.7 km |
다음 역 1 | 영천 |
다음 역과의 거리 1 | 2.5 km |
소속 노선 2 | 영천삼각선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2 | 북영천 (중앙선) 기점 0.0 km |
다음 역 2 | 금호 |
다음 역과의 거리 2 | 4.1 km |
2. 역명 유래
영천시의 북쪽에 위치하여 붙여졌다.
중앙선 측 북영천과 대구선 측 북영천을 잇는 삼각선으로, 영업 거리는 1.8km다. 중앙선의 지선으로, 중앙선 측 북영천이 상행이다.[1]
3. 영천삼각선
4. 역 구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5. 역사
북영천역은 여러 차례 변경을 거쳤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변경 사항 |
---|---|
1977년 3월 1일 | 신호장으로 영업 개시[1] |
1990년 3월 1일 | 여객 취급 개시 및 배치간이역으로 승격[2] |
1992년 3월 27일 | 역사 신축 |
2004년 12월 10일 |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3] 및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06년 12월 18일 | 역무원 철수(무인화) |
2017년 9월 8일 | 대구선 하양~영천 구간 복선 전철화 공사로 700m 북쪽으로 이전[4] |
2020년 5월 23일 | 현 위치로 이전 및 역사 철거 |
2021년 6월 17일 | 분기점으로 격하 |
2024년 12월 18일 | 여객 영업 중지, 신호장으로 변경 예정 |
5. 1. 개요
1977년 3월 1일 신호장으로 개설되었으며,[5] 1990년 3월 1일 여객 취급을 개시하면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6] 1992년 3월 27일 역사가 신축되었고, 2004년 12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7] 2006년 12월 18일 역무원이 철수하였다.2017년 9월 8일 대구선 하양~영천 구간 철로가 개량선으로 변경됨에 따라 기존 위치에서 신녕 방향 북쪽으로 700m 떨어진 위치로 임시 이설되었고,[8] 2020년 5월 23일 현 위치로 이전하면서 역사가 철거되었다. 2021년 6월 17일 분기점으로 격하되었으며, 2024년 12월 18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고 신호장으로 환원되었다.
5. 2. 상세
1977년 3월 1일 신호장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5] 1990년 3월 1일 여객 취급을 개시하면서 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6] 1992년 3월 27일 역사를 신축하였다. 2004년 12월 10일에는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7] 철도승차권 단말기가 철거되었다. 2006년 12월 18일 역무원이 철수하였다.2017년 9월 8일 대구선 하양~영천 구간 선로를 개량하면서 기존 위치에서 신녕역 방향 북쪽으로 700m 떨어진 위치로 임시 이전하였고,[8] 2020년 5월 23일 현 위치로 이전하면서 역사는 철거되었다. 2021년 6월 17일 분기점으로 격하되었으며, 2024년 12월 18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면서 신호장으로 환원될 예정이다.
6. 이용 가능한 노선
- 한국철도공사
- * 중앙선
- * 영천삼각선
7. 인접역
하양역 ← 북영천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