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선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영천시를 잇는 철도 노선이다. 1917년 대구역과 영천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38년 대구-영천 구간 표준궤 개량 및 영천-경주 구간의 중앙선 편입을 거쳐 현재의 대구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5년 동대구-청천 간 이설 사업으로 (구)대구선이 분리되었고, 2021년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현재는 ITX-마음 열차가 운행 중이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계획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철도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191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1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세이부 다마가와선
    세이부 다마가와선은 도쿄도 무사시노시의 무사시사카이역과 후추시의 고레마사역을 연결하는 8.0km 길이의 세이부 철도 노선으로, 1917년 다마 철도로 개통되어 다마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 신 101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 대구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선 - 가천역
    가천역은 경부선과 대구선이 지나는 경상북도 경산시의 철도역으로, 화물 운송에 집중하다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후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다.
대구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코레일 대구선
대구선의 위치
노선 이름대구선
로마자 표기Daeguseon
한자 표기大邱線
영어 이름Daegu Line
노선 종류지선 철도, 여객 철도, 화물 철도, 광역 철도, 간선 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기점가천역
종점영천역
역 수8
노선 번호30210
개통일1917년 ~ 1918년 (단계별)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영업 거리29.0 km
궤간1,435 mm
선로 수2
노선도
역사
개통일1917년 12월 24일
기타 정보
동대구역-고모역-가천역 간 배선도
동대구역-고모역-가천역 간 배선도

2. 역사

1917년 12월 24일 대구역 - 영천역 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당시 경동선의 일부였다.[16] 1918년 7월 18일 금호역이 개업하였고,[17] 1938년 7월 1일에는 대구–영천 구간의 표준궤로의 개량이 완료되었다.[1] 1938년 12월 1일에는 영천–경주 구간이 중앙선의 남쪽 구간인 경경남부선의 일부가 되었다. 동시에 현재 구간은 대구선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1960년 12월 23일 봉정역이 개업하였고,[18] 1967년 12월 21일 신평역이 개업하였다.[19] 1969년 6월 10일 동대구역 신설로 대구역 - 동대구역간 선로가 폐선되었고, 1973년 4월 1일 신평역이 폐역되었다.[20]

1992년 12월 12일 제 14대 대통령(김영삼)의 공약 사업으로 대구선 이설이 확정되었고, 1997년 8월 27일 대구선 동대구 - 청천 간 이설 사업 착공되었다. 2004년 12월 10일 봉정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21] 2005년 11월 1일 동대구 - 청천 간이 외곽으로 이전되면서, (구)대구선으로 분리, 경부선과 만나며 대구선의 분기점이 되는 화물중계역인 가천역 신설, 금강역이 개업하였다.[22] 2008년 2월 15일 동대구역 - 반야월역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1년 4월 7일 복선 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었고,[23] 2014년 12월 8일 대구선 복선전철 원제터널이 관통되었다. 2017년 9월 8일 하양 ~ 영천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되었고, 2018년 7월 16일 금강 ~ 하양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210'''으로 변경되었고,[24] 2021년 3월 30일 전 구간 전차선로 전원공급이 시작되었다. 2021년 6월 17일 운행선 변경 반영으로 노선거리 26.1km로 단축 및 봉정역이 폐역되었고, 2021년 12월 28일 복선 전철 개통[25]과 함께 2023년 12월 18일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2. 1. 개요

2. 2. 일제강점기

1917년 12월 24일, 경동선의 일부로 대구역 - 영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6][8] 1918년 7월 18일에는 금호역이 개업하였다.[17][9] 이후 대구 - 학산(포항) 간 노선이 연장되었는데, 1918년 9월 1일에는 하양-경주 구간, 1918년 10월 31일에는 경주-포항, 1919년 6월 27일에는 포항-학산 구간이 개통되었다.

날짜구간길이
1917년 11월 1일대구–하양23.0 km
1918년 9월 1일하양–경주46.0 km
1918년 10월 31일경주–포항36.4 km
1919년 6월 27일포항–학산2.0 km



1921년 10월 25일에는 경주에서 울산까지 지선이 개통되었다.[3] 1935년 12월 16일, 경주-포항, 울산 구간은 동해남부선에 통합되었다. 1938년 7월 1일에는 대구–영천 구간이 표준궤로 개량되었고,[1] 1938년 12월 1일에는 영천–경주 구간이 경경남부선(중앙선의 일부)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대구-영천 구간은 대구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 3. 해방 이후

1960년 12월 23일 봉정역이 개업하고,[18][10] 1967년 12월 21일에는 신평역이 개업했다.[19][11] 1969년 6월 10일 동대구역이 신설되면서 대구역 - 동대구역간 선로는 폐선되었고, 1973년 4월 1일에는 신평역이 폐역되었다.[20][12]

1992년 12월 12일, 제14대 대통령(김영삼)의 공약 사업으로 대구선 이설이 확정되었고, 1997년 8월 27일 대구선 동대구 - 청천 간 이설 사업이 착공되었다. 2004년 12월 10일 봉정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21], 2005년 11월 1일에는 동대구 - 청천 간이 외곽으로 이전되면서, (구)대구선으로 분리, 경부선과 만나며 대구선의 분기점이 되는 화물중계역인 가천역 신설, 금강역이 개업하였다.[22][13] 2005년 11월 3일에는 신설된 금강역에서 신설 대구선 이설 개통식이 개최되었다. 2008년 2월 15일에는 동대구역 - 반야월역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1년 4월 7일 복선 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었고,[23][14] 2014년 12월 8일에는 대구선 복선전철 원제터널이 관통되었다. 2017년 9월 8일 하양 ~ 영천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되었고, 2018년 7월 16일 금강 ~ 하양 구간 운행선도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210'''으로 변경되었으며,[24][15] 2021년 3월 30일 전 구간 전차선로 전원공급이 시작되었다. 2021년 6월 17일 운행선 변경 반영으로 노선거리 26.1km로 단축 및 봉정역이 폐역되었고, 2021년 12월 28일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다.[25] 2023년 12월 18일에는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2. 4. 대구 시내 구간 이설 및 (구)대구선

1992년 12월 12일, 제14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영삼 후보의 공약 사업으로 대구선 이설이 확정되었다.[22] 대구 시내 구간은 주택가와 맞닿아 있어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많았기 때문이다.[22] 이후 1997년 8월 27일 동대구역 - 청천역 간 이설 사업이 착공되었다.[22]

2005년 11월 1일, 동대구역 - 청천역 구간이 외곽으로 이전되면서 경부선과의 분기역인 가천역이 신설되고, 금강역이 개업하면서 (구)대구선으로 분리되었다.[22] 이설 개통식은 2005년 11월 3일 신설된 금강역에서 개최되었다.[22]

구 대구선 구간 중 동촌역 - 반야월역 구간은 K-2 공군기지 전용선 때문에 존치되었다가, 청천역에서 분기되는 새 전용선이 개통되면서 2008년 2월 15일 화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8년 5월 15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27]

2. 5. 복선 전철화 및 현대화

2004년 12월 10일, 봉정역이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21] 2011년 4월 7일에는 복선 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었고,[23] 2014년 12월 8일에는 대구선 복선전철 원제터널이 관통되었다. 2000년부터 더 직선적인 34.9 km 길이의 이중선 전철화 노선으로의 개량이 검토되었으며, 2010년 9월 1일, 대한민국 정부는 2020년까지 서울에서 전국 95% 지역까지의 이동 시간을 2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전략 계획을 발표하면서 대구선은 시속 230km로 운행될 예정이며, KTX 운행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었다.[6]

2017년 9월 8일, 하양 ~ 영천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고,[14] 2018년 7월 16일에는 금강 ~ 하양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15]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0210으로 변경되었다.[24] 2021년 3월 30일, 전 구간 전차선로에 전원공급이 시작되었고, 2021년 6월 17일에는 운행선 변경을 반영하여 노선거리가 26.1km로 단축되었으며 봉정역이 폐역되었다.[25] 2021년 12월 28일,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고,[7][25] 2023년 12월 18일에는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3.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소재지가천Gacheon佳川|경부선0.00.0대구광역시수성구금강Geumgang琴江|4.34.3동구청천Cheongcheon淸泉|(구)대구선3.88.1경상북도경산시하양Hayang河陽●5.513.6금호Geumho琴湖|5.118.7영천시영천Yeongcheon永川●중앙선7.426.1

4. (구)대구선

(구)대구선((舊)大邱線)은 대구광역시동대구역반야월역을 잇던 화물 지선 노선으로, 노선 번호는 2024이었다. 대구선의 대구광역시 구간 이설 이후 남겨진 구선로를 이용하였다. 1917년 12월 24일 대구선으로 개통되었고, 2005년 11월 1일에 (구)대구선으로 분리되었다가 2008년 5월 15일에 폐지되었다. 영업 거리는 8.5km이며, 궤간은 표준궤 1,435mm, 선로는 단선, 신호는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를 사용하였다.

(구)대구선은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동촌역, 신평역(1973년 폐지), 반야월역을 거쳐 청천역으로 이어졌다.

아래 표에서, 청천역은 (구)대구선에 포함된 적이 없으나, 대구선 이설 이전에 반야월역청천역 사이가 연결되어 있음을 명시하기 위해 편의상 포함했다.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영업 거리소재지
동대구Dongdaegu東大邱경부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0.00.0대구광역시동구
동촌Dongchon東村3.13.1
신평Sinpyeong新坪5.6
반야월Banyawol半夜月5.48.5
청천Cheongcheon淸泉대구선5.514.0경상북도경산시


4. 1. (구)대구선 역 목록

아래 표에서, 청천역은 (구)대구선에 포함된 적이 없으나, 대구선 이설 이전에 반야월역청천역 사이가 연결되어 있음을 명시하기 위해 편의상 포함했다.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영업 거리소재지
동대구Dongdaegu東大邱경부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0.00.0대구광역시동구
동촌Dongchon東村3.13.1
신평Sinpyeong新坪5.6
반야월Banyawol半夜月5.48.5
청천Cheongcheon淸泉대구선5.514.0경상북도경산시


5. 지선 노선

'''K-2인입선'''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동 대구 공군기지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청천역을 연결하는 선로로, 공군기지 전용 선로이다.

5. 1. K-2 인입선

'''K-2 인입선'''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동 대구 공군기지와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청천역을 연결하는 선로로, 공군기지 전용 선로이다.

6. 교통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대구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

운행구간선로용량새마을무궁화일반화물운행총계
동대구 ~ 가천61116320
가천 ~ 영천180116623



7. 향후 계획

대구광역시에서는 이설되어 폐선된 현재의 청천 ~ 하양 구간을 활용하여 대구 도시철도 1호선안심역 이후 하양역까지 연장 공사를 하고 있다.[26] 2023년 12월 18일 ITX-새마을과 동급의 ITX-마음이 운행을 시작하였다.

참조

[1]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1938-06-24
[2] 간행물 朝鮮總督府官報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1938-11-28
[3] 웹사이트 대구선 일부구간 이설 개통 https://web.archive.[...] Silvernet News 2005-11-14
[4] 웹사이트 경영원칙 > 경영공시 > 영업현황 > 영업거리현황 https://web.archive.[...] Korail 2010-12-04
[5] 웹사이트 대구선 복선전철 http://www.krnetwork[...]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2010-10-24
[6] 웹사이트 Bullet trains coming to a town near you by 2020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10-09-02
[7] 뉴스 Era of electrified double-track railway opens in Daegu, Jungang, Donghaenambu line after 100 years https://www.kukinews[...] 2021-12-28
[8]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彙報 軽便鉄道運輸開始 1917-12-28
[9]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彙報 軽便鉄道運輸開始 1918-07-22
[10] 간행물 大韓民国官報交通部告示第612号 1960-12-23
[11] 간행물 大韓民国官報鉄道庁告示第2028号
[12] 간행물 大韓民国官報鉄道庁告示第13号 1973-03-17
[13] 간행물 大韓民国官報建設交通部告示第2005-328号 2005-10-24
[14] 웹사이트 동대구~영천 대구선 복선전철 첫 삽 http://www.kyongbuk.[...]
[1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1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7-12-28
[17]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8-07-22
[1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612호 1960-12-23
[19]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훈령 제2028호
[20]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3호 1973-03-17
[21] 웹사이트 철도청고시 제2004-42호 http://gwanbo.mois.g[...] 2004-11-29
[22]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28호 2005-10-24
[23] 뉴스 동대구 ~ 영천 대구선 복선전철 첫 삽 http://www.kyongbuk.[...] 경북일보 2011-04-07
[2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25] 뉴스 대구선, 중앙선, 동해남부선 100년 만에 복선전철시대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21-12-28
[26] 뉴스 대구도시철도 2009년부터 연장사업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08-10-02
[27]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147호 2008-05-13
[28] 뉴스 연탄, 이게 궁금해 https://news.naver.c[...] 매일신문 2007-12-13
[29] 뉴스 대구선 운행 중단..연탄업계 "도로 수송"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8-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