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선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영천시를 잇는 철도 노선이다. 1917년 대구역과 영천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38년 대구-영천 구간 표준궤 개량 및 영천-경주 구간의 중앙선 편입을 거쳐 현재의 대구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5년 동대구-청천 간 이설 사업으로 (구)대구선이 분리되었고, 2021년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현재는 ITX-마음 열차가 운행 중이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계획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철도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191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1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세이부 다마가와선
세이부 다마가와선은 도쿄도 무사시노시의 무사시사카이역과 후추시의 고레마사역을 연결하는 8.0km 길이의 세이부 철도 노선으로, 1917년 다마 철도로 개통되어 다마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 신 101계 전동차가 운행되고 교통카드 이용이 가능하다. - 대구선 - 하양역
하양역은 1917년 개업한 경부선(대구선) 철도역으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이 가능해졌으며,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동대구역과 영천역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대구가톨릭대학교 효성캠퍼스 인근에 위치한다. - 대구선 - 가천역
가천역은 경부선과 대구선이 지나는 경상북도 경산시의 철도역으로, 화물 운송에 집중하다 대구선 복선 전철화 공사 후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다.
대구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대구선 |
로마자 표기 | Daeguseon |
한자 표기 | 大邱線 |
영어 이름 | Daegu Line |
노선 종류 | 지선 철도, 여객 철도, 화물 철도, 광역 철도, 간선 철도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위치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기점 | 가천역 |
종점 | 영천역 |
역 수 | 8 |
노선 번호 | 30210 |
개통일 | 1917년 ~ 1918년 (단계별)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영업 거리 | 29.0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2 |
노선도 | |
역사 | |
개통일 | 1917년 12월 24일 |
기타 정보 | |
![]() |
2. 역사
1917년 12월 24일 대구역 - 영천역 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당시 경동선의 일부였다.[16] 1918년 7월 18일 금호역이 개업하였고,[17] 1938년 7월 1일에는 대구–영천 구간의 표준궤로의 개량이 완료되었다.[1] 1938년 12월 1일에는 영천–경주 구간이 중앙선의 남쪽 구간인 경경남부선의 일부가 되었다. 동시에 현재 구간은 대구선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1960년 12월 23일 봉정역이 개업하였고,[18] 1967년 12월 21일 신평역이 개업하였다.[19] 1969년 6월 10일 동대구역 신설로 대구역 - 동대구역간 선로가 폐선되었고, 1973년 4월 1일 신평역이 폐역되었다.[20]
1992년 12월 12일 제 14대 대통령(김영삼)의 공약 사업으로 대구선 이설이 확정되었고, 1997년 8월 27일 대구선 동대구 - 청천 간 이설 사업 착공되었다. 2004년 12월 10일 봉정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21] 2005년 11월 1일 동대구 - 청천 간이 외곽으로 이전되면서, (구)대구선으로 분리, 경부선과 만나며 대구선의 분기점이 되는 화물중계역인 가천역 신설, 금강역이 개업하였다.[22] 2008년 2월 15일 동대구역 - 반야월역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1년 4월 7일 복선 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었고,[23] 2014년 12월 8일 대구선 복선전철 원제터널이 관통되었다. 2017년 9월 8일 하양 ~ 영천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되었고, 2018년 7월 16일 금강 ~ 하양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210'''으로 변경되었고,[24] 2021년 3월 30일 전 구간 전차선로 전원공급이 시작되었다. 2021년 6월 17일 운행선 변경 반영으로 노선거리 26.1km로 단축 및 봉정역이 폐역되었고, 2021년 12월 28일 복선 전철 개통[25]과 함께 2023년 12월 18일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2. 1. 개요
2. 2. 일제강점기
1917년 12월 24일, 경동선의 일부로 대구역 - 영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16][8] 1918년 7월 18일에는 금호역이 개업하였다.[17][9] 이후 대구 - 학산(포항) 간 노선이 연장되었는데, 1918년 9월 1일에는 하양-경주 구간, 1918년 10월 31일에는 경주-포항, 1919년 6월 27일에는 포항-학산 구간이 개통되었다.날짜 | 구간 | 길이 |
---|---|---|
1917년 11월 1일 | 대구–하양 | 23.0 km |
1918년 9월 1일 | 하양–경주 | 46.0 km |
1918년 10월 31일 | 경주–포항 | 36.4 km |
1919년 6월 27일 | 포항–학산 | 2.0 km |
1921년 10월 25일에는 경주에서 울산까지 지선이 개통되었다.[3] 1935년 12월 16일, 경주-포항, 울산 구간은 동해남부선에 통합되었다. 1938년 7월 1일에는 대구–영천 구간이 표준궤로 개량되었고,[1] 1938년 12월 1일에는 영천–경주 구간이 경경남부선(중앙선의 일부)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대구-영천 구간은 대구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2. 3. 해방 이후
1960년 12월 23일 봉정역이 개업하고,[18][10] 1967년 12월 21일에는 신평역이 개업했다.[19][11] 1969년 6월 10일 동대구역이 신설되면서 대구역 - 동대구역간 선로는 폐선되었고, 1973년 4월 1일에는 신평역이 폐역되었다.[20][12]1992년 12월 12일, 제14대 대통령(김영삼)의 공약 사업으로 대구선 이설이 확정되었고, 1997년 8월 27일 대구선 동대구 - 청천 간 이설 사업이 착공되었다. 2004년 12월 10일 봉정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21], 2005년 11월 1일에는 동대구 - 청천 간이 외곽으로 이전되면서, (구)대구선으로 분리, 경부선과 만나며 대구선의 분기점이 되는 화물중계역인 가천역 신설, 금강역이 개업하였다.[22][13] 2005년 11월 3일에는 신설된 금강역에서 신설 대구선 이설 개통식이 개최되었다. 2008년 2월 15일에는 동대구역 - 반야월역 구간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1년 4월 7일 복선 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었고,[23][14] 2014년 12월 8일에는 대구선 복선전철 원제터널이 관통되었다. 2017년 9월 8일 하양 ~ 영천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되었고, 2018년 7월 16일 금강 ~ 하양 구간 운행선도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210'''으로 변경되었으며,[24][15] 2021년 3월 30일 전 구간 전차선로 전원공급이 시작되었다. 2021년 6월 17일 운행선 변경 반영으로 노선거리 26.1km로 단축 및 봉정역이 폐역되었고, 2021년 12월 28일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다.[25] 2023년 12월 18일에는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2. 4. 대구 시내 구간 이설 및 (구)대구선
1992년 12월 12일, 제14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영삼 후보의 공약 사업으로 대구선 이설이 확정되었다.[22] 대구 시내 구간은 주택가와 맞닿아 있어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많았기 때문이다.[22] 이후 1997년 8월 27일 동대구역 - 청천역 간 이설 사업이 착공되었다.[22]2005년 11월 1일, 동대구역 - 청천역 구간이 외곽으로 이전되면서 경부선과의 분기역인 가천역이 신설되고, 금강역이 개업하면서 (구)대구선으로 분리되었다.[22] 이설 개통식은 2005년 11월 3일 신설된 금강역에서 개최되었다.[22]
구 대구선 구간 중 동촌역 - 반야월역 구간은 K-2 공군기지 전용선 때문에 존치되었다가, 청천역에서 분기되는 새 전용선이 개통되면서 2008년 2월 15일 화물열차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8년 5월 15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27]
2. 5. 복선 전철화 및 현대화
2004년 12월 10일, 봉정역이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21] 2011년 4월 7일에는 복선 전철화 사업이 착공되었고,[23] 2014년 12월 8일에는 대구선 복선전철 원제터널이 관통되었다. 2000년부터 더 직선적인 34.9 km 길이의 이중선 전철화 노선으로의 개량이 검토되었으며, 2010년 9월 1일, 대한민국 정부는 2020년까지 서울에서 전국 95% 지역까지의 이동 시간을 2시간 이내로 단축하는 전략 계획을 발표하면서 대구선은 시속 230km로 운행될 예정이며, KTX 운행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었다.[6]2017년 9월 8일, 하양 ~ 영천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고,[14] 2018년 7월 16일에는 금강 ~ 하양 구간 운행선이 개량선으로 변경되었다.[15]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가 30210으로 변경되었다.[24] 2021년 3월 30일, 전 구간 전차선로에 전원공급이 시작되었고, 2021년 6월 17일에는 운행선 변경을 반영하여 노선거리가 26.1km로 단축되었으며 봉정역이 폐역되었다.[25] 2021년 12월 28일, 복선 전철이 개통되었고,[7][25] 2023년 12월 18일에는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3. 역 목록
거리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