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한인권정보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한인권정보센터(NKDB)는 북한 내부 인권 상황을 알리고, 북한 이탈 주민의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2003년 설립된 단체이다. 2004년 대한민국 통일부로부터 법적 실체로 인정받았으며, 북한 인권 기록 보존소, 8대 북한인권감시기구, 정착지원본부, 남북사회통합교육원, NK 사회 연구소 등의 부설기관을 운영한다. 유엔과 협력하여 북한 인권 관련 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북한 인권 침해 사건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NKDB 통합 인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신숙자
    간호사 출신 신숙자는 독일에서 결혼 후 가족과 함께 북한으로 이주했으나, 강제 노역과 남편의 탈북 후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통영의 딸' 송환 운동에도 불구하고 사망하여 북한 인권 유린의 상징이 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 대북전단과 대남전단
    대북전단과 대남전단은 한반도 심리전의 일환으로, 남북 간의 긴장 고조와 완화에 따라 변화를 겪었으며, 표현의 자유, 안보 위협, 효과 논란 등 다양한 쟁점을 야기하며 남북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 대한민국의 사단법인 - 색동회
    색동회는 1923년 방정환을 중심으로 창립되어 어린이들에게 다채로운 꿈과 희망을 주고자 아동 문화 운동을 펼친 단체로, 잡지 발간, 어린이날 제정, 행사 개최 등을 통해 아동문학과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광복 후 활동을 재개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며 아동 교육에 공헌한 사람들을 시상하는 색동회상을 제정했다.
  • 대한민국의 사단법인 -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는 1988년 한국프로골프협회에서 독립하여 창립된 대한민국의 여자 프로 골프 단체로, 여자 프로 골프 선수들의 권익 보호와 한국 여자 골프 발전을 목표로 다양한 투어 개최, 선수 지원, 사회 공헌, 국제 교류 등의 활동을 한다.
북한인권정보센터
기본 정보
이름북한인권정보센터
영문 명칭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유형비영리 NGO
설립일2003년 5월
설립 국가대한민국
본부 위치서울특별시 중구 장경궁로1길 33, 충무로4가
웹사이트북한인권정보센터 공식 웹사이트
약칭NKDB
목적북한 인권 피해 기록
북한 인권 개선
과거사 청산
인물
대표송한나
활동
주요 활동 분야북한 인권 침해 기록
북한 인권 증진
과거사 청산
탈북민 정착 지원

2. 역사

북한인권정보센터(NKDB)는 2003년 5월 12일 북한 내부의 인권 상황을 알리기 위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4년 대한민국 통일부로부터 법적 실체로 인정받았다.[6] NKDB는 NK 사회 연구소와 정착 지원 본부를 설립하고, 이산가족, 남한 출신 납북자, 젊은 여성 탈북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탈북자 등 북한 이탈 주민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6]

2010년대에는 국제 사회에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더욱 집중했으며,[7][5] 2011년 북한인권아카데미를 시작으로 북한 관련 문제 교육에서 역할을 강화했다.

2020년, 통일부 산하 공공기관인 남북하나재단과 협력하여 경기도 서부 지역의 하나센터 공동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NKDB 통합 인권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알리기 위해 [http://www.visualatlas.org/eng.do 시각적 아틀라스]를 재출시하고, 같은 해 북한 인권 정보를 집계하는 웹 기반 플랫폼인 [https://www.nkhrlarchiveum.org/museum1 북한 인권 기록 보관소]를 개설했다. 2022년 초에는 북한인권법률지원센터를 개설하여 법적 소송을 통해 북한 인권 침해 피해자에게 직접적인 구제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https://www.en-nksdg.org 북한 SDG 데이터 포털을 개설하여 북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과정과 북한 내부 인권 상황과의 연관성을 공유했다.

2020년 4월, 대한민국 통일부는 NKDB가 하나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연간 계약 갱신을 거부했다.[1] NKDB는 2003년부터 북한 이탈 주민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하나원 면담은 연례 백서의 핵심 자료였다.[9] 현재 하나원에 출입이 허용된 독립적인 시민 사회 단체는 없다.

2. 1. 2000년대

북한인권정보센터(NKDB)는 2003년 5월 12일에 북한 내부의 인권 상황을 알리기 위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2004년에는 대한민국 통일부로부터 법적 실체로 인정받았다.[6] NKDB는 NK 사회 연구소와 정착 지원 본부를 설립하고, 이산가족, 남한 출신 납북자, 젊은 여성 탈북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탈북자 등 북한 이탈 주민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확장되었다.[6]

2. 2. 2010년대

2010년대 북한인권정보센터(NKDB)는 국제 사회에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더욱 집중했다.[7][5] NKDB는 또한 2011년 북한인권아카데미를 시작으로 북한 관련 문제 교육에서 역할을 강화했다. 이 정기적인 강좌는 저명한 학자, 공무원, 인권 옹호자들이 이끌고 있다. 현재 북한 인권 문제, 외교적 접근을 통한 한반도 통일, 탈북민 상담 지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5개의 아카데미가 운영되고 있다.

2. 3. 2020년대

2020년, 북한인권정보센터는 통일부 산하 공공기관인 남북하나재단과 협력하여 경기도 서부 지역의 하나센터 공동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하나센터는 하나원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센터)에서의 초기 교육 이후 북한 이탈 주민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한다.[8] 북한인권정보센터는 NKDB 통합 인권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알리기 위해 [http://www.visualatlas.org/eng.do 시각적 아틀라스]를 재출시하여, 상호작용형 지도를 통해 북한 인권 침해 사건을 시각화했다. 같은 해, 북한 인권에 대한 정보를 집계하는 웹 기반 플랫폼인 [https://www.nkhrlarchiveum.org/museum1 북한 인권 기록 보관소]를 개설했다. 2022년 초, 북한인권법률지원센터를 개설하여 법적 소송을 통해 북한 인권 침해 피해자에게 직접적인 구제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또한, https://www.en-nksdg.org 북한 SDG 데이터 포털을 개설하여 북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과정과 북한 내부의 인권 상황과의 연관성을 공유했다.

2020년 4월, 대한민국 통일부는 북한인권정보센터가 하나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연간 계약 갱신을 거부했다.[1] 북한인권정보센터는 2003년부터 북한 이탈 주민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하나원 면담은 연례 백서의 핵심 자료였다.[9] 현재 하나원에 출입이 허용된 독립적인 시민 사회 단체는 없다.

3. 유엔과의 협력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유엔의 북한 관련 활동에 참여해 왔다. 여기에는 2014년 유엔 북한 인권 조사 위원회에 제출한 북한인권정보센터 작성 모니터링 보고서, 유엔 발간 보편적 정례 검토 이행 관련 보고서(북한 유엔 권고 이행 감시 그룹을 통해),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이행 현황 관련 출판물이 포함된다.[10] 2015년부터 북한인권정보센터는 [https://www.ohchr.org/en/issues/torture/unvft/pages/index.aspx 유엔 고문 피해자 지원 기금](UNVFVT)의 보조금을 받아 한국에 오기 전 고문을 경험한 탈북민들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11]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유엔 고문 피해자 지원 기금의 지원을 받는 한국 내 두 기관 중 하나이다.

4. 부설기관

북한인권정보센터(NKDB)는 북한 인권 개선과 탈북민 지원을 위해 다양한 부설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부설기관은 다음과 같다.


  • NK 사회 연구소: 탈북자 증언, 탈북자들의 대한민국 정착 과정, 북한의 거시적 동향에 대한 연구와 조사를 수행한다.[6]
  • 정착지원본부: 이산가족, 남한 출신 납북자, 젊은 여성 탈북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는 탈북자 등 북한 이탈 주민을 지원한다.[6] 2020년에는 남북하나재단과 협력하여 경기도 서부 지역 하나센터를 공동 운영하고 있다.[8]
  • 북한인권법률지원센터: 법적 소송을 통해 북한 인권 침해 피해자에게 직접적인 구제를 제공한다. (2022년 설립)
  • https://www.en-nksdg.org 북한 SDG 데이터 포털: 북한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 과정과 북한 내부의 인권 상황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다.


이 외에도 북한인권기록보존소, 8대 북한인권감시기구, 남북사회통합교육원 등이 있다.

4. 1. 북한인권기록보존소

북한인권정보센터(NKDB)의 부설기관으로, 2007년에 설립되어 북한인권 기록과 증거물을 체계적으로 관리 및 보존하고 있다. 북한인권피해 사건을 접수, 조사, 기록하며, 향후 북한지역 과거사 청산을 위한 연구 및 준비를 위해 운영 중이다.[18] 독일 통일 전 서독의 잘츠키터 중앙기록보존소를 벤치마킹하여 개설되었다.

2007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북한의 인권유린 실태 통계화를 시도하였으며, 같은 해 북한인권통계백서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북한인권백서를 발간하고 있다.[19] 현재 통일연구원, 대한변호사협회, 북한인권정보센터에서 총 3곳에서 북한인권백서를 발간하고 있다.

4. 1. 1. NKDB 통합인권DB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인권기록보존소가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문헌자료, 인터뷰 및 설문, 인터넷 게시물, 사진 및 영상물, 증거물''' 등을 통해 수집한 북한인권피해 사건들을 '''사건과 인물'''로 나누어 분석한 후, 권리유형에 따라 '''16개 대분류, 침해유형에 따라 86개 중분류, 104개 세부항목, 219개 도구 및 방법 항목으로 분류'''하여 NKDB 통합인권 DB에 저장 후 활용하고 있다.[18]

[NKDB통합인권DB]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인권피해사례 기록 및 분석 프로그램인 HURIDOCS(WinEvsys와 Martus)를 준용하여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다. 또한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하여 이를 저해할 수 있는 활동을 금지하고 있으며, 운영 재원 확보 및 집행의 자율성 확보를 위한 규정을 갖고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공정성 유지를 위하여 비정치, 비종교, 비영리를 추구하며, 국제적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조사범위와 내용은 국제인권규약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18]

2020년, 북한인권정보센터는 NKDB 통합 인권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를 대중에게 알리기 위한 웹 기반 플랫폼인 시각적 아틀라스([http://www.visualatlas.org/eng.do])를 재출시하여, 상호작용형 지도를 통해 북한 인권 침해 사건을 시각화할 수 있도록 했다.

84,000건 이상의 인권 침해 사례와 관련된 54,000명 이상의 개인 기록을 보유한 북한인권정보센터의 NKDB 통합 인권 데이터베이스는 세계 최대 규모이다.[1] 북한 내에서 인권 침해가 체계적으로 기록되지 않기 때문에, 이 아카이브는 미래의 과도기적 정의 기회에 대한 증거 역할을 한다.[12] 이 아카이브를 기반으로 한 출판물은 북한 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목록에 기여한다.

4. 2. 8대 북한인권감시기구

북한인권정보센터(NKDB)의 부설기관으로, 2016년에 개설되었다. 북한사형감시기구, 북한 구금시설 감시기구, 북한 종교 감시기구, 해외북한인권감시기구, 북한 핵/생물/화학무기(ABC)감시기구, 북한 마약류 감시기구, 북한 UN권고이행감시기구, 북한 군인권 감시기구를 두고 활동하고 있으며, 북한인권 특수자료 수집 및 분류, 특수분야 실태분석 및 책 발간 등의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20]

북한인권정보센터는 NKDB가 추가적인 연구와 정책 권고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분야를 기반으로 하는 8개의 실무 그룹을 두고 있다.

  • UN 권고 이행 감시 그룹
  • 북한 종교(박해) 감시 그룹
  • 북한 구금 시설 감시 그룹
  • 북한군 구성원의 인권 감시 그룹
  • 해외 북한인권 감시 그룹
  • 북한 사형제 감시 그룹
  • 북한 마약 감시 그룹
  • 북한 핵/생물/화학 무기(ABC) 및 북한 인권 감시 그룹

4. 3. 정착지원본부

북한인권정보센터 정착지원본부는 북한인권피해 경험자들의 사회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2005년에 북한인권정보센터(NKDB)의 부설기관으로 설립되었다.[20][22] 북한인권피해 조사를 통해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북한생활경험자들을 지원한다.

정착지원본부의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20][22]

  • 북한인권피해자 PTSD 심리상담 및 정착지원
  • 귀환 대한민국 국군 포로/납북자 적응교육 및 정착지원
  • 비보호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 생애구술사 연구


2020년에는 통일부 산하 공공기관인 남북하나재단과 협력하여 경기도 서부 지역의 하나센터 공동 운영 계약을 체결했다. 하나센터는 하나원에서의 초기 교육 이후 북한 이탈 주민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한다.[8]

재정착 지원 본부는 전(前) 포로, 북한으로 납치된 자, 북한에서의 인권 침해 또는 고문 피해자, 인신매매 피해자, 그리고 정부의 금전적 지원을 상실했거나 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적응 교육, 심리 상담, 금전적 지원 및 옹호 지원을 제공한다.

4. 4. 남북사회통합교육원

2011년 북한인권아카데미 1기를 시작으로, 2016년에 남북사회통합교육원을 개설하였다. 현재 남북사회통합교육원은 매년 상하반기, 시민사회를 대상으로 5개 아카데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남북사회통합교육원 원장 : 홍양호 (1955년))[20][23]

통일 교육원은 북한 및 북한 인권 상황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시민 사회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회에는 저명한 초청 강사의 일련의 강좌인 아카데미와 광범위한 사회 내에서 담론을 장려하기 위한 포럼이 포함된다.

현재 아카데미 목록은 다음과 같다.

가을 및 봄



현재 계절별 강좌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여름 및 겨울



북한인권정보센터(NKDB)는 NKDB의 아카데미 중 하나 이상을 이수한 사람들을 위해 "함께하는 통일 포럼"을 진행한다. 포럼 참가자들은 매달 한 번 만나 남북 문제에 대해 더 깊이 논의하고, 향후 문제에 가장 잘 접근하는 방법에 대한 토론을 진행한다.

NKDB는 또한 청소년들이 남북 문제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드림플러스 포럼을 연 1회 개최한다.

4. 5. NK 사회 연구소

북한인권정보센터(NKDB) 부설 NK 사회 연구소는 탈북자 증언, 탈북자들의 대한민국 정착 과정, 북한의 거시적 동향에 대한 연구와 조사를 수행한다. 또한, 이 기관은 북한 문제에 대한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한다.[6]

5. 주요 인물

이름직함 및 경력
윤여상국민대학교 법무대학원 겸임교수, 전 존스 홉킨스 대학교 폴 니체 고등국제학대학원 방문학자, 현 이사장[13]
신영호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학장, 현 이사회 의장[14]
정재호전 주 독일 대한민국 국방정보본부 무관, 현 북한인권정보센터 정착지원본부장
김상헌전 주 대한민국 영국 대사관 교육관, 전 유엔 세계 식량 계획 가이아나 대표, 전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이사, 초대 이사회 의장[15]
이재춘전 주 러시아, EU, 방글라데시 대한민국 대사, 제3대 이사회 의장
박종훈고려대학교 정형외과 교수, 북한인권의료연합 공동대표, 제2대 이사회 의장[16]
김웅기새터민 (하나를 위한 조직) 이사, 서울지방변호사회 인권위원, 전 국무총리실 산하 납북피해자 보상 및 지원 심의위원회 위원, 전 이사 및 현 이사


참조

[1] 웹사이트 Unification Ministry suspends investigations into human rights in N. Korea https://www.donga.co[...] 2022-01-13
[2] 뉴스 North Korean defectors reveal wretched state of female healthcare https://www.ft.com/c[...] 2019-12-11
[3] 웹사이트 Rights Group Builds Legal Case Against Pyongyang Abusers https://www.voanews.[...] 2016-08-29
[4] 뉴스 North Korea: How many political prisoners are detained in prison? https://www.bbc.com/[...] 2018-05-10
[5] 웹사이트 North Korean Human Rights Advocacy: Making the Most of Scarce Data https://www.ned.org/[...] 2022-01-13
[6] 웹사이트 Justice, bridging social gap imperative in unification scenario https://www.dailynk.[...] 2015-09-30
[7] 웹사이트 North Korean Migrant Workers: Human Rights Challenges & Policy Option https://hrdn.eu/even[...]
[8] 웹사이트 Life after Hanawon https://cusjc.ca/mrp[...]
[9] 웹사이트 ROK government restricts civil society's human rights investigation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https://drive.google[...]
[10] 웹사이트 Stakeholder's Submission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s Universal Periodic review: 33rd Session of the UPR Working Group. https://tbinternet.o[...]
[1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Voluntary Fund for Victims of Torture: Public List of 2022 Grants https://www.ohchr.or[...] 2022-01-17
[12] 웹사이트 South Korean NGO publishes details of Pyongyang's human rights abusers https://www.scmp.com[...] 2013-10-23
[13] 웹사이트 국민대학교 법무대학원 - 전공소개 > 통일융합법무 > 교수진 교수진 https://ifl.kookmin.[...] 2022-01-13
[14] 웹사이트 Goryeodaehakgyo gyosusogae" [Korea University Professor Introductions] http://faculty.korea[...]
[15] 웹사이트 北 '인권 유린' 낱낱이 폭로 국제여론 환기… 창립 10주년 맞은 '㈔북한인권정보센터' http://news.kmib.co.[...] 2022-01-13
[16] 웹사이트 의료진 소개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http://anam.kumc.or.[...] 2022-01-13
[17] 웹인용 북한인권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nkdb.org/[...] 2020-06-22
[18] 웹인용 북한인권정보센터 NKDB http://nkdb.org/2016[...] 2020-06-23
[19] 웹인용 "<北인권유린 실태 첫 통계화 시도>연합뉴스" https://news.naver.c[...] 2020-06-23
[20] 웹인용 북한인권정보센터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0-06-23
[21] 웹인용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2020-06-23
[22] 웹인용 북한인권정보센터 NKDB http://nkdb.org/2016[...] 2020-06-23
[23] 웹인용 남북사회통합교육원 http://www.nkdbedu.c[...] 2020-06-23
[24] 웹인용 윤여상 북한인권정보센터소장 https://news.naver.c[...] 2020-06-22
[25] 웹인용 "(2007년 6월 29일). 北인권유린 실태 첫 통계화 시도”. 연합뉴스." https://news.naver.c[...] 2020-06-22
[26] 웹인용 "탈북자 극소수 北서 비밀 종교생활" https://news.naver.c[...] 2020-06-22
[27] 웹인용 ‘새터민 1만명 시대’에 할 일 http://www.hani.co.k[...] 2020-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